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687B1 -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1687B1 KR101221687B1 KR1020120103003A KR20120103003A KR101221687B1 KR 101221687 B1 KR101221687 B1 KR 101221687B1 KR 1020120103003 A KR1020120103003 A KR 1020120103003A KR 20120103003 A KR20120103003 A KR 20120103003A KR 101221687 B1 KR101221687 B1 KR 1012216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clone
- impeller
- rainwater
- inflow
- channe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2000010637 Aquaporins Human genes 0.000 claims 1
- 108010063290 Aquaporins Proteins 0.000 claims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47 Ge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13 Ge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03 wate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01D36/045—Combination of filters with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Abstract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오염물질 제거장치는 우수를 유입하여 상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부 일측에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로가 접선방향을 설치된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싸이클론 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싸이클론 통을 감싸고 상기 싸이클론 통과 이격 설치되며, 다수의 콘 형상의 통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경사판; 상기 싸이클론 통 내부 하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 하측 내부에 선회 회전류를 생성함과 동시에 우수를 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임펠러를 구비한 회전류 생성유닛; 상기 싸이클론 통의 상단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의 상단을 통해 넘치는 우수가 유입되는 월류수로; 상기 월류수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으로부터 상기 월류수로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미세여과필터; 및, 상기 월류수로와 연결되어,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상기 외통의 외부로 방류하는 배출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기우수로부터 부유성 오염물질이나 입자성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이라 함은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차집이 용이하고 주변환경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발생오염부하량의 예측 가능한 점오염원과 달리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원을 말하며,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매우 어렵고, 발생량 및 배출량이 강수량 등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점오염원과 달리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은 우기시 우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어 호소의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토사 등의 미세립자가 유출되어 하상의 자갈층에 축적됨으로 저서생물, 어류 등의 서식처나 산란처를 파괴하여 하천생태계를 교란 및 오염시킨다.
또한 도시화, 산업화의 진전으로 토지개발이 가속화되고 대지/도로/주차장 등 불투수층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점오염원에 의한 하천, 호소의 수질영향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비점오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지계 오염이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권역별로 28.3%(한강수계), 20~30%(낙동강/금강수계), 20~40%(영산강/섬진강수계)를 차지하고 있고,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시 토지계 이외에 하수관거누수, 미처리 가축분뇨의 영향 등을 포함할 경우 그 비중은 50%를 상외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65~7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기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자연형시설인 저류지, 인공습지, 침투시설, 식생형시설과 장치형시설인 여과형시설, 와류형시설, 스크린형시설, 응집침전형시설, 생물학적 처리형시설 등이 있으나, 상기 자연형시설은 설치면적이 크게 요구되어 도시지역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장치형시설은 설치면적은 작게 요구되나 유량 및 농도부하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부족하고,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강도 및 빈도가 점차 증가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유연한 시설운영에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다각적인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작은 부지공간 및 짧은 반응시간에도 고액분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경사판침전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사판침전방식을 이용한 처리장치에 대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649180호에 개시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649180호에 개시된 경사판침전방식을 이용한 처리장치는 다수개의 판을 일정 경사각을 주어 여러 층으로 구성하여 침전성오염물질은 경사판에 침전되어 하부로 유출되고 청수는 상부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사판을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침전성 오염물질이 경사판에 퇴적 또는 부착하여 오염물질의 침강 저해 및 통수단면적 축소 등 경사판 침전지의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유입부하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부족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의한 집중호우 및 강우 강도 변화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경사판에 오염물질이 퇴적되거나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입수의 낙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싸이클론 통 내부에서 임펠러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한 고액 분리와 더불어 우수의 내부순환을 일으킬 수 있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수를 유입하여 상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부 일측에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로가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싸이클론 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싸이클론 통을 감싸고 상기 싸이클론 통과 이격 설치되며, 다수의 콘 형상의 통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경사판; 상기 싸이클론 통 내부 하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 하측 내부에 선회 회전류를 생성함과 동시에 우수를 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임펠러를 구비한 회전류 생성유닛; 상기 싸이클론 통의 상단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의 상단을 통해 넘치는 우수가 유입되는 월류수로; 상기 월류수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으로부터 상기 월류수로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미세여과필터; 및, 상기 월류수로와 연결되어,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상기 외통의 외부로 방류하는 배출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통형 경사판은 규소(si)계열의 극소수성 혼합물로 표면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통은 상기 통공의 상부에 변류 배플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류 생성유닛은, 상기 유입수로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로에서 떨어지는 상기 유입수의 낙하 운동에너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터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류 생성유닛은 끝단이 상기 터빈과 결합되고, 상기 외통의 상단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구동축; 하측단이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고, 상기 싸이클론 통의 중심축에서 회전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종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연결하는 베벨기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터빈과 상기 임펠러의 회전비율은 1 : 1 내지 1: 2 범위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강우 강도에 따른 각기 다른 운동에너지에 준하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변화하며, 상기 유입수의 유입부하량과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비례관계에 있어, 상기 유입수의 유입부하량에 따라 싸이클론 통 내에 형성된 나선형의 회전류 속도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싸이클론 통의 하부측으로 이송되는 우수의 비율은 상기 싸이클론 통 내부로 유입된 전체 우수의 30%를 넘지 않는 범위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미세여과필터는 이온성물질, 중금속류 또는 오일류를 선택적으로 흡착·제거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 경사판에서 비교적 비중이 큰 입자성오염물질을 주로 제거하여 오염물부하량을 1차적으로 경감하여, 싸이클론 통 내에서의 고액분리에 대한 운영효율성을 높여줌으로서 전체적으로 처리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원 없이 유입수의 유입수의 운동 에너지로 터빈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으로 싸이클론 통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한 고액분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유입수량에 따라 임펠러 회전속도가 자동변경됨에 따라 중속 또는 고속원심분리기능을 발휘하여 유입부하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방류하천 오염부하량 감소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원통형 경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 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터빈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원통형 경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 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터빈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는 외통(10), 싸이클론통(20), 원통형 경사판(30), 자립형 회전류 생성유닛(40), 월류수로(53), 미세여과필터(56), 배출수로(58)를 포함한다.
외통(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유입수로(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수로(13)를 통해 외통(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우수)는 외통(10)에 측면에서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 선회하게 된다.
싸이클론 통(20)은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통(10) 내부에 설치되며, 외통(10)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설치된다. 싸이클론 통(20)은 상단부터 하 방향으로 소정길이까지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23)이 관통형성된 제 1 부분(21)과, 상기 제 1 부분(2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의 제 2 부분(24)과, 상기 제 2 부분(24)의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직경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하광상협 형태의 제 2 부분(2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부분(21)의 길이는 제 2 부분(24)보다 다소 작고, 제 3 부분(27)의 길이는 제 1 부분(21)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통형 경사판(30)은 상하가 개방되어 상/하부 개방구(33,35)가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하광상협으로 이루어진 콘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여러 층으로 구성된다.
원통형 경사판(30)은 외통(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싸이클론 통(20)을 감싸도록, 싸이클론 통(20)이 원통 경사판(30)의 상/하부 개방구(33,35)에 삽입되게 형성된다.
이때, 원통형 경사판(30)의 상부 개방구(33)의 직경은 싸이클론 통(20)의 제 1 부분(21)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원통형 경사판(30)과 싸이클론 통(20)은 서로 이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원통형 경사판(30)은 규소(si) 계열의 극소수성 혼합물로 표면처리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해, 원통형 경사판(30)의 표면에 오염물질의 퇴적 및 부착이 방지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자립형 회전류 생성유닛(40)은 싸이클론 통(20)의 하부 내측에 회전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터빈(42), 구동축(44), 종동축(46), 임펠러(48)를 포함한다.
터빈(42)은 유입수로 말단에 구동축(4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터빈(42)은 유입수로(13)를 통해 낙하하는 유입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터빈(42)은 수개의 평판이 구동축(44)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다만, 터빈(42)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터빈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구동축(44)은 외통의 상단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측단이 터빈(42)과 결합되며, 터빈(42)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종동축(46)은 외통(10)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축(44)과 종동축(46)은 서로 직각되게 설치되며, 베벨기어(47)를 통해 구동축(44)의 회전이 종동축(46)에 전달될 수 있다.
임펠러(48)는 종동축(46)의 하단에 결합설치되며, 임펠러(48)의 회전에 의해 물을 하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48)는 싸이클론 통(2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 2 부분(24)의 하단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유입수(우수)의 낙하에 따른 터빈(42)의 회전이 구동축(44), 베벨기어(47) 및 종동축(46)에 의해 임펠러(48)에 전달되어, 임펠러(48)가 회전될 수 있다.
월류수로(53)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싸이클론 통(20)의 상단 외측에 설치되어, 싸이클론 통(20)의 상단을 통해 넘치는 우수가 유입된다.
이 경우, 월류수로(53)의 상부에는 미세여과필터(56)가 설치되어, 싸이클론 통(20)의 상단으로부터 월류수로(53)로 유동하는 유수로부터 이온성물질, 중금속류, 또는 오일류가 선택적으로 흡착 및 제거된다.
배출수로(48)는 월류수로(53)의 일측과 연통되고, 외통(10)의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월류수로(53)로 유입된 물이 배출수로(4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유입수로(13)를 통해 외통(10) 내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외통(10) 내에서 선회하고(도 2 A 참조) , 이 유입수는 원통형 경사판(30)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향류를 형성하게 된다(도 1의 B 참조). 이때, 원통형 경사판(30)에 의해 조대 및 미세고형물은 침전분리된다.
이후, 원통형 경사판(30)을 경유한 우수는 통공(23)을 통해 싸이클론 통(20) 내부로 유입되고, 이중 일부는 임펠러(48)의 회전에 의해, 싸이클론 통(20) 하부 내측에서는 우수의 선회류가 형성됨과 동시에 우수가 싸이클론 통(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외통(10)의 하부로 배출되어(도 1의 D 참조) 내부 순환이 일어난다. 이 경우, 임펠러(48)의 회전에 의해 싸이클론 통(20) 내측 하부에서는 우수의 원심력에 의한 고액분리가 활발하게 일어나게 된다. 한편, 우수의 나머지는 싸이클론 통(20)의 상단으로 통해 넘쳐(도 1 및 2의 E 참조), 미세여과필터(56)를 통해 필터링된 후, 월류수로(53) 및, 배출수로(58)를 거쳐 외부로 방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싸이클론 통(20)은 통공(23)의 상부 내면에 변류 배플(60)을 구비하여, 입자성 오염물질의 부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변류 배플(60)은 1 개지 내지 2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통(10)으로 유입된 유입수가 선회하면서 원통형 경사판(30)을 따라 상향류가 형성됨으로써, 원통형 경사판(30) 표면에 오염물질이 퇴적하거나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원통형 경사판(30)이 규소(si) 계열의 극소수성 혼합물로 표면처리되어 더욱더 표면에 오염물질이 퇴적되거나 부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통형 경사판(30)에 의해 분리된 오염물질은 경사판(30)을 타고 흘러 외통(10)의 바닥에 수집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수로(13)로부터 외통(10)내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낙하 운동에너지를 임펠러(48)의 회전 동력으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원 없이 임펠러(48)를 회전시키고, 이러한 임펠러(48)의 회전으로, 내부 순환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한 고액분리가 일어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터빈(42)과 임펠러(48)의 회전비는 필요에 따라 베벨기어(47)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터빈(42)과 임펠러(48)의 회전비율이 1:1 내지 1:2 범위에서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강우 강도에 의해 유입수로(13)의 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터빈(42)의 회전속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임펠러(48)의 회전속도가 증가한다. 즉, 강우강도에 따른 유입수의 각기 다른 운동에너지에 준하여 임펠러(48)의 회전속도가 변화하며, 싸이클론 통(20) 내의 나선형 회전류 속도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본 발명에서 통공(23)을 통해 싸이클론 통(20)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 중 일부는 싸이클론 통(20)의 하부를 통해 내부순환되고, 나머지는 싸이클론 통(20)의 상단으로 넘쳐, 월류수로(53)와 배출수로(58)를 통해 방류된다.
이 경우, 임펠러(48)의 회전에 의해 싸이클론 통(20)의 하부측으로 발생되는 내부순환은 유입원수 대비 1.0 : 0.3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임펠러(48)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싸이클론 통(20) 내부로 유입된 우수 중 30%를 넘지 않는 우수가 싸이클론 통(20)의 하부측을 통해 내부순환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방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외통
13...유입수로
20...싸이클론 통
30...원통형 경사판
42...터빈
44...구동축
46...종동축
47...베벨기어
48...임펠러
53...원류수로
56...미세여과필터
58...배출수로
60...변류 배플
13...유입수로
20...싸이클론 통
30...원통형 경사판
42...터빈
44...구동축
46...종동축
47...베벨기어
48...임펠러
53...원류수로
56...미세여과필터
58...배출수로
60...변류 배플
Claims (9)
- 우수를 유입하여 상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부 일측에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로가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싸이클론 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싸이클론 통을 감싸고 상기 싸이클론 통과 이격 설치되며, 다수의 콘 형상의 통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경사판;
상기 싸이클론 통 내부 하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 하측 내부에 선회 회전류를 생성함과 동시에 우수를 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임펠러를 구비한 회전류 생성유닛;
상기 싸이클론 통의 상단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의 상단을 통해 넘치는 우수가 유입되는 월류수로;
상기 월류수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 통으로부터 상기 월류수로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미세여과필터; 및,
상기 월류수로와 연결되어,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상기 외통의 외부로 방류하는 배출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경사판은 규소(si)계열의 극소수성 혼합물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클론 통은 상기 통공의 상부에 변류 배플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류 생성유닛은
상기 유입수로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로에서 떨어지는 상기 유입수의 낙하 운동에너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터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류 생성유닛은
끝단이 상기 터빈과 결합되고, 상기 외통의 상단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구동축;
하측단이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고, 상기 싸이클론 통의 중심축에서 회전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종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연결하는 베벨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과 상기 임펠러의 회전비율은 1 : 1 내지 1: 2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강우 강도에 따른 각기 다른 운동에너지에 준하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변화하며, 상기 유입수의 유입부하량과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비례관계에 있어, 상기 유입수의 유입부하량에 따라 싸이클론 통 내에 형성된 나선형의 회전류 속도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싸이클론 통의 하부측으로 이송되는 우수의 비율은 상기 싸이클론 통 내부로 유입된 전체 우수의 30%를 넘지 않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여과필터는 이온성물질, 중금속류 또는 오일류를 선택적으로 흡착·제거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오염물질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003A KR101221687B1 (ko) | 2012-09-17 | 2012-09-17 |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003A KR101221687B1 (ko) | 2012-09-17 | 2012-09-17 |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1687B1 true KR101221687B1 (ko) | 2013-01-11 |
Family
ID=4784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003A KR101221687B1 (ko) | 2012-09-17 | 2012-09-17 |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168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70384A (zh) * | 2014-02-26 | 2015-02-25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一种无动力集成式雨水旋流处理装置及其方法 |
CN108298640A (zh) * | 2017-01-13 | 2018-07-20 | 威乐(中国)水泵系统有限公司 | 雨污分离装置 |
CN112723434A (zh) * | 2020-11-30 | 2021-04-30 |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污水cod处理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4894A (ko) * | 2000-08-19 | 2002-02-27 | 구자홍 |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
KR20020070737A (ko) * | 2001-03-03 | 2002-09-11 | (주)이아이글로벌 |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
KR20020088125A (ko) * | 2001-05-17 | 2002-11-27 | (주)이아이글로벌 |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처리장치 |
KR20060031417A (ko) * | 2004-10-08 | 2006-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싸이클론 집진장치 |
-
2012
- 2012-09-17 KR KR1020120103003A patent/KR10122168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4894A (ko) * | 2000-08-19 | 2002-02-27 | 구자홍 |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
KR20020070737A (ko) * | 2001-03-03 | 2002-09-11 | (주)이아이글로벌 |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
KR20020088125A (ko) * | 2001-05-17 | 2002-11-27 | (주)이아이글로벌 |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처리장치 |
KR20060031417A (ko) * | 2004-10-08 | 2006-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싸이클론 집진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70384A (zh) * | 2014-02-26 | 2015-02-25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一种无动力集成式雨水旋流处理装置及其方法 |
CN108298640A (zh) * | 2017-01-13 | 2018-07-20 | 威乐(中国)水泵系统有限公司 | 雨污分离装置 |
CN112723434A (zh) * | 2020-11-30 | 2021-04-30 |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污水cod处理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9325B1 (ko) |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0634464B1 (ko) | 초기 강우 정화처리 장치 | |
KR101218344B1 (ko)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 |
KR100605267B1 (ko) | 우수처리장치 | |
KR101288471B1 (ko)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
KR100865253B1 (ko) |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0804805B1 (ko) | 무잔수(無殘水)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KR100977877B1 (ko) | 회전식 여과방식의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 |
KR100912708B1 (ko)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
KR101221687B1 (ko) |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 |
KR100807192B1 (ko) |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 |
WO2006121268A1 (en) |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 |
KR101036018B1 (ko) |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 |
KR100786511B1 (ko) | 탄화물을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 | |
KR101307288B1 (ko) | 초기 강우유출수의 입자상 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1264381B1 (ko) |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1067699B1 (ko) |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1036944B1 (ko)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1195091B1 (ko) |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 |
CN207429843U (zh) | 一种低水损雨水过滤池 | |
KR20140112728A (ko) |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스템 | |
KR101271740B1 (ko) | 비점오염물질 정화를 통한 우수 재이용시스템 및 방법 | |
KR101251009B1 (ko) | 비점오염물질 처리용 침전지 | |
JP4153470B2 (ja) | 路面排水処理槽 | |
KR100964596B1 (ko) |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