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369B1 - 의료용 와이어 - Google Patents

의료용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369B1
KR101202369B1 KR1020077009381A KR20077009381A KR101202369B1 KR 101202369 B1 KR101202369 B1 KR 101202369B1 KR 1020077009381 A KR1020077009381 A KR 1020077009381A KR 20077009381 A KR20077009381 A KR 20077009381A KR 101202369 B1 KR101202369 B1 KR 101202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vivo
coating film
medical
at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2544A (ko
Inventor
지로 이시다
히로노리 다카타
아츠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메딕스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메딕스,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메딕스
Publication of KR2007007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61B2017/12068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detachable by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025/0042Microcatheters, cannula or the like having outside diameters around 1 mm or 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Abstract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열가용성의 접속 부재를 거쳐서 생체내 유치 부재가 접속된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누전을 생기게 하는 도전성 부재가 접촉했을 때에도 소기의 발열을 얻을 수 있어, 생체내 유치 부재를 확실히 이탈시킬 수 있는 의료용 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의료용 와이어는,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와, 그 선단부에 열가용성의 접속 부재를 거쳐서 접속된 생체내 유치 부재로 이루어지고, 와이어 본체를 통해서 용단용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접속 부재가 가열되어서 용단되어, 생체내 유치 부재가 이탈되는 의료용 와이어이며,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전극 형성부의 외주면에는 비도전성의 피복막이 형성되어 있고, 피복막을 통해서 와이어 본체의 표면 일부가 노출하여 있음에 의하여 가열용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와이어{MEDICAL WIRE}
본 발명은, 생체내 유치 부재를 생체 내 소정의 개소에 유치하기 위한 의료용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적 수술을 동반하는 생체의 치료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고, 예를 들면, 시술되는 환자에 있어서는 장시간의 수술에 견디지 않으면 안되고, 감염의 위험성도 비교적 높으며, 침습도 많다. 또한 의사에 있어서도, 장시간에 걸쳐 신경을 집중시키는 것을 강요당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부담을 경감하고, 필요한 수술을 보다 안전하고 또한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카테터(catheter)나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 혈관 등을 폐색시키기 위한 색전 재료, 그 밖의 각종 의료 기기가 개발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 등의 의료 기기에 있어서의 최근 진보에 의해, 혈관 내에서 소요의 환부에 어프로치하는 혈관 내 수술이 실행되고 있으며, 특히 동정맥기형, 뇌동맥류, 경동맥해면정맥동루 등의 질환의 치료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현재, 동맥류 등에 대한 침습성이 적은 치료법으로서, 플래티나 등의 생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생체내 유치 부재를 동맥류 내에 유치 하는 혈관색전술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서는, 딜리버리(delivery)용의 와이어의 선단부에 생체내 유치 부재가 접속되어서 되는 의료용 와이어를, 생체에 배치된 카테터에 통과시키고, X선 조영 장치에 의한 투시 하에서 와이어를 조작함으로써 생체내 유치 부재를 그 생체 내의 원하는 위치에 유도해서 생체내 유치 부재를 원하는 개소에 도달시켜, 그 상태에서 생체내 유치 부재를 이탈시킴이 행하여진다.
생체내 유치 부재를 이탈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기계식 수단 및 전기식 수단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전기식 이탈 수단으로서, 도전성 와이어와 생체에 접속되는 상대극 사이에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해서 접속 부재를 분해?용단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도전성 와이어의 선단부에,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열가용성의 로드 모양 접속 부재를 거쳐서 생체내 유치 부재가 접속되는 혈관 폐색용의 의료용 와이어가 나타나 있고, 이 의료용 와이어에 의하면, 도전성 와이어와 상대극 사이에 고주파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도전성 와이어의 선단부가 가열용 전극으로서 기능해서 접속 부재가 순간적으로 열용해하여, 생체내 유치 부재가 도전성 와이어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수술 소요 시간이 짧아 환자나 의사에 대한 부담이 적은 이점이 얻어진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300702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288007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열가용성의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된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는, 그 도전성 와이 어와 생체에 접속된 상대극 사이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면, 생체내의 전해질을 거쳐 전류가 흐르고, 이 때 도전성 와이어의 선단부가 가열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접속 부재가 용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종래의 의료용 와이어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50)와, 접속 부재(52)와, 생체내 유치 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50)의 선단부는 코일체(56)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코일체(56)에, 열가용성의 접속 부재(52)를 거쳐 코일 형상의 생체내 유치 부재(54)가 접속되어 있고, 와이어 본체(50)의 선단부 및 기단부를 제외한 영역의 외주면에 절연성 피복막(5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피복막(58)이 형성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코일체(56)의 노출 코일부(E)에 의해 가열용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 본체(50)의 기단부(60)로부터 고주파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가열용 전극부에 있어서, 이것에 접하는 생체의 체액에 의한 전해질 용액과의 사이에 생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줄열(joule heat)이 발생하고, 이 줄열에 의해 가열용 전극부 주변의 온도가 상승해서 열가용성의 접속 부재(52)가 용단하고, 이에 의하여 생체내 유치 부재(54)가 와이어 본체(50)로부터 이탈한다.
이렇게 접속 부재가 용단하기 위해서는 가열용 전극부의 온도 상승이 필요해서,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주파 전원 장치로부터의 전력이 가열용 전극부 주변의 전해액 등에 있어서의 저항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줄열)로 변환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줄열의 발열량은, 그 가열용 전극부 주변에 있어서의 전기적 저항값의 대소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실제의 생체내 유치 부재의 시술에 있어서, 그 가열용 전극부에 있어서의 저항값은, 그 가열용 전극부가 위치되어 있는 주변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동맥류의 치료에 있어서는, 통상, 플래티나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생체내 유치 부재가 상당히 높은 밀도가 되는 상태로 동맥류 내에 충전됨이 필요하기 때문에, 치료의 후반이 되면, 생체내 유치 부재를 유치하는 때는, 와이어 본체의 가열용 전극부의 주변에는 선행하여 배치된 복수의 생체내 유치 부재가 존재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선행 배치된 생체내 유치 부재가, 예기치 않게 와이어 본체의 노출되어 있는 가열용 전극부에 접촉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그 가열용 전극부에 공급된 고주파 전류의 일부가 그 접촉하고 있는 생체내 유치 부재로 흘러 누전이 생기기 때문에, 결국, 전극으로 작용하는 부재의 표면적이 증가한 상태가 되고, 그 결과, 그 전극부에 있어서의 저항값은 저하한 것이 된다.
이렇게 저항값이 저하한 상태에서는, 줄열의 발열량이 감소한 것이 되고, 그 결과, 열가용성 접속 부재는 완전하게 용단하지 않고, 따라서, 생체내 유치 부재는 분리되지 않은 채이다.
즉, 공급되는 전력이 일정할 경우, 전극의 면적이 증가하면, 줄열의 총발열량은 같지만 발열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의 상승 폭이 감소하고, 그 때문에 열가용성 접속 부재가 용단되는 온도에 도달할 수 없어 접속 부재의 용단이 완전히 행하여지지 않고, 결국, 반복해서 용단용 전류의 공급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생체내 유치 부재를 이탈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시술자인 의사는, 생체내 유치 부재가 와이어로부터 분리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X선 조영 기기에 의한 투시 화상을 보면서 와이어를 끌어당겨 되돌리는 확인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이 확인 작업의 결과, 생체내 유치 부재가 와이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재차, 딜리버리 와이어를 조작해서 생체내 유치 부재를 동맥류 내에 넣을 필요가 있고, 또한, 선행 배치된 생체내 유치 부재가 와이어 본체의 전극부에 접촉하지 않는 적절한 위치를 탐색해서 동맥류 내에 넣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최악의 경우, 와이어를 끌어당겨 되돌렸을 때에, 같은 동맥류 내에 선행해서 배치되어 있는 다른 생체내 유치 부재가 이동하거나, 동맥류로부터 비어져 나올 가능성이 있어, 환자나 의사에 대한 부담이나 리스크가 크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열가용성의 접속 부재를 거쳐서 생체내 유치 부재가 접속된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선행 배치된 생체내 유치 부재, 그 밖의 누전을 생기게 하는 도전성 부재(이하, 「누전성 부재 」라고도 함)가 물리적으로 접촉했을 때에도, 그 와이어 본체의 가열용 전극부에 누전이 생기지 않고 소기의 발열을 얻을 수 있어, 생체내 유치 부재를 확실히 이탈시킬 수 있는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는,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와, 이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열가용성의 접속 부재를 거쳐서 접속된 생체내 유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 기 와이어 본체를 통해서 용단용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가열되어서 용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생체내 유치 부재가 이탈되는 의료용 와이어로서,
상기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있어서 전극 형성부의 외주면에는 비도전성의 피복막이 형성되어 있고, 그 피복막을 통해서 그 와이어 본체의 표면 일부가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가열용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전극부는, 상기 피복막에 형성된 미소한 복수의 절결부(cutout portion)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복수의 절결부의 합계 면적은 0.01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피복막의 두께는 0.001 ~ 0.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결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개구, 또는 피복막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된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오목상 절결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절결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피복막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된 오목상 절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결부가, 상기 피복막에 있어서, 그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된 3개의 반원형의 오목상 절결과, 그것에서 가까운 측에 위치한 영역에 형성된 3개의 원형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체내 유치 부재가 금속 필라멘트에 의한 코일재에 의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피복막에 형성된 절결부는, 그 최대폭의 치수가, 그 생체내 유치 부재를 형성하는 코일재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체내 유치 부재가 플래티나, 텅스텐, 금, 탄탈, 이리듐, 팔라듐 및 이것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복막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 수지, 폴리 불화 알킬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및 폴리이미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는,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서의 전극 형성부에서, 그 외주면에 비도전성의 피복막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피복막 을 거쳐서 그 와이어 본체의 표면 일부가 노출되어 있음에 의하여, 가열용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본체를 거쳐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그 가열용 전극부를 형성하는 와이어 본체의 노출 표면에 생체의 체액(전해질 용액)이 접하고 있음에 의해서 생기는 전기적 저항에 의해 줄열이 발생하여, 열가용성의 접속 부재가 용단되어서 생체내 유치 부재가 이탈된다.
게다가, 그 가열용 전극부는, 외주면에 비도전성의 피복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테터 내를 통해서 생체내 유치 부재를 도입했을 때, 선행 배치된 생체내 유치 부재 등에 의한 누전성 부재가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사태가 생기는 경우에도, 그 누전성 부재와 와이어 본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그 결과, 와이어 본체에 공급된 고주파 전류가 그 누전성 부재로 흐르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접속 부재의 용단을 확실히 행할 수 있어서 생체내 유치 부재의 분리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의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와 생체내 유치 부재와의 접속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예에 있어서의 의료용 와이어의 전극 형성부에 있어서의, 절결부가 형성된 피복막을 나타내는 전개도.
도 4는, 도 2의 예에 있어서의 절결부를 구성하는 개구 및 오목상 절결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A)는 측면도, (B)는 원형 개구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반원형의 오목상 절결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피복막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절결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6은, 피복막에 있어서, 다른 배열의 절결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7은, 도 1 ~ 도 3의 구성에 의한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의 생체내 유치 부재 이탈 테스트에 관한 모식적 설명도.
도 8은, 도 7의 생체내 유치 부재 이탈 테스트에 있어서, 누전성 부재를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종래의 의료용 와이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의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와 생체내 유치 부재의 접속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W: 의료용 와이어, 10: 와이어 본체, 12: 기단부, 14: 선단부
16: 접속 부재, 18: 생체내 유치 부재, 20: 피복막
22: 선단 가장자리, 24: 절결부, 24A: 개구, 24B: 오목상 절결
30: 용기, 31: 어스 전극, 32: 생리 식염수, 33: 가이딩 카테터
34: 분기 접속부, 35: 마이크로 카테터, 36: 고주파 전원 장치
37: 출력 단자, 38: 누전성 부재, 50: 와이어 본체, 52: 접속 부재
54: 생체내 유치 부재, 56: 코일체, 58: 절연성 피복막
E: 노출 코일부, 60: 기단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탈형 색전 코일로 이루어진 생체내 유치 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의료용 와이어(W)는, 기본적으로,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10)와, 접속 부재(16)와, 생체내 유치 부재(18)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본체(10)는, 기단부(도면의 우단측)(12)로부터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작은 직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의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와이어 재의 선단측 부분에, 스테인리스와 백금의 합금제 코일체를 피복하여 용접해서 선단부(14)가 형성되고 있고, 그 외경은 약 0.2 ~ 1.0mm로 되어 있다. 이 와이어 본체(10)의 기단부(12)를 제외한 영역에는, 선단부(14)의 영역도 포함하여, 그 외주면을 피복하는 상태로 비도전성의 피복막(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 의 코일 체 내에는, 로드 모양의 접속 부재(16)의 기단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접속 부재(16)의 선단 부분이 삽입해서 고정됨으로써, 코일 형상의 생체내 유치 부재(18)가 접속해서 마련되어져 있다.
접속 부재(16)는, 생체내 유치 부재(18)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며, 열가용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접속 부재(16)의 구체적인 재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 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고주파 전력을 이용하여 그 접속 부재(16)를, 예를 들면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용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치수 예는, 외경이 예를 들면 약 0.05 ~ 0.50mm, 전체 길이가 약 0.1 ~ 100mm이다.
도시의 생체내 유치 부재(18)는, 생체에 적합성을 갖는, 예를 들면, 플래티나 합금제의 필라멘트를 코일 감기하여 얻어진 1차 코일재를, 더 코일 감기하여 2차 코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소선 재료인 필라멘트의 외경은 약 0.02 ~ 0.15mm, 1차 코일재의 외경은 약 0.1 ~ 1.2mm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며, 2차 코일체의 외경은, 예를 들면 약 0.3 ~ 50mm로 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사용 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각종 치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생체내 유치 부재는, 1차 코일재를 그대로 사용해서 되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1차 코일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2차 코일체 이외의 적당한 삼차원적인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그 1차 코일재 선단부는, 예를 들면, 반구면 모양으로 둥글게 가공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며, 이에 따라, 삽입되었을 때에 생체의 조직을 상처 입히는 것이 방지된다.
생체내 유치 부재(18)를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재질은, 플래티나(백금), 텅스텐, 금, 탄탈, 이리듐, 팔라듐 및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플래티나와 텅스텐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필라멘트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이나 사각형, 삼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와 생체내 유치 부재(18)의 접속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복막(20)은,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를 형성하는 코일체를 포함하는 영역의 외주면의 전체가 피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피복막(20)은, 비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갖는 각종의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 수지(FEP), 폴리 불화 알킬렌(PFA),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수지, 그 밖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피복막(20)의 두께는, 예를 들면, 0.001 ~ 0.l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0.lm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인 전극 형성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피복막(20)에는, 복수의 미소한 절결부(24)가 형성되어서 그 절결부(24)에 의해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를 구성하는 코일체의 외주면 또는 외표면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노출면 부분에 의해 가열용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예에 있어서의 절결부(24)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의 코일체의 선단 위치에 일치하는 피복막(20)의 선단 가장자리(22)에 접근한 위치에 있어서 관통하여 형성된,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3개의 원형 개구(24A)와, 피복막(20)의 선단 가장자리(22)로부터 형성된,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3개의 반원형 오목상 절결(24B)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원형 개구(24A)는 둘레 방향 위치가 각도 120도씩 다른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3개의 반원형 오목상 절결(24B)도,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 위치가 각도 120도씩 다른 상태로 위치하고 있고, 또한, 1개의 원형 개구(24A)와 이것에 인접하는 반원형의 오목상 절결(24B)은, 둘레 방향 각도가 30도 다른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4는, 상기의 예에 있어서의 절결부를 구성하는 개구 및 오목상 절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의 측면도, (B)는 원형 개구(24A)의 둘레 방향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반원형의 오목상 절결(24B)의 둘레 방향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절결부(24)는, 구체적으로, 피복막(20)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의한 개구(24A) 및 피복막(20)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상 절결(24B)의 한쪽 또는 양쪽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개구(24A)가 원형일 경우 및 오목상 절결(24B)이 반원형일 경우에, 그 직경은, 예를 들면 0.05 ~ 0.15mm이며, 이들의 수는, 예를 들면 1 ~ 20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절결부(24)의 합계 면적, 즉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에 있어서의 노출면 부분의 합계 면적이 0.01mm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24)를 구성하는 개구(24A)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그 밖의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지만, 피복막(20)에 있어서의 절결부(24)에 기인하는 파손의 가능성이 작으므로, 개구(24A)는 원형, 오목상 절결(24B)은 반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정사각형의 개구(24A)와, 삼각형의 오목상 절결(24B)이 형성된 피복막(20)의 예를 나타내는, 도 3과 같은 전개도이다.
또한, 절결부(24)를 구성하는 개구(24A) 및 오목상 절결(24B)의 배열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와이어 본체(10)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으로 여러 열의 배치로 하는 것 등의 여러 가지 태양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무질서한 배치이어도 좋다. 도 6은, 반원형의 오목상 절결(24B)과 함께, 2열의 원형의 개구(24A)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이 되는 배치로 형성된 피복막(20)의 예를 나타내는, 도 3과 같은 전개도이다.
이상과 같이, 절결부(24)를 구성하는 개구 및 오목상 절결의 수, 각각의 형상 및 배치는 상당히 큰 자유도로 정할 수 있지만, 이들 각각에 있어서의 최대 폭의 치수, 즉 선단부(14)의 노출면 부분에 있어서의 최대 폭의 치수는, 당해 생체내 유치 부재를 형성하는 1차 코일재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실제상,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피복막(20)의 두께가 작은 경우에도, 선행 배치된 동일 구성의 생체내 유치 부재, 즉 누전성 부재가,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의 노출면 부분에 의한 가열용 전극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저해되는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의 구성에 따라, 직경 0.23mm, 길이 1800mm의 스테인리스제 와이어 본체(10)를 준비하고, 코일체에 의해 형성된 선단으로부터 길이 1700mm의 영역의 외주면이 피복되도록,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된 두께 0.02 ~ 0.04mm의 피복막(20)을 형성하고, 선단에 잇따르는 영역에 있어서의 피복막(20)에, 도 3에 나타낸 태양을 따라, 코일체의 외주면을 노출시킨 원형의 개구(24A)와 반원형의 오목상 절결(24B)로 이루어진 절결부(24)를 형성했다. 개구(24A) 및 오목상 절결(24B)에 관한 원의 직경은 0.06mm이며, 3개의 개구(24A)의 중심을 지나는 둘레 방향 라인의 위치는, 그 피복막(20)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기단부 방향으로 0.8mm의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의 코일체 내에, 열가용성의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직경 0.1mm, 길이 5mm의 원기둥 로드 모양의 접속 부재(16)의 기단 부분을 삽입해서 시아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했다. 한편, 플래티나 합금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외경 0.25mm의 1차 코일재를 외경이 2mm가 되도록 코일 감기하여 2차 코일체를 형성함으로써 생체내 유치 부재(18)를 얻고, 이 생체내 유치 부재(18)의 1차 코일재의 코일 구멍 내에, 그 접속 부재(16)의 선단 부분을 삽입해서 시아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접 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하고, 이에 의하여 의료용 와이어를 제작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제의 용기(30)에 고주파 전원 장치(36)로부터의 어스 전극(31)을 접착하고, 그 용기(30) 내에 생리식염수(32)를 채워서 온도 37℃로 보온했다. 한편, 내경 1.75mm, 길이 600mm의 가이딩 카테터(33)를 용기(30)에 고정해서 그 선단이 생리식염수(32) 중에 잠긴 상태로 했다. 또한, 가이딩 카테터(33)의 근위부(proximal part)에 마련되어진 분기 접속부(34)로부터, 내경 0.4mm, 전장 1500mm의 마이크로 카테터(35)를, 그 선단이 생리식염수(32)에 잠기도록 고정했다.
이상의 구성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 카테터(35)의 용기(30) 밖의 근위 조작부로부터 상기 의료용 와이어를, 그 생체내 유치 부재(18)를 선두로 도입해서, 접속 부재(16)와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가 마이크로 카테터(35)의 개구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진입시켰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본체(10)의 선단부(14)에, 생체내 유치 부재(18)와 동일한 구성 및 형태를 갖는 다른 생체내 유치 부재로 이루어진 누전성 부재(38)가 접촉한 상태로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와이어 본체(10)의 기단부(12)에 고주파 전원 장치(36)의 출력 단자(37)를 접속하고, 주파수 300kHz, 전력 0.7W의 고주파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생체내 유치 부재의 이탈 테스트를 행했다.
그 결과,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16)는 순식간에 용단하고, 생체내 유치 부재(18)가 이탈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선행 배치된 생체내 유치 부재 등의 누전성 부재가 와이어 본 체의 선단부에 접촉한 상태로 되는 경우에도, 그 의료용 와이어의 선단부에 있어서는, 비도전성의 피복막에 의해, 누전성 부재가 가열용 전극부인 코일체의 노출면 부분, 즉 전극 형성부에 접촉하는 것이 유효하게 저해되고, 그 결과, 누전성 부재에 누전함이 방지되기 때문에, 접속 부재를 확실히 용단할 수 있어서 생체내 유치 부재를 확실히 이탈시키는 것이 명확하다.
(비교예 1)
의료용 와이어로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구성의 것을 사용한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체내 유치 부재의 이탈 테스트를 행한 바, 접속 부재(52)는 용단하지 않고, 생체내 유치 부재(54)는 이탈되지 않았다.
이상으로부터,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대하여 누전성 부재가 접촉하면, 누전이 생기고, 접속 부재를 용단시킬 수 없으며, 생체내 유치 부재를 이탈시킬 수 없음이 이해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생체내 유치 부재로서는 여러 가지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코일 이외의 혈전 형성 부재, 그 밖의 유치에 의한 의료 작용 또는 의료상의 보조 작용 등을 갖는 여러 가지 생체내 유치 부재를 도전성 와이어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치료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도전성의 와이어 본체와, 이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열가용성의 접속 부재를 거쳐서 접속된 생체내 유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본체를 통해서 용단용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가열되어서 용단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생체내 유치 부재가 이탈되는 의료용 와이어로서,
    상기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전극 형성부의 외주면에는 비도전성의 피복막이 형성되어 있고, 그 피복막을 통해서 그 와이어 본체의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음에 의하여 가열용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용 전극부가, 상기 피복막에 형성된 미소한 복수의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결부의 합계 면적이 0.01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막의 두께가, 0.001 ~ 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개구, 또는 피복막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된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오목상 절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피복막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된 오목상 절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상기 피복막에서, 그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된 3개의 반원형의 오목상 절결과, 그것에서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형성된 3개의 원형의 개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내 유치 부재가, 금속 필라멘트로 된 코일재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피복막에 형성된 절결부는, 그 최대폭의 치수가, 그 생체내 유치 부재를 형성하는 코일재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내 유치 부재가, 플래티나, 텅스텐, 금, 탄탈, 이리듐, 팔라듐 및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막의 재질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 수지, 폴리 불화 알킬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및 폴리이미드로부터 선택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KR1020077009381A 2004-10-29 2005-10-27 의료용 와이어 KR101202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5131 2004-10-29
JPJP-P-2004-00315131 2004-10-29
PCT/JP2005/019800 WO2006046651A1 (ja) 2004-10-29 2005-10-27 医療用ワ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544A KR20070072544A (ko) 2007-07-04
KR101202369B1 true KR101202369B1 (ko) 2012-11-16

Family

ID=3622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381A KR101202369B1 (ko) 2004-10-29 2005-10-27 의료용 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21371B2 (ko)
EP (1) EP1806104B1 (ko)
JP (1) JP4740150B2 (ko)
KR (1) KR101202369B1 (ko)
WO (1) WO2006046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8107A (zh) * 2004-10-29 2007-10-03 株式会社钟化 医疗用线
ATE521289T1 (de) * 2005-12-19 2011-09-15 Boston Scient Ltd Aus einem flachband gewonnene spiralen zur embolisation
JP5986320B2 (ja) * 2012-10-19 2016-09-06 クック・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自己巻取り式スタイレット針デバイス
FR3008304B1 (fr) * 2013-07-15 2016-04-01 Balt Extrusion Endoprothese pour le traitement notamment d'un anevrisme
CA2934555C (en) 2013-12-20 2020-07-07 Microvention, Inc. Device delivery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2733A1 (en) * 2002-06-27 2004-01-01 Clifford Teoh Integrated anchor coil in stretch-resistant vaso-occlusive coi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0070B2 (ja) * 1994-03-31 1999-04-05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US5458596A (en) * 1994-05-06 1995-10-17 Dorsal Orthoped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contraction of soft tissue
JP3007022B2 (ja) * 1995-05-19 2000-02-07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加熱用高周波電源装置
US5770994A (en) * 1995-11-02 1998-06-23 Cooper Industries, Inc. Fuse element for 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JP3754145B2 (ja) * 1996-09-20 2006-03-08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US5785706A (en) * 1996-11-18 1998-07-28 Daig Corporation Nonsurgical mapping and treatment of cardiac arrhythmia using a catheter contained within a guiding introducer containing openings
US5984929A (en) * 1997-08-29 1999-11-16 Target Therapeutics, Inc. Fast detaching electronically isolated implant
US6478773B1 (en) * 1998-12-21 2002-11-12 Micrus Corporation Apparatus for deployment of micro-coil using a catheter
JP4191301B2 (ja) 1999-02-10 2008-12-03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ATE377395T1 (de) * 1999-06-02 2007-11-15 Sethel Interventional Inc Intrakorporale verschlussvorrichtung
US6893442B2 (en) * 2002-06-14 2005-05-17 Ablatrics, Inc. Vacuum coagulation probe for atrial fibrillation treatment
US7572257B2 (en) * 2002-06-14 2009-08-11 Ncontact Surgical, Inc. Vacuum coagulation and dissection prob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2733A1 (en) * 2002-06-27 2004-01-01 Clifford Teoh Integrated anchor coil in stretch-resistant vaso-occlusive co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40150B2 (ja) 2011-08-03
WO2006046651A1 (ja) 2006-05-04
US8021371B2 (en) 2011-09-20
JPWO2006046651A1 (ja) 2008-05-22
EP1806104A1 (en) 2007-07-11
EP1806104B1 (en) 2016-08-24
US20090227899A1 (en) 2009-09-10
EP1806104A4 (en) 2015-01-14
KR20070072544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9161A (en) Medical wire and method for leaving implanted devices
JP3754145B2 (ja)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EP2444010B1 (en) Medical implant detachment systems
US6224610B1 (en) Shape memory polymer intravascular delivery system with heat transfer medium
US6500149B2 (en) Apparatus for deployment of micro-coil using a catheter
EP2967573B1 (en) Vaso-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ES2650870T3 (es) Sistema de administración de dispositivo vaso-oclusivo
JP5677955B2 (ja) 複合脱離機構
JP4872913B2 (ja) 医療用ワイヤ
JPH08322941A (ja) 電気分解的に離脱可能な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送達カテーテル
EP1255493A1 (en) Intraluminal delivery device
KR101202369B1 (ko) 의료용 와이어
US11045252B2 (en) Stent delivery system including anode-type electrical cautery tip
JP2020151543A (ja) 先細りしたコアワイヤと単一ループヒューズの分離による血管閉塞装置分離システム
WO2006046652A1 (ja) 医療用ワイヤ
JPH11197250A (ja) 生体内留置部材配置用ワイヤー装置
US20090306701A1 (en) Vascular access sheath with integrated return electrode
CA2441396C (en) Apparatus for deployment of micro-coil using a catheter
JP4463191B2 (ja) 生体留置部材用プッシャーワイヤー
CN217744483U (zh) 一种电解脱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