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549B1 - Apparatus for fixing window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window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9549B1 KR101179549B1 KR1020100043557A KR20100043557A KR101179549B1 KR 101179549 B1 KR101179549 B1 KR 101179549B1 KR 1020100043557 A KR1020100043557 A KR 1020100043557A KR 20100043557 A KR20100043557 A KR 20100043557A KR 101179549 B1 KR101179549 B1 KR 101179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building
- sunshade
- support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외벽에 매립되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앵커부와, 이 앵커부에 체결고정된 고정부와, 고정부에 의해 건축물 외벽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건축물 외벽에 차양부를 설치하여 건축물의 창문으로 투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감소시켜 건축물 내부의 냉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fixing devi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a plurality of anchors embedded in the building outer wall and sp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xing portion fastened and fixed to the anchor portion, coupled to protrude to the building outer wall by the fixing portion And a shading portion provided horizontally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herefore, by installing a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block the sunlight injected into the window of the building to reduce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flowing into the building provide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oling effect inside the buil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절기에 건축물 외벽의 창문으로 투입되는 일사량을 감소시키도록 건축물 외벽에 설치하는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fixing device for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nshade fixing device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introduced into the window of the building outer wall in the summer.
도심지 토지 이용의 효율화 요구에 따라 국내에서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주상복합 형태의 건축물에서는 보다 넓은 내부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대부분 발코니 확장으로 내부 평면을 계획하고 있고, 건물 입면 미관과 실내 거주자의 조망 측면을 고려하여 유리 면적이 넓은 형태의 외피를 선호하고 있다. Due to the demand for efficient urban land use, high-rise residential complexes are increasing in Korea. Most of these buildings have a plan to expand the balconies in order to secure a wider interior area, and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is preferred in view of the facade of the building and the view of the occupants.
그러나, 외피의 대부분이 유리로 형성된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에서는 하절기에 일사의 실내 유입량 과다로 인하여 냉방 부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글레어 현상 등의 건축 환경적 문제도 야기되고 있다. 발코니 확장 형태의 실내 평면 계획은 단열 완충 공간이 없는 취약점으로 인해서, 상기의 실내 과열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다.However, in a high-rise columnar composite building in which most of the shell is made of gla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ling load is increased due to excessive indoor inflow of solar radiation during the summer, and a building environmental problem such as a glare phenomenon is also caused. Interior plan plans in the form of balcony expansions exacerbate the above-mentioned indoor overheating problems due to the lack of adiabatic buffer space.
따라서, 이와 같은 하절기 실내 과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외피에 일사를 적절한 차단할 수 있는 차양의 설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uch a summer indoor overheating problem, the necessity of the installation of the sunshade which can block | block solar radiation appropriately in the outer shell of a building is increasing.
한편, 최근 에너지 절감 요구 강화로 인하여,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에서 외피의 전면에 유리를 적용하는 커튼월 형태는 향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단열 성능이 취약한 유리 소재보다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재를 적용한 외벽의 면적을 늘리는 계획이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환기나 채광에 필요한 개구 면적을 제외하고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외벽의 면적 비율을 늘린 외피 형태가 보편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외벽의 재료도 기존의 금속 패널보다 시공성과 원가절감 측면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도장 마감을 채택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즉, 콘크리트 외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창문을 설치하는 외피 형태가 많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ecent demand for energy saving, the shape of curtain walls that apply glass to the front surface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is expected to decrease in the future. Plans to increase the area of the outer wall using insulation material with better insulation performance than glass materials with poor insulation performance are expected to become commonplace. Except for the opening area required for ventilation or mining, the outer shell shape with increased insulation ratio is expected to become commonplace. As for the material of the outer wall, more and more cases are adopting the coating finish on the concrete wall in terms of workability and cost reduction than conventional metal panels. That is, the skin form which forms an opening in a concrete outer wall and installs a window in this opening is increasing.
이와 같은 콘크리트 외벽과 창문이 혼용된 형태의 외피에서는 하절기 일사를 차단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건축물 외부의 차양을 종래의 커튼월 형태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In such a case where a concrete outer wall and a window are mixed, it is difficult to apply a method of installing a sunshade outside a building installed in order to block summer solar radiation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curtain wall.
외피 형태가 수평수직 프레임 사이에 유리가 끼워지는 커튼월 방식인 종래의 건축물에서 외피에 차양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커튼월에 프레임에 직접 부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공장에서 커튼월의 수직 또는 수평 프레임에 차양 고정용 브라켓 등의 철물을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 차양을 공장 또는 현장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In the conventional building, which is a curtain wall type in which the glass is sandwiched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 method of directly attaching the sunshade to the curtain wall is mainly used. In the factory, a hardware such as a sunshade fixing bracket was installed on a vertical or horizontal frame of a curtain wall, and a sunshade was installed on the bracket at a factory or a site.
그러나, 콘크리트 외벽이 있는 건축물에서는 종래의 프레임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콘크리트 외벽에 차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브라켓 고정용 앵커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타공 작업을 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전 앵커체를 매립하는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이 작업은 번거로움이 따른다. However, in a building having a concrete outer wall, a method of installing a bracket on a conventional frame cannot be applied. In order to install the awning on the concrete outer wall,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ethod of perforating work after the concrete is cu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nchor for fixing the bracket, or to apply the method of embedding the anchor body before the concrete is placed, which is cumbersome.
특히, 콘크리트를 타공하는 방법은 타공 위치에서 외벽 내부 철근과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 시공성이 좋지 않으며, 초고층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높은 강도로 인하여 이러한 타공 작업마저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the method of perforating concrete is not good construction because it is likely to interfere with the reinforcing bars inside the outer wall at the perforation location, and the ultra-high strength concrete used in high-rise buildings is not easy even due to the high strength.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창문으로 투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감소시켜 건축물 내부의 냉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설치비용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지지부의 설치 및 지지강성을 향상시키며, 차양부의 차양효과 및 미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olar radiation introduced into the building by blocking the sunlight injected into the window of the building to improve the cooling effect inside the building, installation cost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orking time, to improve the installation and support stiffness of the support, and to provide a awning fixing devi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that can improve the sunshade effect and aesthetic effect of the sunsha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매립되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앵커부; 상기 앵커부에 체결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의해 건축물 외벽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anchor parts embedded in the building outer wall and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ixed part fastened to the anchor part; A support coupled to the projecting wall by the fixing unit; And a shading portion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본 발명의 상기 앵커부는 건축물 외벽에 외벽용 거푸집을 고정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의 레일고정용 매립앵커이다.The ancho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fixing buried anchor of the rail for fixing or moving the formwork for the outer wall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상기 앵커부는, 건축물 외벽과 평행하게 매립설치되며 일면에 결합핀이 수직하게 형성된 판형상의 고정앵커와, 상기 결합핀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 외벽 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된 콘형상의 결합편으로 이루어진다.The ancho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parallel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plate-shaped fixed anchor with a coupling pin vertically formed on one surface,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 and a cone-shaped coupling piec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at the other en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Is done.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는, 건축물 외벽에 결합면이 접촉되며 끼움편이 상기 결합면의 일단에서 외향으로 절곡형성된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의 결합면에 접촉면이 접촉되며 끼움편이 상기 제1브래킷의 끼움편과 평행하게 상기 접촉면의 일단에서 외향으로 절곡형성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의 끼움편에 결합되며 지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1지지편과, 상기 제2브래킷의 끼움편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편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지지편으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rface bracket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fitting piece is bent outward from one end of the coupling surface, the contac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fitting piece is the first bracket A second bracket bent outwardly at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in parallel with a fitting piece of the first bracket, a first support piece coupled to the fitting piece of the first bracket and install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fitted to the fitting piece of the second bracket; And a second support piec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pport piece.
본 발명의 상기 차양부는, 상기 지지부 사이의 바깥쪽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판과, 상기 지지부 사이의 안쪽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봉으로 이루어진다.The sunsha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nshade plat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outside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a sunshade bar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support por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차양부를 설치함으로써, 건축물의 창문으로 투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감소시켜 건축물 내부의 냉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oling effect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y installing a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locking the sunlight to be injected into the window of the building to reduce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flowing into the building. do.
건축물 외벽의 거푸집 레일용 매립앵커를 마감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차양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앵커설치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설치비용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By using the formwork anchor for the formwork rail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s it is without finishing, it is un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anchor for installing the sunshade,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work time.
지지부를 브래킷과 지지편의 결합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지지부의 설치 및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By constructing the support por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bracket and the support piece, the installation and support rigidity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improved.
차양부를 차양판과 차양봉으로 구성하여, 차양부의 차양효과 및 미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sunshade is composed of a sunshade and a sunsha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nshade effect and aesthetic effect of the sunsh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unshade fixing devi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nshade fixing devi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unshade fixing devi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unshade fixing devi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nshade fixing devi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awning fixing apparatus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는 앵커부(10), 고정부(20), 지지부(30, 40, 50, 60) 및 차양부(70, 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the awning fixing device fo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앵커부(10)는 건축물 외벽(100)에 매립되며 복수개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며, 고정앵커(11)와 결합편(12)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앵커부(10)는 건축물 외벽(100)의 시공시 와벽에 외벽용 거푸집을 고정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을 외벽에 설치하기 위한 레일고정용 매립앵커를 모르타르와 같은 마감재로 마감하지 않고서 그대로 재활용하게 된다. 따라서 매립앵커의 마감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차양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앵커설치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The
고정앵커(11)는 건축물 외벽과 평행하게 외벽의 내부에 매립설치된 판형상의 부재로서, 일면에는 외벽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결합핀(11a)이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부위에는 외벽 내부의 철근구조물과 결합하기 위한 고정홀(11b)이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결합편(12)은 고정앵커(11)의 결합핀(11a)에 결합되는 콘형상의 결합부재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편(12)의 일단에는 결합핀(11a)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외벽 방향으로 체결홀(12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0)는 앵커부(10)의 결합편(12)에 형성된 체결홀(12b)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부재로서, 볼트, 앵커볼트, 스크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20)는 고정부(20)의 체결력을 보강하고 공차를 보정하기 위해 와셔(21)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지지부(30, 40, 50, 60)는 고정부(20)에 의해 건축물 외벽(100)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며 이들 사이에 차양부가 설치되어 지지하게 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브래킷(30), 제2브래킷(40), 제1지지편(50) 및 제2지지편(60)으로 이루어진다.The
제1브래킷(30)은 건축물 외벽(100)에 접촉되는 결합면(31)과, 이 결합면(31)의 일단에서 외향으로 절곡형성된 끼움편(32)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면(31)의 중앙에는 고정부(20)가 끼워맞춤되며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31a)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면(31)의 상부에는 위치결정홀(31b)이 형성되어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4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끼움편(32)에는 복수개의 고정홀(32a)이 형성되어 제1지지편(50)에 끼움편(32)이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고정볼트(33)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되어 있다.The
제2브래킷(40)은 제1브래킷(30)의 결합면(31)에 접촉되는 접촉면(41)과, 이 접촉면(41)의 일단에서 외향으로 절곡되어 제1브래킷(30)의 끼움편(3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끼움편(42)으로 이루어진다. 접촉면(41)의 중앙에는 고정부(20)가 끼워맞춤되며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41a)이 형성되어 있고, 접촉면(41)의 상부에는 위치결정홀(41b)이 형성되어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4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끼움편(42)에는 복수개의 고정홀(42a)이 형성되어 제2지지편(60)에 끼움편(42)이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3)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되어 있다.The
제1지지편(50)은 제1브래킷(30)의 끼움편(32)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며 지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지지부재로서, 삼각형의 핀(fin)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판(51)과, 이 지지판(51)의 일단부에 형성된 끼움홈(52)과, 지지판(51)의 일방 측면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블럭(53)으로 이루어진다. The
지지판(51)의 외향부위에는 차양판(7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51a)이 4개 형성되어 있고, 내향부위에는 지지블럭(53)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51b)이 3개씩 2곳에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52)에는 제1브래킷(30)의 끼움편(32)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며, 끼움편(32)의 고정홀(32a)과 연통되는 복수의 결합홀(52a)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outward portion of the
제2지지편(60)은 제2브래킷(40)의 끼움편(42)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며 제1지지편(50)과 평행하게 설치된 지지부재로서, 삼각형의 핀(fin)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판(61)과, 이 지지판(61)의 일단부에 형성된 끼움홈(62)과, 지지판(61)의 일방 측면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블럭(63)으로 이루어진다. The
지지판(61)의 외향부위에는 차양판(7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61a)이 4개 형성되어 있고, 내향부위에는 지지블럭(63)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61b)이 3개씩 2곳에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62)에는 제2브래킷(40)의 끼움편(42)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며, 끼움편(42)의 고정홀(42a)과 연통되는 복수의 결합홀(62a)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outward portion of the
차양부(70, 80)는 일방 앵커부의 지지판과 인접한 앵커부의 지지판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건축물 외벽(100)의 창문(200) 상부에서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양부재로서, 지지부의 지지판 사이의 바깥쪽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판(70)과, 지지부의 지지판 사이의 안쪽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봉(80)으로 이루어진다.The
차양판(70)은 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의 판재로 이루어진 차양부재로서, 양쪽 단부의 모서리에는 지지부의 측면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7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차양봉(80)은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된 중공의 봉재로 이루어진 차양부재로서, 양쪽 단부가 지지판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블럭과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차양봉(80)에 의해 차양부의 미적 효과를 상승시키게 된다.The
따라서, 본 실시예 따르면, 건축물 외벽에 차양부를 설치함으로써, 건축물의 창문으로 투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감소시켜 건축물 내부의 냉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건축물 외벽의 거푸집 레일용 매립앵커를 마감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차양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앵커설치작업이 불필요하여 설치비용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지지부를 브래킷과 지지편의 결합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지지부의 설치 및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차양부를 차양판과 차양봉으로 구성하여, 차양부의 차양효과 및 미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installing a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block the sunlight input into the window of the building to reduce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flowing into the building to improve the cooling effect inside the building, formwork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By not using the rail embedded anchor as it is without finishing, it is un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anchor for installing the sunshade,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working time, and by forming the support by the combination of the bracket and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stallation and support stiffness, and to configure the sunshade with the sunshade plate and sunshade, to provide the effect to improve the sunshade effect and aesthetic effect of the sunshad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10: 앵커부 20: 고정부
30: 제1브래킷 40: 제2브래킷
50: 제1지지편 60: 제2지지편
70: 차양판 80: 차양봉10: anchor portion 20: fixed portion
30: first bracket 40: second bracket
50: first support piece 60: second support piece
70: sunshade 80: sunshade
Claims (5)
상기 앵커부에 체결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의해 건축물 외벽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건축물 외벽에 외벽용 거푸집을 고정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의 레일고정용 매립앵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A plurality of anchors embedded in the building outer wall and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xed part fastened to the anchor part;
A support coupled to the projecting wall by the fixing unit; And
Includes; the sunshad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support;
The anchor part is a sunshade fixing device fo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fixing buried anchor of the rail for fixing or moving the formwork for the outer wall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상기 앵커부에 체결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의해 건축물 외벽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건축물 외벽과 평행하게 매립설치되며 일면에 결합핀이 수직하게 형성된 판형상의 고정앵커와, 상기 결합핀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 외벽 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된 콘형상의 결합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A plurality of anchors embedded in the building outer wall and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xed part fastened to the anchor part;
A support coupled to the projecting wall by the fixing unit; And
Includes; the sunshad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support;
The anchor part is a buried installation parallel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formed of a plate-shaped fixed anchor with a coupling pin vertically formed on one surface, and a cone-shaped coupling piec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oupling pin and a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in the outer wall direction. Awning fixing device for an outer wall of a building.
상기 지지부는,
건축물 외벽에 결합면이 접촉되며 끼움편이 상기 결합면의 일단에서 외향으로 절곡형성된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의 결합면에 접촉면이 접촉되며 끼움편이 상기 제1브래킷의 끼움편과 평행하게 상기 접촉면의 일단에서 외향으로 절곡형성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의 끼움편에 결합되며 지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1지지편과,
상기 제2브래킷의 끼움편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편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upport portion
A first bracket having a mating surface in contact with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fitting piece bent outwardly from one end of the mating surface;
A second bracket in which a contact surface is in contact with an engagement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fitting piece is bent outwardly at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fitting piece of the first bracket;
A first support piece coupled to the fitting piece of the first bracket and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The sunshade fixing device of a building outer wall coupled to the fitting piece of the second bracket and made of a second support piec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pport piece.
상기 차양부는, 상기 지지부 사이의 바깥쪽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판과, 상기 지지부 사이의 안쪽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양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unshade, the sunshade fixing devic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nshad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outsid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nshade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suppo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3557A KR101179549B1 (en) | 2010-05-10 | 2010-05-10 | Apparatus for fixing window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3557A KR101179549B1 (en) | 2010-05-10 | 2010-05-10 | Apparatus for fixing window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4015A KR20110124015A (en) | 2011-11-16 |
KR101179549B1 true KR101179549B1 (en) | 2012-09-04 |
Family
ID=4539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3557A KR101179549B1 (en) | 2010-05-10 | 2010-05-10 | Apparatus for fixing window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95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9631A (en) | 2022-07-14 | 2024-01-23 | 박진우 | Pedestal with guide fixing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583B1 (en) * | 2014-02-14 | 2014-12-30 | (주)황두진건축사사무소 |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
CN110016999A (en) * | 2019-01-15 | 2019-07-16 | 深圳市现代城市建筑设计有限公司 | A kind of modern architecture shading system |
CN112982847A (en) * | 2019-12-17 | 2021-06-18 | 烟台新科钢结构有限公司 | Combined building sun shield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77562A (en) * | 2005-12-28 | 2007-07-12 | Device:Kk | Horizontal overhanging structure from wall surface by tabular member |
-
2010
- 2010-05-10 KR KR1020100043557A patent/KR1011795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77562A (en) * | 2005-12-28 | 2007-07-12 | Device:Kk | Horizontal overhanging structure from wall surface by tabular memb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9631A (en) | 2022-07-14 | 2024-01-23 | 박진우 | Pedestal with guide fix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4015A (en) | 2011-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2478B1 (en) | Curtain wall insulation unit panel for curtain wal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KR101065036B1 (en) | Glass groove variable double insulation curtain wall | |
US20130291465A1 (en) | Vented wall girts | |
KR20130045711A (en) | Indoor decorative curtain wall construction unit | |
CA2722360A1 (en) |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WO2018009129A1 (en) | A curtain wall system, a composite module for a curtain wall system and a building comprising a curtain wall system | |
KR101179549B1 (en) | Apparatus for fixing window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 |
KR101463222B1 (en) | Structural panel assembly | |
KR101281884B1 (en) | curtain wall system using insulation panel with decorative plate | |
KR20130075240A (en) | Weld-free roll-formed steel curtain wall system | |
KR101336667B1 (en) | A pannel in use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and working method therof | |
KR20210081503A (en) | Multi-type curtain wall | |
KR100959063B1 (en) | Frame reinforcement systems for curtain walls and window systems | |
KR20090005274A (en) | Sandwich panel construction of exterior wall of building | |
KR101586427B1 (en) | Eco-ffiendly curtain wall to maximize insulation effect | |
KR101351106B1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inner-insu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60004589A (en) | Assembly for construction of finishing panel | |
KR20120109095A (en) | Window fram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which using this | |
KR101272990B1 (en) | L-type clip angle for installing alc panel to concrete slab using rocking construction method | |
KR102326142B1 (en) | High-density wood panel unit with quick fastening and waterproofing structures, and exterior panel quick fastening structures using thereof | |
KR101057766B1 (en) | Building panel | |
KR102026581B1 (en) | Window fittings for seismic reinforcement | |
KR101273087B1 (en) | Method for installing alc panel to concrete slab | |
KR20100133637A (en) | Building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PC panel, and remodeling building | |
KR100646663B1 (en) | Architecture window frame fixed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