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281B1 -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281B1
KR101225281B1 KR1020110073091A KR20110073091A KR101225281B1 KR 101225281 B1 KR101225281 B1 KR 101225281B1 KR 1020110073091 A KR1020110073091 A KR 1020110073091A KR 20110073091 A KR20110073091 A KR 20110073091A KR 101225281 B1 KR101225281 B1 KR 101225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pressing
head
pressure
h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569A (ko
Inventor
마사유키 기타지마
히데히코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JP-P-2010-171272 external-priority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25Pressure sensitive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5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2Preventing air-incl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5Progressively making the joint, e.g. starting from the mi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5Progressively making the joint, e.g. starting from the middle
    • B29C66/3452Making complete joints by combining parti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6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742 - B29C66/744
    • B29C66/7465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2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convex or concave
    • B29C66/81422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convex or concave being conv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6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63Self-aligning to the joining plane, e.g. mounted on a ball and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2Transmission mechanisms
    • B29C66/8226Cam mechanisms; Wedges; Eccentric mechanisms
    • B29C66/82263Follower pin or roller cooperating with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HELECTRICITY
    • H01BASIC 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4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 B29C66/5346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4Joining or pressing tools pivoting around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2/00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 헤드를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압접시킬 때, 접착 불량 또는 기포의 잔류를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압접시킬 때에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는,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배치한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 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가압면으로 하여,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압접시키는 가압 헤드와, 상기 가압 헤드에 접속된 가압 로드를 통해 상기 가압 헤드를 피착체 및 점착 테이프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 헤드는, 상기 가압 헤드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가압 로드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DISPLAY BOND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被着體)에 압접(壓接)시키는 가압 헤드를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 전화 기기 등의 소형의 부품끼리의 접착에 양면 점착 테이프가 이용되고 있다. 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인 부품에 부착할 때, 피착체의 부착면에의 확실한 접촉을 위해서 점착 테이프에 균일한 하중을 부여하고, 또한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 사이에 들어가기 쉬운 기포를 빼내기 위해서,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한편, 제품의 양산 공정에서의 부착 작업의 스피드업을 도모하기 위해서, 또한 소형의 부품에의 정밀도가 높은 부착을 실현하기 위해서, 한편으로는 부착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부품에의 점착 테이프의 부착의 곤란함 등의 이유로부터, 롤러를 이용하는 방식을 대신하여, 가압 헤드 방식이 이용된다. 가압 헤드 방식은, 부품의 부착면의 형상에 맞춘 형상을 갖는 가압 헤드를, 점착 테이프와 부품의 부착면에 압접시켜 가압하는 방식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 기기 등의 하우징(100)에 유리판(102)을, 양면 점착 테이프(104)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경우, 먼저 하우징(100)의 부착면에 점착 테이프(104)의 점착면을 압접시키고, 가압 헤드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하우징(100)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한다. 이 후, 점착 테이프(104)의 표면으로부터 이형지를 박리하여 유리판(102)과 하우징(100)에 부착된 점착 테이프(104)를, 가압 헤드를 이용해서 가압하여 부착한다.
가압 헤드 방식 및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식의 예는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06-486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2270호 공보
그러나, 상기 가압 헤드를 이용하는 부착 방식에서는, 도 11의 (a)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에 접착 불량(106)이나 기포의 잔류(108)가 발생하여, 점착 테이프의 접착 강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큰 면적을 갖는 액정 패널 등의 부품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 접착 불량(106)이나 기포의 잔류(108)가 발생하기 쉽다. 이 방식에서는, 접착 불량(106)이나 기포의 잔류(108)에 의한 부착 불량의 발생률이 0.2% 정도이다.
접착 불량(106)이란, 도 11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가 접촉하지 않고, 가압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아 점착 상태가 아닌 영역이 일정한 범위에서 형성되는 현상을 말한다. 기포의 잔류(108)는, 도 11의 (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 사이에 복수의 기포가 갇히는 현상을 말한다.
종래의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식은, 피착체의 부착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 상기 접착 불량(106) 또는 기포의 잔류(108)를 발생시키기 쉽기 때문에, 평활한 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만 유효하다. 또한, 이 방식으로는, 양산 공정에서의 작업 시간이 걸려, 소형의 부품의 부착을 대상으로 하는 것도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가압 헤드를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압접시킬 때, 접착 불량 또는 기포의 잔류 등에 의한 접착력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운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로서,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배치면에 배치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 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가압면으로 하고, 상기 가압면을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압접시키는 가압 헤드와,
상기 가압 헤드에 의한 가압을 위해서, 상기 가압 헤드에 접속된 가압 로드를 통해 상기 가압 헤드를 피착체 및 점착 테이프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헤드는, 상기 가압 헤드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가압 로드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로서,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배치면에 배치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 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가압면으로 하고, 상기 가압면을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압접시키는 복수의 가압 헤드와,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의한 가압을 위해서,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접속된 가압 로드를 통해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을 피착체 및 점착 테이프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은,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가압 로드 각각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는,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의 가압 위치가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이동하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는,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배치면에 배치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 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가압면으로 하고, 상기 가압면을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압접시키는 복수의 가압 헤드와,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의한 가압을 위해서,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접속된 가압 로드를 통해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을 피착체 및 점착 테이프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은,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가압 로드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고,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할 때,
점착 테이프의 제1 영역을,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 중의 제1 가압 헤드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분과 겹쳐지는 제2 영역을,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 중의 제2 가압 헤드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형태의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에 따르면, 접착 불량 또는 기포의 잔류를 억제할 수 있어, 접착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부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이용하는 가압 헤드 및 그 주위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실시형태에 이용하는 가압 헤드의 가압면의 경사 각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 (b)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 (b)는 변형예 1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 (b)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 (b)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변형예 4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하우징에 유리판을 부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내지 (d)는 종래의 부착 방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의 (a)는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이하, 부착 장치라고 함)(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부착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부착 장치(10)는, 피착체인 휴대 전화 기기의 수지제의 하우징(12)에 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을 부착할 때에, 양면 점착 테이프(이후, 점착 테이프라고 함)(14)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작업을 행한다.
부착 장치(10)는, 장치 본체부(16)와 구동 유닛(18)을 갖는다.
장치 본체부(16)는, 스테이지(19)와,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와, 가압 헤드(22)를 갖는다.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에는, 가압 게이지(24), 가압 로드(26) 및 가압 로드 접속부(28)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 헤드(22)에는, 가압 헤드 접속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지(19)는, 기대(基臺; 32)에 부착되고, 점착 테이프(14)를 실은 하우징(12)을 배치 고정하는 배치면을 갖는다.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는, 기대(32)에 부착되어 있다.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는, 구동 유닛(18)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을 통해, 가압 로드(26)를 하우징(12) 및 점착 테이프(14)를 향해 이동시킨다. 가압 로드(26)의 하단에는 가압 헤드(22)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로드(26)의 하강에 의해 가압 헤드(22)를 점착 테이프(14)의 상방으로부터 가압할 수 있다.
가압 게이지(24)는, 가압 헤드(22)에 의한 가압 정보를 계측하는 센서이며, 예컨대 가압 로드(26)에 로드셀이 마련되어 가압 정보를 계측한다. 이 계측 결과는, 구동 유닛(18)에 보내져, 가압 헤드(22)의 가압의 피드백 제어에 이용된다. 로드셀을 대신하여, 가압 로드(22)의 변형을 계측하는 변형 게이지(strain gauge)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는, 로드셀을 대신하여 가압 로드(22)에 가압 스프링을 마련하고, 이 가압 스프링의 수축량을 계측해도 된다.
구동 유닛(18)은, 가압 로드(26)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며, 예컨대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도 2는 가압 헤드(22) 및 그 주위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가압 헤드(22)는, 스테이지(19)의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압면으로 하고, 이 가압면을 이용하여 하우징(12)과 점착 테이프(14)를 압접시키는 부재이며, SUS 또는 SPCC(JIS G3141) 등을 이용한 금속제 부재이다. 가압 로드(26)는, 하우징(12)과 점착 테이프(14)를 향해 하강 또는 상승한다. 하강 및 상승의 이동은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가압 로드(26)가 가압 헤드(22)와 접속하는 가압 로드 접속부(28)에는, 가압 로드(26)를 향해 구(球)형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가압 헤드(22)가 가압 로드(26)와 접속하는 가압 헤드 접속부(30)에는, 가압 로드(26)의 오목부와 요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형의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헤드(22)의 방향은 스테이지(19)의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가압 헤드(22)와 가압 로드(26)는 볼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 헤드(22)의 가압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이며, 가압 헤드(22)의 방향이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면의 경사 각도는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헤드(22)가 하강하여 점착 테이프(14)와 접촉을 개시하면, 가압면의 경사 각도는 감소하여, 가압면이 점착 테이프(14)와 완전히 면 접촉했을 때, 가압면은 스테이지(19)의 배치면에 대하여 경사 각도는 0이 된다(평행해진다).
이와 같이, 가압 헤드(22)의 가압면은, 도면 중의 좌단으로부터 접촉을 개시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14)와 하우징(12) 사이에 있는 기포는 도면 중의 X방향으로 밀리고, 최종적으로 도 3의 (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기포는 가압 헤드(22)의 가압면의 우측으로부터 밖으로 압출된다.
또한, 가압 헤드(22)의 가압면의 경사 각도는, 가압 헤드(22)의 방향이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2)의 미소한 요철이, X방향을 따라 존재하는 경우, 또는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3의 (a) 내지 (c) 중의 지면 수직 방향]을 따라 요철이 있는 경우라도, 이 요철에 추종하여 가압면의 방향을 전후좌우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접착 불량(106)[도 11의 (a), (b) 참조]은 발생하기 어렵다. 접착 불량(106)이나 기포의 잔류(108)에 의한 부착 불량의 발생률은, 예컨대 0.02% 정도가 된다.
또한, 도 2,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헤드(22)가 점착 테이프(14)와 최초로 접촉하는 좌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이것은, 가압 헤드(22)의 최초로 접촉하는 부분이 점착 테이프(14)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로드 접속부(28)에는 구형의 오목부가, 가압 헤드 접속부(30)에는 구형의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으나, 가압 로드 접속부(28)에는 구형의 볼록부가, 가압 헤드 접속부(30)에는 구형의 오목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헤드 접속부(30)는, 가압 로드 접속부(28)에 대하여, 요철의 조합에 의해, 스테이지(19)의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으나, 가압 로드 접속부(28)와 가압 헤드 접속부(30)와의 접속 형태는 요철의 조합에 의한 접속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압 헤드(22)의 가압면에는, 예컨대 두께가 10 ㎜ 이하인 미끄럼 방지용의 수지 시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지 시트에 의해, 가압 헤드(22)의 표면이 점착 테이프(14)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 불량이나 기포의 잔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수지 시트로서, 예컨대 천연 고무 시트, 우레탄 고무 시트, 실리콘 고무 시트 등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1)
도 4의 (a), (b)는 상기 실시형태의 가압 헤드(22)의 변형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변형예 1의 가압 헤드(22)는, 도 2에 도시하는 가압 헤드(22)와 달리, 가압 헤드(22) 상에서 배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밸런서(22a)를 구비한다. 가압 헤드(22)의 가압면과 반대측의 면 상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마련되고, 이 홈 상에서 밸런서(22a)가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변형예 1에서 이용되는 부착 장치(10)는, 가압 헤드(22) 이외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밸런서(22a)는, Y방향으로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밸런서(22a)를 마련함으로써, 가압 헤드(22)의 가압면의 스테이지(19)의 배치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소정의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가압면의 경사 각도는,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14)의 두께나 하우징(12)의 경도 등의 사용 조건에 따라 조정된다. 이와 같이 사용 조건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것은, 접착 불량(106)이나 기포의 잔류(108)가 발생하기 어려운 경사 각도가,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14)의 두께나 하우징(12)의 경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런서(22a)를 좌단에 배치함으로써, 경사 각도를 높여, 예컨대 10도∼15도 정도로 할 수 있다. 밸런서(22a)를 중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경사 각도를 낮게 하여, 예컨대 5도 정도로 할 수 있다.
변형예 1에서는, 밸런서(22a)는 Y방향으로 한 쌍 마련되지만, 하나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밸런서(22a)는, 홈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밸런서(22a)의 배치 위치의 이동 및 그 배치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 2)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의 가압 헤드(22)의 변형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변형예 2에서 이용되는 부착 장치(10)는, 가압 헤드(22) 이외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실시형태의 가압 헤드(22)는, 평판이 일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가압면이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압면으로서 갖지만, 변형예 2의 가압 헤드(2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22b)을 갖는다. 또한, 가압 헤드(22)의 방향은, 스테이지(19)의 배치면, 나아가서는 가압 로드(26)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가압 헤드(22)가 점착 테이프(14)에 접촉하도록 하강할 때, 점착 테이프(14)의 가압 위치가 가압 헤드(22)의 하강에 따라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도 3의 (a) 내지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포가 X방향을 향해 압출된다. 또한, 가압 헤드(22)의 방향이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2)의 미소한 요철이, X방향을 따라 존재하는 경우, 또는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요철이 있는 경우라도, 요철에 추종하여 가압면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접착 불량(106)[도 11의 (a), (b) 참조]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만곡면(22b)은, 도 6 중의 지면 수직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도 만곡되어도 된다. 이 경우, 하우징(12)의 미소한 요철이,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경우, 요철에 추종하여 가압면이 보다 점착 테이프(14)에 대하여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도 6 중의 가압면의 좌단(22c)은, 곡률을 가지고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다. 이것은, 가압 헤드(22)의 단부가 점착 테이프(14)에 최초로 접촉할 때, 점착 테이프(14)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변형예 3)
도 7의 (a), (b)는 상기 실시형태의 가압 헤드(22) 및 가압 로드(26)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변형예 3에서 이용되는 부착 장치(10)는, 변형예 3의 가압 헤드 및 가압 로드의 후술하는 부분만이 다르고,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변형예 3의 가압 로드(26)의 가압 로드 접합부(28) 및 가압 헤드(22)의 가압 헤드 접합부(30)는, 도 2에 도시하는 가압 헤드(22) 및 가압 로드(26)와 달리, 원뿔 형상의 볼록부 및 원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압 로드(26)가 가압 헤드(22)와 접속하는 가압 로드 접속부(28)에는, 가압 헤드(22)를 향해 원뿔 형상의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가압 헤드(22)가 가압 로드(26)와 접속하는 가압 헤드 접속부(30)에는, 가압 헤드(22)에 의한 점착 테이프(14)의 가압시, 가압 로드(26)의 볼록부와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뿔 형상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헤드(22)의 방향은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가압 헤드(22)는, 도 6에 도시하는 변형예 2의 가압 헤드이지만, 도 2나 도 4의 (a) 내지 (c), 도 5의 (a), (b)에 도시하는 가압 헤드(22)여도 된다.
변형예 3에서는, 가압 헤드(22)로부터 연장되어 가압 로드 접속부(28) 및 가압 헤드 접속부(30)의 주위를 덮도록 결합 유지체(31)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 로드(26)는, 결합 유지체(31)에 마련된, 가압 로드 접속부(28)의 원뿔 형상의 최대 직경보다 개구의 직경이 작은 개구부를 관통하여 결합 유지체(31)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 있다. 가압 로드(26)의 직경은 결합 유지체(31)의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다. 즉, 가압 로드(26)는, 결합 유지체(31)의 개구부에 대하여 여유를 가지고 관통하며, 가압 로드 접속부(28)는, 결합 유지체(3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가압 로드(26)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가압을 행할 때, 가압 헤드(22)의 원뿔 형상의 오목부와 접촉하여, 가압 헤드(22)에 압력을 전달한다.
이때, 가압 헤드 접합부(30)의 오목부의 원뿔 형상의 퍼짐 각도는, 가압 로드 접합부(28)의 볼록부의 원뿔 형상의 퍼짐 각도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가압 헤드(22)는 일정한 범위에서 가동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 변형예 1, 2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변형예 3에서는, 가압 로드 접속부(28)에는 원뿔 형상의 볼록부가, 가압 헤드 접속부(30)에는 원뿔 형상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나, 가압 로드 접속부(28)에는 원뿔 형상의 오목부가, 가압 헤드 접속부(30)에는 원뿔 형상의 볼록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원뿔 형상을 대신하여, 원뿔대 형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가압 로드 접합부(28)의 오목부의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의 퍼짐 각도는, 가압 헤드 접합부(30)의 볼록부의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의 퍼짐 각도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다.
(변형예 4)
도 8의 (a), (b)는 변형예 4의 가압 헤드(2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변형예 4에서는, 복수의 가압 헤드(22)가 부착 장치(10)에 마련되어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하는 가압 헤드(2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로드 접합부(28)와 가압 헤드 접합부(30)가 구형의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가지며, 도 8의 (b)에 도시하는 가압 헤드(22)는, 도 7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로드 접합부(28)와 가압 헤드 접합부(30)가 원뿔 형상의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갖는다. 따라서, 가압 헤드(22) 각각은, 가압 헤드(22)의 방향이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하는 변형예 4에서도, 도 7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유지체(31)를 갖지만,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가압 헤드(22)의 오목부는, 가압 로드(26)의 볼록부의 퍼짐 각도보다 넓은 퍼짐 각도를 갖는 오목 형상의 원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오목부, 볼록부의 형상은, 원뿔 형상 대신에 원뿔대 형상이어도 된다.
변형예 4에서는, 도 4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헤드(22) 각각에는, 가압 헤드(22) 상에서 배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밸런서를 구비하고, 밸런서의 배치 위치에 의해, 가압 헤드(22)의 가압면의 경사 각도를 조정해도 된다.
또한, 가압 헤드(22) 각각의 가압면에는, 수지제 시트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4에서도, 부착 장치(10)는, 구동 유닛(18)과, 스테이지(19)와, 복수의 가압 헤드(22)와,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를 갖는다.
구동 유닛(18)은,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의 가압 로드(26)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며, 예컨대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스테이지(19)의 배치면에는, 점착 테이프(14)가 놓인 하우징(12)이 배치되어 고정된다.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는, 가압 헤드(22) 각각에 의한 가압을 위해서, 가압 헤드(22) 각각에 접속된 가압 로드(26)를 통해 가압 헤드(22) 각각을 하우징(12) 및 점착 테이프(14)를 향해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복수의 가압 헤드(22)는, 점착 테이프(14)와 하우징(12)을 놓은 스테이지(19)의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 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가압면으로 하여 점착 테이프(14)와 하우징(12)을 압접시킨다.
복수의 가압 헤드(22)는, 점착 테이프(14)와 하우징(12)의 가압 위치가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이동하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가압 헤드(22)는, 하우징(12)에 점착 테이프(14)를 부착할 때, 이하의 흐름으로 행해진다.
먼저, 점착 테이프(14)의 제1 영역을, 제1 가압 헤드(22a)를 이용하여 가압한다. 다음으로, 제1 영역의 일부분과 겹쳐지는 제2 영역을, 제2 가압 헤드(22b)를 이용하여 가압한다. 이렇게 하여, 가압 영역의 일부분이 다음 가압 영역에 겹쳐지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하우징(12)과 점착 테이프(14) 사이에 있는 기포를 서서히 한쪽으로 밀어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하우징(12)과 점착 테이프(14) 사이의 기포를 외기로 압출한다. 또한, 가압 영역의 이동도, 가압 헤드의 가압면의 경사 방향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12)과 점착 테이프(14) 사이의 기포를 일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압출할 수 있다.
또한, 가압 헤드(22) 중 하나를 사용하여 앞서 가압된 영역의 일부분과 겹쳐지는 영역을, 다른 가압 헤드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일방향으로 긴 부착면이라도, 기포의 잔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매우 단시간에 부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헤드(22)의 동작은,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에 의해 행해지지만, 가압 헤드 이동 기구(20)는, 예컨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압 헤드(22)가 마련된 가압 헤드 레일(40)을 이용한 역학적 기구에 의해 가압 헤드(22)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가압 헤드 레일(4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복수의 가압 헤드(22)가 일정한 속도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부 가압 로드(26a) 및 상부 가압 로드(26a)의 구동 부분도 도 9 중의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 헤드(22) 중 하나가, 구동 유닛(18)과 접속되어 있는 상부 가압 로드(26a)의 위치에 오면, 상부 가압 로드(26a)가 하강하여, 하부 가압 로드(26b)를 누른다. 이에 따라, 가압 헤드(22)는, 점착 테이프(14)를 하우징(12)을 향해 압접시킨다.
이와 같이, 변형예 4에서는, 복수의 가압 헤드(22)가 마련된 가압 헤드 레일(40) 상의 복수의 가압 헤드(22)를 이용하여 소정의 가압 위치에서 압접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主旨)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개량이나 변경을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10: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12, 100: 하우징
14, 104: 점착 테이프
16: 장치 본체부
18: 구동 유닛
19: 스테이지
20: 가압 헤드 이동 기구
22, 22a, 22b, 22c: 가압 헤드
24: 가압 게이지
26: 가압 로드
28: 가압 로드 접속부
30: 가압 헤드 접속부
32: 기대
40: 가압 헤드 레일
102: 유리판
106: 접착 불량
108: 기포의 잔류

Claims (10)

  1.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로서,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배치면에 배치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 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가압면으로 하고, 상기 가압면을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압접(壓接)시키는 가압 헤드와,
    상기 가압 헤드에 의한 가압을 위해서, 상기 가압 헤드에 접속된 가압 로드를 통해 상기 가압 헤드를 피착체 및 점착 테이프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헤드는, 상기 가압 헤드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가압 로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로드에는, 상기 가압 헤드에 대하여 돌출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 헤드에는, 상기 가압 로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결합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가압 헤드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헤드 또는 상기 가압 로드의 상기 볼록부는,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압 로드 또는 상기 가압 헤드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압 헤드 또는 상기 가압 로드의 상기 볼록부의 퍼짐 각도보다 큰 퍼짐 각도를 갖는 오목 형상의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헤드에는, 상기 가압 헤드 상에서 배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밸런서가 마련되고, 상기 밸런서의 배치 위치에 의해, 상기 배치면에 대한 상기 가압 헤드의 가압면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헤드의 가압면에는, 수지제 시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6.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로서,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배치면에 배치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 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가압면으로 하고, 상기 가압면을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압접시키는 복수의 가압 헤드와,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의한 가압을 위해서,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접속된 가압 로드를 통해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을 피착체 및 점착 테이프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은,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가압 로드의 각각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는,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의 가압 위치가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이동하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로드에는,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대하여 돌출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는, 상기 가압 로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결합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가압 헤드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에 의한 가압 위치가 일부분에서 겹쳐지도록,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에 의한 가압 위치의 이동 방향은, 상기 테이퍼면 또는 상기 만곡면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10.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는,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배치면에 배치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 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가압면으로 하고, 상기 가압면을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를 압접시키는 복수의 가압 헤드와,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의한 가압을 위해서, 상기 가압 헤드 각각에 접속된 가압 로드를 통해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을 피착체 및 점착 테이프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은, 상기 가압 헤드 각각의 방향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변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가압 로드의 각각에 접속되는 것이고,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할 때,
    점착 테이프의 제1 영역을,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 중의 제1 가압 헤드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분과 겹쳐지는 제2 영역을, 상기 복수의 가압 헤드 중의 제2 가압 헤드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KR1020110073091A 2010-07-30 2011-07-22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KR101225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1272 2010-07-30
JP2010171272A JP2012030922A (ja) 2010-07-30 2010-07-30 粘着テープ貼付装置および粘着テープ貼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569A KR20120022569A (ko) 2012-03-12
KR101225281B1 true KR101225281B1 (ko) 2013-01-22

Family

ID=4552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091A KR101225281B1 (ko) 2010-07-30 2011-07-22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24475A1 (ko)
JP (1) JP2012030922A (ko)
KR (1) KR101225281B1 (ko)
CN (1) CN1024171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539B2 (ja) 2012-02-15 2015-10-07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車載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1299631B1 (ko) * 2012-03-29 2013-08-23 엔티이엔지 주식회사 테이프 부착장치
CN102729576B (zh) * 2012-06-15 2014-10-15 宿迁亿泰自动化工程有限公司 柔性电路板的假压系统
JP5886700B2 (ja) * 2012-07-09 2016-03-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伝熱シート貼付装置及び伝熱シート貼付方法
KR102031684B1 (ko) * 2012-12-28 2019-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패널의 제조장비와 곡면형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US9757971B2 (en) * 2013-12-20 2017-09-12 Canon Finetech Nisca Inc. Plural bonding units with shifted timing
DE202014100643U1 (de) 2014-02-13 2014-05-20 Alps Electric Co., Ltd. Kfz-Lenkstockschalter
EP2910477B1 (en) * 2014-02-21 2018-03-28 Celanese Acetate LLC Methods for packaging fibrous materials
US10350634B2 (en) * 2015-07-31 2019-07-16 Apple Inc. Method for smoothing substrate surface
CN108584516B (zh) * 2018-03-21 2020-04-07 安徽芜湖新华印务有限责任公司 一种纸张压平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640A (ja) * 1990-06-19 1994-02-22 Shinwa Denshi Kk 粘着テープ切断装置
JP2004042270A (ja) * 2002-07-08 2004-02-12 Aiki Kogyo Kk 段ボール紙へ粘着テープを貼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255A (en) * 1984-10-09 1985-10-15 Modern Globe, Inc. Press construction
US5733410A (en) * 1996-06-03 1998-03-31 Motorola, Inc. Labeling apparatus for applying labels with a rolling motion
JPWO2002056352A1 (ja) * 2001-01-15 2004-05-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CN1861392B (zh) * 2005-05-10 2011-09-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贴片机
CN101426648A (zh) * 2006-12-30 2009-05-06 Mogem有限公司 显示器窗口部件及其制造方法、使用该部件的无线终端
US8123894B2 (en) * 2008-05-07 2012-02-28 Apple Inc. 3-dimensional curved substrate lamination
JP5216472B2 (ja) * 2008-08-12 2013-06-19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の保護テープ貼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640A (ja) * 1990-06-19 1994-02-22 Shinwa Denshi Kk 粘着テープ切断装置
JP2004042270A (ja) * 2002-07-08 2004-02-12 Aiki Kogyo Kk 段ボール紙へ粘着テープを貼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30922A (ja) 2012-02-16
KR20120022569A (ko) 2012-03-12
US20120024475A1 (en) 2012-02-02
CN102417123A (zh)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281B1 (ko)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US10453710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825513B1 (ko) 곡면형 기판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KR101668081B1 (ko) 곡면형 윈도우 글래스에 플렉시블 소재 합착장치
KR101899936B1 (ko) 곡면형 합착장치
KR101861629B1 (ko)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TWI701476B (zh) 貼附裝置
KR101801559B1 (ko) 곡면패널 부착장치
WO2012160844A1 (ja) 荷重検出装置及び前記荷重検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ならびに荷重検出装置の製造方法
CN104641326A (zh) 提供触觉响应控制的弹性剪切材料
JP5622741B2 (ja) パネルの貼着方法及び貼着装置
CN105785614B (zh) 一种粘合力的测试治具及测试方法
US9889602B2 (en) Laminating device and lamina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2053289A5 (ko)
KR101619783B1 (ko) 플렉시블 소재 곡면 합착장치
KR20170039785A (ko) 곡면소재 합착장치
KR20150134848A (ko) 디스플레이패널, 패널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부착 방법
KR20160043686A (ko) 곡면형상 기판에 플렉서블 소재를 합착하는 장치
KR101828833B1 (ko)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CN105352642A (zh) 应变片加压装置
CN110450518B (zh) 剥离装置
KR20150096029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CN107044954A (zh) 检测双面胶带粘接力的检具
CN203433003U (zh) 气动测试架
KR102409206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용 라미네이션 점착 시트 및 상기 커브드 디스플레이용 라미네이션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용 라미네이션 점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