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255B1 -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255B1
KR101229255B1 KR1020100122371A KR20100122371A KR101229255B1 KR 101229255 B1 KR101229255 B1 KR 101229255B1 KR 1020100122371 A KR1020100122371 A KR 1020100122371A KR 20100122371 A KR20100122371 A KR 20100122371A KR 101229255 B1 KR101229255 B1 KR 10122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ours
water
p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185A (ko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102010012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기와 소화기 기능을 보호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관동화, 당귀, 질경, 천문동, 황기, 박하, 지모, 진피, 백출, 황백, 사인, 행인, 패모, 오미자, 맥문동, 상황버섯, 유근피, 신이, 숙지황, 감초, 반하, 생강, 상백피, 복령, 배, 황금 및 울금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한 한방 음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부작용없이 물을 대체하여 마시면서 호흡기와 소화기 기능을 보호하고 개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 composition of Korean medicine beverag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을 예방 또는 처방할 수 있도록 한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거리를 메우고 있는 많은 자동차와 콘크리트 건물 그리고 각종 공장들이 즐비한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은 각종 매연과 유독성 가스, 석면 가루, 중금속 분진, 시멘트 분진, 유리섬유 등의 공기 오염에 의해 호흡기 질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현대인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이 해소, 천식, 기침, 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상기 호흡기 질환에 대해서는 화학적 조제에 의해 만들어진 양약을 복용 또는 주사하거나, 한의사나 민간요법에 의해 제조된 한약을 복용하는 방법으로 보호 및 치료하고 있다.
전자와 같이 양약을 복용하거나 주사하는 방법은 약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이 이런 방법으로 호흡기 질환을 보호 및 치료하고 있다. 후자와 같이 한약을 복용하는 방법은 정상적으로 처방되었을 때 인체에 대한 내성이 없고 부작용이 없어 가장 바람직하나, 복용 방법이 다소 불편하고 어려운 단점이 있어 시분(時分)을 다투는 현대인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다.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처방으로 기존의 양약이나 한약을 이용할 경우 복용이나 주사 방법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에 의해 사용이 위험하고 제한적인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방 음료 조성물은 관동화, 당귀, 질경, 천문동, 황기, 박하, 지모, 진피, 백출, 황백, 사인, 행인, 패모, 오미자, 맥문동, 상황버섯, 유근피, 신이, 숙지황, 감초, 반하, 생강, 상백피, 복령, 배, 황금 및 울금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추출물은 관동화 100 중량부 기준으로 당귀 50~100 중량부, 질경 100~150 중량부, 천문동 25~75 중량부, 황기 25~75 중량부, 박하 25~75 중량부, 지모 25~75 중량부, 진피 75~125 중량부, 백출 25~75 중량부, 황백 25~75 중량부, 사인 50~100 중량부, 행인 25~75 중량부, 패모 50~100 중량부, 오미자 50~100 중량부, 맥문동 25~75 중량부, 상황버섯 9~15 중량부, 유근피 25~75 중량부, 신이 25~75 중량부, 숙지황, 감초 100~150 중량부, 반하 25~75 중량부, 생강 75~125 중량부, 상백피 25~75 중량부, 복령 75~125 중량부, 배 125~175 중량부, 황금 50~100 중량부 및 울금 25~75 중량부가 함유된다.
본 발명의 한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관동화, 당귀, 질경, 천문동, 황기, 박하, 지모, 진피, 백출, 황백, 사인, 행인, 패모, 오미자, 맥문동, 상황버섯, 유근피, 신이, 숙지황, 감초, 반하, 생강, 상백피, 복령, 배, 황금 및 울금을 포함하는 약재를 5 시간 이상 물에 담가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약재를 탕압기에 넣고 5 시간 이상 달이되, 2시간 경과 후 10~20분 동안 탕압기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인을 거피하는 단계; 상기 패모와 반하를 15~25 ℃의 생강 물에 1~3시간 담근 후 꺼내서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모와 황백을 소금물에 1~2 시간 담근 후 꺼내서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물을 대체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용이 편리해지고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호흡기 질환을 예방 또는 처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한방 음료 조성물은 관동화, 당귀, 질경, 천문동, 황기, 박하, 지모, 진피, 백출, 황백, 사인, 행인, 패모, 오미자, 맥문동, 상황버섯, 유근피, 신이, 숙지황, 감초, 반하, 생강, 상백피, 복령, 배, 황금 및 울금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사인과 배, 상황버섯을 제외하고는 한의학에서 보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인과 배, 상황버섯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각 추출물의 효능은 의서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숙지황, 당귀, 복령, 황기 등은 자양과 간장의 보혈 및 기력 회복에 도움을 준다. 백출, 맥문동, 진피, 울금, 사인 등은 위장을 도와서 소화기능을 원활하게 해준다. 행인, 패모, 반하, 상백피, 생강, 배, 신이, 오미자, 황금, 유근피 등은 거담에 좋고, 기침 가래, 지형, 비염 등에 약효가 있으며, 갈증을 멈추게 한다. 상황버섯은 강력한 항암제로 작용한다. 감초는 약의 독성을 없애고 다른 약과 조화를 이루는데 도움을 준다.
관동화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관동(Tussilago farfara Linne)의 꽃으로서, 맛은 맵고 성질은 온(溫)하며 한방에서는 윤폐(潤肺) 작용이 있어서 진해, 거담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폐허(肺虛)로 인해 기침이 나고 가래에 피가 섞일 때 및 폐결핵, 폐농양에 유효한 것(潤肺下氣)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외감성으로 인한 해수, 천식, 상기도감염증에 널리 응용되며, 울체된 기를 풀어 균일한 피부로 가꾸어준다.
질경이, 청문동은 이뇨제, 진해, 거담, 건위, 지사(止瀉), 해열, 소염, 강장제 등으로 쓰이고, 담을 삭이는 역할을 한다.
박하는 발한·해열·진통·건위·해독제로서, 감기 초기, 두통, 인후통, 피부병 등의 치료에 쓰이며, 박하의 주성분인 멘톨은 국소마비·살균·방부작용 역할을 한다.
또한, 황백은 진정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정신불안증의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는 약제이며, 열을 내리고 습한 것을 조하게 하며 화(火)를 사하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상기 추출물은 관동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볼 때, 당귀 50~100 중량부, 질경 100~150 중량부, 천문동 25~75 중량부, 황기 25~75 중량부, 박하 25~75 중량부, 지모 25~75 중량부, 진피 75~125 중량부, 백출 25~75 중량부, 황백 25~75 중량부, 사인 50~100 중량부, 행인 25~75 중량부, 패모 50~100 중량부, 오미자 50~100 중량부, 맥문동 25~75 중량부, 상황버섯 9~15 중량부, 유근피 25~75 중량부, 신이 25~75 중량부, 숙지황, 감초 100~150 중량부, 반하 25~75 중량부, 생강 75~125 중량부, 상백피 25~75 중량부, 복령 75~125 중량부, 배 125~175 중량부, 황금 50~100 중량부 및 울금 25~75 중량부가 함유되도록 한다.
추출물을 얻기 위한 각 약재는 모두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이나, 이들의 함량을 어떻게 조절하느냐 하는 것과 앞서 설명된 사인과 배, 상황버섯을 상기 약재들과 함께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약재들의 함량이 미세하게 가감될 수는 있으나, 상기 제시된 함량을 준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재료에 있어서 특히 배와 상황버섯은 한의학 전문가들도 보통으로 사용하지 않는 약재에 해당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안출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배, 상황버섯과 함께 사인도 본 발명의 안출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한방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동화, 당귀, 질경, 천문동, 황기, 박하, 지모, 진피, 백출, 황백, 사인, 행인, 패모, 오미자, 맥문동, 상황버섯, 유근피, 신이, 숙지황, 감초, 반하, 생강, 상백피, 복령, 배, 황금 및 울금을 포함하는 약재를 5 시간 이상 물에 담가 숙성시킨다.
숙성된 약재를 탕압기에 넣고 5 시간 이상 달이되, 2시간 경과 후 10~20분 동안 탕압기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시킨다. 탕압기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약 끓일 때 발생하는 독성을 제거할 수 있다. 즉, 탕압기 내부의 수증기를 제거함으로써, 수증기 내에 함유된 독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약재들을 5 시간 이상 숙성시킨 후, 5 시간 이상 달임으로써, 각 약재들의 효능이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약재들을 탕압기에 넣고 달일 때에는 예를 들어 정수된 물 1.5말 내지 2말을 동시에 넣는다. 여기서 정수된 물 대신에 암반수를 사용하거나, 불순물이 제거된 깨끗한 물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달여진 약재를 일정한 압력으로 짜서 얻어진 추출물을 용기에 담아 복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을 이용한 한방 음료는 밀폐 용기에 담아서 상온에 몇 달 동안 두어도 맛이 변하거나 효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으며 따뜻하게 데워서 마셔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약재를 물에 담가 숙성시키는 단계에서 행인은 거피한 상태로 담가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모와 반하는 15~25 ℃의 생강 물에 1~3시간 담근 후 꺼내서 자연 건조시키며, 지모와 황백은 소금물에 1~2 시간 담근 후 꺼내서 자연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친 상태에서 물에 담가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독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이나 직장에서 또는 자동차 안에서 물을 대신하여 마심으로써, 호흡기 질환을 예방 또는 처방할 수 있는 한방 음료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체질과 나이,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한방 음료를 실험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0세 이하 어린이 남녀 군, 20세 이하의 청년 남녀군, 30세 이하의 장년 남녀군, 40세 이하의 장년 남녀군, 50세 이하의 장년 남녀군, 60세 이하의 장년 남녀군, 70세 이하의 노인 남녀군을 선별하되 적어도 감기 및 기침, 해소, 천식으로 1년 중 병원을 이용한 횟수가 5회 내지 10회 정도인 사람들을 선택하였다. 이들에게 지난 1년 동안 본 발명의 음료를 500밀리리터 용량 패트 병에 담아 물 대신에 지속적으로 복용시킨 결과 약 80%의 환자들이 병원을 가지 않고도 기침과 감기, 해소, 천식의 고통으로부터 이겨나간다는 중요한 결과를 얻었으며, 나머지 20%의 환자들은 증세가 중한 사람들로서 약 50% 정도 증세가 호전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발생한 각종 유독한 성분들을 체외로 원활하게 배출시킴과 아울러 호흡기 부분을 건강하게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관동화, 당귀, 질경, 천문동, 황기, 박하, 지모, 진피, 백출, 황백, 사인, 행인, 패모, 오미자, 맥문동, 상황버섯, 유근피, 신이, 숙지황, 감초, 반하, 생강, 상백피, 복령, 배, 황금 및 울금을 포함하는 약재를 5 시간 물에 담가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약재를 탕압기에 넣고 5 시간 달이되, 2시간 경과 후 10~20분 동안 탕압기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를 물에 담가 숙성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행인은 거피하고, 상기 패모와 반하는 15~25 ℃의 생강 물에 1~3시간 담근 후 꺼내서 자연 건조시키며, 상기 지모와 황백은 소금물에 1~2 시간 담근 후 꺼내서 자연 건조시켜 물에 담가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00122371A 2010-12-03 2010-12-03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22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371A KR101229255B1 (ko) 2010-12-03 2010-12-03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371A KR101229255B1 (ko) 2010-12-03 2010-12-03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85A KR20120061185A (ko) 2012-06-13
KR101229255B1 true KR101229255B1 (ko) 2013-02-04

Family

ID=4661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371A Active KR101229255B1 (ko) 2010-12-03 2010-12-03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8011A (zh) * 2014-07-04 2014-12-10 子洲县天赐中药材有限责任公司 一种黄芪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30073470A (ko) * 2021-11-19 2023-05-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숙성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76B1 (ko) * 2012-12-26 2014-06-02 박윤걸 배, 겨우살이, 헛개나무, 단삼, 뽕나무, 작약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20180054185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프라임오라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262B1 (ko) 2002-05-08 2005-01-13 노환진 한약재를 주재료로 한 발효음료
KR20060013975A (ko) * 2004-08-09 2006-02-14 이태후 홍삼 및 한약재를 함유하는 한방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한방음료
KR20070064211A (ko) * 2005-12-15 2007-06-20 조명호 호흡기 질환 예방 음료의 제조방법
KR101058422B1 (ko) 2003-11-06 2011-08-24 고한길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262B1 (ko) 2002-05-08 2005-01-13 노환진 한약재를 주재료로 한 발효음료
KR101058422B1 (ko) 2003-11-06 2011-08-24 고한길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13975A (ko) * 2004-08-09 2006-02-14 이태후 홍삼 및 한약재를 함유하는 한방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한방음료
KR20070064211A (ko) * 2005-12-15 2007-06-20 조명호 호흡기 질환 예방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8011A (zh) * 2014-07-04 2014-12-10 子洲县天赐中药材有限责任公司 一种黄芪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30073470A (ko) * 2021-11-19 2023-05-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숙성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
KR102740519B1 (ko) * 2021-11-19 2024-12-12 대한민국 숙성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85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1585B (zh) 一种具有清咽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802579A (zh) 一种具有多种传统功能的中药锦囊
CN102177998B (zh) 一种清咽利喉保健茶
CN1857325A (zh) 一种戒烟保健吸品及其制作方法
US20060269567A1 (en) Universal detoxifying composition
KR101229255B1 (ko)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64211A (ko) 호흡기 질환 예방 음료의 제조방법
CN105343268A (zh) 一种含中药的口腔护理漱口水
CN101810781B (zh) 一种用于治疗口腔溃疡的口喷剂的制备方法
CN104840734B (zh) 清咽保健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920295A (zh) 一种具有润喉利咽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383350A (zh) 一种中药复方漱口泡腾片及其制备方法
CN103610061B (zh) 一种吸烟者使用保健品
KR20130116500A (ko) 비염 및 축농증 개선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조성물 세트
CN110522823A (zh) 一种纯天然黑茶含片的制备方法
CN104474310A (zh) 一种治疗咳嗽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CN102205048A (zh) 一种具有清咽功能的药物组合物
CN104288677B (zh) 一种治疗抑郁症的瑶药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935118A (zh) 一种治疗痔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105011B1 (ko) 한약재를 이용한 방향제
CN107320531A (zh) 一种感冒内病外治的中药活性组分及其生产方法
CN118416024A (zh) 一种防治口腔溃疡的中药口香糖及其制备方法
CN103990100B (zh) 一种治疗偏头痛的中药组合物
CN104547578B (zh) 一种清肺止咳的中药组合物
CN104383063A (zh) 治疗口腔溃疡的中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