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436B1 - filter - Google Patents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5436B1 KR101185436B1 KR1020100042837A KR20100042837A KR101185436B1 KR 101185436 B1 KR101185436 B1 KR 101185436B1 KR 1020100042837 A KR1020100042837 A KR 1020100042837A KR 20100042837 A KR20100042837 A KR 20100042837A KR 101185436 B1 KR101185436 B1 KR 1011854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erration
- filter
- injection pipe
- rotation speed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차를 이용하여 여과통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입구와 회전입구를 별도로 두어 수차의 운전과 정지 메커니즘을 활용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for scraping foreign matter in the filter barrel using aber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utilizing a driving and stopping mechanism of aberration by separately injecting and rotating inl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차를 이용하여 여과통의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는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입구와 회전입구를 별도로 두어 수차의 운전과 정지 메커니즘을 활용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for scrap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filter by using aber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utilizing a driving and stopping mechanism of the aberration by separately injecting and rotating inlet.
종래 브러시의 회전축은 수동적으로 핸들을 돌리거나 기어모터 등의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시켜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는데, 수동 세척인 경우 브러시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Conventionally, the rotating shaft of the brush is manually rotated or driven by external power such as a gear motor to scrape off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case of manual cleaning,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rotating the brush.
별도의 모터로 브러시의 회전축을 돌리는 경우에는 유증기나 분진 등에 의해 폭발할 우려가 크고, 전력선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When the rotation axis of the brush is rotated by a separate moto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xplosion by oil vapor or dust, and it is difficult to use in an area where power line supply is difficult.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여과기로서, 예컨대 특허문헌1,2에 제시되어 있다. As a conventional filter for solving this, it is proposed, for example in
특허문헌1의 수차형 여과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5')의 회전축(6')에 수차(19)를 장착하여, 수차(19)의 회전 접선방향으로 배치된 주입관(2)으로 주입되는 유입수가 수차(19)를 돌리면서 여과시킨다.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aberration filter of
그런데, 유입수는 주입관(2) 1개로만 주입되기 때문에, 유입수가 들어오는 한 계속해서 수차(9)를 회전시키면서 여과통(4) 내로 유입된다. By the way, since the inflow water is injected into only one
따라서, 수차(19)는 연속운전을 하기 때문에 브러시(5')가 계속 여과통(4)을 긁으면서 마찰이 이루어져 브러시(5')의 교체주기가 빨라진다. Therefore, since the
또한, 주입관(2) 1개로만 유입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수차(19)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지 못해, 유입수의 유량이 많을 경우 큰 회전속도에 의해 회전축(6')에 무리를 주거나 브러시(5')의 마모속도를 높이고, 수차(19)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flow water flows into only one of the
또한, 유입수의 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유입속도가 낮아 수차(19)에 압력을 가하지 못해 회전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low rate of the influent is small, the inflow rate may be low, and may not be able to rotate du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한편, 특허문헌3에서는 도 13과 같이 이물질제거부(19)와 이물질흡입공(12)이 파이(ㅠ) 형상이어서, 이물질제거부(19)와 이물질흡입공(12)이 만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물질의 석션 흐름이 없어(즉 데드 존 형성) 여과통(11)의 전체 높이에 걸쳐 균일하게 이물질을 석션하지 못하여 이물질 제거 효율이 매우 낮다. On the other hand, in
또한, 여과기본체(1)의 바닥판에 이물질이 붙거나 침적되는 경우 드레인 밸브를 열어 배출하는데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여 여과기 전체를 분해 청소하기 주기 및 시점이 짧아 유지보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In addition, when foreign matter adheres to or deposits on the bottom plate of the filtration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물질 제거를 단속적으로 행하여 이물질제거효율을 높이면서도 브러시의 교체주기를 현저히 늘린 여과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removed intermittently to improve foreign material removal efficiency while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replacement period of the brush.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여과기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lter of
유입수가 주입되는 주입관과, 여과된 여과수가 출수되는 출수관이 측벽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탑재되는 여과통;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수차;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 상기 수차를 회전시키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는 구동주입관; 상기 유입수를 상기 주입관 또는 상기 구동주입관에 선택적으로 단속 주입시키는 유입수단속밸브를 포함한다. A housing in which an inlet tube into which inflow water is injected and an outlet tube through which filtered filtrate water is discharged are installed on sidewalls; A filter barrel mounted in the housing; A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filter barrel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berration installed in the rotation shaft;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lter barrel; A drive injection tube installed on a side wall of the housing so as to face a direction in which the aberration is rotated; And an inlet means check valve for selectively intermittently injecting the inflow water into the injection pipe or the driving injection pipe.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유입수의 여과와, 여과통의 이물질 제거를 단속적으로 행하여 이물질제거효율을 높이면서도 브러시의 교체주기를 현저히 늘린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여과기는, The filter of
상기 수차의 회전속력을 제어하는 수차회전속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aberration.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수차의 회전속력이 너무 작거나 큰 경우 발생되는 회전하지 않거나 파손될 우려를 제거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여과기는, The filter of
상기 수차회전속력제어부는 상기 구동주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체크밸브로 이루어진다. The aberration rotational speed control unit includes a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driving injection pipe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a flow control valve and a check valve installed at the branch pipe.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많거나 회전 속도를 줄이는 경우 유용하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본 발명의 청구항 4, 5에 기재된 여과기는, The filter of Claims 4 and 5 of this invention,
상기 수차회전속력제어부는 상기 구동주입관의 출구를 유선 형상의 노즐로 구현되거나, 상기 구동주입관의 내부에 장착된 노즐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treamlined nozzle at the outlet of the drive injection tube, or may be implemented as a nozzle mounted inside the drive injection tube.
청구항 4, 5의 구성에 의하면,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적을 경우 유용하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s 4 and 5, it is useful when the flow volume of a filter is small.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여과기는, The filter of Claim 6 of this invention,
상기 주입구는 상기 구동주입관보다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jection port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or below the drive injection tube.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주입관으로 주입되는 유입수가 수차에 가능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6, the inflow water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ipe does not have a possible influence on aberration.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여과기는, The filter of Claim 7 of this invention,
상기 주입관과 상기 수차 사이에 보호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rotective plate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injection tube and the aberration.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유입수가 갑자기 유입될 때 생기는 충격이 직접 수차에 전해지지 않는 역할을 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7, the impact which arises when inflow water abruptly flows does not directly transmit to aberration.
본 발명의 청구항 8, 9에 기재된 여과기는, The filter of
상기 수차는 오목한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erra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concave or convex shape.
청구항 8, 9의 구성에 의하면, 유입수의 유량(유속)이 낮거나 회전하는 힘이 많이 필요한 경우 오목한 모양이 유리하고, 유입수의 유량(유속)이 크거나 회전하는 힘이 적게 필요한 경우 볼록한 모양이 유리하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s of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유입수를 주입관과 구동주입관에 선택적으로 단속 주입시킴으로써, 유입수의 여과와 여과통의 이물질 제거를 단속적으로 행하여 이물질제거효율을 높이면서도 브러시의 교체주기를 현저히 늘린다. By selectively intermittently injecting the inflow water into the injection pipe and the driving injection pipe, intermittent filtration of the inflow water and removal of foreign matter from the filter can be performed intermittently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brush while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replacement period of the brush.
또한, 수차의 회전속력을 수차회전속력제어부로 제어함으로써, 수차의 회전속력이 너무 작거나 큰 경우 발생되는 회전하지 않거나 파손될 우려를 제거한다.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berration by the aberration rotational speed control unit, it eliminates the risk of not rotating or breakage generated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berration is too small or large.
또한, 수차회전속력제어부가 구동주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는 분기관, 분기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체크밸브로 이루어짐으로써,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많거나 회전 속도를 줄일 때 매우 유용한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is branched from the drive injection pipe, a flow control valve and a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branch pipe, when the use flow rate of the filter is very high or reduce the rotation speed It is a useful configuration.
또한, 수차회전속력제어부가 구동주입관의 출구를 유선 형상의 노즐로 구성되거나 구동주입관의 내부에 장착된 노즐로 구성됨으로써,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적을 경우 매우 유용하다. In addition, the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streamlined nozzle at the outlet of the drive injection pipe or a nozzle mounted inside the drive injection pipe, which is very useful when the flow rate of the filter is small.
또한, 주입구가 구동주입관보다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됨으로써, 주입구로 주입되는 유입수가 수차에 가능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port is disposed above or below the driving injection tube, so that the inflow water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ort does not have a possible influence on the aberration.
또한, 주입관과 수차 사이에 보호판이 더 설치됨으로써, 유입수가 갑자기 유입될 때 생기는 충격이 직접 수차에 전해지지 않게 한다. In addition, a protective plate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injection tube and the aberration, so that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inflow water suddenly flows in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aberration.
또한, 수차가 오목한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유입수의 유량(유속)이 낮거나 회전하는 힘이 많이 필요한 경우 오목한 모양이 유리하고, 유입수의 유량(유속)이 크거나 회전하는 힘이 적게 필요한 경우 볼록한 모양이 유리하다.
In addition, when the aberration is concave or convex, the concave shape is advantageous when the flow rate (flow rate) of the inflow water is low or a lot of rotational force is required, and when the flow rate (flow rate) of the inflow water is large or the force that requires little rotational force is required. The convex shape is advantageo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단속밸브와 수차회전속력제어부를 도시한 제1 및 제2구성도.
도 7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통체의 단면도.
도 11은 가이드판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수차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종래 다른 여과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Figure 4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the control valve and the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8 and 9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ber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ylin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the guide plat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filter.
12 is a plan view of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filtr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like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기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에 탑재되는 여과통(200),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0), 회전축(300)과 함께 회전하면서 여과통(200)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300), 회전축(4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우징(100)은 측벽(111)과 바닥판(113)으로 구성되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상면을 덮는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커버(120)에는 미도시된 에어 벤트용 밸브, 압력 게이지 및 압력 스위치용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The
측벽(111)의 일측에는 유입수가 주입되는 주입관(130)이 설치되고, 측벽(111)의 타측에는 여과수가 출수되는 출수관(150)이 설치되어 있다. One side of the
바닥판(113)에는 여과통(200)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관(1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물질배출관(140)에는 이물질배출밸브(15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113)에는 배출관(145)이 더 설치되어, 내부 수리 등을 위해 용기본체(110) 내부의 이물질 등을 드레인 시킬 때 임시로 열어 사용한다. The
주입관(130)은 여과통(200)의 상단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출수관(150)은 여과통(200)의 측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과통(200)은 둘레가 스크린 필터, 금속 또는 비금속의 망 또는 웨지 와이어(wedge wire) 등의 상하 개방형 원통관으로서, 여과통(200)의 하단은 바닥판(113)의 안착홈(114)에 안착되고, 여과통(200)의 상단은 측벽(111)의 내주면에 고정된 안착턱(112)에 안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여과통(200)은 내통, 용기본체(110)는 외통의 역할을 하여 여과통(200)을 통과한 여과수가 출수관(150)을 통해 출수된다. The
회전축(300)의 상부는 탑 부시(121)의 개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커버(120)에 지지되고, 회전축(300)의 하부는 후술된 배출커플러(470)에 결합되어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회전축(300)의 최상부는 커버(120)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있고, 이 돌출된 최상부는 핸들(미도시)을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다각형 머리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The top of the
또한, 다각형 머리부(310)에는 실링을 위해 투시창(3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은 외부에서 볼 때 밀폐형 구조가 가능하다. 특히 후술되는 수차(510)를 이용하여 회전축(300)을 회전시킬 때 외부에서 회전축(300)이 회전 여부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각형 머리부(310)와 투시창(330)은 회전축(300)의 회전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closed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when rotating the
또한, 다각형 머리부(310)는 단순히 회전축(300)의 회전을 파악하는 가능 이외에, 농업용 같이 갈수기와 홍수기의 유량의 차이가 커 이물질 유입이 쉽거나, 이외의 상황에 의해 급격한 이물질이 증가에 의한 여과통(200)에 많은 이물질에 부착되면, 수차(510)의 회전이 어려워진다. 이때, 여과기를 분해 및 정비하는 대신에 투시창(330)만 분해하고 이때 노출된 다각형 머리부(310)에 핸들(미도시)을 끼우고 강제적으로 회전축(300)을 회전시키면 이물질제거부(400)도 회전시키면서 이물질배출관(140)(필요 시 드레인 밸브를 동시 작동시킴)을 열면 분해 및 청소하지 않고 쉽게 긴급 조치 및 보수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이물질제거부(400)는 흡입통체(410)와 브러시(440)(450)로 이루어진다.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400 includes a
흡입통체(4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421)(423)가 형성되는 흡입통(420)과, 흡입통(420) 내의 이물질을 이물질배출관(140)으로 배출하는 배출접속관(430)으로 구성하여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특히 본 실시예의 흡입통체(410)는 높이에 따라 단면적이 다른 수직한 흡입통(420)과, 단면적이 큰 쪽의 수직한 흡입통(420)에 수평한 배출접속관(430)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In particular, the
따라서, 여과통브러시(440)가 여과통(200)을 긁어내면 여과통(200)의 위에서 아래까지의 이물질이 흡입통(420) 높이 전체를 통해 측면흡입구(421)에서 균일하게 흡입통(420) 내부로 석션이 가능하여, 흡입통(420)의 전체 높이를 통해 석션이 되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 비유동구간)을 없애 이물질제거효율이 매우 높다. 측면흡입구(421)는 여과통(200)을 바라보는 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when the
배출접속관(430)은 배출커플러(470)에 접속되어 있다. The
배출커플러(470)는 엔드 부시(471)와 탑 부시(473)를 개시한 상태에서 이물질배출관(1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The
배출커플러(470)의 상부에는 회전축(300)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있다. The lower side of the
따라서, 회전축(300)이 회전하면 배출커플러(470)와 흡입통체(410)가 여과통(20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물질은 흡입통체(410), 배출커플러(470), 이물질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된다. Therefore, when the
흡입통체(410)는 배출커플러(470)에 배출접속관(430)이 접속된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어, 회전에 따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흡입통(420)에 고정된 지지바(425)가 회전축(300)에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바(425)와 배출커플러(470)가 상하에서 흡입통(4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The
여과통브러시(440)는 여과통(200)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긁어내는 주 브러시이다.
여과통브러시(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통(420)의 전면에 고정된 지지블록(460)에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filter barrel brush 400 is installed at the
지지블록(460)은 凹단면 형상의 블록이다. The
이때, 여과통브러시(440)는 여과통(200)을 향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4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것은, 여과통(200)의 금속여과망이 제조시 중심에 반지름이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과통브러시(400)가 여과통(200)에 접촉하도록 밀어주는 게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filter net of the
탄성부재(480)는 지지블록(460)의 일단(461)과 여과통브러시(440)의 플랜지(445)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481)이다. 여과통브러시(440)는 브러시(441)와 이 브러시(441)를 지지하는 브러시지지체(443)로 구성되고, 플랜지(445)는 브러시지지체(443)에 설치되어 있다. The
따라서, 지지블록(460)의 일단(461)과 플랜지(445)는 스프링(481)의 양단 시트를 형성한다. Accordingly, one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통(420)의 후면에는 가이드판(49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it is preferable that the
가이드판(490)은 흡입통(420)에 용접한 머리없는 볼트(493)에 끼운 후 와셔(495)와 너트(497)로 체결 고정한다. The
가이드판(490)은 여과통(200)의 사이에 간격(d)을 형성하여, 도 4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여과통(200)을 긁어낸 이물질이 브러시(441), 여과통(200) 및 가이드판(490) 사이에 머물게 되어, 이물질의 비산과 여과통(200)으로 재부착을 막아 측면흡입구(421)로의 석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또한, 가이드판(490)에는 간격(d)을 조정할 수 있게 장공(49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공(491)의 길이만큼 원하는 간격(d)을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따라서 이물질이 큰 경우에는 간격(d)을 넓게 하고, 이물질이 작은 경우에는 간격(d)을 좁게 하여 이물질의 석션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when the foreign matter is large, it is preferable to widen the interval (d), and when the foreign matter is small, the interval (d) is narrowed to increase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ter.
이렇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다시 여과통(200)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여 필터의 효율을 높이고, 적은 유량으로 이물질을 배출시킴으로써 유입수의 손실을 줄이고 또한 배출된 유입수의 처리 비용을 절감시키는 자원 절감,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적인 장치가 된다.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block foreign matters from being attached to the
한편, 대부분의 여과기는 여과통(200)에 붙어있는 이물질의 제거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 및 제작되어 있어, 이물질이 하우징(110)의 바닥판(114)에 붙어있거나 침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드레인 밸브를 열어 배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여 통상 분해 청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filter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with a focus on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따라서 분해 청소하는 주기 및 시점을 늘리기 위하여, 바닥브러시(450)가 흡입통(420)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period and time point of disassembly and clean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바닥브러시(450)도 여과통브러시(440)와 마찬가지로 브러시(451)와 브러시지지체(453)로 구성하여 있다. Like the
그러나 바닥브러시(450)는 여과통브러시(440)와는 달리 바닥판(113)을 향해 탄성을 가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바닥판(113)의 표면은 거의 평면이고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However, unlike the
흡입통(420)의 하면에는 하면흡입구(423)가 형성되어, 바닥판(113)에서 부유한 이물질을 압력 차이에 의해 석션하여 배출시킨다. A lower
또한, 전술한 측면측 가이드판(490)과 같은 기능을 하는 하면측 가이드판(미도시)이 추가되거나 측면측 가이드판(490)의 맨 아래쪽단을 바닥판(113)에 가깝게 배치하여 바닥브러시(450)와 함께 설치되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side guide plate (not shown)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described side
이러한 바닥브러시(450)는 전술한 'L'자형 흡입통체(410)의 레이아웃에 매우 유용하게 설치되어, 콤팩트한 장치를 유지하게 된다. The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통체(410')는 상부와 하부는 좁고 중간부는 넓은 단면적을 갖는 수직한 흡입통(420')과, 흡입통(42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수평한 배출접속관(430')인 '┤'자 형상으로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uction cylinder 410 'has a vertical suction cylinder 420' having a narrow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wide cross section with a middle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suction cylinder 420 '.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접속' shape of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430 '.
또한, '┤'자 형상의 흡입통(420')이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흡입통을 만들어 바닥브러시를 설치하여도 좋다. In addition, when the '┤' shaped suction cylinder 420 'is used, a separate suction cylinder may be made and a bottom brush may be installed.
동력전달부(500)는 회전축(3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300)에 결합된 수차(510)와, 이 수차(510)를 회전시키는 구동주입관(530)으로 구성하여 있다. The
수차(510)는 회전축(300)에 결합되는 보스(511), 복수의 블레이드(513), 보스(511)와 복수의 블레이드(513)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체(515)로 구성한다. 물론, 블레이드(513) 자체를 회전축(300)에 직접 결합하여도 좋다. The
구동주입관(530)은 수차(510) 보다 정확하게는 블레이드(513)의 회전 접선방향을 향하게 측벽(111)에 설치된다. The driving
블레이드(513)는 판 형상의 패드로 부착되어도 좋지만, 도 8 및 도 9와 같이 오목한 형태의 블레이드(513a) 또는 볼록한 형태의 블레이드(513b)로 구현할 수 있다. The
이것은 유입수의 유량(유속)이 낮거나 회전하는 힘이 많이 필요한 경우 오목한 모양이 유입수를 수렴하는 형태로 압력을 집중시켜 유리하고, 유입수의 유량(유속)이 크거나 회전하는 힘이 적게 필요한 경우 볼록한 모양이 유입수를 발산시키는 형태로 압력을 분산시켜 유리하기 때문이다. This is advantageous by concentrating the pressure in the form of a concave converging influent when low influent flow rate (flow rate) or high rotational force is needed, and convex when large influent flow rate (flow rate) or low rotational force is needed. This is because the shape is advantageous by dispersing the pressure in the form of dissipating the influent.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관(130)이 구동주입관(530)과 같은 높이에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즉, 주입관(130)이 수차(510)를 향하는 높이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입관(130)을 통해 주입되는 유입수가 수차(510)에 충격을 주어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보호판(135)이 주입관(13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보호판(135)은 유입수가 직접 수차(510)에 부딪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한편, 보호판(135)을 설치하지 않으려면 구동주입관(530)의 위쪽 또는 아래쪽, 바람직하게는 아래쪽에 주입관(130)이 설치되는 것이 수차 임의적 회전 및 수차 보호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not to install the
주입관(130)이 구동주입관(530)보다 아래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둘 다 직경이 작은 경우에 유리하다. 이것은 주입관(130)이 직경이 큰 경우 구동주입관(530)과 여과통(200)의 상단 사이를 벗어나면 벗어난 부분만큼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유입수가 여과통 내부로 직접 들어가지 못하는 공간)가 형성되어 수차 임의적 회전 및 수차 보호 측면에 비해 비효율적이다. In the case where the
또한, 이러한 데드 스페이스를 해소하고 수차 임의적 회전 및 수차 보호 측면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 주입관(130)이 구동주입관(530) 위에 배치되면 하우징이 그만큼 더 높아져야 한다. In addition, if the
따라서, 관경과 데드 스페이스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여과용량이 큰 경우라면 관경이 클 것이고 그러면 주입관(130)은 구동주입관(530)과 같은 높이로 설계하고, 여과용량이 작다면 관경이 작을 것이고 그러면 주입관(130)은 구동주입관(530)과 여과통(20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도록 설계하면 좋다. Therefore, depending on the diameter and dead space, if the filtration capacity is relatively large, the diameter will be large and then the
한편, 주입관(130)과 구동주입관(530)을 별개로 두었기 때문에, 유입수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입수단속밸브(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유입수단속밸브(600)는 도 5와 같이 주입관(130)과 구동주입관(530) 각각에 단속밸브(610)(620)를 두어 제어하거나, 도 6과 같이 분기점에 3-웨이 밸브(630)를 두어 유입수를 주입관(130) 또는 구동주입관(530)으로 주입시킬 수 있다. The inflow means
다른 한편, 수차(510)의 회전속력을 제어하는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berration rotation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주입관(530)에서 분기되어 주입관(130)에 연결되는 분기관(651), 분기관(651)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653) 및 체크밸브(655)로 이루어진다. 체크밸브(655)는 주입관(130)에서 구동주입관(530)으로 유입되는 역류를 막는다. 5 and 6, the aberration rotation
이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는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많거나 회전 속도를 줄이기 위해 구동주입관(530)으로 들어오는 유입수의 일부를 주입관(130)으로 보내어 수차(510)에 전해지는 유입수의 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The aberration rotation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가 구동주입관(530)의 출구(651')를 유선 형상의 노즐로 구현하면,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적을 경우 유리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650 'implements the outlet 651' of the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가 구동주입관(530)의 내부에 별도로 장착된 노즐(655'')로 구현되어도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적을 경우 유리하다. Similarly, even if the aberration rot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본 발명은 수차를 이용하는 여과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filter using aberrations.
100 : 하우징 110 : 용기본체
111 : 측벽 112 : 안착턱
113 : 바닥판 114 : 안착홈
120 : 커버 121 : 탑 부시
130 : 주입관 135 : 보호판
140 : 이물질배출관 145 : 배출관
150 : 출수관 155 : 이물질배출밸브
200 : 여과통 300 : 회전축
310 : 다각형 머리부 330 : 투시창
400 : 이물질제거부 410,410' : 흡입통체
420,420' : 흡입통 421 : 측면흡입구
423 : 하면흡입구 425 : 지지바
430,430' : 배출접속관 440 : 여과통브러시
441 : 브러시 443 : 브러시지지체
445 : 플랜지(스프링시트) 450 : 바닥브러시
451 : 브러시 453 : 브러시지지체
460 : 지지블록 461 : 스프링시트(일단)
470 : 배출커플러 471 :엔드 부시
473 : 탑 부시 480 : 탄성부재
481 : 스프링 490 : 가이드판
491 : 장공 493 : 볼트
495 : 와셔 497 : 너트
500 : 동력전달부 510 : 수차
511 : 보스 513 : 블레이드
515 : 연결체 530 : 구동주입관
600 : 유입수단속밸브 610 : 주입단속밸브
620 : 회전주입단속밸브 630 : 3-웨이밸브
650,650',650'' : 수차회전속력제어부 651 : 분기관
653 : 유량조절밸브 655 : 체크밸브
651' : 노즐형상출구 655'' : 노즐
d : 간격100
111: side wall 112: seating jaw
113: bottom plate 114: seating groove
120: cover 121: top bush
130: injection tube 135: protective plate
140: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ipe 145: discharge pipe
150: outlet pipe 155: foreign matter discharge valve
200: filter barrel 300: axis of rotation
310: polygon head 330: viewing window
400: debris removal part 410,410 ': suction cylinder
420,420 ': Suction tube 421: Side suction port
423: lower surface suction port 425: support bar
430,430 ': discharge connector 440: brush for filter
441
445: flange (spring seat) 450: floor brush
451
460: support block 461: spring seat (one end)
470: discharge coupler 471: end bush
473: top bush 480: elastic member
481: spring 490: guide plate
491: long hole 493: bolt
495
500: power transmission unit 510: aberration
511: boss 513: blade
515: connecting body 530: drive injection pipe
600: inflow control valve 610: injection control valve
620: rotary injection control valve 630: 3-way valve
650,650 ', 650'': aberration speed control part 651: branch pipe
653: flow control valve 655: check valve
651 ': nozzle shape outlet 655'': nozzle
d: spacing
Claims (9)
상기 하우징 내에 탑재되는 여과통;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수차;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여과통브러시;
상기 수차를 회전시키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는 구동주입관;
상기 유입수를 상기 주입관 또는 상기 구동주입관에 선택적으로 단속 주입시키는 유입수단속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수단속밸브가 상기 구동주입관을 선택한 경우 상기 주입관으로 주입되는 상기 유입수가 상기 구동주입관으로 주입되어 상기 수차에 부딪쳐 회전시키는 여과기.
A housing in which an inlet tube into which inflow water is injected and an outlet tube through which filtered filtrate water is discharged are installed on sidewalls;
A filter barrel mounted in the housing;
A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filter barrel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berration installed in the rotation shaft;
A filter cylinder brush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to scrap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lter cylinder;
A drive injection tube installed on a side wall of the housing so as to face a direction in which the aberration is rotated;
And an inlet means check valve for selectively intermittently injecting the inflow water into the injection pipe or the driving injection pipe.
And the inflow water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ipe when the inflow means speed valve selects the driving injection pipe is injected into the driving injection pipe to rotate against the aberration.
상기 수차의 회전속력을 제어하는 수차회전속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further comprises a water wheel rotation sp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aberration.
상기 수차회전속력제어부는 상기 구동주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체크밸브로 이루어진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is a filter branch consisting of a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branched from the drive injection pipe, a flow control valve and a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branch pipe.
상기 수차회전속력제어부는 상기 구동주입관의 출구를 유선 형상의 노즐인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is a filter of the outlet of the drive injection pipe is a streamlined nozzle.
상기 수차회전속력제어부는 상기 구동주입관의 내부에 장착된 노즐인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aberration rotation speed control unit is a nozzle mounted inside the driving injection pipe.
상기 주입관은 상기 구동주입관보다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jection pipe is disposed above or below the drive injection pipe.
상기 주입관과 상기 수차 사이에 보호판이 더 설치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injection tube and the aberration.
상기 수차는 오목한 형상인 여과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said aberration is concave.
상기 수차는 볼록한 형상인 여과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said aberration is convex in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2837A KR101185436B1 (en) | 2010-05-07 | 2010-05-07 | fi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2837A KR101185436B1 (en) | 2010-05-07 | 2010-05-07 | fil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3387A KR20110123387A (en) | 2011-11-15 |
KR101185436B1 true KR101185436B1 (en) | 2012-09-21 |
Family
ID=4539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2837A Active KR101185436B1 (en) | 2010-05-07 | 2010-05-07 | fil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543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43089B (en) * | 2017-12-27 | 2023-09-12 |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 Sewage treatment tank not easy to block |
KR102362057B1 (en) * | 2020-03-17 | 2022-02-15 | 조종일 | Powerless cylindrical |
CN113187881A (en) * | 2021-05-12 | 2021-07-30 | 武汉电缆有限公司 | Lubricating oil self-circulation device for reduction gearbox of wire drawing machi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64724A (en) | 2007-04-24 | 2008-11-06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Strainer apparatus |
-
2010
- 2010-05-07 KR KR1020100042837A patent/KR1011854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64724A (en) | 2007-04-24 | 2008-11-06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Strainer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3387A (en) | 2011-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51428B (en) | Rotary disk filter | |
KR101184307B1 (en) | filter | |
CN208884181U (en) | A kind of air flow dyeing machine filtering dye liquor device | |
KR101185436B1 (en) | filter | |
CN108580424B (en) | Electric tooth cleaner handle cleaning device | |
KR101154426B1 (en) | filter | |
CN110584191A (en) | Tobacco vacuum tank with unpowered rotary cleaning and drying device | |
CN214940901U (en) | Drainage device for construction | |
KR100882776B1 (en) | Fixture removal device inside the pipeline | |
CN204601725U (en) | Circulation is from washing filter by rubbing with the hands | |
CN209792112U (en) | Turbo charger impeller cleaning machine | |
CN209500960U (en) | A kind of non-resistance collision y-type filter | |
CN210869841U (en) | Tobacco vacuum tank with unpowered rotary cleaning and drying device | |
CN109848153A (en) | Aquaculture net cage net clothing cleaning machine waterborne and cleaning method | |
CN212479594U (en) | A corrosion-resistant centrifugal pump | |
CN212236286U (en) | Internal inflow non-metal roller grid cleaner | |
CN206382273U (en) |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filter screen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CN101982217A (en) | Device for removing solid particles in water in aquaculture system | |
CN104801108A (en) | Sediment filter provided with turbine | |
CN208995766U (en) | A kind of refluxing unit of air flow dyeing machine | |
CN107971277A (en) | A kind of self-cleaning injection apparatus with turbine structure | |
CN219136507U (en) | A dirty debris remove device for biological aerated filter | |
CN117122964A (en) | Biological carrier interception filter cartridge device | |
CN201978576U (en) | Rotating disc filter | |
CN214808814U (en) | Fluid conveying device with flow control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