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896B1 - 개폐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896B1
KR101189896B1 KR1020117005651A KR20117005651A KR101189896B1 KR 101189896 B1 KR101189896 B1 KR 101189896B1 KR 1020117005651 A KR1020117005651 A KR 1020117005651A KR 20117005651 A KR20117005651 A KR 20117005651A KR 101189896 B1 KR101189896 B1 KR 10118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utral
latch
return operation
clos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574A (ko
Inventor
에이지 이타미
다케시 니시키베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05B81/68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e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Abstract

본 발명의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체 제어장치는, 클로즈 영역, 릴리스 영역, 및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되는 변위체; 및 변위체가 중립 영역의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중립 감지 제1 스위치를 구비하는 동시에, 변위체의 클로즈 동작 후에 상기 변위체를 클로즈 영역에서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때, 클로즈 동작에서 검출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을 나타내는 전환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전환정보에 따라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개폐체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CLOSING BODY}
본 발명은, 래치(latch)와 스트라이커(striker)의 결합 상태를 확립시키는 클로즈(close) 조작 및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release) 조작을 모터의 동작에 기초한 회동 변위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개폐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추에이터의 출력축을 정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잠금 조작을 수행하고,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잠금 해제 조작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도어록 조작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의 동력을 받는 변위체로서의 피동 기어(driven gear)를 일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래치를 회동시켜 스트라이커를 인입하는 클로즈 동작을 수행하고, 피동 기어를 타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래치와 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폴을 회동시키는 릴리스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용 도어 클로저 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섹터 기어와 같은 모터 동력을 받는 변위체를 중립 영역을 기준으로 릴리스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릴리스 기능 및 변위체를 중립 영역을 기준으로 클로즈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인입하는 클로즈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릴리스 기능 또는 클로즈 기능을 실행한 후에, 모터 동력에 의해 변위체를 중립 영역으로 변위시키는 경우, 모터 정지 제어를 위해 스위치 등의 중립 감지 수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립 감지 수단이 고장난 경우에는, 변위체가 변위 종단까지 이동하게 될 우려가 있다. 즉, 클로즈 동작 실행 후에 중립 영역에서 정지되지 않고 릴리스 동작으로 이행하게 되어, 일단 폐쇄된 도어가 개방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릴리스 동작 실행 후에 중립 영역에서 정지되지 않고 클로즈 동작으로 이행하게 되어, 일단 개방된 도어가 폐쇄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하기에 개시하는 비특허문헌 1이 있다.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클로저 유닛이 섹터 기어의 중립 위치(뉴트럴 스위치의 OFF 상태)를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전원 투입시에 섹터 기어의 중립 위치로 복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뉴트럴 스위치 상태(정상 상태 또는 고장 상태)의 감시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 투입시에 섹터 기어를 중립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뉴트럴 스위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도어가 개방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전원 투입시에 의도하지 않고 래치를 해제하여 도어가 프리한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에리시온 서비스 매뉴얼 구조편(윈도우 & 도어 파워 테일게이트 컨트롤 시스템 8-48 ~ 8-49 혼다기껜고교 가부시키가이샤 2004년 5월 5일 발행)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개폐체가 개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개폐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제어장치의 특징 구성은,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고, 스트라이커의 인입과 개방을 수행하는 래치; 래치 조작기구를 통해 상기 래치를 조작하는 동시에, 상기 래치를 인입 상태로 만드는 클로즈 영역, 상기 래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릴리스 영역, 및 상기 클로즈 영역과 상기 릴리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되는 변위체; 및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변위체의 클로즈 동작 후에 상기 변위체를 상기 클로즈 영역에서 상기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때, 클로즈 동작에서 검출된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을 나타내는 전환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전환정보에 따라 상기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 구성으로 하면, 전원 재투입 등에 의해 전환정보의 기억이 사라져 버려 제1 감지신호의 상태가 불확정인 경우에, 의도적으로 클로즈 동작 후의 중립 복귀 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고 래치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의도에 반한 개폐체의 개폐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때,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있는 경우에는, 지난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를 참조하고,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는, 이번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를 참조하면 적합하다.
제1 감지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라도, 클로즈 동작 중에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변위체가 이동한 시점에서 전원 재투입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유닛은 전원 재투입 후의 처리에 있어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하면, 클로즈 동작 중에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변위체가 이동한 시점에서 전원 재투입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전원 재투입 전에 기억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정보가 지난 전환정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전환정보를 참조하여 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1 감지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는, 지난 전환정보가 참조되지 않고 이번 전환정보가 참조되기 때문에, 제1 감지부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되게 되는 것도 억제된다.
또한, 상기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래치가 상기 래치의 회전을 규제하는 폴측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변위체를 제어하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래치가 기계적 끝점까지 회동되어 어느 한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 기계적 끝점의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다음 래치의 회동에서 시동하기 어렵거나 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의 회동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변위체를 폴측으로 회동하는 제어는, 상기 변위체가 적어도 상기 제어 개시 후 상기 중립 영역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 미만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또는 상기 변위체의 이동량이 상기 제어 개시 후 상기 변위체가 중립 영역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이동량 미만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이동량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되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래치가 기계적 끝점으로 회동된 경우라도, 개폐체를 개폐시키지 않고 다음 래치의 시동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개폐체 제어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개폐체 제어장치로서 적용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환정보에 따라 상기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있어서도, 차량 주행 중에는 상기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차량이 구비하는 개폐체가 상기 차량 주행 중에 탑승자가 의도하지 않은 곳에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개폐체 제어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스트라이커 및 도어록 장치의 확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어 개폐 조작기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어 개폐 조작기구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각 스위치의 출력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어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클로즈 동작에 관계되는 섹터 기어의 회동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릴리스 동작에 관계되는 섹터 기어의 회동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지나치게 인입한 경우의 도어 개폐 조작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개폐체 제어장치가 수행하는 처리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제어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체 제어장치(100)를, 차량이 구비하는 슬라이드 도어(3)의 개폐를 수행하는 경우, 즉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개폐체 제어장치로서 적용한 경우의 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체는 차량이 구비하는 슬라이드 도어(3)가 해당된다. 도 1은 개폐체 제어장치(100)를 탑재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구비하는 스트라이커(2) 및 도어록 장치(4)의 확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는 개폐체 제어장치(100)를 탑재한 차체(1)와 슬라이드 도어(3) 사이에 설치된 도어 개폐장치(4)가 도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개폐장치(4)는 슬라이드 도어(3)측에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와 차체(1)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스트라이커(2)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 개폐장치(4)와 함께, 슬라이드 도어(3)를 개방했을 때에 나타나는 차체(1)의 개구부의 차량 후방측에 설치된다. 물론, 개구부의 차량 전방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3)의 외측 측면에는 오픈 핸들(3a)이 설치된다.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는 슬라이드 도어(3)의 잠금 동작과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의 잠금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의 해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록 장치(4)는 스트라이커(2)의 인입과 개방을 수행하는 래치(41), 래치(41)의 회전을 래칫(ratchet) 방식으로 규제하는 폴(42), 및 래치(41)나 폴(42)을 조작하는 래치 조작기구(50)를 가지며 구성된다. 래치(41)는 스트라이커(2)를 슬라이드 도어(3)의 본체측에 인입 조작할 수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된다.
래치 조작기구(50)에 조작 변위를 부여하기 위해, 모터(61), 상기 모터(61)의 회전을 변속하는 변속 기어 쌍으로서 기능하는 피니언 기어(62), 및 래치 조작기구(50)를 통해 래치(41)를 조작하는 섹터 기어(본 발명에 따른 변위체에 해당)(63)가 구비된다. 섹터 기어(63)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에 배치된 회동축(63a)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섹터 기어(63)는 래치(41)를 인입 상태로 만드는 클로즈 영역, 래치(41)를 개방 상태로 하는 릴리스 영역, 및 클로즈 영역과 릴리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 된다. 이러한 이동은 모터(61)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실현된다.
래치(41)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에 배치된 지지축(41a)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 등(미도시)에 의해 도 3의 (a)와 같은 복귀 자세로 가압된다. 래치(41)에는 제1 아암부(411) 및 제2 아암부(412)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스트라이커(2)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부(413)가 형성된다. 제1 아암부(411)에는 하프 래치 위치에서 폴(42)의 접촉 작용부(421)에 결합하는 하프 결합면(414)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아암부(412)에는 풀 래치 위치에서 폴(42)의 접촉 작용부(421)에 결합하는 풀 결합면(415)이 형성된다.
폴(42)은 지지축심(42a) 주위에서 결합 자세와 이탈 자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러한 결합 자세나 이탈 자세에 있어서, 폴(42)의 접촉 작용부(421)가 래치(41)의 제1 아암부(411)나 제2 아암부(412)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폴(42)은 스프링 등(미도시)에 의해 결합 자세로 복귀하도록 가압된다.
래치(41)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로서, 래치(41)와 일체적으로 지지축(41a) 주위를 회동하는 피검출통에 로터리 스위치형의 하프 래치 스위치(81)와 풀 래치 스위치(82)가 설치된다. 하프 래치 스위치(81)는 래치(41)가 하프 래치 영역에 있는 것을 감지한다. 풀 래치 스위치(82)는 래치(41)가 풀 래치 영역에 있는 것을 감지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프 래치 스위치(81)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래치(41)가 개방 위치로부터 하프 래치 위치의 바로 앞에 도달했을 때에 High(온)에서 Low(오프)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풀 래치 스위치(82)는 래치(41)가 하프 래치 위치로부터 풀 래치 위치의 바로 앞에 도달했을 때에 High(온)에서 Low(오프)로 전환된다.
도 3으로 되돌아와서 폴(42)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로서, 폴(42)과 일체적으로 지지축(42a) 주위를 회동하는 피검출통에 로터리 스위치형의 폴 스위치(83)가 설치된다. 폴 스위치(83)는 폴(42)이 래치(41)와 결합 자세인 것을 감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 스위치(83)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42)이 래치(41)의 제1 아암부(411)와 결합하는 하프 래치 위치를 포함한 그 바로 앞의 영역에 위치해 있을 때에 High(온)가 된다. 또한, 폴 스위치(83)는 폴(42)이 래치(41)의 제2 아암부(412)와 결합하는 풀 래치 위치를 포함한 그 바로 앞의 영역에 위치해 있을 때에 High(온)가 된다. 즉, 슬라이드 도어(3)의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 폴 스위치(83)의 1회째 하강점이 하프 래치 위치에 대응되며, 2회째 하강점이 풀 래치 위치에 대응된다.
래치 조작기구(50)는 클로즈 조작기구(51)(도 3 참조)와 릴리스 조작기구(52)(도 4 참조)를 갖는다. 클로즈 조작기구(51)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변위를 입력으로 하고 래치(41)에 대한 회동 조작을 출력으로 한다. 릴리스 조작기구(52)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변위를 입력으로 하고 폴(42)에 대한 회동 조작(결합 이탈 조작)을 출력으로 한다. 클로즈 조작기구(51)가 기능하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영역인 클로즈 영역과 릴리스 조작기구(52)가 기능하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영역인 릴리스 영역은 중립 영역을 사이에 두고 다르게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따라서, 클로즈 조작기구(51)와 릴리스 조작기구(52)는 따로따로 동작한다.
섹터 기어(63)와 일체적으로 회동축(63a) 주위를 회동하는 피검출통에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변위 자세를 감지하는 로터리 스위치형의 제1 감지부로서의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와 제2 감지부로서의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가 설치된다.
도 6은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90)의 개략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어유닛(90)의 입력 포트에는 하프 래치 스위치(81), 풀 래치 스위치(82), 폴 스위치(83),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가 접속된다. 또한, 제어유닛(90)의 출력 포트에는 도시되지 않은 드라이버를 통해 모터(61)가 접속된다. 또한, 이 제어유닛(90)은 차량의 상태를 평가하여 차량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상태 평가 ECU(80)와도 접속되어, 슬라이드 도어(3)의 개폐와 관련된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래치 상태 평가부(91), 폴 평가부(92), 변위체 위치 평가부(93), 타이머 제어부(94), 모터 제어부(95), 전환정보 기억부(96)로 구성된다. 제어유닛(90)은 CPU를 중핵 부재로 하여 슬라이드 도어(3)를 개폐하는 여러 가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술한 기능부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그 양자로 구축하고 있다.
래치 상태 평가부(91)는 하프 래치 스위치(81)나 풀 래치 스위치(8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래치(41)의 상태를 평가한다. 폴 평가부(92)는 폴 스위치(83)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폴(42)의 상태를 평가한다. 변위체 위치 평가부(93)는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로부터의 제1 감지신호나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로부터의 제2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를 평가한다. 타이머 제어부(94)는 내부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타이머 제어를 수행한다. 모터 제어부(95)는 래치 상태 평가부(91)나 폴 평가부(92)나 변위체 위치 평가부(93)의 평가 결과 및 타이머 제어부(94)의 타이머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61)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전환정보 기억부(96)는 섹터 기어(63)의 클로즈 동작에서 검출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을 나타내는 전환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스트라이커(2)를 래치(41)에 인입하는 클로즈 동작은 섹터 기어(63)를 통해 클로즈 조작기구(51)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스트라이커(2)를 래치(41)로부터 개방하는 릴리스 동작은 섹터 기어(63)를 통해 릴리스 조작기구(52)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클로즈 동작 및 릴리스 동작을 유도하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영역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로즈 영역과 릴리스 영역이 중립 영역을 사이에 두도록 구분된다. 또한, 중립 영역의 클로즈측 경계부에 소정의 회동폭을 갖는 제1 경계부가 설정되고, 중립 영역의 릴리스측 경계부에 소정의 회동폭을 갖는 제2 경계부가 설정된다. 제1 경계부의 중립 영역측 경계선을 제1 중립 위치로 하고, 제2 경계부의 중립 영역측 경계선을 제2 중립 위치로 하여 설정된다.
섹터 기어(63)가 클로즈 영역을 클로즈 영역측의 회동 종단인 제1 회동 종단을 향해 회동(도 8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클로즈 동작이 유도된다(도 8의 (a) 참조). 섹터 기어(63)의 클로즈 동작 후(클로즈 동작 종료 후)에, 섹터 기어(63)를 클로즈 영역에서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제1 복귀 동작(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제1 복귀 동작에서는, 섹터 기어(63)가 반전 회동(도 8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클로즈 영역을 빠져나와 중립 영역으로 들어가고, 제1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또한, 섹터 기어(63)가 릴리스 영역을 제2 회동 종단을 향해 회동(도 8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릴리스 동작이 유도된다(도 8의 (b) 참조). 계속해서, 섹터 기어(63)의 릴리스 동작 후(릴리스 동작 종료 후)에, 섹터 기어(63)를 릴리스 영역에서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제2 복귀 동작(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제2 복귀 동작에서는, 섹터 기어(63)가 반전 회동(도 8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릴리스 영역을 빠져나와 중립 영역으로 들어가고, 제2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상술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는 섹터 기어(63)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피검출통의 둘레면에 형성된 전극면과 이 전극면에 섹터 기어(63)의 특정 회동 범위에서 접촉하는 브러시를 갖는다.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전극면은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클로즈 영역 또는 제1 경계부인 경우에 브러시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는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의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전환되는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는 제1 감지신호로서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클로즈 영역 또는 제1 경계부일 때에 High 신호를 출력한다. 그 밖의 회동 위치에서는 Low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도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 전극면은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릴리스 영역 또는 제2 경계부인 경우에 브러시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는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의 릴리스 영역측 제2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전환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는 제2 감지신호로서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릴리스 영역 또는 제2 경계부일 때에 High 신호를 출력한다. 그 밖의 회동 위치에서는 Low 신호를 출력한다.
도 3 및 도 4로 되돌아와서 클로즈 동작 및 릴리스 동작에 있어서의 섹터 기어(63)와 래치(41)와 폴(42)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의 (a) 내지 (d)는 클로즈 동작과 그 후의 중립 복귀 동작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a) 내지 (d)는 릴리스 동작과 그 후의 중립 복귀 동작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클로즈 동작은 차체(1)에 대해 개방된 슬라이드 도어(3)를 폐쇄할 때에 수행된다. 슬라이드 도어(3)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릴리스 동작에 부수되는 중립 복귀에 의해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는 도 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2 중립 위치가 된다. 개방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도어(3)를 폐쇄 방향으로 움직이면, 슬라이드 도어(3)측에 배치된 도어 개폐 조작기구(40)가 차체(1)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에 근접한다. 계속해서,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에 있어서의 래치(41)의 삽입홈부(413)가 스트라이커(2)를 수용한다.
슬라이드 도어(3)를 더욱 움직이면,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42)의 접촉 작용부(421)가 래치(41)의 제1 아암부(411)와 결합한다(하프 래치 위치). 래치(41)가 하프 래치 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 모터(61)가 정회전 구동하여 섹터 기어(63)가 회동한다. 섹터 기어(63)가 회동하면 클로즈 조작기구(51)와 연동되고, 래치(41)가 모터 동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또, 이 단계에서는 슬라이드 도어(3)가 차체(1)에 대해 완전히 폐쇄되지는 않는다.
섹터 기어(63)가 더욱 클로즈 영역의 최종 회동 위치까지 회동하면, 도 3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42)의 접촉 작용부(421)가 래치(41)의 제2 아암부(412)와 결합한다(풀 래치 위치). 이 단계에서 슬라이드 도어(3)가 차체(1)에 대해 완전히 폐쇄된다.
클로즈 동작이 종료되면, 섹터 기어(63)의 중립 복귀를 위해 모터(61)가 역회전 구동한다. 도 3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제1 중립 위치에 도달하여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신호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변화하면, 거기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는 슬라이드 도어(3)의 폐쇄 동작을 수행한다.
릴리스 동작은 차체(1)에 대해 폐쇄된 슬라이드 도어(3)를 개방할 때에 수행된다. 슬라이드 도어(3)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먼저 수행되고 있는 클로즈 동작에 부수되는 중립 복귀에 의해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는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1 중립 위치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도어(3)의 오픈 핸들(3a)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모터(61)가 역회전 구동하면,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섹터 기어(63)가 릴리스 영역 방향으로 회동한다.
섹터 기어(63)가 회동하면 릴리스 조작기구(52)와 연동되고, 폴(42)이 결합 이탈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도 4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42)의 접촉 작용부(421)가 래치(41)로부터 이탈하면, 스프링 가압력에 의해 폴(42)은 이탈 자세인 홈 포지션(home position)으로 되돌아간다. 래치(41)도 스프링 가압에 의해 스트라이커(2)를 개방하는 자세로 되돌아간다. 이 단계에서 슬라이드 도어(3)가 차체(1)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릴리스 동작이 종료되면, 섹터 기어(63)의 중립 복귀를 위해 모터(61)가 정회전 구동한다. 도 4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제2 중립 위치에 도달하여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신호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변화하면, 거기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는 슬라이드 도어(3)의 개방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3)의 클로즈 동작이 종료되면, 섹터 기어(63)의 제1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제1 복귀 동작에서는, 섹터 기어(63)가 반전 회동하여 클로즈 영역을 빠져나와 중립 영역으로 들어가고, 제1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러한 제1 중립 위치의 검출은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이상 등에 의해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을 통과하여 릴리스 영역으로 돌입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특정하지 않고 래치(41)의 해제를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슬라이드 도어(3)의 개방 동작이 수행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섹터 기어(63)의 제1 복귀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제1 감지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복귀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은, 클로즈 동작에 연동되어 수행되는 제1 복귀 동작이다.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구비하는 전환정보 기억부(96)는, 이와 같은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전환을 나타내는 전환정보를 기억한다.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은,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의 이동에 따라 검출된 전환이다. 따라서, 전환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되는 전환정보는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제1 감지신호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전환이 있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따라서, 전환정보 기억부(96)는 제1 감지신호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 변화할 때의 엣지를 감시하고, 상기 엣지를 검출한 경우에, 전환정보 기억부(96)에 기억한다. 즉, 전환정보를 소위 선입선출 방식으로 기억한다. 또한, 이 전환정보에는 제1 감지신호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전환이 있었음과 함께 상기 전환이 있었던 타임 스탬프도 기억된다. 즉, 제1 감지신호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 전환된 시점의 시각 정보도 기억된다. 따라서,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전환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이 언제 일어났는지를 용이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전환정보 기억부(96)는 통전 중에는 최신 검출 결과만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유닛(90)은, 전환정보 기억부(96)에 검출 결과가 기억되어 있으면, 통전 중에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이행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전환정보 기억부(96)에 검출 결과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통전 중에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때, 클로즈 동작에서 검출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을 나타내는 전환정보에 따라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전환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된다. 그리고, 제어유닛(90)은,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때,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있는 경우에는, 지난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를 참조하고,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는, 이번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를 참조한다. 또, 지난 중립 복귀 동작은, 이제부터 수행하고자 하는 중립 복귀 동작(이번 중립 복귀 동작)보다 이전에 수행된 중립 복귀 동작이다.
따라서, 제어유닛(90)은,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때,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있는 경우에는, 지난 중립 복귀 동작시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에서 검출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을 나타내는 전환정보를 이용하여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한다. 즉,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라도, 클로즈 동작 중에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섹터 기어(63)가 이동한 시점에서 전원 재투입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유닛(90)은 전원 재투입 후의 처리에 있어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클로즈 동작 중에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섹터 기어(63)가 이동한 시점에서 전원 재투입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전원 재투입 전에 기억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정보가 지난 전환정보가 되기 때문에, 상기 전환정보를 참조하여 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는, 이번 중립 복귀 동작시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에서 검출된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을 나타내는 전환정보를 이용하여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는, 이번 전환정보가 참조되기 때문에,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의 전환정보를 이용하여 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유닛(90)은 확실하게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이행하고 있다고 특정할 수 있는 전환정보를 이용하여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 재투입 등에 의해 전환정보의 기억이 사라져 버리거나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이상 등에 의해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았거나 하여 제1 감지신호의 상태가 불확정인 경우라도, 적절히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의도하지 않고 래치가 해제되어 이용자의 의도에 반한 슬라이드 도어(3)가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전환정보 기억부(96)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2~3초 정도) 이상에서 통전이 정지된 경우에는, 지금까지 기억한 검출 결과가 소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등의 교환에 의해 전환정보 기억부(96)에의 통전이 정지된 경우에는, 전환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 결과는 소거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사정에 의해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유닛(90)은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언제 이동했는지를 특정할 수 없다.
또한, 제어유닛(90)은, 전환정보 기억부(96)에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에서 기억된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 래치(41)가 상기 래치(41)의 회전을 규제하는 폴(42)측으로 회동하도록 래치(41)를 제어한다. 즉, 전환정보 기억부(96)에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에서 기억된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는, 섹터 기어(63)가 언제 중립 영역에서 클로즈 영역으로 이동해 왔는지를 특정할 수 없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한하지 않고, 슬라이드 도어(3)를 폐쇄할 때, 래치(41)가 필요 이상으로 회동됨으로써 래치(41)가 기계적 끝점까지 회동되어 움직임이 규제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래치(41)가 스트라이커(2)를 지나치게 인입하여 폴(42)의 접촉 작용부(421)와 풀 결합면(415)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용자가 슬라이드 도어(3)를 수동 조작으로 개방하고자 한 경우에는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제어유닛(90)은 폴(42)에 래치(41)를 접촉시키도록 회동함으로써 래치(41)가 받는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래치(41)의 회전을 규제하는 폴(42)에 래치(41)를 접촉시키는 동작을 응력 완화 동작이라고 칭한다.
이와 같은 섹터 기어(63)를 폴(42)측으로 회동하는 제어가 되는 응력 완화 동작은, 섹터 기어(63)가 적어도 상기 제어 개시 후 중립 영역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 미만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또는 섹터 기어(63)의 이동량이 상기 제어 개시 후 중립 영역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이동량 미만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이동량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된다. 이와 같은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래치(41)가 기계적 끝점까지 회동되어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라도, 래치(41)를 기계적 끝점의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다음 회동에 있어서 시동하기 어렵거나 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의 회동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수행하는 처리에 관해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클로즈 동작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수행하는 처리는 개폐체 제어장치(100)에 전원 재투입이 있었는지 여부에 따라 처리가 달라진다. 따라서, 먼저, 전원 재투입이 있었는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전원 재투입은, 원래 통전되고 있던 전원 투입 상태로부터, 일단 통전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통전이 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는(스텝 #01: No), 슬라이드 도어(3)가 폐쇄됨에 있어서, 래치(41)의 삽입홈부(413)에 스트라이커(2)가 진입하여 래치(41)가 회동한다. 또한, 래치(41)가 회동하여 하프 래치 스위치(81)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전환되고, 하프 래치 상태가 검출되면(스텝 #02: Yes), 모터(61)를 정회전 구동함으로써 클로즈 동작이 개시된다(스텝 #03). 이 클로즈 동작은 래치(41)가 스트라이커(2)를 완전히 인입하여 풀 래치 위치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수행된다. 한편, 하프 래치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02: No), 하프 래치 상태가 검출될 때까지 처리가 보류된다.
래치(41)가 스트라이커(2)를 완전히 인입하여 풀 래치 위치가 되고, 슬라이드 도어(3)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되면(스텝 #04: Yes), 모터(61)는 정지된다. 제어유닛(90)은 전환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이 이제부터 수행하고자 하는 제1 복귀 동작에 기인하는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수행한다.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전환정보 기억부(96)에 지난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05: Yes), 또는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05: Yes)에는, 차량 주행 상태의 확인이 수행된다.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니면, 즉 차량이 정차 중이면(스텝 #051: No), 제어유닛(90)은 제1 복귀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06). 즉, 제어유닛(90)은 섹터 기어(63)의 클로즈 동작 후에, 섹터 기어(63)를 클로즈 영역에서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05에 있어서,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전환정보 기억부(96)에 지난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스텝 #05: No), 또는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스텝 #05: No)에는, 제어유닛(90)은 응력 완화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14).
이러한 응력 완화 동작은, 섹터 기어(63)가 적어도 상기 제어 개시 후 중립 영역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 미만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또는 섹터 기어(63)의 이동량이 상기 제어 개시 후 미리 설정된 이동량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된다.
한편, 스텝 #051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 중이면(스텝 #051: Yes), 스텝 #14부터 처리가 계속된다. 이와 같이, 제어유닛(90)은, 전환정보에 따라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있어서도, 차량이 주행 중이면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도어(3)가 차량 주행 중에 탑승자가 의도하지 않은 곳에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텝 #04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3)가 완전 폐쇄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04: No), 개폐체 제어장치(100)에 대한 통전이 끊겼는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통전이 끊기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13: No), 스텝 #04로 되돌아가 처리가 계속된다. 한편, 통전이 끊긴 경우에는(스텝 #13: Yes), 스텝 #05부터 처리가 계속된다.
스텝 #01로 되돌아와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에 전원 재투입이 있는 경우에는(스텝 #01: Yes), 그 시점에서 스트라이커(2)와 래치(41)의 관계가 하프 래치 상태인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이러한 확인은 하프 래치 스위치(81)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전환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하프 래치 상태가 검출되면(스텝 #07: Yes), 모터(61)를 정회전 구동함으로써 클로즈 동작이 개시되어(스텝 #03), 스텝 #04부터의 처리가 수행된다.
한편, 스텝 #07에 있어서 하프 래치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07: No), 섹터 기어(63)의 현재위치의 확인이 수행된다. 여기에서, 섹터 기어(63)의 현재위치는 상술한 변위체 평가부(93)에 의해 특정된다. 또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제1 감지신호와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제2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제1 감지신호가 High(온)이고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제2 감지신호가 Low(오프)인 경우에는, 섹터 기어(63)는 클로즈 영역 또는 제1 경계부에 위치해 있다고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제1 감지신호가 Low(오프)이고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제2 감지신호가 Low(오프)인 경우에는, 섹터 기어(63)는 중립 영역에 위치해 있다고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제1 감지신호가 Low(오프)이고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제2 감지신호가 High(온)인 경우에는, 섹터 기어(63)는 릴리스 영역 또는 제2 경계부에 위치해 있다고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섹터 기어(63)의 위치 특정이 수행된다.
섹터 기어(63)가 릴리스 영역 또는 제2 경계부에 있으면(스텝 #08: Yes), 섹터 기어(63)를 제2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제2 복귀 동작을 수행한다(스텝 #09).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섹터 기어(63)가 제1 경계부 및 제2 경계부를 제외한 중립 영역에 있는 경우(스텝 #10: Yes), 또는 클로즈 영역 또는 제1 경계부에 있는 경우(스텝 #12: Yes)에는, 섹터 기어(63)의 현재위치를 유지하여(스텝 #11)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섹터 기어(63)가 제1 경계부 및 제2 경계부를 제외한 중립 영역에 위치하지 않고(스텝 #10: No), 클로즈 영역 또는 제1 경계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스텝 #12: No), 스텝 #07로 되돌아가 처리를 계속한다. 이와 같은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처리가 수행된다.
[기타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제어하는 개폐체는 차량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도어(3)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개폐체로서 차량이 구비하는 백 도어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른 도어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도어에 한하지 않고 건물의 도어 등에 적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는 슬라이드 도어(3)측에 설치되고, 스트라이커(2)는 차체(1)측에 설치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를 차체(1)측에 설치하고, 스트라이커(2)를 슬라이드 도어(3)측에 설치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유닛(90)은, 전환정보 기억부(96)에,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에서 기억된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 래치(41)의 회전을 규제하는 폴(42)에 래치(41)를 접촉시킨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고장 등에 의해 제1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원래 전환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되어 있던 전환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라도, 섹터 기어(63)의 정확한 위치가 특정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경우, 래치(41)가 응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유닛(90)은 제1 복귀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응력 완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상태를 확립시키는 클로즈 조작 및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조작을 모터의 동작에 기초한 회동 변위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개폐체 제어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체 제어장치로서,
    스트라이커의 인입과 개방을 수행하는 래치;
    래치 조작기구를 통해 상기 래치를 조작하는 동시에, 상기 래치를 인입 상태로 만드는 클로즈 영역, 상기 래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릴리스 영역, 및 상기 클로즈 영역과 상기 릴리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되는 변위체; 및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변위체의 클로즈 동작 후에 상기 변위체를 상기 클로즈 영역에서 상기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때, 클로즈 동작에서 검출된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전환을 나타내는 전환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전환정보에 따라 상기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전환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래치가 상기 래치의 회전을 규제하는 폴측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변위체를 제어하는
    개폐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할 때,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있는 경우에는, 지난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를 이용하고,
    지난 중립 복귀 동작에서 이번 중립 복귀 동작 사이에 전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는, 이번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르는 클로즈 동작시에 기억된 전환정보를 이용하는
    개폐체 제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체를 폴측으로 회동하는 제어는,
    상기 변위체가 적어도 상기 제어 개시 후 상기 중립 영역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 미만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또는 상기 변위체의 이동량이 상기 제어 개시 후 상기 변위체가 중립 영역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이동량 미만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이동량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되는
    개폐체 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 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 제어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개폐체 제어장치로서 적용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환정보에 따라 상기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있어서도, 차량 주행 중에는 상기 중립 복귀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폐체 제어장치.
KR1020117005651A 2008-11-18 2009-10-28 개폐체 제어장치 KR101189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4609A JP5110390B2 (ja) 2008-11-18 2008-11-18 開閉体制御装置
JPJP-P-2008-294609 2008-11-18
PCT/JP2009/068505 WO2010058687A1 (ja) 2008-11-18 2009-10-28 開閉体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574A KR20110041574A (ko) 2011-04-21
KR101189896B1 true KR101189896B1 (ko) 2012-10-10

Family

ID=4219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651A KR101189896B1 (ko) 2008-11-18 2009-10-28 개폐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70246B2 (ko)
EP (1) EP2348173B1 (ko)
JP (1) JP5110390B2 (ko)
KR (1) KR101189896B1 (ko)
CN (1) CN102149888B (ko)
WO (1) WO2010058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3207B2 (ja) * 2009-07-24 2014-02-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DE102012025009A1 (de) * 2011-12-23 2013-06-27 Magna Closures S.P.A. System zum Feststellen des Betriebszustands eines Schlosses für eine Tür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Zusammensetzen dieses Systems
GB2511977B (en) * 2012-06-28 2015-08-12 Mitsui Kinzoku Act Corp Vehicle door closer device
CN104662243B (zh) * 2012-09-26 2017-09-12 爱信精机株式会社 车辆用远程控制装置
CN103334652B (zh) * 2013-06-05 2015-06-10 北京易斯路电子有限公司 推拉式车门自动锁
US9714532B2 (en) * 2013-07-11 2017-07-25 Inteva Products, Llc Latch assembly with pawl switch override device
JP5974026B2 (ja) * 2014-02-21 2016-08-23 シロキ工業株式会社 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KR101577214B1 (ko) * 2014-03-14 2015-12-14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JP6417636B2 (ja) * 2014-09-02 2018-11-0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ユニットの駆動装置
JP6356593B2 (ja) * 2014-12-18 2018-07-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DE102015108258A1 (de) 2015-05-26 2016-12-01 Rheinmetall Soldier Electronics Gmbh Halterung für Zusatzgeräte an Handwaffen
DE102015108739A1 (de) *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JP6553485B2 (ja) * 2015-11-06 2019-07-31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834293B2 (ja) * 2016-09-23 2021-02-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6946701B2 (ja) * 2017-04-07 2021-10-06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CN107130864B (zh) * 2017-06-05 2023-12-01 麦格纳汽车系统(苏州)有限公司 中控锁电动锁止解锁机构
JP7069092B2 (ja) * 2019-08-30 2022-05-17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係止装置
GB2604641A (en) * 2021-03-12 2022-09-14 Jaguar Land Rover Ltd Sensor arrangement for a power cinch system of a vehicle side door latch apparatus
JP7459374B2 (ja) 2021-03-30 2024-04-01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ドアラッ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105A (ja) * 2001-10-10 2003-04-23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2003120104A (ja) * 2001-10-04 2003-04-23 Denso Corp ドアロック駆動装置
JP2005163357A (ja) * 2003-12-02 2005-06-2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ドア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782A (ja) * 1985-10-30 1987-05-12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ツク制御装置
US6065315A (en) * 1994-11-18 2000-05-23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latch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5520425A (en) * 1993-12-21 1996-05-28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closing door latch device for motor vehicle
JP3180028B2 (ja) * 1996-05-24 2001-06-2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扉自動開閉装置
US5938252A (en) * 1996-08-22 1999-08-17 Asmo Co., Ltd. Door member locking/unlocking apparatus
US6386599B1 (en) * 1999-08-12 2002-05-14 John Phillip Chevalier Latch arrangement for automotive door
US6848727B1 (en) * 1999-02-18 2005-02-01 Atoma International Corp Power door latch assembly
CN2583293Y (zh) 2002-11-20 2003-10-29 南京康尼机电新技术有限公司 车辆门系统用的锁闭装置
JP4267934B2 (ja) * 2003-02-18 2009-05-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のドアロック機構
JP4267933B2 (ja) * 2003-02-18 2009-05-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4257126A (ja) 2003-02-26 2004-09-1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5051451B2 (ja) * 2007-12-27 2012-10-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操作装置
JP4706937B2 (ja) 2008-11-18 2011-06-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
JP5325014B2 (ja) * 2009-04-28 2013-10-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104A (ja) * 2001-10-04 2003-04-23 Denso Corp ドアロック駆動装置
JP2003120105A (ja) * 2001-10-10 2003-04-23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2005163357A (ja) * 2003-12-02 2005-06-2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ドア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21321A (ja) 2010-06-03
JP5110390B2 (ja) 2012-12-26
EP2348173B1 (en) 2018-04-25
KR20110041574A (ko) 2011-04-21
US8870246B2 (en) 2014-10-28
CN102149888B (zh) 2013-07-10
WO2010058687A1 (ja) 2010-05-27
EP2348173A1 (en) 2011-07-27
EP2348173A4 (en) 2014-12-03
US20110167730A1 (en) 2011-07-14
CN102149888A (zh)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896B1 (ko) 개폐체 제어장치
KR101205429B1 (ko) 개폐체 제어장치
JP5423207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4958433B2 (ja) 車両ドア制御方法および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JP5051451B2 (ja) 車両用ドア開閉操作装置
CN107916847B (zh) 包括具有棘轮保持功能的系拉机构的电力闭合闩锁组件
US6974165B2 (en)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JP6716827B2 (ja) 自動車ドアラッチ
CN107867155B (zh) 用于车辆的开闭体控制设备
US7397146B2 (en) Child lock apparatus
US10689888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4530912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4555731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6720109B2 (ja) ラッチ制御システム
US20220127896A1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ic Flap and/or Door
JP3154317B2 (ja) ロック制御装置
JP4459110B2 (ja) ドア開閉制御装置
KR200409205Y1 (ko)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
JP4566065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2007211522A (ja) 車両用安全装置
JP2006007973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および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