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043B1 -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4043B1 KR101194043B1 KR1020100044521A KR20100044521A KR101194043B1 KR 101194043 B1 KR101194043 B1 KR 101194043B1 KR 1020100044521 A KR1020100044521 A KR 1020100044521A KR 20100044521 A KR20100044521 A KR 20100044521A KR 101194043 B1 KR101194043 B1 KR 1011940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prefabricated panel
- connecting member
- retaining wall
- wall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151 fibre-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986 polymer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78 shot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71 Silver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47 structural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7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대상지반에 보강재를 매립 긴장시키고, 기초부 상에 조립식 패널을 적층시키되, 상기 조립식 패널의 상?하부 말단에 형성된 요부(凹部)와 돌출부의 끼움결합과, 수직고정핀을 이용하여 조립식 패널을 상호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시킨 후에 상기 조립식 패널과 상기 보강재 사이를 연결재로 서로 연결시킨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보강재 및 조립식 패널을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배면의 보강재와 조립식 패널이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조립식 패널의 색채 등을 통하여 벽체 외관을 아름답게 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웨지유닛과 패널의 정착부를 사용함으로써 불량한 조립식 패널의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옹벽 구조물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buried portion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a prefabricated panel by embedding a reinforcing material in a target ground and stacking a prefabricated panel on a foundation. ), And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 which a front wall is formed by stacking prefabricated panels using vertical fixing pins to form a front wall, and connec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reinforcement to each other with a connecting materia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and the prefabricated panel firmly, the reinforcement on the back and the prefabricated panel independently acts structurally strong, beautifully beautify the appearance of the wall through the color of the prefabricated panel, etc. By using the wedge unit and the fixing part of the panel,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repair the poor prefabricated panel, and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simplifie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and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대상지반에 보강재를 매립 긴장시키고, 기초부 상에 조립식 패널을 적층시키되, 상기 조립식 패널의 상?하부 말단에 형성된 요부(凹部)와 돌출부의 끼움결합과, 수직고정핀을 이용하여 조립식 패널을 상호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시킨 후에 상기 조립식 패널과 상기 보강재 사이를 연결재로 서로 연결시킨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buried portion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a prefabricated panel by embedding a reinforcing material in a target ground and stacking a prefabricated panel on a foundation. ), And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 which a front wall is formed by stacking prefabricated panels using vertical fixing pins to form a front wall, and connec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reinforcement to each other with a connecting materia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종래에는 도로, 철도의 사면, 공원지역의 비탈면, 하천제방 및 해안도로 등의 옹벽을 시공할 때, 주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방법을 통해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여 왔다. 현장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은, 일반적으로 지반굴착 - 기초콘크리트 타설 -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 - 뒷 채움 공사 - 주변 포장복구 등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Conventionally, when retaining walls such as roads, railway slopes, slopes of park areas, river embankments, and coastal roads, concrete retaining walls have been constructed mainly by plac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field.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retaining wall by site casting is generally proceeded by ground excavation-foundation concrete casting-concrete placement of this structure-backfill construction-repair of surrounding pavement.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 시공방법은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모든 작업을 현장에서 직접 시행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has a number of problems as follows because all the work for form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performed directly in the field.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하여야 하며, 오랜 시간의 콘크리트의 양생 기간 등이 필요하다. 즉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는데 긴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며, 이에 따라 공사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our concrete at the site, formwork must be installed and dismantled, and a long curing period of concrete is required.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 because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to form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ly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공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차량통행 차단과 우회도로 확보 등으로 인해 시민불편이 가중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에 장기간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옹벽의 전면에 미려한 문양을 인위적으로 표현하기가 어려워 주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the construction period gets long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onvenience of citizens is increased due to the blocking of vehicle traffic and securing the detour road, and the long-term exposure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difficult, and it is difficult to artificially express the beautiful patterns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There was a problem that hurts the beauty.
한편, 일반적으로 앵커(anchor)를 이용한 옹벽은 경사지의 사면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 패널을 형성하고, 상기 패널과 경사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앵커를 소정의 간격으로 긴장되게 설치하여 상기 콘크리트 패널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와 그 전면의 패널은 경사지의 사면을 따라 밀착되어 경사지의 산사태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anchor (anchor) forms a concrete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long the slope of the slope, and after placing and curing the concrete between the panel and the slope, to tension the anch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concrete panel. The cured concrete and the panel on the front thereof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pe of the slope to prevent landslides of the slope.
그러나, 이와 같은 앵커를 이용한 옹벽은 토압을 견디기 위해 패널을 두껍게 제작하여야 하고, 수압판을 별도로 구비하는 등의 운반과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retaining wall using such an anchor has to make the panel thick to withstand earth pressu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and construct a separate hydraulic plate.
또한, 패널에 색채를 넣어 외관을 아름답게 미화할 수는 있으나, 패널벽체와 대상 지반간의 결착력이 떨어지므로 우천시 빗물 등에 의하여 대상 지반의 토압에 의해 패널벽체가 쉽게 무너질 수 있는 구조적인 결함을 안고 있고, 대상지반을 숏크리트층으로 옹벽을 구출할 경우에는 대상지반을 어느 정도 안정되게 할 수 있으나,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은 미적 결함을 안고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eautify the appearance beautifully by adding color to the panel, but sinc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anel wall and the target ground is reduced, there is a structural defect that the panel wall can be easily collapsed due to earth pressure of the target ground due to rainwater during rainy weather. When the retaining wall is rescued by the shotcrete layer, the ground can be stabilized to some extent, but it has an aesthetic defect that is not good in appearance.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40091호는 배면 토공부의 표면을 숏크리트층으로 타설하고, 배면 토공부 내에 앵커되는 지지 보강대에 블록 벽체를 연결시킨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배면 토공부 전체 표면을 숏크리트로 타설시킴으로써 많은 시공기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지지 보강대와 블록벽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지지 보강대의 연장부 사이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아 지지 보강대의 연장부에 연결봉이 있는 지지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고,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연결부재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0440091 discloses the construction of the block-type retaining wal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placing the surface of the rear earthwork portion with a shotcrete layer, connecting the block wall to the support reinforcement anchored in the rear earthwork portion In this case, the entire surface of the rear earthwork part is casted with shotcrete, which requires a lot of construction time and cost, and the connecting rod is not extended exactly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ing reinforcement and the block wall and the extension of the supporting reinforc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ing plate to be rotatably coupled, and this coupling requires an additional connec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대상지반에 보강재를 매립 긴장시키고, 콘크리트 기초부 상에 조립식 패널을 적층시키되, 상기 조립식 패널의 상?하부 말단에 형성된 요부와 돌출부의 끼움결합과, 수직고정핀을 이용하여 조립식 패널을 상호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조립식 패널과 상기 보강재 사이를 연결재로 서로 연결시킬 경우, 배면의 보강재와 패널이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구조적으로 튼튼하며 외관상으로도 아름답게 미화할 수 있는 옹벽을 경제적으로 축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Thus,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a result of embedding and tensioning the reinforcing material on the target ground, and laminated the prefabricated panel on the concrete foundation, recesses and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refabricated panel When the prefabricated panels are laminated to each other using a vertical coupling pin and vertical fastening pins to form a front wall, and then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reinforcem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connecting material, the back reinforcement and the panel act independently to structural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retaining wall, which is strong and can beautify beautifully, can be economically constructed.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튼튼하며 외관상으로도 아름답게 미화할 수 있는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at are structurally strong and can beautify beautifully in appearance.
본 발명은 대상지반 내부에 그 상부가 돌출되게 지지되는 보강재; 상기 연결재 상부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내부에 장착된 웨지유닛이 구비된 수압판; 상기 수압판과 상기 수압판을 관통한 보강재를 결착시키는 체결부; 상기 웨지유닛과 일측 말단이 끼움결합되는 연결재; 상기 연결재의 타측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호 끼움결합되는 조립식 패널; 상기 조립식 패널 하부를 지지하는 기초부; 상기 조립식 패널을 관통시킨 연결재 상부를 관통하여 조립식 패널에 정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지압판; 및 상기 지압판을 관통한 연결재 상부와 체결되는 정착부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inforcement that is supported to project the upper portion inside the target ground; A hydraulic plate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penetrates, and a wedge unit mounted therei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rough hole; A fastening part for binding the hydraulic plat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penetrating the hydraulic plate; A connection member to which one end of the wedge unit is fitted; A prefabricated panel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fitted together; A base for suppor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 pressure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penetra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nd be fixed to the prefabricated panel; And it provides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fix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aterial penetrating the pressure plate.
본 발명은 또한, (a) 대상지반을 소정 각도로 천공하여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홀을 형성한 다음, 상기 천공홀에 보강재 상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보강재가 삽입된 천공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그라우팅재가 고결되면 수압판에 보강재 상부를 관통시킨 다음 상기 보강재를 체결부로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수압판에 형성된 웨지유닛에 연결재 일측을 끼움 결합하는 단계; (e) 대상지반 하단에 터파기를 하여 기초부를 설치한 다음, 조립식 패널 및 지압판에 상기 웨지유닛에 끼움결합된 연결재의 타측 상부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기초부 상부에 조립식 패널을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f) 상기 조립식 패널과 대상지반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메우는 단계; 및 (g) 상기 지압판을 관통시킨 연결재 상부에 정착부를 결합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drilling the target groun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drilling hole with a constant diameter, and inser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to protrude in the drilling hole; (b) injecting a grouting material into the drilling hole into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nserted; (c) when the grouting material is fixed, penet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to the hydraulic plate and then fixing the reinforcement to the fastening portion; (d) fitting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wedge unit formed on the hydraulic plate; (e) Installing a foundation by digging at the bottom of the target ground, and then sequentially penetrates the other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aterial fitted to the wedge unit to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pressure plate, and laminated the prefabricated panel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wall. Forming a; (f) filling earth and sand in the space between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target ground; And (g)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coupling and fastening the fixing uni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the pressure plate.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보강재 및 조립식 패널을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조립식 패널의 색채 등을 통하여 벽체 외관을 아름답게 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웨지유닛과 패널의 정착부를 사용함으로써 연결재의 영향 없이 불량한 패널의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옹벽 구조물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trong by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and the prefabricated panel firmly, and can not only beautify the exterior of the wall through the color of the prefabricated panel, but also by using the fixing unit of the wedge unit and the panel. It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repair the poor panel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panel, and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simplified, so that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일실시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웨지유닛의 일부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웨지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체결부 일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체결부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조립식 패널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조립식 패널의 정면도이고, (b)는 조립식 패널의 측면도이며, (c)는 조립식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조립식 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조립식 패널의 정면도이고, (b)는 조립식 패널의 측면도이며, (c)는 조립식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적층된 조립식 패널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적층된 조립식 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정착부 일부 절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조립 과정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wedge unit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y view of the wedge unit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nel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of the prefabricated panel, (b) is a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panel,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panel. .
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nel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of the prefabricated panel, (b) is a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panel,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panel. .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minated prefabricated panel of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aminated prefabricated panel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assembly process diagram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대상지반 내부에 그 상부가 돌출되게 지지되는 연결재; 상기 보강재 상부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내부에 장착된 웨지유닛이 구비된 수압판; 상기 수압판과 상기 수압판을 관통한 보강재를 결착시키는 체결부; 상기 웨지유닛과 일측 말단이 끼움결합되는 연결재; 상기 연결재의 타측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호 끼움결합되는 조립식 패널; 상기 조립식 패널 하부를 지지하는 기초부; 상기 조립식 패널을 관통시킨 연결재 상부를 관통하여 조립식 패널에 정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지압판; 및 상기 지압판을 관통한 연결재 상부와 체결되는 정착부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the connection member is supported to project the upper portion inside the target ground; A hydraulic plat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pass and a wedge unit mounted therei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rough hole; A fastening part for binding the hydraulic plat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penetrating the hydraulic plate; A connection member to which one end of the wedge unit is fitted; A prefabricated panel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being fitted to each other; A base for suppor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 pressure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penetra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nd be fixed to the prefabricated panel; And it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penetrating the pressure plate.
보다 구체적으로, 대상지반에 보강재를 매립 긴장시키고, 기초부 상에 조립식 패널을 적층시키되, 상기 조립식 패널의 상?하부 말단에 형성된 요부와 돌출부의 끼움결합과, 수직고정핀을 이용하여 조립식 패널을 상호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조립식 패널과 상기 보강재 사이를 연결재로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조립식 패널의 색채 등을 통하여 벽체 외관을 아름답게 미화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material is buried in the target ground, and the prefabricated panel is laminated on the base, and the prefabricated panel is formed by fitting the recesses and protrusion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refabricated panel, and using the vertical pins. By stacking the front wall to form a front wall and connec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reinforcement with each other as a connecting member, the exterior of the wall can be beautifully beautified through the color of the prefabricated pane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보강재가 통상적인 앵커를 사용한 경우의 옹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보강재가 바타입의 앵커를 사용한 경우의 옹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retaining wall structure when the reinforcement uses a conventional anchor, and FIG. 2 schematically shows a retaining wall structure when the reinforcement uses a bar type anchor.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보강재(5), 수압판(10), 체결부(15), 연결재(20), 조립식 패널(25), 기초부(30), 지압판(35) 및 정착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inforcing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5)는 강봉, 강연선, 강관 및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통상적인 앵커, 록볼트, 네일 등이고, 상기 보강재(5)가 천공홀 중앙에 위치하도록 보강재의 자유장에 설치되는 간격재(95), 상기 보강재(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 하부에 체결되는 정착장치(100)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재(5)는 적정 위치의 지반을 굴착한 다음, 소정의 각도로 천공하고 천공된 일정한 직경의 천공홀(1)에 보강재(5)를 삽입한 후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을 수행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본 발명에 따른 수압판(10)은 보강재(5) 상부를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미도시)과 소정 간격을 두고 수압판(10) 내부에 웨지유닛(11)이 장착되어 있다.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수압판(10)은 보강재(5)에 설계하중을 가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집중응력이 걸리는 대상지반을 보호하고자 응력분산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수압판(10) 설치시 펀칭전단파괴에 대한 검토 후에 수압판(10)의 두께 및 크기를 조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aulic plate (10) is to be installed for stress distribution to protect the target ground that takes relatively concentrated stress when the design load is applied to the reinforcement (5), punching shear failure when installing the hydraulic plate (10) After review for adjusting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hydraulic plate (10).
본 발명에 있어서, 웨지유닛(11)은 연결재(20)를 수압판(10)에 고정시키는 부재로,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연결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웨지(12); 상기 다수개로 분할 형성된 웨지(12)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재(13); 상기 웨지(12) 상부에 설치되어 웨지의 임의 이동제한과 연결재의 완전한 체결을 위해 여유공간을 형성시키는 탄성체(14); 및 상기 웨지(12) 및 탄성체(14)를 씌워진 상태로 체결되는 웨지커버(16)를 포함된다(도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웨지(12)는 중공을 가진 원뿔의 형상을 하되 축 방향을 따라 다수 즉, 2~3개로 분리되며, 원뿔 형태로 접촉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부(미도시)에 오링(O-ring) 등과 같은 탄성 연결부재(13)가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원뿔의 형태가 유지되는 동시에, 외주면 하단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잘 벌어지는 구조가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체(14)는 웨지의 임의의 이동제한과 연결재의 완전한 체결을 위해 여유공간을 갖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웨지커버(16)는 연결재(20)가 물리는 웨지(12)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면 중앙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하향 관통 형성된 중공은 내경이 일정한 상부중공과 상부중공의 하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며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원뿔형 하부중공을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고, 상단부만 개구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 일부에 수압판 내부와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웨지(12), 탄성 연결부재(13) 및 탄성체(14)를 씌워진 상태로 체결된다.
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지유닛(11)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지유닛(11)의 조립 과정도로, 상기 웨지유닛(11)은 웨지(12)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부(미도시)에 탄성 연결부재(13)가 결합되고, 웨지커버(16) 하부에는 탄성체(14)가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14)가 삽입된 일측에는 상기 탄성 연결부재(13)가 결합된 웨지(12)를 삽입한 다음, 연결재(20)를 끼워 밀착시킨다.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이와 같은 웨지유닛(11)에 연결재(20)를 삽입하여 밀착시키면 연결재(20)의 말단부 걸린 웨지(12)가 하강하면서 하부중공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웨지의 상단부가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웨지(12)의 중공 내로 연결재(20)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바, 연결재(20)에 부여된 외부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웨지(12)가 상승하면서 그 외주면이 하부중공의 내주면에 밀착된다.When the
따라서, 연결재(20)를 잡아당기게 되면, 웨지(12) 내부에 형성된 돌기의 영향으로 반대방향의 힘이 발생함에 따라 웨지(12)의 중공 내주면이 연결재(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연결재(20)가 웨지(12)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본 발명에 있어서, 체결부(15)는 긴장된 보강재(5)를 상기 수압판(10)과 함께 벽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압판(17), 체결유닛(18) 및 보호캡(19)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5)의 지압판(17)은 앵커 시공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플레이트일 수 있고, 체결부(15)의 체결유닛(18)은 보강재가 강봉, 강관,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인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너트일 수 있고, 보강재가 강연선인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웨지(wedge) 등의 쐐기를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15 serves to fix the
또한, 체결부(15)의 보호캡(19)은 체결유닛(18)으로 체결된 보강재(5) 선단부를 씌어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제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통하여 지압판(17) 선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5)는 보강재의 종류와 보강재 시공 후에 설계하중에 따라 크기 및 재질이 결정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보강재가 벽체와 일체화됨에 따라 보강재의 인발 및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사면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ntegrated with the wal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pulling and pull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lope.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재(20)는 수압판(10)과 조립식 패널(25)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강연선 등과 같은 휨강도, 인장응력 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수압판(10) 내부에 장착된 웨지유닛(11)과 일측 말단이 끼움결합되고, 타측은 조립식 패널(25) 및 지압판(35)을 관통하여 장착부(40)와 체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재(20)는 휨강도, 인장응력 등이 우수한 강연선 또는 강봉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조립식 패널과의 직접 연결할 수 있고, 유동성이 좋아 연결재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홀과 연결재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도 연결재의 영향을 전혀 주지 않고 체결이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nect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20)는 수압판(10) 내부에 철재의 원형파이프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 파이프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연결재가 구비되고, 수압판(10) 및 조립식 패널(25)과의 접촉부위에는 철재의 원형파이프와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 파이프의 지름차이로 인한 미세한 틈새를 보강하기 위해 방수용 보호재(75)로 피복되어 연결재의 방수 및 방청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패널(25)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20) 상부를 삽입하도록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전방 상?하부에 다수의 받침턱(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 말단에는 각각 요부(凹部)(54)와 돌출부(5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요부(54) 및 돌출부(53)에는 조립식 패널(25)을 조립하기 위한 수직고정핀(80)이 끼움결합되도록 끼움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 측단에는 전방에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측단에는 후방에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식 패널(25)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패널 다수개가 결합된 상태로 제작되는 조립식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패널(25)은 견고하게 상호 적층시키기 위해 상?하부 말단의 요부(凹部)(54)와 돌출부(53)에 형성된 끼움구멍(55)에 수직고정핀(80)을 끼운 다음, 일 측단 전방의 걸림턱(56)과 타 측단후방의 걸림턱(56)에 대응하여 적층시킬 조립식 패널(25)의 끼움구멍(55)을 상기 적층된 조립식 패널(25)의 끼움구멍(55)에 끼워진 수직고정핀(80)에 끼워 수직으로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도 9 및 도 10).Thus, th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식 패널(25)은 규사 등과 같은 잔골재, 탄산칼슘 등과 같은 충진재, 유리섬유와 같은 연결재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타크릴산메틸 모노머 등과 같은 결합재, 염료 및 광택재 등을 함유시켜 제조된 폴리머 콘크리트로,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동결융해에 대한 저하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개질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인장 및 휨강도 등의 역학적 성질이 우수하며, 흡수율이 낮고 방수성이 뛰어나고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도 우수하고, 색채, 광택 등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30)는 조립식 패널(25)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조립식 패널 하부에 대상지반의 외곽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으로, 기초부(30) 상부에는 조립식 패널(25)을 적층시킬 수 있도록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에는 수직고정핀이 끼울 수 있는 끼움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기초부의 끼움구멍(미도시)에 끼워진 수직고정핀(80)이 상기 조립식 패널의 끼움구멍(미도시)에 끼워져 견고하게 지지된다.In the
조립식 패널 및 기초부에 사용되는 수직고정핀(80)은 개당 길이가 30~50cm 정도가 적당하며, 재질이 은 강봉과 같은 철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압판(35)은 상기 조립식 패널(25)을 관통시킨 연결재(20) 상부를 관통하여 조립식 패널(25)에 연결재(20)가 결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으로, 집중 응력이 걸리는 지반 및 조립식 벽체(25)의 응력분산을 위해 설치된다. 상기 지압판(35)은 펀칭전단파괴에 대한 검토 후에 지압판의 두께 및 크기가 결정된다. 이러한 지압판(35) 상부면에 정착부(40)를 결합하여 상기 지압판(35)을 관통한 연결재(20)의 상부를 결착시켜 조립식 패널(25)과 일체화시킨다.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정착부(40)는 지압판(35)과의 탄성적으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단면이 C자형 모양의 간격유지링(101), 상기 간격유지링(101) 일측에 상하로 개구되고 경사진 내면의 웨지설치공간을 가지는 웨지헤드(102), 상기 웨지헤드(102)의 웨지설치공간에 대응하도록 외주면이 경사지고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웨지(12), 상기 다수개로 분할형성된 웨지(12)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재(미도시) 및 상기 간격유지링(101), 웨지헤드(102), 웨지(12) 및 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씌워진 상태로 체결되는 두부보호캡(103)을 포함한다(도 11 및 도 1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본 발명에 있어서, 간격유지링(101)은 단면이 C자형 모양의 링 형태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지압판(35)과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손상된 조립식 패널(25)를 회수할 경우에는 두부보호캡(103)을 분리한 다음, 인장기로 보강재를 소정의 인장력으로 긴장하게 되면 C자형 간격유지링(101)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발생하고 C자형 간격유지링(101)의 개구부가 웨지헤드(102)의 돌출부와 일직선으로 위치시켜 간격유지링(101)을 분리시킨 다음, 간격유지링이 분리된 후에 웨지(12)를 제거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생겨 웨지(12)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손상된 조립식 패널을 보강재(5)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웨지헤드(102)는 두부보호캡(10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간격유지링(101) 일단부에 요부에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간격유지링(101)과 끼움결합되고, 상하로 개구되며, 경사진 내면의 웨지설치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연결재(20)가 물리는 웨지(12)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면 중앙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며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원뿔형 하부중공을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나사부는 암나사 또는 숫나사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웨지(12)는 전술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가진 원뿔의 형상을 하되 축 방향을 따라 다수 즉, 2~3개로 분리되며, 원뿔 형태로 접촉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부에 오링 등과 같은 탄성 연결부재(미도시)가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원뿔의 형태가 유지되는 동시에, 외주면 하단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잘 벌어지는 구조가 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에 있어서, 두부보호캡(103)은 내주면에 암사나 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연결재(20)와 결합된 웨지(12), 웨지헤드(102), 탄성 연결부재(13) 및 간격유지링(101)을 씌운 다음, 상기 간격유지링(10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추가적인 연결부재 없이 보강재 및 조립식 패널(25)을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조립식 패널(25)의 색채 등을 통하여 벽체 외관을 아름답게 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웨지유닛(11)과 정착부(40)를 사용함으로써 불량한 조립식 패널의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옹벽 구조물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소요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trong by firmly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and the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대상지반을 소정 각도로 천공하여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홀을 형성한 다음, 상기 천공홀에 보강재 상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보강재가 삽입된 천공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그라우팅재가 고결되면 수압판에 천공홀에 돌출된 보강재 상부를 관통시킨 다음, 상기 보강재를 상기 체결부로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수압판에 형성된 웨지유닛에 연결재 일측을 끼움 결합하는 단계; (e) 대상지반 하단에 터파기를 하여 기초부를 설치한 다음, 조립식 패널 및 지압판에 상기 웨지유닛에 끼움결합된 연결재의 타측 상부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기초부 상부에 조립식 패널을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f) 상기 조립식 패널과 대상지반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메우는 단계; 및 (g) 상기 지압판을 관통시킨 연결재 상부에 정착부를 결합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a) drilling a target groun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drilling hole with a constant diameter, and then inserting a reinforcing material to protrude into the drilling hole; (b) injecting a grouting material into the drilling hole into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nserted; (c) when the grouting material is fixed, penetrating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protruding from the drilling hole to the hydraulic plate, and then fixing the reinforcing material to the fastening part; (d) fitting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wedge unit formed on the hydraulic plate; (e) Installing a foundation by digging at the bottom of the target ground, and then sequentially penetrates the other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aterial fitted to the wedge unit to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pressure plate, and laminated the prefabricated panel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wall. Forming a; (f) filling earth and sand in the space between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target ground; And (g)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coupling and fastening the fixing uni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the pressure plate.
이하, 본 발명의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하기와 같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적정 위치의 지반을 굴착한 다음, 소정의 각도로 천공하여 일정한 직경의 천공홀(1)을 형성시킨다. 이때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 방향, 하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천공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of an appropriate position is excavated, and then dri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drilled
이와 같이 천공된 천공홀(1)에 보강재(5) 상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하고, 그라우팅재를 천공홀(1)에 주입하여 그라우팅을 수행한다. 상기 그라우팅재가 고결되면 수압판(10)에 천공홀(1)에 돌출된 보강재(5) 상부를 관통시킨 다음, 상기 연결재(5)를 긴장시켜 체결부(15)로 고정하여 보강재(5)를 벽체(2)와 일체화시킨다. 연결재(5)를 고정시킨 수압판(10) 내부에 형성된 웨지유닛(11)에 연결재(20) 일측을 끼움 결합시킨다.The
대상지반 하단에 터파기를 하여 기초부(3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웨지유닛(11)에 끼움결합된 연결재(20)의 타측 상부를 조립식 패널(25) 및 지압판(35)에 순차적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기초부(30) 상부에 조립식 패널(25)을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시킨다.After the
상기 기초부(30)는 조립식 패널(25)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조립식 패널(25) 하부에 대상지반의 외곽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으로, 기초부(25) 상부에는 조립식 패널(25)을 적층시킬 수 있도록 요부(凹部)(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에는 수직고정핀(80)이 끼울 수 있는 끼움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기초부의 끼움구멍에 끼워진 수직고정핀(80)이 상기 조립식 패널의 끼움구멍(미도시)에 끼워져 견고하게 지지된다.The
또한, 조립식 패널(25)은 견고하게 상호 적층시키기 위해 상?하부 말단의 요부(凹部)와 돌출부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수직고정핀을 끼운 다음, 일 측단 전방의 걸림턱과 타 측단후방의 걸림턱에 대응하여 적층시킬 조립식 패널의 끼움구멍을 상기 적층된 조립식 패널의 끼움구멍에 끼워진 수직고정핀에 끼워 수직으로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전면벽체를 이룬 조립식 패널(25)과 대상지반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메운다음, 조립식 패널(25) 및 지압판(35)을 관통시킨 연결재(20)를 긴장시킨 다음, 상기 연결재 상부에 정착부(40)를 결합체결하여 마무리한다.
After filling the earth and sand in the space between the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앵커, 락볼트 또는 네일링 공법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중력식 옹벽의 형성이 어려운 지반이나, 시공여건상 급경사의 절토가 필요한 경우, 급경사 절토면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상지반에 보강재(5)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치가능하며, 상향인 경우 배수겸용 쏘일네일을 연결재로 사용하여 별도의 배수시설의 설치 없이 보강재의 역할과 배수공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chors, rock bolts or nailing methods, etc., if the ground is difficult to form a gravity retaining wall, or if the need for steep slope cutting is required under construction conditions, it can be applied stably to a steep cut surface. Reinforcement (5) can be installed in the ground upwards or downwards, and in the case of upwards, by using a combined drainage nail as a connecting material, it can simultaneously play the role of reinforcement and the role of drain hole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drainage facility.
또한, 보강재(5)와 조립식 패널(25)이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강재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존의 옹벽 방식보다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조립식 패널(25)을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조립식 패널의 두께는 얇아지고 콘크리트의 강도가 더욱 증진되 패널의 균열 및 안정성이 증대되며 조립식 패널(25)의 색채 등을 통하여 벽체 외관을 아름답게 미화할 수 있다. 또한, 웨지유닛(11)과 정착부(40)를 사용함으로써 불량한 조립식 패널(25)의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옹벽 구조물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소요 시간이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Having described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specific description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ill be.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1: 천공홀 2: 대상지반
5: 보강재 10: 수압판
11:웨지유닛 12: 웨지
13: 탄성 연결부재 14: 탄성체
15: 채결부 16: 웨지커버
17: 지압판 18: 체결유닛
19: 보호캡 20: 연결재
25: 조립식 패널 30: 기초부
35: 지압판 40: 정착부
51: 관통홀 52: 받침턱
53: 돌출부 54: 요부(凹部)
55: 끼움구멍 56: 걸림턱
75: 방수용 보호재 80: 수직고정핀
89: 합성수지 100: 정착장치
101: 간격유지링 102: 웨지헤드
103: 두부보호캡
1: drilling hole 2: target ground
5: reinforcement 10: hydraulic plate
11: Wedge Unit 12: Wedge
13: elastic connecting member 14: elastic body
15: binding part 16: wedge cover
17: pressure plate 18: fastening unit
19: protective cap 20: connecting member
25: prefabricated panel 30: foundation
35: pressure plate 40: fusing unit
51: through hole 52: support jaw
53: protrusion 54: recess
55: fitting hole 56: locking jaw
75: waterproofing protection material 80: vertical fixing pin
89: synthetic resin 100: fixing device
101: spacing ring 102: wedge head
103: tofu protective cap
Claims (10)
대상지반 내부에 그 상부가 돌출되게 지지되는 보강재;
상기 보강재 상부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내부에 장착된 웨지유닛이 구비된 수압판;
상기 수압판과 상기 수압판을 관통한 보강재를 결착시키는 체결부;
상기 웨지유닛과 일측 말단이 끼움결합되는 연결재;
상기 연결재의 타측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호 끼움결합되는 조립식 패널;
상기 조립식 패널 하부를 지지하는 기초부;
상기 조립식 패널을 관통시킨 연결재 상부를 관통하여 조립식 패널에 정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지압판; 및
상기 지압판을 관통한 연결재 상부와 체결되는 정착부.
Retaining wall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which is support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target ground;
A hydraulic plat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pass and a wedge unit mounted therei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rough hole;
A fastening part for binding the hydraulic plat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penetrating the hydraulic plate;
A connection member to which one end of the wedge unit is fitted;
A prefabricated panel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being fitted to each other;
A base for suppor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 pressure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penetrating the prefabricated panel and be fixed to the prefabricated panel; And
A fixing unit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plate.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prefabricated panel is made of polymer concrete.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el bars, strands, steel pipes, and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According to claim 1, The wedge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dges having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inserted; An elastic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edges formed into a plurality; An elastic body installed on the wedge to limit any movement of the wedge; And a wedge cover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wedge and the elastic body are covere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unit is a cross-section for maintaining a gap with the pressure plate C-shaped interval maintaining ring; A wedge head having a wedge installation space of an inner surface inclined upwardly and downwardly on one side of the gap retaining ring; A wedge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in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dge installation spaces of the wedge head; An elastic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ivided wedges; And a head protection cap fastened in a state where the gap retaining ring, the wedge head, the wedge, and the elastic connection member are covered.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on a portion installed inside the hydraulic plate, and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hydraulic plate and the assembled panel is coated with a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fabricated panel has a plurality of base jaw is formed in the front upper and lower, and the recess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o assemble the prefabricated panel in the recess and the protrusion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hole is formed so that the vertical fixing pin for binding, one side end is formed with a latching jaw in the front, the other side end is formed with a latching jaw.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a strand or a steel bar.
(a) 대상지반을 소정 각도로 천공하여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홀을 형성한 다음, 상기 천공홀에 보강재 상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보강재가 삽입된 천공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그라우팅재가 고결되면 수압판에 보강재 상부를 관통시킨 다음 상기 보강재를 긴장시킨 후 체결부로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수압판에 형성된 웨지유닛에 연결재 일측을 끼움 결합하는 단계;
(e) 대상지반 하단에 터파기를 하여 기초부를 설치한 다음, 조립식 패널 및 지압판에 상기 웨지유닛에 끼움결합된 연결재의 타측 상부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기초부 상부에 조립식 패널을 적층시켜 전면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f) 상기 조립식 패널과 대상지반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메우는 단계; 및
(g) 상기 지압판을 관통시킨 연결재 상부에 정착부를 결합체결하는 단계.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perforating the target ground at an angle to form a perforation hole with a constant diameter, and then inser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to protrude into the perforation hole;
(b) injecting a grouting material into the drilling hole into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nserted;
(c) when the grouting material is fixed, penet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to the hydraulic plate and then tensioning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hen fixing the fastening part;
(d) fitting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wedge unit formed on the hydraulic plate;
(e) Installing a foundation by digging at the bottom of the target ground, and then sequentially penetrates the other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aterial fitted to the wedge unit to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pressure plate, and laminated the prefabricated panel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wall. Forming a;
(f) filling earth and sand in the space between the prefabricated panel and the target ground; And
(g) coupling the fixing unit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penetrating the pressure plate.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edetermined angle of the step (a)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upward direction, a downward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in a horizontal pla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4521A KR101194043B1 (en) | 2010-05-12 | 2010-05-12 |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4521A KR101194043B1 (en) | 2010-05-12 | 2010-05-12 |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5010A KR20110125010A (en) | 2011-11-18 |
KR101194043B1 true KR101194043B1 (en) | 2012-10-24 |
Family
ID=4539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4521A KR101194043B1 (en) | 2010-05-12 | 2010-05-12 |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404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6054B1 (en) * | 2015-10-27 | 2017-02-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ulti step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multi step reinforcement wall |
KR102459218B1 (en) | 2022-01-28 | 2022-10-26 | 이지디텍터 주식회사 |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6919B1 (en) | 2015-09-03 | 2017-02-15 | 자연 김 | Panel retaining walls with displacement forecas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822412B1 (en) * | 2017-11-22 | 2018-01-29 | (주)알지오기술 | Rear reinforcement panel and rear reinforcement panel construction method for lamina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0130B1 (en) | 2007-07-13 | 2008-03-06 |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 Hedgeless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crude steel polymer modified concrete and tensile anchor |
JP2009121231A (en) | 2007-10-23 | 2009-06-04 | Kyokado Eng Co Ltd | Reinforced-soil structure and fixture for banking reinforcing material |
-
2010
- 2010-05-12 KR KR1020100044521A patent/KR10119404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0130B1 (en) | 2007-07-13 | 2008-03-06 |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 Hedgeless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crude steel polymer modified concrete and tensile anchor |
JP2009121231A (en) | 2007-10-23 | 2009-06-04 | Kyokado Eng Co Ltd | Reinforced-soil structure and fixture for banking reinforcing materia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6054B1 (en) * | 2015-10-27 | 2017-02-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ulti step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multi step reinforcement wall |
KR102459218B1 (en) | 2022-01-28 | 2022-10-26 | 이지디텍터 주식회사 |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5010A (en) | 2011-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7800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019480B1 (en) | Pane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wivel coupler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023660B1 (en) | Retaining wall using anchor and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KR10110509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is precast retaining wall panel using precast retaining wall panel and semi-dry backfill | |
KR100873408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emi precast concrete panel | |
KR20110024476A (en) | Stream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and composite shell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 |
JP2018021383A (en) | Embankment slope protection method | |
KR101194043B1 (en) |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CN210562163U (en) | Prefabricated prestressed anchor rod piece | |
KR100955469B1 (en) | Nail reinforcemen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wheel type reinforcement with spacing function and construction confirmation device | |
KR100817901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of Perforated Slope | |
KR101077949B1 (en) | Block for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
CN110158497A (en) | A kind of high cantilever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913346B1 (en) |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pile reinforcement pile and top pile | |
KR101390683B1 (en) |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110137644A (en) | Column fix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111153B1 (en) | Retaining Wall Panel Structure using PC Strand | |
KR200426635Y1 (en) | On-site pouring top pile with connecting groove | |
KR100862387B1 (en) | Top down construction method of tension kit for top down construction of acupressure permanent anchor | |
KR102388496B1 (en) | Extension panel of cut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498342B1 (en) | The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e aritificial wall of the nature stone shape to use anchor | |
CN218346208U (en) | Permanent side slope supporting structure based on reinforced concrete pile | |
KR100919921B1 (en) | Retaining wall using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10086663A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slope stability using connecting wire | |
KR101307403B1 (en) | The slope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blocks of natural stone tex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