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040B1 -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040B1
KR101172040B1 KR1020120040132A KR20120040132A KR101172040B1 KR 101172040 B1 KR101172040 B1 KR 101172040B1 KR 1020120040132 A KR1020120040132 A KR 1020120040132A KR 20120040132 A KR20120040132 A KR 20120040132A KR 101172040 B1 KR101172040 B1 KR 10117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oil
wastewater
sand
was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정갑
Original Assignee
차정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정갑 filed Critical 차정갑
Priority to KR102012004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4S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폐토사(토분 및 석분)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축폐기물인 폐토사와 골재채석 및 생산시 발생되는 폐석분과 폐토분을 적어도 1차 이상의 분쇄공정을 거친 폐토사(토분 및 석분)를 건조시켜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하여 재활용함으로써, 규격화된 건설용 모래를 크기별로 이른 시간 내에 간단하게 제조하도록 하는 한편, 선별공정상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을 살수장치에서 분사되는 물과 융합하여 필터로 여과시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사된 물을 침전조로 회수하여 미분과 분리된 폐수를 정화장치에서 정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건조장치(3)의 스크류 케이스(34)로 많은 양의 폐토사가 공급되지 않도록 조절장치의 호퍼 하부에 설치된 공급량 조절 밸브(22)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건조장치(3)의 배출구(34b)에 설치된 폐토사 배출량감지센서(8)와, 상기 살수장치(5)에서 분사되어 분진과 융합된 폐수를 이송하여 침전시킨 후 폐수와 분진을 분리하는 침전조(9)와, 상기 침전조(9)에서 수중 분리된 폐수를 유입하여 폐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다수개 필터(103)가 내장된 필터함(101)을 거치면서 정화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살수장치로 순환시키는 정화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ND}
본 발명은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폐토사(토분 및 석분)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축폐기물인 폐토사와 골재채석 및 생산시 발생되는 폐석분과 폐토분을 적어도 1차 이상의 분쇄공정을 거친 폐토사(토분 및 석분)를 건조시켜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하여 재활용함으로써, 규격화된 건설용 모래를 크기별로 이른 시간 내에 간단하게 제조하도록 하는 한편, 선별공정상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을 살수장치에서 분사되는 물과 융합하여 필터로 여과시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사된 물을 침전조로 회수하여 미분과 분리된 폐수를 여과조에서 정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폐기물은 각종 건축물을 철거하였을 때 생성되는 일종의 폐 건축자재를 뜻하는 것으로 철근, 콘트리트, 자갈, 모래, 흙, 나무조각 등이 오물과 함께 뒤섞여 균형화 되지 않은 형태로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건축 폐기물의 처리를 위해서는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매립지에 매립해야 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거쳐서 처리하려면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 도로변이나 후미진 곳 혹은 공터에 무단으로 투기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설혹, 매립지에 매립하였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인 토양의 사양화라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최근 널리 시행되는 건축 폐기물을 이용하여 건축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장치와 방법은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중의 하나인 분진을 처리하는 공정이 없이 시행되고 있어 결국 건축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취지가 무색해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택보급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단위의 공동주택이 건설되고 있고 교통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로의 확장 및 포장공사가 많아지면서 다량의 골재가 소요됨에 따라 골재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렇게 부족한 골재량을 채우기 위해서 다량의 염분이 함유된 바닷모래나 자갈 등을 제대로 세척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아 건설용으로 재사용하기에는 품질이 불량한 재생모래 등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부실화를 초래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골재채석 및 생산시 대량으로 발생되는 대부분의 폐석분 및 폐토분은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는 가장 큰 주범이 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상기 폐토분 및 폐석분을 처리하는 마땅한 장치나 기계가 없었으며 이로 인해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대량의 폐석분과 폐토분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의 오염을 빠르게 악화시키는 등 항상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 10-2004-0008278호의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였지만, 모래제조 선별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여과하기 위하여 살수된 폐수를 외부에 정화하지 않고 그대로 배출하기 때문에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적어도 1차 이상의 분쇄공정을 거쳐 폐토사(토분 및 석분)를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하여 재활용함으로써 규격화된 건설용 모래를 크기별로 빠른시간 내에 간단하게 제조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공정상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 등을 자체적으로 살수장치에서 분사되는 물과 융합하여 여과함으로써 분진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진을 여과하기 위하여 살수장치에서 분사되는 폐수를 침전조에서 침전시켜 분진과 분리된 폐수는 다시 정화장치에서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분쇄된 폐토사가 콘베이어 벨트를 통해 낙하되어 호퍼의 상부로 유입되면 일정량 저장한 후, 한번에 많은 양이 건조장치의 스크류 케이스로 공급되지 않도록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배출량을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공급량 조절 밸브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1차 이상의 분쇄과정을 거친 폐토사의 운반을 수행하는 폐토사 이송장치(1)와;
폐토사 공급량의 조절을 수행하는 조절장치(2)와;
폐토사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3)와;
모래의 입자크기별 분리를 수행하는 선별장치(4)와;
선별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에 살수를 수행하는 살수장치(5)와;
분진의 여과를 수행하는 여과장치(6)와;
선별된 모래 운반을 수행하는 모래 이송장치(7)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3)의 스크류 케이스(34)로 많은 양의 폐토사가 공급되지 않도록 조절장치(2)의 호퍼 하부에 설치된 공급량 조절 밸브(22)를 폐토사의 배출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건조장치(3)의 배출구(34b)에 설치되어 폐토사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폐토사 배출량감지센서(8)와,
상기 살수장치(5)에서 분사되어 분진과 융합된 폐수를 이송하여 침전시킨 후 폐수와 분진을 분리하는 침전조(9)와,
상기 침전조(9)에서 수중 분리된 폐수를 유입하여 폐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다수개 필터(103)가 내장된 필터함(101)을 거치면서 정화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살수장치로 순환시키는 정화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화장치(10)의 일측에는 필터함(101)을 형성하고, 필터함(101)의 중앙에는 폐수를 유입하는 유입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02)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필터(103)를 겹겹이 형성하고, 상기 필터(103)의 외부에는 공간부(104)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04)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배출공(105)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화장치(10)의 정화수조(106)에 정화된 물이 배관(100)을 통해 살수장치(5)로 순환할 수 있게 배관의 일측에 순환모터(11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폐수분리 및 여과조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따르면, 적어도 1차 이상의 분쇄공정을 거쳐 소정의 작은 입자로 분쇄된 폐토사를 건조시켜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하여 재활용함으로써 규격화된 건설용 모래를 크기별로 이른 시간 내에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선별공정상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 등을 살수장치에서 분사되는 물과 융합하여 자체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분진과 혼합된 폐수는 다시 침전조에서 분진과 폐수를 분리하고, 분리된 폐수는 정화장치에서 필터링 하여 정화된 물을 다시 살수장치로 순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절약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장치로 폐토사가 공급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밸브를 수동으로 조절하지 않고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폐토사의 배출량에 따라 공급량조절밸브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가져온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폐토사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폐토사의 공급량을조절하는 조절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 개략도이다.
도 6는 본 발명 선별장치의 전체 구성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살수장치의 전체 구성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여과장치의 전체 구성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선별된 모래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1은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을 크게 나누어 보면, 분쇄과정을 거친 폐토사의 운반을 수행하는 폐토사 이송장치(1)와; 폐토사 공급량의 조절공정을 수행하는 조절장치(2)와; 폐토사의 건조공정을 수행하는 건조장치(3)와; 모래의 입자크기별 분리공정을 수행하는 선별장치(4)와; 선별공정 중 발생하는 분진에 살수공정을 수행하는 살수장치(5)와; 분진의 여과공정을 수행하는 여과장치(6)와; 선별된 모래 운반공정을 수행하는 모래 이송장치(7)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폐토사 이송장치(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쇄과정을 거친 폐토사를 후술하는 호퍼(21)에 이송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프레임(11)의 양단부에 드럼(12)이 구성되고 2개의 드럼(12)의 외주면을 회동하는 콘베이어 벨트(13)로 구성되는 것이다. 회전모터(14)는 드럼(12)을 회전시켜 콘베이어 벨트(13)가 회동되도록 상기 프레임(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먼저, 적어도 1차 이상의 분쇄과정을 거쳐 작은 크기의 입자로 부셔진 폐토사가 콘베이어 벨트(13) 상부에 하역 공급되면 회동하는 콘베이어 벨트(13)로 후술하는 호퍼(21)에 운반하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5)는 캐리어 롤러이고 (16)는 리턴 롤러이다.
또, 폐토사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21)는 상부가 넓은 외주면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좁은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폐토사의 공급량 조절밸브(22)가 장착되는 것이다.
작업공정은 분쇄된 폐토사가 콘베이어 벨트(13)를 통해 낙하되어 호퍼(21)의 상부로 유입되면 일정량 저장한 후, 한번에 많은 양이 건조장치의 스크류 케이스(34)로 공급되지 않도록 공급량 조절 밸브(22)에 따라 폐토사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량 조절밸브(22)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후술하는 건조장치(3)에서 폐토사를 배출하는 배출구(34b)의 일측에 폐토사배출량감지센서(8)를 장착하여 배출구(34b)를 통해 배출되는 폐토사의 양을 배출량감지센서(8)가 감지하여 공급량 조절밸브(22)에 신호를 보내 공급량을 조절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폐토사를 건조하는 건조장치(3)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호퍼(21)에서 유입된 폐토사가 원활한 전진이송이 되도록 스크류 케이스(34)의 내부에 스크류 샤프트(31)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31)의 일측 단부에는 연동모터(33)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31)가 회전되도록 체인 스프라켓(32)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 케이스(34)는 후방의 상부에 폐토사가 유입되는 유입구(34a)가 형성되고, 전방의 상부에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수증기 배출구(34c)가 구성되고, 전방 하부에는 건조된 모래가 배출되도록 배출구(34b)가 형성되며, 외주부에는 유입된 폐토사가 건조되도록 화구(36)가 장착되어있는 단열케이스(35)가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케이스(34)의 내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계(37)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조장치(3)의 작업공정은 호퍼(21)에서 배출되는 폐토사가 스크류 케이스(34)의 내부로 유입되면, 스크류 샤프트(31)의 회전에 의해 전진이송되고 화구(36)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스크류 케이스(34)의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폐토사를 건조시킴으로써 자연상태의 모래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후, 화구(36)의 열에 의해 건조되고 스크류 샤프트(31)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모래(약 6mm이하)는 배출구(34b)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폐토사를 건조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는 스크류 케이스(34)의 후방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증기 배출구(34c)로 배출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샤프트(31)에 의해 모래의 입자의 크기를 6mm이하로 분쇄되도록 되어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38)는 베어링 하우징이다.
그리고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장치(3)의 배출구(34b) 일측에는 건조되어 배출되는 폐토사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배출량 감지센서(8)가 장착되어 있다.
이후, 건조장치(3)의 배출구(34b)에 의해 배출되는 모래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별로 분리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선별장치(4)에 유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별장치(4)는 상기 건조장치(3)의 배출구(34b)에서 낙하되는 모래가 유입되는 유입구(42)가 몸체(41) 상부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터보 송풍기(43)가 설치되며, 전방에 터보 송풍기(43)의 압송풍이 배출되도록 통풍구(44)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에는 복수개의 모래 배출구(45, 46, 47, 48)가 터보 송풍기(43)에 의한 모래의 낙하 거리의 변위에 따라 모래의 입자 크기별로 마련되는 것이다.
선별장치(4)의 작업공정은 건조장치(3)의 배출구(34b)로부터의 건조 모래(6mm이하)가 유입구(42)로 낙하 공급되는 동시에 터보 송풍기(43)의 강한 압송풍에 의하여 모래 배출구(45, 46, 47, 48)에 각각 낙하되는데, 터보 송풍기(43)의 풍속과 풍량 및 모래의 비중차에 의해 그 낙하거리가 변화됨에 따라 지름6~4mm의 것은 1차 모래 배출구(45)로, 4~2mm의 것은 2차 모래 배출구(46)로, 2~1mm의 것은 3차 모래 배출구(47)로 낙화되며 1mm 이하의 것은 4차 모래 배출구(48)로 낙화 선별되는 것이다.
즉, 고비 중의 모래는 터보 송풍기(43)와의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모래 배출구(45, 46)에 낙하되고 점차 저비중의 모래는 터보 송풍기(43)와의 먼 거리에 위치하는 모래 배출구(47, 48)에 낙하되어 선별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모래의 입자의 크기를 6~4mm, 4~2mm, 2~1mm, 1mm 이하로 선별되도록 되어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43a)는 팬, (43b)는 구동모타이고 (43c)는 풍력?풍압조절기이다.
또한, 선별장치(4) 발생하는 분진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장치(5)를 도 6에 도시한 것이다.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 탱크(51)가 마련되고 탱크(51) 상부에 분사노즐(53)이 형성되어 있는 고압펌프(52)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노즐(53)은 상기 선별장치의 몸체(41)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선별장치(4)의 터보 송풍기(43)에서 토출되는 압송풍에 의해 입자의 크기별 로 모래가 선별되면서 발생되는 미세한 먼지(분진)에 살수하는 장치로서, 터보 송풍기(43)의 압송풍을 따라 통풍구(44)로 날아가는 미세한 먼지(분진)에 물저장탱크(51)에서 고압펌프(52)로 끌어올린 물을 분사 노즐(53)을 통해 분사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여과장치(6)는 1차 분리필터(61)와 2차 분리필터(62)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1차 분리필터(61)는 내경 1mm인 통공(61a)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4차 모래 배출구(48)의 후방에 위치고정되는 것이고, 2차 분리필터(62)는 내경 1mm이하의 미세한 통공(62a)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4차 모래 배출구(48)의 전방에 위치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살수장치(5)의 분사노즐(53)에 의해 분사된 물과 융합된 분진은 터보 송풍기(43)의 강한 압송풍에 의해 날아가 1차 분리필터(61)에 의해 여과되고, 1차 분리필터(61)를 통과한 분진과 함께 섞여있는 지름 1mm이하의 미세한 모래는 건조장치의 4차 모래 배출구(48)에 낙하되며, 1차 분리필터(61)에도 여과되지 않은 분진은 2차 분리필터(62)에 여과됨으로써 선별장치(4)의 통풍구(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터보 송풍기(43)에서 토출되는 바람만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서는 필터의 통공(61a, 62a) 내경을 1mm, 1mm이하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론 필터의 수도 필요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살수장치(6)에서 분사된 물이 분진과 혼합되어 4차 모래배출구(48)로 배출될 때, 분진에는 수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진과 혼합된 수분(폐수)을 자연에 방류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게 폐수와 분진을 분리할 수 있는 침전조(수분분류기)(9)로 이송장치(7)를 통해서 이송하게 구성한다.
즉, 여과장치(6)에서 여과된 분진(미분)은 선별장치(4)의 배출구(48)를 통해 이송되는데, 이때 분진에는 폐수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침전조(8)로 이송하여 분진을 유수분리에 의해 분리하거나, 또는 선별장치(4) 내의 살수장치(5)에서 살수된 폐수도 침전조(9)로 유도하여 폐수에 함유된 미분을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9)에서 수중분리에 의해 침전된 미분은 침전조(9)의 하부 배출구(91)를 통해 배출되어 이송장치(7)로 이송되고, 분리된 폐수는 침전조(9)의 상부 오버플러(92)를 통해 정화장치(10)로 이송된다.
즉, 침전수(9)에서 분리된 폐수에도 약간의 미분이나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방류하지 않고, 이를 정화하여 다시 물저장탱크(51)로 순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화장치(1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전조(9)에서 수중분리에 의해 분리된 폐수가 오버플로(92)를 거쳐 유입되는 폐수에 혼합된 분진 및 이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다수개의 필터(탄소필터, 부직포, 등)(103)들을 수장한 필터함(101)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함(101)은 중앙의 유입구(102)로 폐수를 유입하고, 유입구(102)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필터(103)들을 겹겹이 형성하여 폐수를 정류하고, 정류되는 물은 필터함(101)의 가장자리의 공간부(104)에 모임과 동시에 하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배출공(105)을 통해 정화수조(106)의 내부로 배출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정화장치(10)의 정화수조(106)에 정화되어 수장된 물을 물저장탱크(51)로 순환하기 위하여 물저장탱크(51)와 정화수조(106)를 연결하고 있는 배관(100)의 일측에 순환펌프(110)를 장착하여 정화수조(106)의 물을 물저장탱크(51)로 순환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필터함(101)은 정화장치의 일측에 삽입하여 상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필터함(101)의 내부에 수장되어 있는 필터(103)들도 교환이 가능하게 필터함(101)의 상부에는 덮개를 밀폐시켜 구성하고, 또 상기 유입구(102)에는 맥반석과 같은 정화작용을 하는 돌을 수장할 수도 있다.
도 9는 선별된 모래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상기 모래 이송장치(7)는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되어 있는 모래를 소정의 장소로 운반하는 장치로 상기 폐토사 이송장치(1)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써, 상기 선별장치(4)의 모래 배출구(45, 46, 47, 48)에서 모래가 하역되면 콘베이어 벨트(73)를 따라 포장하거나 검수하는 곳 등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는 (71)은 프레임, (72)은 드럼, (74)는 회전모터, (75)는 캐리어 롤러, (76)은 리턴 롤러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폐토사 이송장치 (2) : 조절장치
(3) : 건조장치 (4) : 선별장치
(5) : 살수장치 (6) : 여과장치
(7) : 모래 이송장치 (8) : 토사배출량 감지센서
(9) : 침전조 (10) : 정화장치
(11)(71) : 프레임
(12)(72) : 드럼 (13)(73) : 콘베이어 벨트
(14)(74) : 회전모터 (15)(75) : 캐리어 롤러
(16)(76) : 리턴 롤러 (21) : 호퍼
(22) : 폐토사 공급량 조절밸브 (31) : 스크류 샤프트
(32) : 체인 스프라켓 (33) : 연동모터
(34) : 스크류 케이스 (34a) : 폐토사 유입구
(34b) : 모래 배출구 (34c) : 수증기 배출구
(35) : 단열 케이스 (36) : 화구
(41) : 선별장치의 몸체 (42) : 모래 유입구
(43) : 터보 송풍기 (44) : 통풍구
(45) : 1차 모래 배출구 (46) : 2차 모래 배출구
(47) : 3차 모래 배출구 (48) : 4차 모래 배출구
(51) : 물저장 탱크 (52) : 고압펌프
(53) : 분사노즐 (61) : 1차 분리필터
(61a) : 1차 분리필터 통공 (62) : 2차 분리필터
(62a) : 2차 분리필터 통공
(101) : 필터함 (102) : 유입구
(103) : 필터 (104) : 공간부
(105) : 배출공 (106) : 정화수조

Claims (3)

  1. 적어도 1차 이상의 분쇄과정을 거친 폐토사의 운반을 수행하는 폐토사 이송장치(1)와;
    폐토사 공급량의 조절을 수행하는 조절장치(2)와;
    폐토사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3)와;
    모래의 입자크기별 분리를 수행하는 선별장치(4)와;
    선별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에 살수를 수행하는 살수장치(5)와;
    분진의 여과를 수행하는 여과장치(6)와;
    선별된 모래 운반을 수행하는 모래 이송장치(7)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3)의 스크류 케이스(34)로 많은 양의 폐토사가 공급되지 않도록 조절장치(2)의 호퍼 하부에 설치된 공급량 조절 밸브(22)를 폐토사의 배출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건조장치(3)의 배출구(34b)에 설치되어 폐토사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폐토사 배출량감지센서(8)와,
    상기 살수장치(5)에서 분사되어 분진과 융합된 폐수를 이송하여 침전시킨 후 폐수와 분진을 분리하는 침전조(9)와,
    상기 침전조(9)에서 수중 분리된 폐수를 유입하여 폐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다수개 필터(103)가 내장된 필터함(101)을 거치면서 정화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살수장치로 순환시키는 정화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구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10)의 일측에는 필터함(101)을 형성하고, 필터함(101)의 중앙에는 폐수를 유입하는 유입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02)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필터(103)를 겹겹이 형성하고, 상기 필터(103)의 외부에는 공간부(104)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04)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배출공(105)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구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10)의 정화수조(106)에 정화된 물이 배관(100)을 통해 살수장치(5)로 순환할 수 있게 배관의 일측에 순환모터(11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구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KR1020120040132A 2012-04-18 2012-04-18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KR10117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132A KR101172040B1 (ko) 2012-04-18 2012-04-18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132A KR101172040B1 (ko) 2012-04-18 2012-04-18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040B1 true KR101172040B1 (ko) 2012-08-20

Family

ID=4688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132A KR101172040B1 (ko) 2012-04-18 2012-04-18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0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3977A (zh) * 2016-05-04 2016-08-10 枣庄市金山机械有限公司 平面式制砂系统
CN109592922A (zh) * 2019-01-31 2019-04-09 长沙紫宸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利用建筑垃圾制砂、石和高钙硅铝酸盐料的装备系统
WO2019040227A3 (en) * 2017-08-25 2019-05-02 Laitram, L.L.C. INSPECTION STATION LIGHTED UP TO DETECT ANOMALIES IN PRODUCTS IN SUSPENSION IN WATER
KR102006454B1 (ko) * 2018-03-12 2019-08-01 이성용 건식모래선별장치
KR20200090409A (ko) 2019-01-21 2020-07-29 조선덕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의 제조 장치
KR102324111B1 (ko) * 2021-05-04 2021-11-10 백운석 풍력 와류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3977A (zh) * 2016-05-04 2016-08-10 枣庄市金山机械有限公司 平面式制砂系统
WO2019040227A3 (en) * 2017-08-25 2019-05-02 Laitram, L.L.C. INSPECTION STATION LIGHTED UP TO DETECT ANOMALIES IN PRODUCTS IN SUSPENSION IN WATER
US10440967B2 (en) 2017-08-25 2019-10-15 Laitram, L.L.C. Upwardly illuminated inspection station for detecting anomalies in water-borne products
KR102006454B1 (ko) * 2018-03-12 2019-08-01 이성용 건식모래선별장치
KR20200090409A (ko) 2019-01-21 2020-07-29 조선덕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의 제조 장치
CN109592922A (zh) * 2019-01-31 2019-04-09 长沙紫宸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利用建筑垃圾制砂、石和高钙硅铝酸盐料的装备系统
KR102324111B1 (ko) * 2021-05-04 2021-11-10 백운석 풍력 와류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040B1 (ko) 폐수분리 및 정화설비가 설비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US5950936A (en) Process and system for recycling glass
JP4903653B2 (ja) 材料回収システム
KR100544233B1 (ko) 공기순환형 이물질, 미분 제거수단을 포함한 양질의순환골재 생산 방법 및 그 장치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CN107309253B (zh) 油漆废渣制备高分子树脂复合固体粉末生产工艺及生产线
JP4322896B2 (ja) 建設廃棄物選別処理システム
KR101717258B1 (ko) 폐 퍼라이트 원료 재생방법
CN107127210A (zh) 一种土壤淋洗修复系统及方法
KR101175106B1 (ko) 직접건조 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0789054B1 (ko) 친환경 블라스트 장치
KR101272123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0953665B1 (ko) 폐기물의 이물질 선별분류장치
KR100889809B1 (ko)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H08503415A (ja) 危険な物質を含有するガラス製物体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4083A (ja) 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方法及び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装置
CN110665934A (zh) 一种建筑垃圾的回收处理系统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JP6920686B2 (ja) 人工芝リサイクル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484309B1 (ko)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295207Y1 (ko)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KR102197340B1 (ko)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JP7136451B2 (ja) 有害廃棄物の回収方法、再利用材の回収方法及び有害廃棄物回収システム
KR102006454B1 (ko) 건식모래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