KR101230121B1 -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 - Google Patents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121B1
KR101230121B1 KR1020100055882A KR20100055882A KR101230121B1 KR 101230121 B1 KR101230121 B1 KR 101230121B1 KR 1020100055882 A KR1020100055882 A KR 1020100055882A KR 20100055882 A KR20100055882 A KR 20100055882A KR 101230121 B1 KR101230121 B1 KR 10123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manuka honey
manuka
honey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487A (ko
Inventor
정귀념
권혁대
Original Assignee
권혁대
정귀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0444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301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권혁대, 정귀념 filed Critical 권혁대
Publication of KR2011003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남태평양 주변에서 자라는 차나무의 일종인 마누카 나무에서 양봉하여 채취한 꿀인 마누카 꿀에 홍삼 농축액 또는 홍삼 분말을 혼합하여 겔 상태의 잼을 제조함으로써 원기회복, 면역력증진, 자양강정, 노화방지, 갱년기 증상 완화, 학습능력강화 뇌기능 촉진, 간장보호, 혈압안정작용, 혈액순환, 스트레스완화, 피부미용, 항당뇨 작용, 숙취제거, 헬리코박터 피로리균의 사멸효과, 위벽 부착 억제 외에 위 활성산소 제거 및 위벽재생 기능을 갖는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누카 꿀 70-90중량%, 홍삼 농축액 10-3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1일 이상 상온에서 숙성시켜 밀폐용기에 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MANUKA HOMEY JAM CONTAINED RED GINSENG}
본 발명은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남태평양 주변에서 자라는 차나무의 일종인 마누카 나무에서 양봉하여 채취한 꿀인 마누카 꿀에 홍삼 분말 또는 홍삼 농축액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이상 숙성시킨 뒤 밀폐용기에 보관하여 꿀잼을 제조함으로써, 홍삼과 마누카 꿀의 고유 효능을 유지하면서도 맛과 향 및 기호도 면에서 우수하여 인삼 고유의 쓴맛을 없애 어린이 또는 입맛이 까다로운 사람 등에게도 먹는데 거부감을 없애고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음용 또는 섭취할 수 있는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ginseng)은 고대로부터 남녀의 모든 허증, 신체허약을 신속히 회복시켜 주며 인체 오장육부의 기능을 보충하여 준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체내의 독소를 제거해 주고 대사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발생되기 쉬운 병에 대하여 저항력을 증진시켜 주며, 피부의 기능을 정상화시키고 종양에 대하여도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붉은 인삼을 통칭하는 것으로 그 제조 방법은 수삼을 물로 깨끗하게 씻고, 일정한 용기에 넣어 가열된 수증기를 이용하여, 크기에 따라 일정시간 찐다(蒸蔘). 증삼된 것은 1차 열풍건조 후부터는 태양열을 이용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수분이 12.5∼13.5%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한 것이다.
홍삼의 중요 성분으로는 백삼과 같이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 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최근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삼은 피로를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며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며, 혈압과 혈당을 낮추는 기능이 있으며, 노화를 방지하고 성기능을 회복시키며 여드름·기미·무좀 등 피부 질환에 잘 들으며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는 등 그 효능이 알려졌다.
상기와 같은 홍삼은 효능으로 인하여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건강보조식품으로 제조 판매되고 있으며, 그 제조 판매되는 홍삼은 분말, 농축액등으로 제조되어 물에 타서 음용하거나, 다른 식품에 첨가하여 복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인삼 고유의 향과 쓴맛으로 인하여 어린이나 비위가 약한 사람에게는 먹기에 거부감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홍삼의 쓴 맛을 감소하기 위하여 일반 꿀과 함께 복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인삼과 일반 꿀이 잘 혼합되지 않고 여전히 인삼고유의 쓴 맛을 유지하고 있고, 그 음용방법도 물에 타 먹게 하는 것으로서 장소에 따라 음용이 제약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마누카 꿀은 남태평양 주변에서 흔히 자라는 차나무의 일종인 마누카 나무 에서 양봉하여 꿀을 채취한 것으로서 뉴질랜드에서는 오랫동안 민간요법으로 위장질환 치료성분으로 쓰여 왔다. 특히 항균활성이 탁월하며 그 외에도 당성분에 의한 높은 삼투압, pH 안정성 등이 항균활성을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누카 꿀의 항헬리코박터 피로리균 작용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뉴질랜드 와이카토대학에서 임상실험을 한 결과 마누카 꿀을 복용한 환자 모두 위 질환에 치료효과를 나타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캐나다 오타와대학 연구팀은 실험 결과, 꿀이 부비동 감염(sinus infections)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를 죽이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대다수의 항생제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시험관 테스트에서 뉴질랜드산 마누카 꿀(manuka honey)과 예멘산 시드르꿀(sidr honey)이 항생제 내성을 가진 슈퍼 박테리아인 '황색포도상구균( MRSA)'을 퇴치하는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이 두 종류의 꿀은 액체 위에 떠 있는 박테리아를 모두 괴멸시켰으며, 박테리아의 보호막인 바이오필름(biofilms)을 63~91%까지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효과적인 항생제 중 하나인 리팜핀(rifampin)도 바이오필름을 18%밖에 파괴하지 못해다는 사실에 비추어 보면, 실로 엄청난 효과가 아닐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상기 마누카 꿀은 그 효능으로 인하여 마누카 꿀 자체를 음용 또는 섭취하거나 식용 또는 화장품 등에 첨가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나 인삼 등의 건강보조식품과 첨가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전혀 없고, 대형 또는 중형 용기에 수용되어 있어 가정 등에서만 음용 또는 섭취할 수 있어 장소에 따라 음용또는 섭취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어 일반인에게 널리 이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남태평양 주변에서 자라는 차나무의 일종인 마누카 나무에서 양봉하여 채취한 꿀인 마누카 꿀에 홍삼 분말 또는 홍삼 농축액을 최적의 비율(마누카 꿀 70-90중량%, 홍삼 농축액 또는 홍삼분말 10-30중량%)로 혼합하여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이상 숙성시킨 뒤 밀폐용기에 보관하여 제조함으로써, 홍삼과 마누카 꿀의 고유 효능을 유지하면서도 맛과 향 및 기호도 면에서 우수하여 인삼 고유의 쓴맛을 없애 어린이 또는 입맛이 까다로운 사람 등에게도 먹는데 거부감을 없애고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음용 또는 섭취할 수 있는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은 마누카 꿀 70-90중량%, 홍삼 농축액 10-3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1일 이상 4일 이내 상온에서 숙성시켜 밀폐용기에 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은 마누카 꿀 70-90중량%, 홍삼 분말 10-3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1일 이상 4일 이내 상온에서 숙성시켜 밀폐용기에 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누카 꿀에 상기 홍삼 농축액 또는 홍심 분말을 혼합할 때 절편된 마늘, 절편된 대추, 검은 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은 마누카 꿀에 홍삼 분말 또는 홍삼 농축액을 최적의 비율(마누카 꿀 70-90중량%, 홍삼 농축액 또는 홍삼분말 10-30중량%)로 혼합하여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이상 4일 이내 숙성시킨 뒤 밀폐용기에 보관하여 제조함으로써, 홍삼과 마누카 꿀의 고유 효능을 유지하면서도 맛과 향 및 기호도 면에서 우수하여 인삼 고유의 쓴맛을 없애 어린이 또는 입맛이 까다로운 사람 등에게도 먹는데 거부감을 없애고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음용 또는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하는 과정의 흐름도
본 발명자는 인삼(수삼, 홍삼 분말 및 홍삼 농축액 등)을 꿀에 함유시킨 건장보조식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꿀들을 적용하여 보았으나, 마누카 꿀만이 인삼과의 혼합이 매우 용이하고 인삼 고유의 쓴맛을 완화하면서 독특한 향기와 맛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홍삼은 일반 시중에 판매되는 홍삼을 사용하여도 좋고, 다음 방법으로 제조되는 홍삼을 사용하여도 좋다.
인삼(1-6년근 인삼)을 물로 세척한 다음 세척한 인삼을 채반에 서로 눌리거나 겹치지 않도록 올려놓고, 증숙기에서 94℃에서 6시간동안 증숙한 뒤, 상기 증숙기의 증기를 서서히 배출시키거나 압력이 상압이 될 때까지 방치하고, 상기 증숙된 삼을 70℃의 열풍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다시 50℃의 열풍건조기에서 7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하여 홍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홍삼 농축액은 홍삼을 원료로 하여 홍삼액 추출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고형분이 60-70%, 사포닌이 60-100㎎/g이 함유된 홍삼 농축액을 사용하며, 시중에 판매되는 홍삼 농축액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홍삼 분말은 상기 홍삼을 파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홍삼 분말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홍삼 분말은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의 입도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누카 꿀은 남태평양에서 흔히 자라는 차나무의 일종인 마누카 나무에서 양봉하여 채취한 뉴질랜드산 등의 마누카 꿀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은 뉴질랜드에서 마누카 꿀의 품질 등급을 표시하는 UMF 10+, 15+, 20+, 25+ 중 어떤 품질 등급의 마누카 꿀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가격 및 효능 면에서 UMF 15+, 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하는 과정의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마누카 꿀과 홍삼 분말 또는 홍삼 농축액을 준비하여(S10 및 S20 단계), 상기 홍삼 분말 또는 홍삼 농축액을 상기 마누카 꿀에 혼합한다(S30 단계). 이때 상기 홍삼 농축액을 상기 마누카 꿀에 혼합할 경우에는 마누카 꿀 70-90중량%과 홍삼 농축액 10-30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홍삼 분말을 상기 마누카 꿀에 혼합할 경우에는 마누카 꿀 70-90중량%에 홍삼 분말을 10-3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누카 꿀에 상기 홍삼 농축액 또는 홍삼 분말을 혼합할 경우 상기 홍삼 농축액 또는 홍삼 분말이 상기 마누카 꿀에 충분히 잘 섞일 수 있도록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거나 수작업으로 잘 저어서 교반을 한다(S40 단계). 이때 교반된 상태는 점도가 있는 겔 상태이다.
상기 홍삼이 혼합되어 교반된 마누카 꿀이 잘 섞여져 겔 상태로 되면, 1일 이상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완성하게 된다(S50 단계). 이 때 상기 숙성은 상온에서 2-4일 정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은 이와 같은 숙성과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마누카 꿀이 상기 홍삼과 잘 어우러지게 되고 홍삼의 특유의 향과 쓴 맛이 완화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1회용 밀폐용기에 담아 제품으로 완성한다(S60 단계). 이와 같이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1회용 밀폐용기에 담은 제품은 일회용 플라스틱 또는 나무 스푼으로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하면서 용이하게 음용 또는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누카 꿀에 상기 홍삼을 혼합할 때 절편된 마늘, 절편된 대추, 검은 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은 독특한 맛과 약리효과를 얻을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종래 제품화된 방법에서 장기 보관상의 문제, 용기 표면에 묻은 꿀의 끈적거림, 인삼 고유의 향 및 쓴 맛 등의 문제로 인하여 음용 또는 섭취가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마누카 꿀에서 우수한 항균성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특히 위궤양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살균하는 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홍삼의 고유 효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1회용 밀폐용기에 담은 제품은 장소에 관계없이 식전 공복이나, 음주전후, 피로회복 간식 등에 간단히 플라스틱 또는 나무 스푼을 사용하여 섭취가 가능하고 빵이나 비스킷 등에 발라 섭취도 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밀폐용기에 보관함으로써 부패가 방지되어 장시간 유통이 가능하여 공산품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1회용 밀폐용기에 담아 제품화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인용, 4인용 등 중형 용기에 담아 제품화 할 수도 있고 대형 용기에 담아 가정용으로도 제품화가 가능하여 편의점, 백화점, 면세점에서 판매 등으로 인한 인삼 또는 홍삼제품의 우수성을 극대화하여 판촉홍보로 수출증대를 통한 국내 열악한 인삼, 홍삼 농가의 수익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른 음용법으로 홍삼 분말이나 홍삼 농축액을 마누카 꿀과 혼합하여 희석시킨 뒤 그 희석된 액체를 음용제 병 또는 용기에 담아 1회용으로 음용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홍삼(홍삼 농축액 또는 홍삼 분말)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에 대하여 여러 가지 실시예로 제조하였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 홍삼 농축액 사용]
<실시예 1>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6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4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2>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3>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9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1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4>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6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4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5>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6>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9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1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7>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6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4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4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8>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4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9>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9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1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4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비교예 1>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비교예 2>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5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비교예 3>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50g에 상기 홍삼 농축액 5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비교예 4>
홍삼 농축액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담배인삼공사(정관정)의 홍삼정(사포닌 70mg/g 이상)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95g에 상기 홍삼 농축액 5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시험: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9의 홍삼(홍삼 농축액)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과, 비교예1 내지 4의 홍삼(홍삼 농축액)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준비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10-40대 남녀 5명씩 20명을 평가자로 선발하여 맛, 향, 기호도로 구분하여 5점 비교 척도법을 평가하였으며, 그 기준으로는 아주 좋다(5), 좋다(4), 보통이다(3), 나쁘다(2), 아주 나쁘다(1)로 하여 최종적으로 응답한 점수를 합산한 평균치를 구하였다.
실시예1 내지 9의 관능검사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고, 비교예1 내지 4의 관능검사 결과는 표 2와 같다.
구분 기호도 종합
실시예1 4.1 4.15 4.1 4.12
실시예2 4.2 4.2 4.2 4.20
실시예3 4.1 4.25 4.1 4.15
실시예4 4.2 4.2 4.15 4.18
실시예5 4.35 4.25 4.35 4.32
실시예6 4.2 4.3 4.2 4.23
실시예7 4.1 4.15 4.15 4.13
실시예8 4.2 4.2 4.25 4.22
실시예9 4.1 4.25 4.15 4.17
구분 기호도 종합
비교예1 3.6 4.15 3.4 3.72
비교예2 3.7 4.15 3.7 3.85
비교예3 3.5 3.7 3.7 3.63
비교예4 3.8 4.2 3.7 3.90
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는 평가자들로부터 맛, 향, 기호도에서 좋은 호응도를 얻었다.
반면에, 위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 숙성 기간이 없는 경우(비교예1)는 맛, 기호도에서 모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숙성 기간이 너무 길면(비교예1, 5일) 맛과 기호도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누카 꿀의 함량을 줄이면(비교예3) 맛, 향, 기호도에서 모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마누카 꿀의 함량을 늘이면(비교예4) 맛과 기호도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 관능검사를 통하여 마누카 꿀에 홍합 농축액을 혼합하여 교반한 뒤 어느 정도의 숙성시간(바람직하게는 2-4일 정도)을 거치는 것이 좋고, 마누카 꿀과 홍삼 농축액의 혼합 비율도 6-9: 4-1 정도가 좋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2 실시예: 홍삼 분말 사용]
<실시예 1>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60g에 상기 홍삼 분말 4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2>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분말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3>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90g에 상기 홍삼 분말 1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4>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60g에 상기 홍삼 분말 4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5>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분말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6>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90g에 상기 홍삼 분말 1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7>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60g에 상기 홍삼 분말 4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4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8>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분말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4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실시예 9>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90g에 상기 홍삼 분말 1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4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비교예 1>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분말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비교예 2>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70g에 상기 홍삼 분말 3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5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비교예 3>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50g에 상기 홍삼 분말 50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비교예 4>
홍삼 분말은 6년근 홍삼을 분쇄하여 입도가 120mesh 이상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고 마누카 꿀은 UMF 15+ 등급을 사용한다.
상기 마누카 꿀 95g에 상기 홍삼 분말 5g을 혼합하여 젓가락을 사용하여 3분 정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2일 숙성시켜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제조한다.
<시험: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9의 홍삼(홍삼 분말)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과, 비교예1 내지 4의 홍삼(홍삼 분말)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을 준비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홍삼(홍삼 농축액)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1 내지 9의 관능검사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고, 비교예1 내지 4의 관능검사 결과는 표 4와 같다.
구분 기호도 종합
실시예1 4.05 4.15 4.05 4.08
실시예2 4.15 4.2 4.2 4.18
실시예3 4.05 4.25 4.1 4.13
실시예4 4.2 4.2 4.15 4.18
실시예5 4.3 4.25 4.3 4.28
실시예6 4.2 4.3 4.15 4.22
실시예7 4.05 4.15 4.1 4.10
실시예8 4.15 4.2 4.2 4.18
실시예9 4.1 4.25 4.1 4.15
구분 기호도 종합
비교예1 3.5 4.15 3.5 3.72
비교예2 3.6 4.15 3.65 3.80
비교예3 3.5 3.7 3.65 3.62
비교예4 3.8 4.2 3.7 3.90
위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는 평가자들로부터 맛, 향, 기호도에서 좋은 호응도를 얻었다.
반면에, 위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 숙성 기간이 없는 경우(비교예1)는 맛, 기호도에서 모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숙성 기간이 너무 길면(비교예1, 5일) 맛과 기호도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누카 꿀의 함량을 줄이면(비교예3) 맛, 향, 기호도에서 모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마누카 꿀의 함량을 늘이면(비교예4) 맛과 기호도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 관능검사를 통하여 마누카 꿀에 홍합 분말을 혼합하여 교반한 뒤 어느 정도의 숙성시간(바람직하게는 2-4일 정도)을 거치는 것이 좋고, 마누카 꿀과 홍삼 분말의 혼합 비율도 6-9: 4-1 정도가 좋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마누카 꿀 70-90중량%, 홍삼 농축액 10-3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1일 이상 4일 이내 상온에서 숙성시켜 밀폐용기에 보관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누카 꿀과 상기 홍삼 농축액을 혼합할 때 절편된 마늘, 절편된 대추, 검은 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
  4. 마누카 꿀 70-90중량%, 홍삼 분말 10-3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한 뒤 겔 상태로 제조한 다음, 1일 이상 4일 이내 상온에서 숙성시켜 밀폐용기에 보관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55882A 2009-10-01 2010-06-14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 KR101230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3867 2009-10-01
KR1020090093867 2009-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487A KR20110036487A (ko) 2011-04-07
KR101230121B1 true KR101230121B1 (ko) 2013-02-05

Family

ID=4404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882A KR101230121B1 (ko) 2009-10-01 2010-06-14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614B1 (ko) * 2017-11-28 2019-07-24 하준영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394A (ko) * 2003-01-11 2004-07-19 손영석 기능성 벌꿀
KR20070034573A (ko) * 2004-06-08 2007-03-28 더 유니버시티 오브 와이카토 특유 마누카 요소 강화 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394A (ko) * 2003-01-11 2004-07-19 손영석 기능성 벌꿀
KR20070034573A (ko) * 2004-06-08 2007-03-28 더 유니버시티 오브 와이카토 특유 마누카 요소 강화 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487A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12813B1 (ko) 홍삼 발효숙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693668B1 (ko)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40074422A (ko) 숫누에번데기를 주원료로 한 환(丸) 제품의 제조방법
KR20160099973A (ko) 새싹 채소와 굼벵이를 혼합·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7136464A (zh) 一种作为火锅蘸料的芝麻酱及制备方法
CN109601797A (zh) 一种玉米浆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92787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0121B1 (ko) 홍삼이 함유된 마누카 꿀잼
CN105767993A (zh) 一种润肺止咳桃果酱
KR101808406B1 (ko)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20110036270A (ko) 마누카꿀에 함침시킨 인삼절편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33717A (ko) 꿀과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521427B1 (ko) 산양산삼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87750A (zh) 一种发酵富硒无花果丹
CN105265974A (zh) 一种杏仁味苦荞饮料及其制备方法
JP7122727B2 (ja) フェルラ酸含有飲料
KR101596418B1 (ko) 장어를 주원료로 한 피로회복 및 면역력 개선용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KR102469870B1 (ko)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abc 주스의 제조 방법
KR101773251B1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738498B1 (ko) 노화억제 유효성분을 함유한 즉석 죽 및 조리방법
KR20040036273A (ko) 한약재와 정제 포도당을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433888B1 (ko) 밤을 주재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7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1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7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