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989B1 -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 Google Patents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989B1
KR101214989B1 KR1020100111976A KR20100111976A KR101214989B1 KR 101214989 B1 KR101214989 B1 KR 101214989B1 KR 1020100111976 A KR1020100111976 A KR 1020100111976A KR 20100111976 A KR20100111976 A KR 20100111976A KR 101214989 B1 KR101214989 B1 KR 10121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ne
axis direction
pipe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626A (ko
Inventor
이문승
왕만수
허석봉
김은수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10011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9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그 바닥에 제1골 및 상기 제1골과 연결된 제2골을 구비한 탱크; 상기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탱크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조적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고, 층과 층을 연통시키는 조적물; 및 상기 복수의 층 중 최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의 바닥을 세척하는 바닥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 세척수단은, 상기 탱크의 폭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탱크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제1파이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파이프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파이프; 및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탱크의 바닥에 안착된 바닥판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골은 상기 복수의 제1파이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2골은 상기 제1골의 양단이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MUTISTORY WATER RETAINING FACILITY WITH CLEANING DEVICE THEREIN}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배수시설을 통해 배수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홍수나 가뭄과 같은 물과 관련된 피해를 저감시키는 복층구조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척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 효율이 좋은 배수시설은 다량의 빗물을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배수 효율이 좋은 배수시설이 설치된다면,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고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신속한 빗물의 배수는 하천의 범람을 초래하고, 그로 인해 오히려 홍수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현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하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즉 저류조가 설치되고 있다. 저류조는 배수시설로부터 유입된 다량의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저류조는 우기 집중호우 시 홍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은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저류조는 홍수 피해뿐만 아니라 가뭄 피해도 줄일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731773호, 제0485742호, 제0582121호 등에는 이와 같이 유익한 기능을 수행하는 저류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 개시된 저류조는 모두 단층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저류조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들은 상판을 지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저류조는 저류되는 물의 양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물과 함께 저류조로 유입된 이물질이 저류조 바닥의 특정 부위에 모이지 않고 곳곳에 산재되기 때문에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저류조는 이물질 제거 작업의 비효율성을 수반한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복층구조의 저류조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복층구조의 저류조, 특히 내부에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그 바닥에 제1골 및 상기 제1골과 연결된 제2골을 구비한 탱크; 상기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탱크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조적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고, 층과 층을 연통시키는 조적물; 및 상기 복수의 층 중 최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의 바닥을 세척하는 바닥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 세척수단은, 상기 탱크의 폭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탱크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제1파이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파이프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파이프; 및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탱크의 바닥에 안착된 바닥판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골은 상기 복수의 제1파이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2골은 상기 제1골의 양단이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류조는 최하층부터 최상층까지 일렬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연통하는 중공을 구비한 지지기둥들을 세척하는 지지기둥 세척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기둥 세척수단은, 상기 탱크의 덮개를 관통하여 최상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의 중공까지 연장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최상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의 내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최하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들의 중공과 상기 제2골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배관이 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탱크의 측면에는 상기 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골로 흡입호스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탱크의 네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에는 최하층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지하로 침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공관이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층구조의 저류조 최하층에 바닥 세척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조적물에 의해 작업자의 출입이 방해됨에도 불구하고 저류조의 바닥이 세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층구조의 저류조 최상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들에 지지기둥 세척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작은 내경으로 인해 작업자의 출입이 방해됨에도 불구하고 지지기둥들의 내면이 세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조의 바닥에 수집된 세척수를 흡입 작업 없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사면이 구비된다. 따라서, 저류조 바닥에 수집된 세척수 및 잔류 이물질의 흡입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층구조 저류조의 최하층에 유공관이 결합된다. 따라서, 저류조에 저장된 물이 지하로 침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류조의 조적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도 1에 도시된 저류조의 조적물을 구성하는 단위 조적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단위 조적물에 구비된 경사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저류조에 구비된 탱크의 바닥 및 이에 안치된 바닥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저류조의 조적물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와, 조적물과, 바닥 세척수단과, 지지기둥 세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탱크는 지하에 매설되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은 바닥(112)과, 측면(114)과, 덮개(116)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114)의 상부에는 배수시설로부터 유입된 물이 탱크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1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114)의 하부에는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20)는 탱크에 물이 저장될 경우에는 폐쇄된다.
상기 조적물은 탱크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기 위해 탱크의 바닥(112)으로부터 탱크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조적된다. 예컨대, 탱크의 내부공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층으로 구획되는 경우, 4개의 조적물이 도 Z축 방향을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적물 각각은 탱크의 길이 방향(X축 방향) 및 폭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단위 조적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적물의 개수 및 단위 조적물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탱크의 내부공간에 형성하고자 하는 층수와, 탱크의 길이 및 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층에 위치하는 단위 조적물(150)은,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 조적물(150)들 모두에 걸치도록 조적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동일 층에 위치하는 단위 조적물(150)들 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위 조적물(15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판(152)과, 복수의 경사판(162)과, 복수의 지지기둥(172)을 포함한다.
상기 경계판(152)은 층과 층의 경계에 위치하는 판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과 층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홀(154)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연통홀(154)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Y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나열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Y축을 따라 나열된 3개의 연통홀(154)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통홀(154)의 개수는 이와 상이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복수의 경사판(162)은 상기 연통홀(154)을 통과하여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하는 물을 안내하는 판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경사판(162)은 연통홀(154)의 연장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연통홀(154)을 둘러싸는 측면들(156, 158)에 부착된다. 또한, 복수의 경사판(162)의 일 측면(164)은 경계판(15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그 반대 측면(166)은 상기 경계판(152)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어느 한 경사판(162)의 반대 측면(16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여 위치하는 경사판(162)의 일 측면(164)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층에서 하층으로의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층에 위치하는 물이 연통홀(154)을 통과하여 경사판(162)에 도달하면, 상기 물은 상기 측면(164)으로부터 상기 반대 측면(166)으로, 즉 도 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된 후 하층으로 낙하한다.
한편, 상층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이동하는 물의 양보다 많으면, 하층이 만수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상층에 물이 고이게 된다. 따라서, 물이 상층에서 하층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판(162)에는 복수의 홀(170)이 형성된다. 그러나, 물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상기 홀(170)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경사판(16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경사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170)은 주름 경사판의 마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주름 경사판의 골과 마루는 물이 안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홀(170) 또한 물이 안내되는 방향을 따라 나열된다.
복수의 지지기둥(172)은 경계판(152)과 일체로 형성되고, 경계판(152)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172)은 물의 저장 공간으로 사용되는 중공(174)을 구비한다. 이때, 상부로부터 상기 중공(174)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174)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중공(174)으로 유입된 물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174)의 하부 또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지지기둥(172)의 하단부 외경은 그 이외 부위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도 3에는 X축 및 Y축을 따라 나열된 16개의 지지기둥(172)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기둥(172)의 개수는 이와 상이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단위 조적물(150)을 이용하여 조적물을 만드는 방법과 상기 조적물을 적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1층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단위 조적물(150)을 탱크의 바닥(112)에 안치된 바닥판(112b)과 결합한다. 이때, 단위 조적물(150)의 지지기둥(172) 하단은 상기 바닥판(112b)에 형성된 결합 구조물(113)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단위 조적물(150)들과 바닥판(112b) 간 결합이 완료되면, 단위 조적물(150)들의 경계판(152)은 이웃하는 경계판 및/또는 탱크의 측면들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1층이 형성되면, 2층을 형성한다. 2층은 복수의 단위 조적물(150)을 1층 조적물의 지지기둥에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 조적물(150)의 지지기둥(172) 하단은 상기 1층 조적물의 지지기둥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단위 조적물(150)은 자신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 조적물 모두에 걸치게 조적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 조적물(150)들과 상기 1층 조적물 간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단위 조적물(150)들의 경계판(152)은 이웃하는 경계판 및/또는 탱크의 측면들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3층 및 4층은 상술한 2층 형성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4층이 형성되면, 4층 조적물에 덮개(116)가 덮인다. 이때, 덮개(116)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들은 4층 조적물의 지지기둥들에 형성된 중공의 개방 상부를 밀폐시킨다. 상기 덮개(116)가 덮이면, 덮개(116) 위로 흙이 덮인다.
한편, 탱크의 중심을 지나고 Y-Z 평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가상의 중심 평면(180)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단위 조적물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단위 조적물은 경사판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조립된다. 즉, 상기 중심 평면(180)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단위 조적물들의 경사판들은 탱크의 일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중심 평면(180)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물을 안내한다. 반면, 상기 중심 평면(180)을 기준으로 반대 측면에 위치하는 단위 조적물들의 경사판들은 탱크의 반대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중심 평면(180)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물을 안내한다. 상기 경사판들이 이와 같은 자세로 위치하는 경우, 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탱크 바닥(112)의 중앙 부위에 모이게 되므로 탱크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102는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이다.
이하, 상기 복층구조의 저류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배출구(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입구(118)를 통해 물이 4층으로 유입되면, 물은 경사판(162)에 의해 안내되거나 경사판(162)의 홀(170)을 통해 3층으로 자유낙하한다. 3층으로 유입된 물은 동일한 과정을 거쳐 2층으로 자유낙하한다. 그리고, 2층으로 유입된 물 또한 동일한 과정을 거쳐 1층으로 자유낙하한다. 한편, 1층에 도달한 물은 상기 바닥판(112b)의 내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함과 동시에 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배관(112a)으로 유입된다. 상기 복수의 배관(112a)은 1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172)의 중공(174)과 연통하는바, 상기 배관(112a)으로 유입된 물은 1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172)의 중공(174)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1층이 만수위로 되면 2층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올라라고, 2층이 만수위로 되면 3층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올라가며, 3층이 만수위로 되면 4층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저류조(100)는 탱크의 바닥(112), 상기 바닥판(112b) 및 지지기둥(172)의 내면에 대한 정기적인 세척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작업자는 탱크의 내부공간에 조적된 복수의 조적물로 인해 탱크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갈 수 없고, 지지기둥(172)의 내경이 작아 중공(174)으로 들어갈 수도 없다. 따라서, 상기 저류조(100)는 바닥 세척수단 및 지지기둥 세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 세척수단은 복수의 층 중 최하층, 즉 1층에 설치되어 탱크의 바닥(112) 및 상기 바닥판(112b)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제1파이프(210)와, 한 쌍의 제2파이프(212)와, 복수의 분사노즐(214)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파이프(21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파이프(212)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파이프들(210)의 단부를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제2파이프(212) 중 어느 하나는 제1파이프들(210)의 일단을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제1파이프들(210)의 반대단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된 제1파이프들(210)과 제2파이프(212)들은 서로 연통한다.
한편, 상기 제1파이프들(210)과 제2파이프들(212)은 상기 바닥판(112b)에 설치된 지지대(216)에 의해 지지되고, 세척수 공급 파이프(218)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세척수 공급 파이프(218)의 일단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들(210)과 제2파이프들(21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공급 파이프(218)는 탱크의 외부로부터 탱크의 덮개(116)와 각 층의 경계판(152)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파이프들(210)과 제2파이프들(212) 중 어느 하나까지 연장한다.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214)은 상기 제1파이프들(210)과 제2파이프들(212)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112b)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한편, 상기 탱크의 바닥(112)에는 분사노즐(214)로부터 분사된 물과, 상기 분사된 물과 함께 이동하는 잔류 이물질이 수집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골(230) 및 상기 제1골(230)과 연결된 한 쌍의 제2골(232)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골(230)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파이프들(210) 사이에 위치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골(2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골들(230)의 양단이 위치하는 부위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한편, 상술한 복수의 배관(112a)의 양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골(232)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탱크의 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골(232)로 흡입호스(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홀(2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흡입기(미도시)를 소지한 후 맨홀(240)을 통해 탱크로 접근한 작업자는 흡입기의 흡입호스를 탱크 내부로 삽입하여 제1골(230) 및 제2골(232)로 수집된 세척수 및 잔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골(232)에는 경사면(23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23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골들(230)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의 일단으로부터 탱크의 측면으로 가면서 탱크의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238)은 상기 경사면(236)과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홀(238)과 경사면(236)이 마주한다는 것은, 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홀(238)을 바라보았을 때 홀(238)이 경사면(236)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탱크의 측면에 홀(238)이 형성되면, 제1골(230) 및 제2골(232)에 수집된 세척수의 일부가 흡입 없이 탱크의 외부로 미리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 및 잔류 이물질 흡입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홀(232)과 경사면(236)이 각각 하나씩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홀(232)과 경사면(236)은 탱크의 길이(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의 길이)에 종속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홀(232)과 경사면(236)은 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다. 또한, 도 7에는 상기 홀(23)과 경사면(236)이 한 쌍의 제2골(23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한 쌍의 제2골(232) 모두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기둥 세척수단은 복수의 파이프(252)와, 복수의 분사노즐(25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파이프(252) 각각은 탱크의 덮개(116)를 관통한 후 최상층, 즉 4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들(172)의 중공(174)까지 연장한다. 그리고, 복수의 분사노즐(254)은 상기 복수의 파이프(252) 각각의 하단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최상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들(172)의 내면 상부에 분사한다. 한편, 상기 덮개(116)의 상부에는 세척수 공급 파이프(256)가 위치한다. 상기 세척수 공급 파이프(256)는 상기 파이프들(252)과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들(252)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 분사노즐(254)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지지기둥(172)들의 중공(174)을 통해 하부로 이동하고, 1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172)들의 중공(174)에 도달하면 상기 배관(112a)을 통해 제2골(232)로 흘러나온다.
이하, 상기 저류조(100)의 세척 과정을 설명한다.
저류조(100) 내부의 물이 모두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바닥 세척수단의 분사노즐(214)은 탱크의 바닥(112)에 안치된 바닥판(112b)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지지기둥 세척수단의 분사노즐(254)은 최상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들(172)의 내면 상부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분사노즐(254)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와 각 층의 지지기둥(172) 내면에 잔류하던 잔류 이물질은 최하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172)의 중공(174)으로 낙하한 후, 배관(112a)을 통해 바닥(112)에 형성된 제2골(232)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214)로부터 분사된 세척수 및 상기 바닥판(112b)에 잔류하던 잔류 이물질은 제1골(230) 및 제2골(232)로 수집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흡입기를 소지한 후 맨홀(240)을 통해 탱크의 외부로 접근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홀(238)을 개방하여 1차적으로 제1골(230) 및 제2골(232)에 수집된 세척수를 탱크의 외부로 배출키고, 이후 흡입기의 흡입호스를 이용하여 제1골(230) 및 제2골(232)에 남아 있는 세척수와 잔류 이물질을 흡입한다. 흡입작업을 마친 작업자는 상기 홀(238)을 밀폐시킨 후, 맨홀(240)을 통해 지상으로 복귀한다.
한편, 상술한 저류조(100)는 물을 저장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저장된 물을 지하로 침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비침투식 저류조이다. 그러나, 상기 저류조(100)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물을 지하로 침투시키는 침투식 저류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탱크의 네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 각각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공관(26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유공관(260)은 최하층과 연통하는 중공(262)을 구비하고, 중공(262)으로 유입된 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기 위해 복수의 측면공(264)을 구비한다. 상기 유공관(260)의 중공(262)과 최하층 간 연통은 차단됨이 없이 항상 유지된다.
도 1 및 도 6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는 탱크의 두 측면 각각에 4개의 유공관(260)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유공관(260)이 결합되는 탱크의 측면 개수는 경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설정되어도 무방하고, 탱크의 어느 한 측면에 결합되는 유공관(260)의 개수 또한 4개보다 작거나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복층구조의 저류조 112 : 바닥
114 : 측면 116 : 덮개
118 : 유입구 120 : 배출구
150 : 단위 조적물 152 : 경계판
154 : 연통홀 162 : 경사판
172 : 지지기둥 174 : 중공
210 : 제1파이프 212 : 제2파이프
214 : 분사노즐 230 : 제1골
232 : 제2골 236 : 경사면
238 : 홀 240 : 맨홀
252 : 파이프 254 : 분사노즐
260 : 유공관

Claims (4)

  1. 지하에 매설되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그 바닥에 제1골 및 상기 제1골과 연결된 제2골을 구비한 탱크;
    상기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탱크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조적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고, 층과 층을 연통시키는 조적물; 및
    상기 복수의 층 중 최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의 바닥을 세척하는 바닥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 세척수단은,
    상기 탱크의 폭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탱크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제1파이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파이프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파이프; 및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탱크의 바닥에 안착된 바닥판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골은 상기 복수의 제1파이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2골은 상기 제1골의 양단이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최하층부터 최상층까지 일렬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연통하는 중공을 구비한 지지기둥들을 세척하는 지지기둥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기둥 세척수단은,
    상기 탱크의 덮개를 관통하여 최상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의 중공까지 연장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최상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의 내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최하층에 위치하는 지지기둥들의 중공과 상기 제2골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배관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측면에는 상기 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골로 흡입호스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네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에는 최하층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지하로 침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공관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KR1020100111976A 2010-11-11 2010-11-11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KR10121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76A KR101214989B1 (ko) 2010-11-11 2010-11-11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76A KR101214989B1 (ko) 2010-11-11 2010-11-11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26A KR20120050626A (ko) 2012-05-21
KR101214989B1 true KR101214989B1 (ko) 2012-12-21

Family

ID=4626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976A KR101214989B1 (ko) 2010-11-11 2010-11-11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113B1 (ko) * 2020-03-23 2020-06-15 박재석 노즐분사 방식을 이용한 오수 및 우수의 저류조 세척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류조 세척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6431A (zh) * 2017-11-02 2018-04-03 安徽亚井雨水利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雨水存储清洗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06A (ja) * 1998-11-30 2000-06-13 Takiron Co Ltd 雨水貯溜装置
KR200380051Y1 (ko) 2004-12-21 2005-03-25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
JP2009114784A (ja) * 2007-11-08 2009-05-28 Sekisui Plastics Co Ltd 雨水貯留装置と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06A (ja) * 1998-11-30 2000-06-13 Takiron Co Ltd 雨水貯溜装置
KR200380051Y1 (ko) 2004-12-21 2005-03-25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
JP2009114784A (ja) * 2007-11-08 2009-05-28 Sekisui Plastics Co Ltd 雨水貯留装置とそ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113B1 (ko) * 2020-03-23 2020-06-15 박재석 노즐분사 방식을 이용한 오수 및 우수의 저류조 세척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류조 세척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26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989B1 (ko) 세척수단을 구비한 복층구조의 저류조
JP2003201722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JP3660917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100813995B1 (ko)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JP4509848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及びこれらの施設に使用する点検用充填体
JP4459865B2 (ja) 雨水貯留槽
EP2949826B1 (en) Drainage cell
JP2004052243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
US11028570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stormwater management systems
KR101224113B1 (ko) 복층구조의 저류조
KR101887525B1 (ko) 그레이팅룸이 구비된 수 처리 장치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가 결합된 다양한 수공간/수경 시설물의 시공법
JP201018519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JP4526443B2 (ja) 雨水貯留槽
JP4914301B2 (ja) 水貯留槽用の構造部材
JP2011174317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JP4002820B2 (ja) 浸透トレンチ用連結ユニット及び浸透トレンチの施工方法
TWM484600U (zh) 排水系統的匯流存水彎頭結構
JP6198446B2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JP5232737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
CN215631313U (zh) 一种具有耐腐蚀结构的环氧地坪
JP7021385B1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および雨水貯留浸透施設の堆砂滞留板
US11028569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stormwater management systems
JP2022165356A (ja) 収集路形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貯水構造体
JP201124702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