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427B1 -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427B1
KR101177427B1 KR1020100048346A KR20100048346A KR101177427B1 KR 101177427 B1 KR101177427 B1 KR 101177427B1 KR 1020100048346 A KR1020100048346 A KR 1020100048346A KR 20100048346 A KR20100048346 A KR 20100048346A KR 101177427 B1 KR101177427 B1 KR 101177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coupled
coupling
pieces
b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981A (ko
Inventor
한상원
강대성
남민균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42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4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주의 상부에 연결구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의 연결구에 가드빔이 결합되어지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중공인 지주체의 하부가 바닥에 직립되게 매립되어지고, 바닥의 상부로 노출된 지주체에 볼트홀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가 지주볼트에 의하여 지주체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구에 가드빔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구는 연결홀이 형성된 연결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부 맞대기편이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맞대기편에 맞대기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은 만곡형태로 볼록한 전방의 임펙트부 배면에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에 상기 결합홈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결합홈부는 임펙트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면을 향하여 수평형태를 갖는 상,하부 결합편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결합편에 가드관통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관통홀에 중심이 일치되는 맞대기홀을 가드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지주 사이로 결합된 가드빔은 상기 지주의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 2열로 배열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2열로 배열된 가드빔은 보강블럭부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강블럭부는 수직형태를 갖는 블럭부재의 상,하부에 가드빔결합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는 찬넬형의 양측 상,하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 사이의 양측에 반대방향으로 대응되어지게 절곡된 절곡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드레일{GUARD 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드빔의 양단이 지주에 결합된 연결구에 의하여 겹치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차선 밖으로 나가거나 언덕 밑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막기 위하여 도로변이나 보도?차도의 경계, 고속도로 중앙에 설치하는 방호책을 가드레일(Guardrail)이라고 한다.
가드레일은 W형의 단면을 가진 금속제빔(Bean)을 지주에 결합시킨 것으로 차량 운전자의 눈에 쉽게 식별되어지게 밝은 색으로 도장되어 있으며, 주행중인 차량이 접촉되었을 때 차체의 충돌에너지를 흡사하여 차량을 원래의 차도로 되돌려 보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노견을 따라 금속제빔이 길게 연결되어진 형태로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금속제빔의 길이가 짧음에 따라 지주와 지주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에서 금속제빔이 일정한 길이로 겹쳐져 볼트로 지주에 결합됨으로써, 많은 량의 지주와 금속제빔 및 볼트 등이 사용되는 원인으로 인하여 시공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평판형태를 갖는 금속판재가 프레스에 의하여 W형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되어지는 과정에서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별도로 절곡되어지게 성형함으로써, 제조공정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낮아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단순하게 W형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된 금속제빔의 양단이 지주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가 금속제빔의 전체로 분산되지 못하고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됨에 따라 가드레일이나 차량이 심하게 파손되는 등 가드레일의 기능이 상실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노견을 따라 가드레일이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부자재들의 사용량을 줄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부자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는 가운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가 부자재 전체로 분산되어지도록 하여 차량 및 가드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주(10)의 상부에 연결구(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10)의 연결구(20)에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지는 가드레일(A)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중공인 지주체(11)의 하부가 바닥에 직립되게 매립되어지고, 바닥의 상부로 노출된 지주체(11)에 볼트홀(111)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0)가 지주볼트(12)에 의하여 지주체(11)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구(20)에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구(20)는 연결홀(211)이 형성된 연결부재(21)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부 맞대기편(22)이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맞대기편(22)에 맞대기홀(22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30)은 만곡형태로 볼록한 전방의 임펙트부(31) 배면에 결합홈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20)에 상기 결합홈부(3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결합홈부(32)는 임펙트부(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면을 향하여 수평형태를 갖는 상,하부 결합편(321)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결합편(321)에 가드관통홀(3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관통홀(323)에 중심이 일치되는 맞대기홀(221)을 가드볼트(33)가 관통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지주(10) 사이로 결합된 가드빔(30)은 상기 지주(10)의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 2열로 배열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2열로 배열된 가드빔(30)은 보강블럭부(50)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강블럭부(50)는 수직형태를 갖는 블럭부재(51)의 상,하부에 가드빔결합부(5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52)는 찬넬형의 양측 상,하부에 관통홀(5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52) 사이의 양측에 반대방향으로 대응되어지게 절곡된 절곡부(5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1)와 상,하맞대기편(22)이 절곡된 모서리 외측에 경사걸림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맞대기편(22)의 끝에 상기 임펙트부(31)의 배면 상,하부모서리 내측에 맞대어지는 임펙트보강편(23)이 절곡되어지고, 상기 가드빔(30)의 상,하부 결합편(321) 끝에 걸림편(322)이 배면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되어지고, 상기 가드빔(30)의 임펙트부(31)는 결합홈부(32)를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라이너(3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10) 사이로 결합된 가드빔(30)은 결합홈부(32)에 보강부(4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강부(40)는 보강부재(4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부 결합편(321)의 내면에 맞대어지는 상,하부보강편(42)이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어지고, 상기 상,하부보강편(42)의 끝에 상기 임펙트부(31)의 배면 상,하부모서리 내측에 맞대어지는 임펙트맞대기편(43)이 절곡되어지되, 상기 상,하부보강편(42)에 결합홀(421)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강부재(41)와 상,하부보강편(42)이 절곡된 모서리 외측에 걸림부(4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지주에 결합된 연결구 양측으로 일측의 지주와 타측의 지주에 가드빔이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드레일이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지주, 연결구, 가드빔 및 볼트 등의 부자재 사용량을 줄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드빔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강도를 높이는 가운데 길이를 기존의 금속제빔보다 더 길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이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가 부자재인 가드빔의 전체로 분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드레일의 기능을 충분히 살려 차량 및 가드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종단면도.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결합된 보강블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결합된 보강블럭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가드레일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가드레일의 배면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A)은 도1 내지 도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상부에 연결구(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10)의 연결구(20)에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주(10)는 연결구(20)와 가드빔(30)이 안정되게 지지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의 일부가 흡수되어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지주(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스틸재로 이루어진 중공인 지주체(11)의 하부가 바닥에 직립되게 매립되어지고, 바닥의 상부로 노출된 지주체(11)에 볼트홀(111)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111)이 형성된 지주체(11)의 상부에 지주커버(12)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지주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0)는 각각의 가드빔(30)의 양측단이 겹치지 않게 지주(10) 또는 지주체(11)에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를 가드빔(30)의 배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전달되어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연결구(20)는 연결홀(211)이 형성된 연결부재(21)의 상부와 하부에 전면을 향하여 수평되게 절곡된 상,하부 맞대기편(2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211)을 통해 관통되어지는 지주볼트(12)가 지주체(11)에 형성된 볼트홀(111)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어짐으로써, 연결구(20)가 지주(10)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맞대기편(22)에는 다수개의 맞대기홀(21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드볼트(33)에 의하여 가드빔(30)의 일측 또는 타측이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1)와 상,하맞대기편(22)이 절곡된 모서리 외측에는 경사걸림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드빔(30)의 걸림편(322)이 상기 경사걸림부(24)에 일착된 상태로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맞대기편(22)의 끝에는 상기 임펙트부(31)의 배면 상,하부모서리 내측에 맞대어지는 임펙트보강편(23)이 절곡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드빔(30)은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 밖으로 나가거나 언덕 밑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이 가드빔(30)에 충돌하였을 경우,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이나 가드빔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가드빔(30)은 만곡형태로 볼록한 전방의 임펙트부(31) 배면에 결합홈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20)에 상기 결합홈부(32)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부(32)는 임펙트부(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면을 향하여 수평형태를 갖는 상,하부 결합편(321)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연결구(20)의 상,하부 맞대기편(22)이 각각 상,하부 결합편(321)의 내부에 맞대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결합편(321)에 가드관통홀(323)이 형성되어 상기 가드관통홀(323)에 중심이 일치되는 맞대기홀(221)을 가드볼트(33)가 관통하여 가드빔(30)이 연결구(20)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임펙트부(31)의 전면 가운데 부분에는 결합홈부(32)를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보강라이너(311)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임펙트부(31)가 더 보강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드빔(30)의 상,하부 결합편(321) 끝에는 걸림편(322)이 배면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결구(20)의 경사걸림부(24)에 상기 걸림편(322)이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10) 사이로 결합된 가드빔(30)은 상기 지주(10)의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 2열로 배열되게 결합되어진 것으로 상기 가드빔(30)의 내부에 별도의 보강블럭부(5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블럭부(50)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태를 갖는 블럭부재(51)의 상,하부에 가드빔결합부(5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52)는 찬넬형의 양측 상,하부에 관통홀(521)이 형성되어 상기 가드빔결합부(52)가 가드빔(30)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관통홀을 천공하여 블럭고정볼트(54)와 너트(N)로 고정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드빔결합부(52) 사이의 블럭부재(51) 양측에 절곡부(53)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보강블럭부(50)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53)에 반사지 또는 반사체를 부착 결합시킬 경우, 주행중인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드빔결합부(52)의 블럭부재(51) 양측으로 절곡부(53)가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53)가 블럭부재(51)의 양측에서 전,후방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드레일(A)은 먼저, 지주체(11)의 하부가 바닥에 직립되게 매립되어지도록 한 후 연결구(20)의 연결부재(21)에 형성된 연결홀(211)의 중심을 지주체(11)에 형성된 볼트홀(11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연결부재(21)의 배면이 각각 맞대어진 상태에서 지주볼트(12)가 연결홀(211) 및 볼트홀(111)을 관통하여 노출되어지도록 하여 너트(N)로 체결되는 것으로 연결구(20)가 지주(10)에 결합되어지게 된다.
다음, 지주(10)에 결합된 연결구(20)의 전면에 가드빔(30)의 결합홈부(32)가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구(20)의 방향으로 가드빔(30)을 가압함과 동시에 걸림편(322)의 끝이 임펙트보강편(23)에 의하여 확장되어진 상태에서 삽입이 시작되어지게 되며, 각각의 걸림편(322) 끝이 상,하부 맞대기편(22)을 지나 경사걸림부(24)에 위치됨과 동시에 가드빔(30)의 상,하부 결합편(321)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어지게 됨에 따라 억지끼워맞춤의 형태로 위치되어지게 된다.
다음, 가드빔(30)의 상,하부 결합편(321)에 형성된 각각의 가드관통홀(323)과 상,하부 맞대기편(22)에 형성된 맞대기홀(21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드볼트(33)가 관통되어지도록 한 후 너트(N)로 조이는 것으로 연결구(20)에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지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가드빔(30) 사이로 보강블럭부(50)의 블럭부재(51)가 개재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블럭부재(51)의 상,하부에 형성된 가드빔결합부(52)이 가드빔(30)의 결합홈부(32)에 삽입되어지도록 한 후 상,하부 결합편(321)에 관통홀(521)의 중심이 일치되는 다른 관통홀을 형성하여 블록고정볼트(54)를 끼워 너트(N)로 고정하는 것으로 보강블럭부(50)가 고정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20)가 지주볼트(12)에 의하여 지주(10)의 양측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일측에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드빔(30)의 결합홈부(32)에 보강부(40)가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결합홈부(32)에 결합되어지는 보강부(40)는 보강부재(4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부 결합편(321)의 내면에 맞대어지는 상,하부보강편(42)이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어지고, 상기 상,하부보강편(42)의 끝에 상기 임펙트부(31)의 배면 상,하부모서리 내측에 맞대어지는 임펙트맞대기편(43)이 절곡되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보강편(42)에 결합홀(421)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강부재(41)와 상,하부보강편(42)이 절곡된 모서리 외측에 걸림부(44)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지주 11:지주체
12:지주볼트 20:연결구
21:연결부재 22:상,하부 맞대기편
30:가드빔 31:임펙트부
32:결합홈부 111:볼트홀
211:연결홀 221:맞대기홀
321:상,하부 결합편 323:가드관통홀

Claims (4)

  1. 지주(10)의 상부에 연결구(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10)의 연결구(20)에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지는 가드레일(A)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중공인 지주체(11)의 하부가 바닥에 직립되게 매립되어지고, 바닥의 상부로 노출된 지주체(11)에 볼트홀(111)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0)가 지주볼트(12)에 의하여 지주체(11)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구(20)에 가드빔(3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구(20)는 연결홀(211)이 형성된 연결부재(21)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부 맞대기편(22)이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맞대기편(22)에 맞대기홀(22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30)은 만곡형태로 볼록한 전방의 임펙트부(31) 배면에 결합홈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20)에 상기 결합홈부(3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결합홈부(32)는 임펙트부(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면을 향하여 수평형태를 갖는 상,하부 결합편(321)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결합편(321)에 가드관통홀(3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관통홀(323)에 중심이 일치되는 맞대기홀(221)을 가드볼트(33)가 관통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지주(10) 사이로 결합된 가드빔(30)은 상기 지주(10)의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 2열로 배열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2열로 배열된 가드빔(30)은 보강블럭부(50)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강블럭부(50)는 수직형태를 갖는 블럭부재(51)의 상,하부에 가드빔결합부(5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52)는 찬넬형의 양측 상,하부에 관통홀(5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52) 사이의 양측에 반대방향으로 대응되어지게 절곡된 절곡부(5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1)와 상,하맞대기편(22)이 절곡된 모서리 외측에 경사걸림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맞대기편(22)의 끝에 상기 임펙트부(31)의 배면 상,하부모서리 내측에 맞대어지는 임펙트보강편(23)이 절곡되어지고, 상기 가드빔(30)의 상,하부 결합편(321) 끝에 걸림편(322)이 배면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되어지고, 상기 가드빔(30)의 임펙트부(31)는 결합홈부(32)를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라이너(3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 사이로 결합된 가드빔(30)은 결합홈부(32)에 보강부(4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강부(40)는 보강부재(4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부 결합편(321)의 내면에 맞대어지는 상,하부보강편(42)이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어지고, 상기 상,하부보강편(42)의 끝에 상기 임펙트부(31)의 배면 상,하부모서리 내측에 맞대어지는 임펙트맞대기편(43)이 절곡되어지되, 상기 상,하부보강편(42)에 결합홀(421)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강부재(41)와 상,하부보강편(42)이 절곡된 모서리 외측에 걸림부(4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4. 삭제
KR1020100048346A 2010-05-25 2010-05-25 가드레일 Active KR101177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46A KR101177427B1 (ko) 2010-05-25 2010-05-25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46A KR101177427B1 (ko) 2010-05-25 2010-05-25 가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981A KR20110128981A (ko) 2011-12-01
KR101177427B1 true KR101177427B1 (ko) 2012-08-27

Family

ID=4549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346A Active KR101177427B1 (ko) 2010-05-25 2010-05-25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4058B1 (ko) * 2022-10-13 2025-01-10 이병하 가드레일 보강 및 도약방지 보조레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24A (ja) 1998-08-27 2000-03-07 Xyence Corp 木製ガードレール
KR200311347Y1 (ko) 2003-01-21 2003-04-26 송부욱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682791B1 (ko) 2004-12-24 2007-02-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량용 방호 울타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24A (ja) 1998-08-27 2000-03-07 Xyence Corp 木製ガードレール
KR200311347Y1 (ko) 2003-01-21 2003-04-26 송부욱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682791B1 (ko) 2004-12-24 2007-02-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량용 방호 울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981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US4638979A (en) Vehicle crash barriers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177427B1 (ko) 가드레일
JP2018021330A (ja) 橋梁用防護柵
KR200480307Y1 (ko)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부재
KR20120025822A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가드레일
KR101218799B1 (ko) 가드레일 커플러 일체형 스페이서
KR101854761B1 (ko) 전이구간용 방호울타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36495B1 (ko)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KR20130071781A (ko) 방호울타리용 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101288063B1 (ko) 교량용 난간
KR101228441B1 (ko)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100949450B1 (ko) 앵커형 중앙 분리대
KR20200045376A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레일 간 결합구조
KR20180012589A (ko) 리브펜스,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83543B1 (ko) 개방형 중앙분리대
KR20120090908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170021724A (ko) 교량용 차량 방호 울타리
KR20120134851A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101097056B1 (ko) 도로용 방호벽
KR101835861B1 (ko) 충격흡수성능이 향상된 고강도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1022246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도로용 가드레일
KR102758071B1 (ko) 전단 보강지주와 이를 이용해 설치되는 난간 및 울타리
KR101585734B1 (ko)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