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431B1 -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431B1
KR101181431B1 KR1020100018429A KR20100018429A KR101181431B1 KR 101181431 B1 KR101181431 B1 KR 101181431B1 KR 1020100018429 A KR1020100018429 A KR 1020100018429A KR 20100018429 A KR20100018429 A KR 20100018429A KR 101181431 B1 KR101181431 B1 KR 10118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eight
water
coupling portion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428A (ko
Inventor
강성모
황원상
Original Assignee
황원상
강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상, 강성모 filed Critical 황원상
Priority to KR102010001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4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Other filtering devices;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72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or granular

Abstract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제1본체와, 제1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본체와, 제1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입구로 유입된 물을 1차로 정수하는 제1필터와,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1필터를 통과한 물을 2차로 정수하여 출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필터를 가지는 메인 정수유닛과; 입구 또는 출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물을 정수하는 보조필터를 가지는 보조 정수유닛;을 포함하며, 보조정수유닛에는 수전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TAP CONNECTING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의 단부 등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속에 함유된 중금속이나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방식에 따라, 역삼투막을 이용하는 역삼투방식(reverse osmosis), 펌프를 이용하여 물에 강제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순수한 물분자는 반투막(membrane filter)을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거르는 반투막 정수방식, 가운데가 비어 있는 섬유관이 수천 다발로 묶인 중공사막 정수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정수기 필터는 음용수에 포함된 부유물과 유해 세균을 제거하여 식수에 적합하도록 정수하는 것으로, 전처리필터(SEDIMENT), 카본필터(PRE-CARBON,POST-CARBON), 한외여과막필터(U.F MEMBRAIN), 역삼투막필터(REVERS OSMOSYS MEMBRAIN)를 차례로 거치며 정수되도록 한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기 필터는 음용수에 포함된 냄새, 색소 및 세균과 같이 불필요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각종 금속 이온과 이물질 등을 걸러내나, 항상 물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각 필터 내에 박테리아 등 세균의 2차 증식 위험성을 갖고 있다. 특히 기존의 원적외선 바이오 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정수기 필터는 인체가 아닌 생명체(식물의 광합성파장)에 적합한 파장대의 에너지 원료로서 인체에 최적 모델이 아니며, 원석의 분말을 그대로 사용하여 인체에 대한 무해 여부가 검증되어야 한다. 또한, 원적외선 바이오소재 정수기 필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에너지 방사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며 고체 상태에서만 방사가 가능하고, 기포형성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용존산소 발생이 불가하여 기술적 가치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수 시스템은 "인라인"(inline)으로 또는 "사용지점(point-of-use,POU)에 위치될 수 있다. 많은 주택 소유자는 사용 지점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주택 소유자가 인라인 여과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배관을 절단하거나 그렇게 하기 위해 배관공에게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통상의 사용 지점여과 시스템은 피처 필터(pitcher filter), 수전 단부 필터(end-of-faucet filter) 및 카운터톱 필터(countertop filter)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개인적 선호도에 기초하여 이들 시스템 중 하나를 선택한다.
수전 (단부) 연결형 여과 시스템은 수전에 직접 장착된다. 어떤 사용자는 수전에 매달린 필터의 외관을 좋아하지 않으며, 다른 사용자는 수전 및 싱크대를 사용하는 데에 필터가 방해된다고 느낀다.
카운터톱 여과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수전의 단부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튜브를 갖는다. 어떤 사용자는 수전에 부착된 튜브의 외관을 좋아하지 않으며, 다른 사용자는 수전 또는 싱크대를 사용할 때 튜브가 방해된다고 느끼고, 또 다른 사용자는 카운터톱 공간의 손실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의 정수기 필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필터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파인세라믹 소재 중 특히 무수규산 및 산화알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필터 조성물이 인체에 최적합 모형의 파장대로서 에너지를 방사하며 고순도원료 분리정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동안 지속성 및 동일방사가 유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수전 에 직접 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 (단부)연결형 정수장치에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전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최적합 모형의 파장대로서 에너지를 방사하며 고순도원료 분리정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동안 지속성 및 동일방사가 유지되고 다공성 및 용존산소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필터 조성물로 이루어진 필터를 적용한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된 물을 1차로 정수하는 제1필터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물을 2차로 정수하여 상기 출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필터를 가지는 메인 정수유닛과; 상기 입구 또는 출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물을 정수하는 보조필터를 가지는 보조 정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정수유닛에는 수전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 내부의 중앙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입구와는 직접 연통되고 상기 출구와는 상기 입구가 격리되도록 하는 필터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 결합부보다 더 큰 외경으로 상기 필터 결합부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본체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본체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 결합부의 외주에는 상기 제2필터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필터를 경유하여 정수된 물은 상기 필터 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 결합부 사이의 갭을 통해 상기 출구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필터는, 외측형상을 유지하는 제1필터 보호틀과; 상기 제1필터 보호틀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필터는, 외측에 마련되며, 상부가 상기 필터 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필터 보호틀과; 상기 제2필터 보호틀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파인세라믹 조성물은, 무수규산 45 내지 50중량%, 산화알미늄 20 내지 25중량%, 산화제1철 5 내지 7중량%, 산화제2철 5 내지 7중량%, 산화마그네슘 2 내지 4중량%, 산화칼슘 1 내지 3중량%, 나트륨 2 내지 4중량%, 칼륨 3 내지 5중량%, 지단 0.1 내지 0.5중량%, 무수인산 0.1 내지 0.5중량%, 산화망간 0.1 내지 0.5중량% 및 기타성분 0.5 내지 1.5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파인세사믹필터 조성물은, 무수규산 48.9중량%, 산화알미늄 23.5중량%, 산화제1철 6.40중량%, 산화제2철 6.24중량%, 산화마그네슘 3.55중량%, 산화칼슘 2중량%, 나트륨 3.16중량%, 칼륨 4.19중량%, 지단 0.3중량%, 무수인산 0.46중량%, 산화망간 0.24중량% 및 기타성분 1.06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은, 기타성분이 천연 희유성 광물질 원소류로서 Ti, Se, Ge 또는 Mn 계열의 광물질 원소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조필터는, 상기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과 동일한 재질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 정수유닛 또는 상기 보조 정수유닛에 연결되며,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부를 가지는 연결용 어뎁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에 따르면, 서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한 메인 정수유닛과 보조 정수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물 사용지점에서 수전과 직접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보조 정수유닛의 경우 메인 정수유닛의 입구 또는 출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시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게 되며, 보조적으로 정수유닛을 더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물의 정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더 안정하고 몸에 좋은 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 정수유닛의 내부에 제1 및 제2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유입된 물이 제1 및 제2필터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정수되도록 함으로써, 입자를 걸러내는 동시에 제2필터로 사용된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을 통해 물의 특성을 인체에 최적합한 상태로 변화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깨끗하고 안전하면서도 몸에 좋은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필터 및 보조필터로 사용되는 파인세라믹 필터 조성물은 인체에 최적합 모형의 파장대로서 에너지가 방사되도록 가공되어 체질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고순도원료 분리정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동안 지속성 및 동일방사가 유지되어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고 다공성 및 용존산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인세라믹 필터 조성물을 이용한 필터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필터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인 세정효과(세제사용 절감, 피부보호)를 얻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세제 사용량은 물로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녹색성장효과에 기여할 있다.
또한, 세안에 사용할 경우 모공 속에 남아 있는 잔여물을 세제의 도움 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발을 감았을 경우에는, 사용하는 비누 성분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두피 질환이나, 탈모를 예방함은 물론, 윤기 있는 모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정수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메인 정수유닛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인 정수유닛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제1필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제2필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는, 수도관(10) 등에 직접 연결되는 메인 정수유닛(100)과, 상기 메인 정수유닛(100)의 출구 측에 연결되는 보조 정수유닛(200) 및 상기 보조 정수유닛(200)의 출구 측에 연결되며 수전(20)과 연결되는 연결용 어뎁터(30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정수유닛(100)은 물이 유입되는 입구(111)와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출구(112)를 가지는 제1본체(110)와, 상기 제1본체(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본체(120)와 상기 제1 및 제2본체(110,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필터(130) 및 제2필터(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본체(110)의 입구(111)와 출구(112)는 서로 반대쪽에 형성되며, 그들(111,112)은 직접 연통되지 않고 중간의 필터 결합부(113)에 의해 격리되게 형성된다. 입구(111)에는 수도관(10) 등이 직접 연결되는 관 연결부(114)가 형성되고, 출구(112) 측에는 상기 보조 정수유닛(2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정수기 연결부(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구(111)의 관 연결부(114)에 상기 보조 정수유닛(200)이 연결되고, 이 경우 보조 정수유닛(200)에 수도관(10)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결합부(113)는 제1본체(110)의 내부 중앙부분에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입구(111)와는 직접 마주하여 연통되고 출구(112)와는 외주벽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필터 결합부(113) 내부에는 상기 제1필터(130)가 수용되어 결합 된다.
또한, 필터 결합부(113)의 외주에는 상기 제2필터(14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필터 결합부(113)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제1필터(130)를 통과한 뒤, 다시 필터 결합부(113)의 외주에 지지된 제2필터(140)를 통과한 뒤 상기 출구(112) 쪽으로 이동하여 빠져나가면서 여과된다.
또한, 상기 제1본체(110)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제1본체 결합부(116)가 형성된다. 이 제1본체 결합부(116)의 외주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2본체(120)가 나사 결합 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본체 결합부(116)는 필터 결합부(113)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필터 결합부(113)와의 사이에 일정 갭을 가지도록 이격되고, 필터 결합부(113)보다 더 외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120)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 구조를 가지며, 그 상부의 내주에는 상기 제1본체 결합부(116)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 결합되는 제2본체 결합부(121)를 가진다. 그리고 제2본체(120)의 제2본체 결합부(121)의 하단에는 그 외경이 좁아져서 턱지게 형성된 단턱부(12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턱부(122)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123)가 지지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제2본체(120)를 제1본체(110)와 나사 결합시, 실링부재(123)가 제1본체 결합부(116)의 하단부에 밀착됨으로써 본체(1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본체(120)가 제1본체(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본체(120)의 내부에 상기 제2필터(140)가 수용된 상태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본체(1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필터(130,140)의 색깔을 확인하고 필터의 잔여수명이나 교환시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필터(130)는 필터 결합부(1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필터 결합부(113)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필터(130)는 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 예를 들어, 모래나, 흙 등과 같은 사이즈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필터(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의 제1필터 보호틀(131)이 마련되고, 그 제1필터 보호틀(131)의 내부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내부여과망(132)을 가진다. 제1필터 보호틀(131)은 제1필터(130)의 외부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필터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의 여광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여과망(132)은 금속여과망(131)의 내부에 상하로 적층되거나, 세로로 말린 형태로 개재되어 통과하는 물을 여과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1필터(130)는 일정시간 사용하거나, 일정량 이상의 물을 통과시킨 후에는 새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140)는 외측의 제2필터 보호틀(141)과, 제2필터 보호틀(141)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라믹필터 조성물(142)을 구비한다.
상기 제2필터 보호틀(141)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몸체(141a)와, 틀몸체(141a)에 결합되는 금속여과망(141b)을 구비한다. 틀몸체(141a)는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그 외형이 변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틀몸체(141a)에 결합되는 금속여과망(141b)은 물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서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142)의 이탈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틀몸체(141a)의 상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결합부(113)의 외주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141c)가 마련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2필터 보호틀(141) 내부에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142)이 개재된다. 상기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142)은 무수규산 45 내지 50중량%, 산화알미늄 20 내지 25중량%, 산화제1철 5 내지 7중량%, 산화제2철 5 내지 7중량%, 산화마그네슘 2 내지 4중량%, 산화칼슘 1 내지 3중량%, 나트륨 2 내지 4중량%, 칼륨 3 내지 5중량%, 지단 0.1 내지 0.5중량%, 무수인산 0.1 내지 0.5중량%, 산화망간 0.1 내지 0.5중량% 및 기타성분 0.5 내지 1.5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 세라믹 필터 조성물(142)은 무수규산 48.9중량%, 산화알미늄 23.5중량%, 산화제1철 6.40중량%, 산화제2철 6.24중량%, 산화마그네슘 3.55중량%, 산화칼슘 2중량%, 나트륨 3.16중량%, 칼륨 4.19중량%, 지단 0.3중량%, 무수인산 0.46중량%, 산화망간 0.24중량% 및 기타성분 1.06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필터 조성물(142)에서 사용되는 기타성분은 생체활성용도의 천연 희유성 광물질 원소류이며, 예를 들어 Ti, Se, Ge 및 Mn 계열의 광물질 원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물질조합 구성시에 요구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이오광물인 Si 및 Al은 600 메쉬의 입자로서 다공성을 유지하며 생체친화형이다. 희유성 광물(희금속)인 Ti 계열, Se 계열, Ge 계열 및 Mn 계열은 300 내지 500 메쉬의 입자로서 활성화를 유지하며 항생물질형이다. 또한, 희토류광물인 Y, Gd 및 La 계열은 500 메쉬 이상의 입자로서 활성촉진형이다. 비금속광물인 Z 및 B 계열은 생체친화형이다. 천연미네랄 광물인 Ca, K, Mg, Fe, Zn 및 Na는 300 내지 500 메쉬의 입자로서 생체균형성 필수 원소이며, 영양물질과 반응활성을 갖는다.
하기 표 1에는 파인세라믹 필터 소재와 기존의 원적외선 바이오 소재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파인세라믹 소재 원적외선 바이오소재
태양광선 원적외선파장대의 적용구분 인체에 최적합 모형의 파장대로써 에너지가 방사되도록 특수가공 되었기 때문에 체질에 관계없이 적용 인체가 아니고 생명체(식물의 광합성파장)에 적합한 파장대의 에너지 원료로써 인체에 최적모델은 아님
에너지원료 순도성 고 순도원료 분리정제(소성, 합성공정을 거친 분말로 사용함) 원석의 분말을 그대로 사용(인체의 유 뮤해 대상 검증이 필요)
에너지방사 정도 지속성, 동일방사유지(반영구적) 시간이 경과 방사량 감소
에너지유도기능 기체, 고체, 액체의 유도가능(공간이동 용이) 고체 상태에서만 방사가능
천연광물질결합 등첨단 공정화 기술 타 물질과도 결합 가능 타물질과 결합방법 불가능
고온상태에서 기능 다공성유지,용존산소 증가 기포형성불가, 에너지 소멸현상 용존산소 발생불가
원료정제 및 공정 국산화 첨단기술 기술적 가치가 낮음
소제성분 및 조합 Si, Al,, Ti, Re계열,
천연미네랄,원소의 선택적 조합
광물 자체를 분말화 사용
에너지소재간에 자력투입 공정 인체적합 자력투입 없음
세정도 효과적인 세정효과(세제사용 절감, 피부보호), 식물성장촉진, 환경보호 효과 세제사용량 많음. 식물성장촉진효과 없음. 환경보호 효과 낮음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파인세라믹 필터 소재는 종래의 원적외선 바이오 소재에 비하여 인체에 최적합 모형의 파장대로서 에너지가 방사되도록 가공되어 체질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고순도원료 분리정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동안 지속성 및 동일방사가 유지되어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고 다공성 및 용존산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파인세라믹 필터 조성물(142)은 인체에 최적합 모형의 파장대로서 에너지가 방사되도록 가공되어 체질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고순도원료 분리정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동안 지속성 및 동일방사가 유지되어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고 다공성 및 용존산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파인세라믹 필터 조성물(142)을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이용하여 세탁, 설거지, 세안 등을 할 경우 기존의 필터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인 세정효과(세제사용 절감, 피부보호)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세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결국 환경보호는 물론 녹색성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정수유닛(200)은 메인 정수유닛(100)에서 1차적으로 정수된 물을 넘겨 받아 2차로 정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 정수유닛(200)의 출구(112)에 마련된 정수기 연결부(115)에 연결되는 보조정수기 본체(210)와, 보조정수기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필터(220)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정수기 본체(210)는 일측에 정수기 연결부(115)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211)와, 타측에 제2연결부(212)를 가진다. 따라서 제1연결부(211)를 정수기 연결부(115)에 연결하고, 제2연결부(212)에는 상기 연결용 어뎁터(3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연결부(211,212)는 서로 연통되며, 그 사이에 상기 보조필터(2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필터(220)는 앞서 설명한 제2필터(140)의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142)과 동일한 재질의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일 수도 있고, 부직포로 이루어진 여과망일 수 있고, 또한 카본필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보조 정수유닛(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정수유닛(100)의 출구 측에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메인 정수유닛(100)의 입구측 연결부(113)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용 어뎁터(300)는 보조 정수유닛(200)의 제2연결부(212)에 결합되는 측면 결합부(310)와, 상부에 수전(20)이 결합되는 수전 연결부(320)를 가진다. 이러한 연결용 어뎁터(300)는 다양한 형태 및 형상이 가능하며, 수전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연결용 어뎁터(300)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수도관 20..수전
100..메인 정수유닛 110..제1본체
120..제2본체 130..제1필터
140..제2필터 200..보조 정수유닛
220..보조필터 300..연결용 어뎁터

Claims (9)

  1.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된 물을 1차로 정수하는 제1필터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물을 2차로 정수하여 상기 출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필터를 가지는 메인 정수유닛과;
    상기 입구 또는 출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물을 정수하는 보조필터를 가지는 보조 정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정수유닛에는 수전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본체 내부의 중앙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입구와는 직접 연통되고 상기 출구와는 상기 입구가 격리되도록 하는 필터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 결합부보다 더 큰 외경으로 상기 필터 결합부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본체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본체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 결합부의 외주에는 상기 제2필터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필터를 경유하여 정수된 물은 상기 필터 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 결합부 사이의 갭을 통해 상기 출구로 이동하며,
    외측에 마련되며, 상부가 상기 필터 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필터 보호틀과;
    상기 제2필터 보호틀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은,
    무수규산 45 내지 50중량%, 산화알미늄 20 내지 25중량%, 산화제1철 5 내지 7중량%, 산화제2철 5 내지 7중량%, 산화마그네슘 2 내지 4중량%, 산화칼슘 1 내지 3중량%, 나트륨 2 내지 4중량%, 칼륨 3 내지 5중량%, 지단 0.1 내지 0.5중량%, 무수인산 0.1 내지 0.5중량%, 산화망간 0.1 내지 0.5중량% 및 기타성분 0.5 내지 1.5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은,
    무수규산 48.9중량%, 산화알미늄 23.5중량%, 산화제1철 6.40중량%, 산화제2철 6.24중량%, 산화마그네슘 3.55중량%, 산화칼슘 2중량%, 나트륨 3.16중량%, 칼륨 4.19중량%, 지단 0.3중량%, 무수인산 0.46중량%, 산화망간 0.24중량% 및 기타성분 1.06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타성분은 천연 희유성 광물질 원소류로서 Ti, Se, Ge 또는 Mn 계열의 광물질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는,
    외측형상을 유지하는 제1필터 보호틀과;
    상기 제1필터 보호틀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터는,
    상기 파인세라믹필터 조성물과 동일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정수유닛 또는 상기 보조 정수유닛에 연결되며,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부를 가지는 연결용 어뎁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KR1020100018429A 2010-03-02 2010-03-02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KR10118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429A KR101181431B1 (ko) 2010-03-02 2010-03-02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429A KR101181431B1 (ko) 2010-03-02 2010-03-02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428A KR20110099428A (ko) 2011-09-08
KR101181431B1 true KR101181431B1 (ko) 2012-09-19

Family

ID=4495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429A KR101181431B1 (ko) 2010-03-02 2010-03-02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023B1 (ko) 2021-06-25 2021-12-20 (주)한중커머스 출수각 조절 구조를 갖는 정수 필터조립체
KR20220000775U (ko) 2020-09-28 2022-04-05 공승관 수전용 정수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215B1 (ko) * 2020-11-24 2021-10-13 정호영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776A (ja) * 1999-09-27 2001-04-03 Hisayoshi Taniguchi 麦飯石を用いた飲料水の浄化処理法とその処理剤
KR200253582Y1 (ko) * 2001-08-07 2001-11-22 이화성 수도직결형 정수기
KR200384534Y1 (ko) * 2005-02-18 2005-05-16 유희재 정수기용 삼베 여과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776A (ja) * 1999-09-27 2001-04-03 Hisayoshi Taniguchi 麦飯石を用いた飲料水の浄化処理法とその処理剤
KR200253582Y1 (ko) * 2001-08-07 2001-11-22 이화성 수도직결형 정수기
KR200384534Y1 (ko) * 2005-02-18 2005-05-16 유희재 정수기용 삼베 여과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75U (ko) 2020-09-28 2022-04-05 공승관 수전용 정수필터
KR102341023B1 (ko) 2021-06-25 2021-12-20 (주)한중커머스 출수각 조절 구조를 갖는 정수 필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428A (ko)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431B1 (ko)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CN202688035U (zh) 野外便携式净水瓶
CN109896649A (zh) 家用净水过滤器
CN202246289U (zh) 一种箱体型超滤膜净水器
CN202829765U (zh) 一种集成式多功能净水器
CN201842684U (zh) 一种具有磁矿化及抗菌抑垢功能的多芯净水器
CN101475271A (zh) 多用途净化滤水器
CN103822014B (zh) 多功能滤水龙头
CN201228371Y (zh) 全自动冲洗管道式净水器
CN201686579U (zh) 一种具排污功能的多介质超滤膜联用净水器
KR20130133469A (ko) 와류 유도형 정수부재를 채용한 정수장치
CN203253215U (zh) 一种新型的净水器
CN202063787U (zh) 一种具蜂窝陶瓷及kdf超滤膜联用净水器
CN204058151U (zh) 家用全自动多功能净水纯水富氧机
KR101025034B1 (ko) 정수장치
CN203976536U (zh) 一种多用途水净化装置
CN203065300U (zh) 一种具有紫外线杀菌装置的一体式净水器
CN202080980U (zh) 超滤膜及kdf厨房净水器
CN201670769U (zh) 一种多介质纳滤膜联用制水机
CN202139141U (zh) 家用净水器
CN211273834U (zh) 一种龙头净水器
CN207468370U (zh) 净水机
CN210993288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水龙头
CN210521999U (zh) 一种多级过滤大出水量净水器
CN211035453U (zh) 一种新型碳棒除氯的水龙头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