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181B1 - 자장 소스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장 소스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1181B1 KR101181181B1 KR1020100133425A KR20100133425A KR101181181B1 KR 101181181 B1 KR101181181 B1 KR 101181181B1 KR 1020100133425 A KR1020100133425 A KR 1020100133425A KR 20100133425 A KR20100133425 A KR 20100133425A KR 101181181 B1 KR101181181 B1 KR 1011811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k
- fry
- add
- taste
- oi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0106 Ailanthus integrifol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0000005781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3954 Cucurbita pepo var melopepo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7366 Cucurbita pepo var. melopepo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abstract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abstract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abstract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41000246354 Saturej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4000302526 Cucurbita pepo subsp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75 anim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67686 Eschscholzia lobb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3490 Sodium Glutam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429 malt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PUQAYUQRXPFSQ-UHFFFAOYSA-M monosodium 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O-]C(=O)C(N)CCC(O)=O LPUQAYUQRXPFS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3 monosodium glutam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salt salt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Abstract
본 발명은 자장 소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후라이팬에 식용유와 돼지기름을 넣고 돼지고기를 넣어 볶고 돼지고기가 익기 전에 상기 후라이팬에 다진 마늘과 백태콩, 염장염 대두콩, 땅콩가루를 넣고 같이 볶아주는 단계와, 돼지 고기가 다 익으면 간장과 고춧가루를 넣고 약한 불에서 볶아주는 단계와, 야채로서 양파를 먼저 넣고 호박, 양배추 순서로 넣어 볶아주는 단계와, 이들 야채들이 반 정도 익으면 설탕과 소금을 넣는 단계와, 미리 볶아 놓은 춘장을 넣고 볶는 단계와, 춘장이 고루 잘 풀어지도록 사골 육수를 넣고 끓여주는 단계와, 전분을 넣고 잘 풀어주는 단계로 구성되어, 돼지고기의 비린내와 느끼한 맛을 없애고 고소한 맛과 향을 낼 수 있게 되고, 자장 소스가 부드럽게 되며, 외관이 좋게되며, 혼합된 야채의 맛을 살릴 수 있고, 상기 고소한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좋은 맛이 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장 소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돼지고기에 마늘과 콩종류를 혼합하여 볶는 단계를 포함하여 느끼한 맛과 돼지고기 냄새를 없애고 고소한 맛과 향기를 낼 수 있도록 한 자장 소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장 소스 제조 방법으로서, 특허공개 1998-0000171호는 된장(재래식 된장 혹은 개량식 된장 혹은 청국장 혹은 일본식 된장인 미소 혹은 콩을 발효하여 만든 장류중 1종류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을 동물성 기름 혹은 식물성 기름으로 볶거나 동물성 기름과 식물성 기름 혼합유로 볶은 장에 감자, 양파, 호박, 마늘, 콩 혹은 기타의 야채류를 첨가하고 황설탕 혹은 기타의 감미료를 첨가하고 우육이나 돈육 혹은 조개, 새우, 오징어 등 기타 어패류를 첨가할 수 있고 글루타민산나트륨을 적량 첨가하고 가열한 것을 특징으로한 짜장소스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된장을 기름에 볶아 장을 만들고, 여기에 돈육, 마늘, 콩 등을 첨가하여 가열하는데, 이렇게 조리하는 경우 특히 마늘과 콩을 혼합하더라도 이들을 양념의 개념으로 첨가하므로 돈육의 느끼한 맛과 냄새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느끼한 맛이 그대로 남게 된다.
또한, 공개 특허 제2006-22110 호에서는 청국장을 이용한 짜장을 공개하고 있다. 청국장을 이용한 짜장을 무르게 익힌 30 내지 70중량%의 콩을 2~4일간 발효,숙성시킨 청국장으로 바실러스균이 충분히 생성되도록 띄운 후 얕게펴서 그 청국장 표면의 표막이 건조되어 매끈해지도록 건조시킨 다음, 청국장 속의 수분은 빠져나오고, 청국장에 엿이 스며들어 코팅될 때까지 잘 건조된 청국장을 맥아엿에 버무른 다음, 춘장으로 만든 일반 짜장과 혼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돈육의 느끼한 맛과 냄새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느끼한 맛이 그대로 남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즉 돈육의 느끼한 맛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특허 10-0833991호에서는 돼지기름을 갈아서 끓이는 단계; 끓는 기름 100 중량부에 25 - 200 중량부의 돼지 고기를 넣어 튀기면서 끓는 기름에 5 -50 중량부의 고추 가루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끓는 기름에 5 - 50 중량부의 춘장을 넣어서 튀기는 단계; 및 300 - 1000 중량부의 야채를 넣고 볶아서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짜장 소스 제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조리법은 돼지기름에 돼지고기와 고추가루를 혼합하여 튀기어 자장 고유의 느끼한 맛을 제거한다는 것인데, 고소한 맛과 향기가 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돈육의 느끼한 맛과 냄새를 제거하고 반면에 고소한 맛과 향기를 낼 수 있는 자장 소스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장 소스 제조 방법의 일예로서, 후라이팬에 식용유와 돼지기름을 넣고 돼지고기를 넣어 볶고 돼지고기가 익기 전에 상기 후라이팬에 다진 마늘과 백태콩, 염장염 대두콩, 땅콩가루를 넣고 같이 볶아주어 춘장과 혼합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식품 각각의 성분은 돼지고기 20~40 중량%, 돼지기름 10~30 중량%, 다진 마늘 2~10 중량%, 백태콩 20~40 중량%, 염장염 대두콩 2~10 중량%, 땅콩가루 20~40 중량%, 나머지 식용유로 혼합된다.
춘장과 혼합되기 전에 돼지 고기가 다 익으면 간장과 고춧가루를 넣고 약한 불에서 볶아주는 단계와, 야채로서 양파를 먼저 넣고 호박, 양배추 순서로 넣어 볶아주는 단계와, 이들 야채들이 반 정도 익으면 설탕과 소금을 넣는 단계와, 미리 볶아 놓은 춘장을 넣고 볶는 단계와, 춘장이 고루 잘 풀어지도록 사골 육수를 넣고 끓여주는 단계와, 전분을 넣고 잘 풀어주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장 소스 제조 방법은 돼지고기가 2/3 정도 익으면 다진 마늘과 백태콩, 염장염 대두콩, 땅콩가루를 넣고 같이 볶아주어, 돼지고기의 비린내와 느끼한 맛을 없애고 고소한 맛과 향을 낼 수 있게 되고, 또한, 조리 순서에 의해, 자장 소스가 부드럽게 되며, 외관이 좋게되며, 혼합된 야채의 맛을 살릴 수 있고, 상기 고소한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좋은 맛이 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장 소스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장 소스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후라이팬에 식용유와 돼지기름을 넣고 돼지고기를 볶는다. 돼지고기가 2/3 정도로 익을 때까지 볶아준다. 후라이팬은 돼지고기가 달라붙지 않도록 코팅된 것을 사용한다.
돼지고기가 2/3 정도 익으면 상기 후라이팬에 다진 마늘과 백태콩, 염장염 대두콩, 땅콩가루를 넣고 같이 볶아준다. 백태콩은 24시간 물에 불려서 20분간 삶고 찬물에서 깨끗이 콩껍질을 벗겨 준비한다. 염장염 대두콩(서리태)은 20분간 물에 담겨 놓고 짠 맛을 제거한다. 염장염 대두콩은 너무 오래 물에 담겨두면 짠맛이 없어지기 때문에 오래 담겨두면 안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돼지고기의 비린내와 느끼한 맛을 없애고 고소한 맛과 향을 낼 수 있게 된다. 백태콩과 땅콩가루는 거의 같은 비율로 하고 염장염 대두콩은 백태콩의 1/6 정도로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3가지의 콩종류와 마늘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이 본 발명자의 거듭된 실험 결과이다.
돼지 고기가 다 익으면 간장과 고춧가루를 넣고 약한 불에서 조금만 볶아준다. 그런 다음, 야채로서 양파를 먼저 넣고 호박, 양배추 순서로 넣어 볶아준다. 양파-호박-양배추 순서로 넣어야 각각의 야채들이 익는 순서가 되고, 각각의 맛의 특성을 살릴 수 있게 된다. 야채는 돼지고기가 다 익은 후에 투입되므로 최소한의 열로 구워져 영양소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야채들이 반 정도 익으면 설탕과 소금을 넣는다.
그런 다음, 미리 볶아 놓은 춘장을 넣고 볶는다. 상기 춘장은 통상의 춘장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춘장이 고루 잘 풀어지도록 사골 육수를 넣고 끓여준다. 사골 육수는 돼지고기 사골육수로서 무, 다시마, 생강, 파, 사골을 넣고 6시간 이상 끓인 것이다.
그런 다음, 전분을 넣고 잘 풀어준다.
1인분의 자장면에 들어가는 자장 소스를 기준으로 그 요리법을 설명한다.
후라이팬에 식용유 40g과 돼지기름 20g을 넣고 돼지고기 30g 을 볶는다. 돼지고기가 2/3 정도로 익을 때까지 볶아준다. 돼지고기는 등심을 사용하고 가로 2cm 세로 1cm 크기로 잘라 둔 것이다.
돼지고기가 2/3 정도 익으면 상기 후라이팬에 다진 마늘 4g과 미리 준비한 백태콩 30g, 염장염 대두콩 5g, 땅콩가루 30g를 넣고 같이 볶아준다.
고기가 다 익으면 간장 4g과 고춧가루 0.5g를 넣고 약한 불에서 조금만 볶아준다.
그런 다음, 야채로서 양파 140g을 먼저 넣고 호박 40g, 양배추 40g 순서로 넣어 볶아준다. 상기 양파, 호박, 양배추는 가로 1.2cm, 세로 2cm로 썰어서 준비해 둔다.
이들 야채들이 반 정도 익으면 설탕 3g과 소금 1g을 넣는다.
그런 다음, 미리 볶아 놓은 춘장 16g을 넣고 볶는다.
춘장이 고루 잘 풀어지도록 사골 육수 50㎖를 넣고 끓여준다.
그런 다음, 전분 6g을 넣고 잘 풀어준다.
본 실시예는 돼지고기가 다 익는 과정에서 마늘, 백태콩, 염장염 대두콩, 땅콩가루를 혼합하여 볶으므로 돼지고기의 비린내와 느끼한 맛을 없애고 고소한 맛과 향을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순서에 의해, 자장 소스가 부드럽게 되며, 외관이 좋게되며, 혼합된 야채의 맛을 살릴 수 있고, 상기 고소한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좋은 맛이 나게 된다.
Claims (3)
- 춘장을 포함하는 자장 소스 제조법에 있어서,
후라이팬에 식용유와 돼지기름을 넣고 돼지고기를 넣어 볶고,
돼지고기가 익기 전에 상기 후라이팬에 다진 마늘과 백태콩, 염장염 대두콩, 땅콩가루를 넣고 같이 볶아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 소스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각각의 성분은
돼지고기 20~40 중량%, 돼지기름 10~30 중량%, 다진 마늘 2~10 중량%, 백태콩 20~40 중량%, 염장염 대두콩 2~10 중량%, 땅콩가루 20~40 중량%, 나머지 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 소스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돼지 고기가 다 익으면 간장과 고춧가루를 넣고 약한 불에서 볶아주는 단계와,
야채로서 양파를 먼저 넣고 호박, 양배추 순서로 넣어 볶아주는 단계와,
이들 야채들이 반 정도 익으면 설탕과 소금을 넣는 단계와,
미리 볶아 놓은 춘장을 넣고 볶는 단계와,
춘장이 고루 잘 풀어지도록 사골 육수를 넣고 끓여주는 단계, 및
전분을 넣고 잘 풀어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 소스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3425A KR101181181B1 (ko) | 2010-12-23 | 2010-12-23 | 자장 소스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3425A KR101181181B1 (ko) | 2010-12-23 | 2010-12-23 | 자장 소스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749A KR20120071749A (ko) | 2012-07-03 |
KR101181181B1 true KR101181181B1 (ko) | 2012-09-18 |
Family
ID=4670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3425A KR101181181B1 (ko) | 2010-12-23 | 2010-12-23 | 자장 소스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11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451B1 (ko) * | 2016-05-03 | 2016-11-04 | 주식회사 동그랑 | 빨간색 짜장소스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11202B (zh) * | 2013-04-01 | 2015-04-29 | 陕西蒲城永信食品有限公司 | 一种调味酱及其制备方法 |
KR20160094465A (ko) | 2015-01-30 | 2016-08-10 |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 항비만효과를 가진 짜장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짜장면 |
CN109393439A (zh) * | 2018-12-24 | 2019-03-01 | 黄晓伟 | 一种豆豉辣酱及其制备方法 |
KR102033139B1 (ko) * | 2019-06-24 | 2019-10-17 | 최재영 | 주꾸미 또는 오징어 양념용 짜장소스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3296A (ko) * | 1995-06-02 | 1997-01-28 | 가네꼬 히사시 | 자기저항 효과막,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자기저항 효과 소자 |
KR20000073070A (ko) * | 1999-05-04 | 2000-12-05 | 김영원 | 대두유로 숙성 시킨 된장과 메주, 볶은 콩, 야채를 배합한 볶음 |
KR20090057790A (ko) * | 2007-12-03 | 2009-06-08 | 민 자 강 | 상어 살을 주재료로 하는 자장 소스의 제조방법 |
-
2010
- 2010-12-23 KR KR1020100133425A patent/KR1011811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3296A (ko) * | 1995-06-02 | 1997-01-28 | 가네꼬 히사시 | 자기저항 효과막,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자기저항 효과 소자 |
KR20000073070A (ko) * | 1999-05-04 | 2000-12-05 | 김영원 | 대두유로 숙성 시킨 된장과 메주, 볶은 콩, 야채를 배합한 볶음 |
KR20090057790A (ko) * | 2007-12-03 | 2009-06-08 | 민 자 강 | 상어 살을 주재료로 하는 자장 소스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451B1 (ko) * | 2016-05-03 | 2016-11-04 | 주식회사 동그랑 | 빨간색 짜장소스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749A (ko) | 2012-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16262A1 (en) | Method for cooking a chicken with an overcooked rice crust | |
KR20120084171A (ko) | 아욱 어죽 제조방법 | |
KR101181181B1 (ko) | 자장 소스 제조 방법 | |
KR101011146B1 (ko) | 해물뼈찜 및 그 조리방법 | |
KR102058193B1 (ko) | 물닭갈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물닭갈비 | |
CN104432138A (zh) | 一种卤菜制作方法 | |
KR20120037792A (ko) | 김밥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김밥 | |
KR20170037790A (ko) | 과자 치킨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4489624A (zh) | 一种海鲜酱调味料及其制备方法 | |
CN103689667A (zh) | 一种徽式碳锅鱼及其制备方法 | |
CN104664453A (zh) | 一种鱼的制作方法 | |
KR101521503B1 (ko) | 오징어먹물 찜닭의 제조방법 | |
CN102987426A (zh) | 一种香辣土豆鸡块的制作方法 | |
KR20160067231A (ko) | 즉석 김치 콩나물 잡채 | |
KR101353246B1 (ko) | 붕어찜 제조방법 | |
KR101418803B1 (ko) | 메기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메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 |
KR100913663B1 (ko) | 김치 닭볶음의 제조방법 | |
CN102987453A (zh) | 一种鱼的做法 | |
KR101827327B1 (ko) | 시래기 닭조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래기 닭조림 | |
CN101380122A (zh) | 一种啤酒鸭的制作方法 | |
KR101171010B1 (ko) |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
KR20150029778A (ko) | 돈까스, 치킨, 족발 또는 새우튀김 조리방법 | |
KR100757974B1 (ko) | 곰장어 매운탕 및 그 제조법 | |
CN101019660A (zh) | 烹饪鱼的方法 | |
KR20150042129A (ko) | 직화구이 닭발양념 편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닭발 편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