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876B1 - 구동 장치, 렌즈 구동 장치 및 기계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렌즈 구동 장치 및 기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876B1
KR101169876B1 KR1020107024016A KR20107024016A KR101169876B1 KR 101169876 B1 KR101169876 B1 KR 101169876B1 KR 1020107024016 A KR1020107024016 A KR 1020107024016A KR 20107024016 A KR20107024016 A KR 20107024016A KR 101169876 B1 KR101169876 B1 KR 10116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iasing
shape memory
memory alloy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840A (ko
Inventor
코이치 시바타
Original Assignee
토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토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2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6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 F03G7/06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 F03G7/061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using shape memo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6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 F03G7/065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using a shape memory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휴대단말에 도입되는 구동 장치는, 소형화를 원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있어서, 아암 부재는 피구동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부세 부재는 소정의 스프링 상수를 갖고 아암 부재를 개재하여 피구동 부재를 부세한다. 제 2 부세 부재는 제 1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은 값의 스프링 상수를 갖고, 제 1 부세 부재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피구동 부재를 부세하여, 아암 부재와 함께 피구동 부재를 지지한다. 형상기억합금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제 1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아암 부재를 요동하게 한다. 피구동 부재는 아암 부재가 요동하면, 아암 부재에 접하면서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된다.

Description

구동 장치, 렌즈 구동 장치 및 기계 장치{DRIVER, LENS DRIVER AND MECHANICAL APPARATUS}
본 발명은 구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에 탑재된 디지털카메라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 및 기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아날로그 카메라를 대신하여 디지털카메라가 대두하고 있다. 통상, 디지털카메라에는 촬영시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렌즈 구동 기구는, 모터나 플런저(plunger) 등에 의해 구현되고 있다. 그렇지만, 모터나 플런저와 같은 전자부품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 등의 소형 디지털카메라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부품을 도입하기가 어려웠다. 종래, 전자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형상기억합금을 구동원으로 한 렌즈 구동 기술을 개시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국제공개 제WO 07/113478호 간행물
예상치 않은 큰 가속도가 형상기억합금에 가해지면, 형상기억합금의 신축 성능이나 사용 가능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형상기억합금을 가속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구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고, 이점이 형상기억합금이 도입된 장치의 소형화를 어렵게 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 비추어,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을 구동원으로 하는 렌즈 구동 기구를 소형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총괄적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동 장치는,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이고, 피구동 부재에 각각 접촉하여 파지하는 두 아암(arm) 부재와; 두 아암 부재 중의 하나인 제 1 아암 부재를 개재하여 피구동 부재를 제 1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와; 두 아암 부재 중의 다른 하나인 제 2 아암 부재를 개재하여 제 1의 방향과는 상이한 제 2의 방향으로 피구동 부재를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제 1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제 1 아암 부재를 요동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과; 를 구비한다. 피구동 부재는, 제 1 아암 부재가 요동하면, 두 아암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제 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또한, 구동 장치이다. 이 장치는,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이고, 피구동 부재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아암 부재와; 피구동 부재를 아암 부재를 개재하여 제 1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와; 제 1의 방향과는 상이한 제 2의 방향으로 피구동 부재를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제 1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아암 부재를 요동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과; 를 구비한다. 피구동 부재는, 아암 부재가 요동하면, 아암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제 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구동 장치이다. 이 장치는,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이고, 피구동 부재에 접촉하여 지지하고 피구동 부재를 제 1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와; 제 1의 방향과는 상이한 제 2의 방향으로 피구동 부재를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제 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 1 부세 부재를 요동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과; 를 구비하고, 피구동 부재는 제 1 부세 부재가 요동하면 제 1 부세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제 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피구동 부재는,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제 2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제 1 부세 부재에 의해 제 1의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좋다. 피구동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세 부재에 대항하는 방향의 가속도가 가해지면, 아암 부재 또는 제 1 부세 부재는, 피구동 부재와 이격된다. 제 1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는 제 2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렌즈 구동 장치이다. 이 장치는, 렌즈를 내측으로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유지 부재와; 유지 부재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와;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를 개재하여 유지 부재를 제 1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와; 유지 부재에 각각 접촉하여,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와 함께 유지 부재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 2 아암 부재와; 한 쌍의 제 2 아암 부재를 개재하여 제 1의 방향과는 상이한 제 2의 방향으로 유지 부재를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제 1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를 요동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과; 를 구비한다.
유지 부재는,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가 요동하면, 제 1 아암 부재와 제 2 아암 부재에 의한 파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제 2의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좋다. 유지 부재는,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제 2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제 1 부세 부재에 의해 제 1의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좋다. 유지 부재에 대하여, 제 2 부세 부재에 대항하는 방향의 가속도가 가해지면, 제 1 아암 부재는 유지 부재와 이격된다. 제 1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는 제 2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유지 부재는, 제 1 아암 부재 또는 제 2 아암 부재와 접해야 할 복수의 제 1 돌기부와, 제 1 돌기부와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2 돌기부를 외주면에 구비해도 좋다. 제 1 아암 부재 또는 제 2 아암 부재는, 제 1 돌기부와 제 2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각각 갖는 제 1 계합부와 제 2 계합부를 구비해도 좋다. 제 1 돌기부와 제 1 계합부는 회전/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고, 제 2 돌기부와 제 2 계합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계 장치이다. 기계 장치는 광학 장치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상기한 구동 장치 또는 렌즈 구동 장치를 탑재한다.
또,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 보호 장치의 구동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프레임 본체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2(c)는 도 2(a)의 구동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도 2(a)의 렌즈 구동 장치의 상면도, 도 3(b)는 도 2(a)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저면도, 도 3(c)는 도 2(a)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제 1 측면도, 도 3(d)는 도 2(a)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제 2 측면도.
도 4(a)는 도 2(c)의 제 1 구동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 도 4(b)는 도 2(c)의 제 1 구동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
도 5(a)는 도 2(c)의 제 2 구동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 도 5(b)는 도 2(c)의 제 2 구동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
도 6(a)는 도 2(c)의 렌즈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6(b)는 도 2(c)의 렌즈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c)는 도 2(c)의 렌즈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제 1 측면도, 도 6(d)는 도 2(c)의 렌즈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제 2 측면도.
도 7(a)는 도 2(c)에 나타내는 구성에서 제 2 구동 블록을 제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제 1 구동 블록과 렌즈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c)는 도 7(b)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는 도 2(c)의 제 2 구동 블록과 렌즈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 도 8(b)는 도 2(c)의 제 2 구동 블록과 렌즈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
도 9(a)는 도 7(b)의 측면도, 도 9(b)는 도 8(a)의 측면도, 도 9(c)는 도 9(b)의 압접(押接) 부분의 확대도.
도 10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형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우선, 개요에 대해 서술한다. 본 실시형태는 형상기억합금을 구동원으로 한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은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하는 선 형상의 소재이다. 형상기억합금은 가공이 쉽고, 공간적으로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광학 장치,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소형기기에 탑재되는 디지털카메라 렌즈 구동 장치로의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동 장치는 광학 장치 이외의 기계 장치의 구동 기구로서도 적용 가능하다.
휴대전화는, 한쪽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가 많고,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실수로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낙하의 경우에는, 렌즈를 탑재한 경통부에 큰 힘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경통부에 형상기억합금이 직접 연결되어 있으면, 예상치 않은 가속도가 가해지는 것에 의해, 경통부에 접속되어 있는 형상기억합금이 억지로 당겨지고, 형상기억합금의 신축 성능이나 수명 등이 열화한다. 특히, 형상기억합금이 수축하고 있을 때 예상치 않은 가속도가 가해지면, 그 영향은 더욱 커진다. 그 때문에, 낙하시에 발생하는 가속도로부터 형상기억합금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를 마련하여, 렌즈 구동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형상기억합금과,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직접 연결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예상치 않은 가속도가 형상기억합금에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 간이한 구성으로 소형의 렌즈 구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우선,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도면에 있어서는, 형상기억합금(320)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또한, 형상기억합금(320)은 이완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위치에서, 형상기억합금(320)의 끌어당기는 장력과, 제 1 스프링(340a)과 제 2 스프링(340b)의 합력이 균형을 이룬 상태(이하, "정상상태(steady state)"라고 한다.)로 된다. 또, 정상상태에 있어서, 제 1 스프링(340a)과 제 2 스프링(340b) 각각의 스프링 상수는, 렌즈 지지 부재(330)와 제 1 아암부(350a)가 이격되지 않도록 조정된다. 이 경우, 형상기억합금(320)이 이환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 형상기억합금(320)이 이완되지 않는 것에 의해 장력이 발생하고, 나아가, 상기한 조정이 이루어진다.
렌즈 구동 장치(100)는 형상기억합금(320)과, 렌즈 지지 부재(330)와, 제 1 스프링(340a)과, 제 2 스프링(340b)과, 제 1 아암부(350a)와, 제 2 아암부(350b)를 포함한다. 형상기억합금(320)과 제 1 스프링(340a)은 각각 일단이 제 1 아암부(350a)에 접속되고,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제 2 스프링(340b)은 일단이 제 2 아암부(350b)에 접속되고,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렌즈 지지 부재(330)는, 제 1 아암부(350a)와 제 2 아암부(350b) 중의 어느 하나에도 기계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제 1 아암부(350a)와 제 2 아암부(350b)에 접촉하여 센드위치되어 파지되는 것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스프링(340a)은 제 1 아암부(350a)를 개재하여 제 1 화살표(410) 방향으로 렌즈 지지 부재(330)를 부세한다. 상기 제 1 스프링(340a)의 부세에 대항하여, 제 2 스프링(340b)은 제 2 아암부(350b)를 개재하여 제 2 화살표(420) 방향으로 렌즈 지지 부재(330)를 부세한다. 여기서, 렌즈 지지 부재(330)는, 형상기억합금(320)과, 제 1 스프링(340a)과 제 2 스프링(340b)의 상호 스프링력의 합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靜止)하고, 제 1 아암부(350a)와 제 2 아암부(350b)에 의해 지지된다.
도 1(b)는 형상기억합금(320)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 경우에 있어서 렌즈 구동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형상기억합금(320)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형상기억합금(320)은 제 3 화살표(430) 방향으로 수축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320)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아암부(350a)는 제 3 화살표(430)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 제 3 화살표(430) 방향의 인장력은, 제 2 스프링(340b)에 의한 제 2 화살표(420) 방향의 힘을 보조하도록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정상상태로부터, 제 1 스프링(340a)과 제 2 스프링(340b)의 상호 스프링력의 균형상태가 무너진다. 그렇게 되면, 렌즈 지지 부재(330)는 형상기억합금(320)의 수축력과 제 2 스프링(340b)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1 스프링(340a)의 스프링력에 저항하면서, 제 3 화살표(430) 방향으로 이동된다. 형상기억합금(320)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렌즈 지지 부재(33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320)과, 제 1 스프링(340a)과 제 2 스프링(340b)의 상호 스프링력의 합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1(c)는 예를 들면, 렌즈 구동 장치(100)가 낙하되거나 하여, 제 4 화살표(440) 방향으로 예상치 않은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의 렌즈 구동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렌즈가 장착된 렌즈 지지 부재(330)의 질량 M은 제 1 아암부(350a) 및 제 2 아암부(350b)의 질량 m1, m2에 비해 아주 무거운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 스프링(340a)의 스프링 상수 k1은 제 2 스프링(340b)의 스프링 상수 k2보다 크게 설정한다.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m1<<M ‥식 (1) m2<<M ‥식 (2) k1>k2 ‥식 (3)
여기서, 제 4 화살표(440) 방향으로 가속도가 가해지면, 렌즈 지지 부재(330)는 제 2 아암부(350b)와 함께 제 2 화살표(420)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스프링(340b)의 스프링력에 저항하면서 제 4 화살표(440)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제 1 아암부(350a)도 제 4 화살표(440) 방향의 가속도를 받고 제 4 화살표(440)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제 1 아암부(350a)의 질량 m1은 렌즈와 렌즈 지지 부재(330)와 제 2 아암부(350b)의 합계 질량(M+m2)보다 가볍다. 또한, 렌즈 지지 부재(33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 1 아암부(350a)의 이동량은, 렌즈 지지 부재(330) 및 제 2 아암부(350b)보다 작게 이동하고 완료된다.
따라서, 제 1 아암부(350a)는 렌즈 지지 부재(330)의 이동에 추종하지 않는다. 또, 형상기억합금(320)은 제 1 아암부(350a)의 이동에 따라 늘어나기는 하지만, 제 1 아암부(350a)의 이동량은 크지 않기 때문에 형상기억합금(320)이 과도하게 늘어나지는 않는다. 한편, 제 1 아암부(350a)와 렌즈 지지 부재(330)가 고정되어 있으면, 제 1 아암부(350a)는 렌즈 지지 부재(330)의 이동에 추종하기 때문에, 형상기억합금(320)이 과도로 늘려지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m1, m2, M, k1, k2를 적절하게 조절함과 함께 제 1 아암부(350a)와 렌즈 지지 부재(330)를 고정하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렌즈 지지 부재(330)에 가해지는 힘을 형상기억합금(320)에 전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 4 화살표(440)와는 반대 방향으로 가속도가 가해져도, 형상기억합금(320)이 수축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형상기억합금(320)에 대한 영향은 없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렌즈 구동 장치(100)의 구성,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1) 전체적 외관, (2) 내부의 상세한 구성, (3) 렌즈 구동 장치(100)의 동작 형태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1) 전체 외관에 대하여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렌즈 구동 장치(100)는, 프레임 본체(10)로 대표되는 제 1 프레임(10a), 제 2 프레임(10b)과; 지주(22)로 대표되는 제 1 지주(22a)~제 5 지주(22e)와; 구동 시스템(200)과; 를 포함한다. 도 2(b)는 도 2(a)의 프레임 본체(1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프레임 본체(10)는 구동 시스템(200)을 내측에 수용한다.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은 서로 지주(22)에 의해 고정된다. 지주(22)는 프레임 본체(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제 1 지주(22a)와 제 2 지주(22b)는 동일한 모서리에 설치되고, 다른 지주(22)는 각각 상이한 모서리에 설치된다.
도 2(c)는 도 2(a)의 구동 시스템(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블록의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지주(22)도 도시하고 있다. 구동 시스템(200)은, 고정 기구(14)와; 형상기억합금(20)으로 대표되는 제 1 형상기억합금(20a), 제 2 형상기억합금(20b)과; 렌즈 지지 부재(30)와; 제 1 스프링(40a)과; 한 쌍의 제 1 아암부(50a), 제 2 아암부(50b)와; 제 2 스프링(40b)과; 한 쌍의 제 3 아암부(60a), 제 4 아암부(60b)와; 를 포함한다. 이하, 한 쌍의 제 1 아암부(50a), 제 2 아암부(50b)를 "하부 아암"이라 한다. 또한, 한 쌍의 제 3 아암부(60a), 제 4 아암부(60b)를 "상부 아암"이라 한다.
도 2(c)에 나타내는 형상기억합금(20), 렌즈 지지 부재(30), 제 1 스프링(40a), 제 2 스프링(40b), 하부 아암, 상부 아암은, 도 1의 (a)~(c)에 나타내는 형상기억합금(320), 렌즈 지지 부재(330), 제 1 스프링(340a), 제 2 스프링(340b), 제 1 아암부(350a), 및 제 2 아암부(350b)와 각각 대응된다.
하부 아암에 있어서, 제 1 아암부(50a)는 제 1 축(52a)과 제 1 훅(54a)을 포함한다. 제 2 아암부(50b)는 제 1 아암부(5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부 아암에 있어서, 제 3 아암부(60a)는 제 3 축(62a)을 포함한다. 제 4 아암부(60b)는 제 3 아암부(6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각각의 아암부는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프레임 본체(10)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스프링(40a)과 하부 아암의 조합을 "제 1 구동 블록"이라 한다. 또한, 제 2 스프링(40b)과 상부 아암의 조합을 "제 2 구동 블록"이라 한다. 제 1 구동 블록은 제 2 구동 블록과 동일한 형태를 구비한다. 렌즈 지지 부재(30)와 조합할 때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구동 블록을 제 1 구동 블록에 대하여 상하 반대로 하고, 또한, 90° 회전시켜, 서로 조합되는 형태로 렌즈 지지 부재(30)를 지지한다. 서로 조합되는 것에 의해, 렌즈 지지 부재(3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렌즈 지지 부재(30)는 렌즈를 내부에 유지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프레임이다. 렌즈 지지 부재(30)는, 렌즈가 쉽게 끼워지도록, 또한, 끼워진 후에는 고정되도록, 그 원통의 내부에 홈이 형성된다. 또한, 렌즈 지지 부재(30)는 하부 아암, 상부 아암 중의 어느 하나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고, 쌍방의 아암에 파지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지주(22a)는 제 1 형상기억합금(20a)의 일단이 접속된다. 또한, 제 1 형상기억합금(20a)은 제 1 훅(54a)에 걸리고, 타단이 고정 기구(14)와 접속된다. 고정 기구(14)는 제 1 프레임(10a)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형상기억합금(20a)은 제 1 지주(22a)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형상기억합금(20b)은 제 2 훅(54b)에 걸림과 함께, 제 2 지주(22b)와 고정 기구(14)에 그 양단이 접속된다. 또한, 제 2 형상기억합금(20b)은 제 2 지주(22b)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제 1 형상기억합금(20a), 제 2 형상기억합금(20b)에 대해 구동 전류가 공급된 상태를 "구동상태"라 한다. 구동상태의 제 1 형상기억합금(20a)이나 제 2 형상기억합금(20b)은, 통전되었을 때의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열하고, 그 열 에너지를 바탕으로 역학적 에너지로서의 형상회복력을 발생한다.
도 3(a)는 도 2(a)의 렌즈 구동 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도 3(b)는 도 2(a)의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저면도이다. 도 3(c)는 도 2(a)의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3(d)는 도 2(a)의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 2 측면도이다. 도 2(a)나 도 2(c)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하부 아암의 제 1 축(52a), 제 2 축(52b), 상부 아암의 제 3 축(62a), 축(62)은, 프레임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된다.
(2) 렌즈 구동 장치(100) 내부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여기서는, 렌즈 구동 장치(100) 내부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제 1 구동 블록, 제 2 구동 블록 및 렌즈 지지 부재(30)의 3개 형태로 나누어 설명한다.
(2-1) 제 1 구동 블록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도 4(a)는 도 2(c)의 제 1 구동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c)의 제 1 구동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이다. 제 1 아암부(50a)는 반달 모양의 제 1 튜브지지부(72a)와, 제 1 훅(54a)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1 튜브지지부(72a)의 양단 부근에는 제 1 계합부(70a)와 제 2 계합부(70b)가 형성된다. 제 2 아암부(50b)는, 제 1 아암부(50a)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 2 훅(54b)과, 제 3 계합부(70c)와 제 4 계합부(70d)가 형성된 제 2 튜브지지부(72b)를 포함한다.
제 1 계합부(70a)와 제 3 계합부(70c)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고, 제 2 계합부(70b)와 제 4 계합부(70d)는 반원 형상의 요부를 구비한다. 제 1 계합부(70a)~제 4 계합부(70d)는 렌즈 지지 부재(30)와 접하는 부분이다.
제 1 스프링(40a)의 형상은,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략 "L"자 형상이다. 또한, 제 1 스프링(40a)은, 그 양단이 제 1 훅(54a)과 제 2 훅(54b)에 걸리고, 제 1 아암부(50a)와 제 2 아암부(50b)에 접하는 탄성체이다. 제 1 스프링(40a)은 제 1 아암부(50a)와 제 2 아암부(50b)를 제 5 화살표(450) 및 제 6 화살표(460)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 부세에 의해, 제 1 훅(54a)과 제 2 훅(54b)은, 제 1 축(52a) 및 제 2 축(52b)을 중심으로 하여, 제 7 화살표(470) 및 제 8 화살표(480)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방향의 힘이 주어진다. 또, 제 1 스프링(40a)은 제 1 훅(54a) 및 제 2 훅(54b)과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2-2) 제 2 구동 블록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도 5(a)는 도 2(c)의 제 2 구동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2(c)의 제 2 구동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이다. 제 3 아암부(60a), 제 4 아암부(60b)는 각각 반달 모양의 제 3 튜브지지부(72c), 제 4 튜브지지부(72d)와 제 3 축(62a), 제 4 축(62b)을 구비한다.
제 3 튜브지지부(72c), 제 4 튜브지지부(72d)의 각각의 양단에는 제 5 계합부(70e)와 제 6 계합부(70f), 제 7 계합부(70g)와 제 8 계합부(70h)가 각각 형성된다. 또, 제 3 아암부(60a)와 제 4 아암부(60b)는 제 1 훅(54a)이나 제 2 훅(54b)의 구성 등을 제외하고, 제 1 아암부(50a), 제 2 아암부(50b)와 거의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제 2 구동 블록은 렌즈 지지 부재(30)에 설치되는 방향을 제외하고, 앞서 서술한 제 1 구동 블록과 동일한 형태로 된다.
(2-3) 렌즈 지지 부재(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도 6(a)는 도 2(c)의 렌즈 지지 부재(30)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b)는 도 2(c)의 렌즈 지지 부재(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2(c)의 렌즈 지지 부재(30)를 나타내는 제 1 측면도이다. 도 6(d)는 도 2(c)의 렌즈 지지 부재(30)를 나타내는 제 2 측면도이다. 도 6(c)와 도 6(d)에 있어서는, 각각의 돌기부(32)의 위치 관계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렌즈 지지 부재(30)뿐만 아니라 제 1 스프링(40a)과 제 2 스프링(40b)도 도시하고 있다.
렌즈 지지 부재(30)는 제 1 돌기부(32a)~제 8 돌기부(32h)의 8개 돌기부(32)를 갖는다. 8개의 돌기부(32)는 2종류의 형상 중의 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8개의 돌기부(32)는, 인접하는 돌기부(32)의 형상이 각각 상이하게 렌즈 지지 부재(3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돌기부(32)는 하부 아암 또는 상부 아암 중의 어느 한 계합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인접하는 돌기부(32)의 형상을 각각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계합부와의 슬라이딩에 의해 렌즈 지지 부재(3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돌기부(32a)와 제 3 돌기부(32c)와 제 6 돌기부(32f)와 제 8 돌기부(32h)는 직방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 2 돌기부(32b)와 제 4 돌기부(32d)와 제 5 돌기부(32e)와 제 7 돌기부(32g)는 직방체와 반원기둥을 조합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반원의 방향은, 제 2 돌기부(32b)와 제 4 돌기부(32d)가 동일한 방향으로 된다. 또한, 제 5 돌기부(32e)와 제 7 돌기부(32g)도 동일한 방향으로 된다. 단, 제 5 돌기부(32e)와 제 7 돌기부(32g)는 제 2 돌기부(32b)와 제 4 돌기부(32d)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하부 아암의 걸림부와 접하는 돌기부는 제 1 돌기부(32a)~제 4 돌기부(32d)이다. 구체적으로, 제 1 돌기부(32a)와 제 2 돌기부(32b)는 제 1 아암부(50a)의 제 1 계합부(70a), 제 2 계합부(70b)와 각각 접한다. 또한, 제 3 돌기부(32c)와 제 4 돌기부(32d)는 제 2 아암부(50b)의 제 3 계합부(70c), 제 4 계합부(70d)와 각각 접한다.
마찬가지로, 상부 아암의 걸림부와 접하는 돌기부는 제 5 돌기부(32e)~제 8 돌기부(32h)이다. 구체적으로, 제 5 돌기부(32e)와 제 6 돌기부(32f)는 제 3 아암부(60a)의 제 5 계합부(70e), 제 6 계합부(70f)와 각각 접한다. 또한, 제 7 돌기부(32g)와 제 8 돌기부(32h)는 제 4 아암부(60b)의 제 7 계합부(70g), 제 8 계합부(70h)와 각각 접한다.
(3) 렌즈 구동 장치(100)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여기서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정상상태, 구동상태, 및 정상상태에 있어서 가속도가 가해진 상태의 3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특히, 렌즈 지지 부재(30)와 각 구동 블록의 연동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3-1)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도 7(a)는 도 2(c)에 나타내는 구성에서 제 2 구동 블록을 제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제 1 구동 블록과 렌즈 지지 부재(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b)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40a)이 하부 아암을 부세하는 것에 의해, 제 1 축(52a)과 제 2 축(52b)을 중심으로 한 제 7 화살표(470), 제 8 화살표(480)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한다. 이들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 아암은, 렌즈 지지 부재(30)를 도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1 돌기부(32a)~제 4 돌기부(32d)를 압접한다.
도 8(a)는 도 2(c)의 제 2 구동 블록과 렌즈 지지 부재(30)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2(c)의 제 2 구동 블록과 렌즈 지지 부재(30)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이다. 제 1 아암부(50a), 제 2 아암부(50b)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 3 아암부(60a)는 제 4 아암부(60b)와 쌍이 되어 렌즈 지지 부재(3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3 아암부(60a)와 제 4 아암부(60b)의 쌍은 제 1 아암부(50a)와 제 2 아암부(50b)의 쌍과 함께 서로 파지하는 것에 의해 렌즈 지지 부재(30)를 지지한다. 제 2 스프링(40b)은 제 3 아암부(60a)와 제 4 아암부(60b)를 개재하여 렌즈 지지 부재(30)를 부세한다.
이 부세에 의해, 제 3 축(62a), 제 4 축(62b)을 중심으로 한 제 11 화살표(510), 제 12 화살표(520)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들의 회전력에 의해, 제 2 구동 블록은, 렌즈 지지 부재(30)를 도면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5 돌기부(32e)~제 8 돌기부(32h)를 압접한다.
여기서, 제 1 구동 블록과 제 2 구동 블록은 서로 상반 방향으로 렌즈 지지 부재(30)를 이동시키도록 서로 압접하여, 형상기억합금(20)과, 제 1 스프링(40a)과 제 2 스프링(40b)의 합력이 균형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정상상태에 있어서, 렌즈 지지 부재(30)는 도 2(c)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정지(靜止)하게 된다.
(3-2) 구동상태에 있어서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도 9(a)는 도 7(b)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구동상태에 있어서 제 1 형상기억합금(20a)과 제 2 형상기억합금(20b)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제 1 형상기억합금(20a)과 제 2 형상기억합금(20b)은 수축하고 제 1 스프링(40a)에 저항하여 제 1 훅(54a)과 제 2 훅(54b)을 제 9 화살표(490), 제 10 화살표(500)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 부세에 의해, 하부 아암은 제 1 축(52a), 제 2 축(52b)을 축으로 하여 제 13 화살표(530), 제 14 화살표(540)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 회전력의 방향은 상기한 도 7(a)~(c)의 제 7 화살표(470), 제 8 화살표(480)의 회전력 방향과 반대로 된다.
제 2 구동 블록에 있어서는, 제 2 스프링(40b)이 상부 아암을 부세하여, 제 11 화살표(510), 제 12 화살표(520)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한다. 이들의 회전력에 의해, 상부 아암의 제 5 계합부(70e), 제 7 계합부(70g)가 렌즈 지지 부재(30)의 제 5 돌기부(32e), 제 7 돌기부(32g)를 회전/슬라이딩시키면서 압접한다. 또한, 상부 아암의 제 6 계합부(70f), 제 8 계합부(70h)는 렌즈 지지 부재(30)의 제 6 돌기부(32f), 제 8 돌기부(32h)의 사이에 슬라이딩하면서 압접한다. 이들의 압접에 의해, 상부 아암은 렌즈 지지 부재(30)를 제 15 화살표(55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요약하면, 구동상태에 있어서는, 형상기억합금(20)에 의해, 제 1 스프링(40a)에 의한 부세가 약화되고, 하부 아암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이 변위한다. 그 때문에, 제 1 스프링(40a)과 제 2 스프링(40b)의 균형상태가 무너지고, 제 2 스프링(40b)의 부세에 의한 제 11 화살표(510), 제 12 화살표(520) 방향의 회전력이 지배적으로 되어, 렌즈 지지 부재(30)가 제 15 화살표(550)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부 아암의 계합부(70)와 렌즈 지지 부재(30)의 돌기부(32)의 연동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c)는 도 9(b)의 압접 부분(600)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제 8 계합부(70h)는 도 9(b)의 상태와 비교하여, 도면에 있어서 왼쪽방향으로 제 8 돌기부(32h) 위를 슬라이딩하고 있다. 한편, 제 5 돌기부(32e)는 제 5 돌 기부 (32e)의 자체 형상과 제 5 계합부(70e)가 매끄럽게 맞물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회전/슬라이딩하게 된다.
또, 제 8 돌기부(32h)는 제 6 돌기부(32f)와 동일한 형상이고, 또한, 제 4 아암부(60b)의 제 8 계합부(70h)는 제 3 아암부(60a) 타단의 도시하지 않는 제 6 계합부(70f)와 동일한 형상이다. 그 때문에, 제 3 아암부(60a)는 아암 일단의 제 5 계합부(70e)에 의해 제 5 돌기부(32e)와 회전/슬라이딩하고, 타단의 제 6 계합부(70f)에 의해 제 6 돌기부(32f)와 슬라이딩하게 된다.
제 4 아암부(60b)도 마찬가지로, 제 8 계합부(70h)와 도시하지 않는 제 7 계합부(70g)는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제 8 돌기부(32h)와 도시하지 않는 제 7 돌기부(32g)도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 7 계합부(70g)는 제 5 계합부(70e)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고, 또한, 제 7 돌기부(32g)는 제 5 돌기부(32e)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또한, 제 6 돌기부(32f)는 제 8 돌기부(32h)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8 돌기부(32h)와 제 8 계합부(70h)는 제 6 돌기부(32f)와 제 6 계합부(70f)의 관계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제 7 돌기부(32g)와 제 7 계합부(70g)는 제 5 돌기부(32e)와 제 5 계합부(70e)의 관계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제 4 아암부(60b)는 제 3 아암부(60a)와 동일하게 아암 일단의 제 8 계합부(70h)에 의해 제 8 돌기부(32h)와 슬라이딩하고, 도시하지 않는 타단의 제 7 계합부(70g)에 의해 제 7 돌기부(32g)와 회전/슬라이딩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계합부(70a)~제 8 계합부(70h) 모두가 제 5 계합부(70e)와 같은 반원 형상임과 함께, 제 1 돌기부(32a)~제 8 돌기부(32h)가 제 5 돌기부(32e)와 같은 형상인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계합부(70)와 돌기부(32)의 모든 조합이 도 9(c)의 제 5 계합부(70e)와 제 5 돌기부(32e)와 같은 조합이 되고, 제 8 계합부(70h)와 제 8 돌기부(32h)와 같은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상부 아암이 제 15 화살표(550) 방향으로 압접함과 함께, 하부 아암이 제 15 화살표(550) 방향으로 요동하였다고 해도, 계합부(70)와 돌기부(32)의 모든 조합이 서로 록하는 상태로 되어, 렌즈 지지 부재(30)가 움직이지 않는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도 9(c)의 제 8 계합부(70h)와 제 8 돌기부(32h)와 같은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의 아암이 요동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록 상태를 회피하기 위하여, 1개의 아암(60)에 대하여 접촉시킬 렌즈 지지 부재(30)의 돌기부(32)의 형상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원활하게 렌즈 지지 부재(3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 5 돌기부(32e)와 제 5 계합부(70e)를 서로 회전/슬라이딩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구동상태에 있어서, 제 1 구동 블록은 형상기억합금(20)의 수축에 의해 제 13 화살표(530), 제 14 화살표(540)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제 2 구동 블록과 같이 렌즈 지지 부재(30)의 돌기부(32)를 압접하지 않지만, 제 1 돌기부(32a)~제 4 돌기부(32d)와, 제 1 계합부(70a)~제 4 계합부(70d)가 서로 접하면서, 슬라이딩 또는 회전/슬라이딩한다. 이상, 이들의 연동에 의해 렌즈 지지 부재(30)는 하부 아암과 상부 아암에 파지되면서, 오로지 제 2 스프링(40b)에 의한 부세에 의해 제 15 화살표(5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 1 형상기억합금(20a)과 제 2 형상기억합금(20b)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형상기억합금(20)과, 제 1 스프링(40a)과 제 2 스프링(40b)의 합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상태로 복귀하기 시작하고, 렌즈 지지 부재(30)가 제 16 화살표(56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상상태로 이행한다. 제 16 화살표(560)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제 1 계합부(70a)~제 4 계합부(70d)와 제 1 돌기부(32a)~제 4 돌기부(32d)가 서로 연동한다. 이들의 연동 형태는, 앞서 서술한 제 5 돌기부(32e)~제 4 돌기부(32d) 및 제 5 계합부(70e)~제 8 계합부(70h)의 연동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3-3) 정상상태에 있어서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 정상상태에 있어서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 앞서 서술한 도 1(c)와 동일한 동작 형태로 된다. 구체적으로, 도 9(a)~(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렌즈 구동 장치(100)에 대하여 제 16 화살표(560) 방향으로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 렌즈 지지 부재(30)는 제 16 화살표(56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제 5 돌기부(32e)~제 8 돌기부(32h)가 제 5 계합부(70e)~제 8 계합부(70h)를 압접하여, 상부 아암이 제 16 화살표(560)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부 아암도 가속도에 의해 제 16 화살표(560)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부 아암이 제 16 화살표(560)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3 화살표(530), 제 14 화살표(540)의 회전이 반전하여 제 1 훅(54a)은 제 9 화살표(49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제 2 훅(54b)은 제 10 화살표(50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훅(54a), 제 2 훅(54b)에는 제 1 형상기억합금(20a), 제 2 형상기억합금(20b)이 각각 걸려있기 때문에, 이들의 이동에 의해, 제 1 형상기억합금(20a), 제 2 형상기억합금(20b)이 당겨진다.
여기서, 하부 아암은 렌즈를 장착한 렌즈 지지 부재(30)보다 가볍고, 또한 렌즈 지지 부재(30)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나아가 제 1 스프링(40a)은 제 2 스프링(40b)보다 스프링 상수가 크다. 그 때문에, 하부 아암의 이동량은 렌즈 지지 부재(30)나 상부 아암의 이동량보다 작아진다. 이에 의해, 하부 아암과 렌즈 지지 부재(30)가 이격되는 상태로 되는 경우도 있다. 결국, 하부 아암의 이동량은 작기 때문에, 가속도가 제 1 형상기억합금(20a)이나 제 2 형상기억합금(20b)에 과잉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형상기억합금(20)이 과잉으로 당겨지지 않고, 그 성능이 열화하지도 않는다.
요약하면, 하부 아암의 질량과, 렌즈를 장착한 렌즈 지지 부재(30)와 상부 아암의 질량과의 관계, 및 제 1 스프링(40a)과 제 2 스프링(40b)의 스프링 상수의 관계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나아가 렌즈 지지 부재(30)와 하부 아암을 직접 연결시키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예상치 않은 가속도로부터 형상기억합금(20)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이한 구성에 의해 소형의 렌즈 보호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구동 블록과 제 2 구동 블록을 서로 씌워 맞추는 것에 의해 렌즈 지지 부재(30)를 파지함으로써, 렌즈 구동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구동상태에 있어서, 1개의 아암(60)에 대하여 접촉시킬 2개의 돌기부(32)의 형상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아암(60)의 계합부(70)와 렌즈 지지 부재(30)의 돌기부(32)가 록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7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c)는 도 1(a)~(c)에 대응된다. 앞서 서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평행 링크를 사용하고 있는 점, 아암이 1개만인 점, 형상기억합금과 제 1 스프링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서로 끌어당기는 점, 제 1 스프링과 제 2 스프링이 모두 끌어당김 스프링인 점 등이다.
도 10(a)는 정상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7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렌즈 구동 장치(700)는 형상기억합금(80)과; 제 1 스프링(82)과; 제 2 스프링(84)과; 아암(86)과; 렌즈 지지부(88)와; 평행 링크(90)로 대표되는 제 1 평행 링크(90a), 제 2 평행 링크(90b)와; 프레임(98)과; 를 포함한다.
형상기억합금(80)은 일단이 프레임(98)에 접속되고, 타단이 아암(86)에 접속된다. 제 1 스프링(82)은 일단이 프레임(98)에 접속되고, 타단이 아암(86)에 접속된다. 제 1 평행 링크(90a)는 두 아암에 의해 구성된다. 두 아암은 각각의 양단이 프레임(98)과 아암(86)에 피벗(pivot)되고, 아암(86)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아암(86)은 양단이 형상기억합금(80)과 제 1 스프링(82)에 각각 접속된다. 아암(86)은 제 1 평행 링크(90a)에 의해 그 요동 방향이 가이드 된다. 또한, 아암(86)은 제 1 돌기부(92)를 구비하고, 렌즈 지지부(88)와 접촉하여 지지한다.
제 2 스프링(84)은 일단이 프레임(98)에 접속되고, 타단이 렌즈 지지부(88)에 접속된다. 제 2 평행 링크(90b)는 두 아암에 의해 구성된다. 두 아암은 각각의 양단이 프레임(98)과 렌즈 지지부(88)에 피벗되고, 렌즈 지지부(88)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렌즈 지지부(88)는 제 2 스프링(84)에 접속된다. 또한, 렌즈 지지부(88)는 제 2 평행 링크(90b)에 의해 그 요동 방향이 가이드 된다. 또한, 렌즈 지지부(88)는 제 2 돌기부(94)를 구비하고, 아암(86)의 제 1 돌기부(92)와 계합되면서 접촉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제 1 스프링(82)은 아암(86)을 개재하여 제 17 화살표(870) 방향으로 렌즈 지지부(88)를 끌어당긴다. 이 제 1 스프링(340a)의 끌어당김에 대항하여, 제 2 스프링(84)은 제 18 화살표(880) 방향으로 렌즈 지지부(88)를 끌어당긴다. 그 때문에, 렌즈 지지부(88)는, 제 2 돌기부(94)와 제 1 돌기부(92)가 계합되면서, 형상기억합금(80)과, 제 1 스프링(82)과 제 2 스프링(84)의 상호 스프링력의 합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靜止)하게 된다.
도 10(b)는 구동상태에 있어서의 렌즈 구동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형상기억합금(80)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형상기억합금(80)은 제 19 화살표(890) 방향으로 수축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80)에 접속되어 있는 아암(86)은 제 19 화살표(890) 방향으로 끌어당겨지고, 제 1 스프링(82)에 의한 제 17 화살표(870) 방향의 부세에 저항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정상상태로부터, 형상기억합금(80)과, 제 1 스프링(82)과 제 2 스프링(84)의 상호 스프링력의 합력에 의한 균형상태가 무너진다. 그렇게 되면, 렌즈 지지부(88)는 제 2 스프링(84)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1 스프링(82)의 스프링력에 저항함과 함께 아암(86)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 18 화살표(880) 방향으로 이동된다. 형상기억합금(80)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렌즈 지지부(88)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82)과 제 2 스프링(84)의 상호 스프링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10(c)는 정상상태에 있어서, 렌즈 지지부(88)에 대해 제 20 화살표(900) 방향으로 예상치 않은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의 렌즈 구동 장치(7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렌즈 구동 장치(700)에 대해 제 20 화살표(900) 방향으로 가속도가 가해지면, 렌즈 지지부(88)는 제 18 화살표(880)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스프링(8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면서, 제 20 화살표(900)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아암(86)도 제 20 화살표(900) 방향의 가속도를 받아 제 20 화살표(900)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아암(86)은 렌즈 지지부(88)보다 가볍고, 또한 렌즈 지지부(88)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나아가 제 1 스프링(82)은 제 2 스프링(84)보다 스프링 상수가 크다. 그 때문에, 아암(86)의 이동량은 렌즈 지지부(88)의 이동량보다 작게 이동하고 와료된다. 이에 의해, 아암(86)은 렌즈 지지부(88)에 추종하여 이동하지 않고, 형상기억합금(80)이 과잉으로 끌어당겨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아암(86)을 렌즈 지지부(88)보다 가볍게 하고, 또한 제 1 스프링(82)과 제 2 스프링(84)의 스프링 상수를 조절하고, 나아가 아암(86)과 렌즈 지지부(88)를 직접 연결하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예상치 않은 가속도가 형상기억합금(80)에 전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도 10(c)와 비교하여 반대 방향으로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 형상기억합금(80)은 이완하게 된다. 이 이완은, 과잉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에 비해, 형상기억합금(80)의 수축 성능이나 수명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실시형태, 변형예를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이 실시형태, 변형예는 예시일뿐이고, 이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과정의 조합에 따른 더 다른 변형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형상기억합금(20a)과 제 2 형상기억합금(20b)은 별개의 형상기억합금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형상기억합금(20a)은 제 2 형상기억합금(20b)과 일체로 되어 하나의 형상기억합금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당해 형상기억합금의 양단은 제 1 지주(22a)와 제 2 지주(22b)에 접속되고, 제 1 훅(54a)과 고정 기구(14)와 제 2 훅(54b)에 걸리면 된다. 이 경우,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도, 앞서 서술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형상기억합금(20)은 이방향성 형상기억 효과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이방향성이란, 통전시에 수축하고, 통전 정지시에 원래대로 복원하는 특성을 말한다. 이 이방향성을 이용하면,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렌즈를 연속적으로 전후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 원활한 초점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 아암(86)은 제 1 평행 링크(90a)와 제 1 스프링(82)에 지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평행 링크(90a)나 제 1 스프링(82) 대신에 리프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앞서 서술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리프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더욱 공간을 절약하는 설계가 가능하게 되어, 렌즈 구동 장치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설계, 제조가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렌즈 구동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10: 프레임 본체
10a: 제 1 프레임
10b: 제 2 프레임
14: 고정 기구
20: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22: 지주(支柱)
30: 렌즈 지지 부재
32: 돌기부
40a: 제 1 스프링
40b: 제 2 스프링
50a: 제 1 아암부
50b: 제 2 아암부
52a: 제 1 축
52b: 제 2 축
54a: 제 1 훅
54b: 제 2 훅
60a: 제 3 아암부
60b: 제 4 아암부
62a: 제 3 축
62b: 제 4 축
70: 계합부
72: 튜브지지부
80: 형상기억합금
82: 제 1 스프링
84: 제 2 스프링
86: 아암
88: 렌즈 지지부
90: 평행 링크
90a: 제 1 평행 링크
90b: 제 2 평행 링크
92: 제 1 돌기부
94: 제 2 돌기부
98: 프레임
100: 렌즈 구동 장치
200: 구동 시스템
320: 형상기억합금
330: 렌즈 지지 부재
340a: 제 1 스프링
340b: 제 2 스프링
350a: 제 1 아암부
350b: 제 2 아암부
600: 압접 부분
700: 렌즈 구동 장치

Claims (21)

  1.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이고,
    상기 피구동 부재에 각각 접촉하여 파지하는 두 아암 부재와,
    상기 두 아암 부재 중의 하나인 제 1 아암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아암 부재를 부세(付勢)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아암 부재에 접촉하는 상기 피구동 부재를 제 1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와,
    상기 두 아암 부재 중의 다른 하나인 제 2 아암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 1의 방향과는 상이한 제 2의 방향으로 상기 피구동 부재를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아암 부재를 요동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구비하고,
    상기 피구동 부재는, 상기 제 1 아암 부재가 요동하면, 상기 두 아암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제 2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대항하는 방향의 가속도가 가해지면, 상기 제 1 아암 부재는 상기 피구동 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3.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이고,
    상기 피구동 부재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아암 부재와,
    상기 아암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아암 부재를 부세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아암 부재에 접촉하는 상기 피구동 부재를 제 1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와,
    상기 제 1의 방향과는 상이한 제 2의 방향으로 상기 피구동 부재를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아암 부재를 요동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구비하고,
    상기 피구동 부재는, 상기 아암 부재가 요동하면, 상기 아암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제 2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4.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이고,
    상기 피구동 부재에 접촉하여 지지하고 상기 피구동 부재를 제 1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와,
    상기 제 1의 방향과는 상이한 제 2의 방향으로 상기 피구동 부재를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부세 부재를 요동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구비하고,
    상기 피구동 부재는, 상기 제 1 부세 부재가 요동하면, 상기 제 1 부세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제 2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피구동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대항하는 방향의 가속도가 가해지면, 상기 제 1 부세 부재는 상기 피구동 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대항하는 방향의 가속도가 가해지면, 상기 제 1 부세 부재는 상기 피구동 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부재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의해 제 1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 2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8. 렌즈를 내측으로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아암 부재를 부세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아암 부재에 접촉하는 상기 유지 부재를 제 1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와 함께 상기 유지 부재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 2 아암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 2 아암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 1의 방향과는 상이한 제 2의 방향으로 상기 유지 부재를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와,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수축하고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를 요동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 1 아암 부재가 요동하면, 상기 제 1 아암 부재와 상기 제 2 아암 부재에 의한 파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의해 제 1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대항하는 방향의 가속도가 가해지면, 상기 제 1 아암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 2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아암 부재 또는 상기 제 2 아암 부재와 접해야 할 복수의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1 돌기부와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2 돌기부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 1 아암 부재 또는 상기 제 2 아암 부재는, 상기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각각 갖는 제 1 계합부와 제 2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제 1 돌기부와 제 1 계합부는 회전/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고, 제 2 돌기부와 제 2 계합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5. 제 1항에 기재된 구동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장치.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부재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의해 제 1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 2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8. 제 3항에 기재된 구동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장치.
  1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부재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의해 제 1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2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 2 부세 부재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21. 제 4항에 기재된 구동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장치.
KR1020107024016A 2008-03-27 2008-03-27 구동 장치, 렌즈 구동 장치 및 기계 장치 KR101169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00776 WO2009118791A1 (ja) 2008-03-27 2008-03-27 駆動装置、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機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40A KR20100126840A (ko) 2010-12-02
KR101169876B1 true KR101169876B1 (ko) 2012-08-03

Family

ID=4111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016A KR101169876B1 (ko) 2008-03-27 2008-03-27 구동 장치, 렌즈 구동 장치 및 기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54044B2 (ko)
JP (1) JP4971498B2 (ko)
KR (1) KR101169876B1 (ko)
WO (1) WO2009118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5422B1 (en) 2011-04-22 2017-09-27 Dialog Semiconductor GmbH Analog current limit adjustment for linear and switching regulators
US9840326B2 (en) * 2012-06-18 2017-12-12 Boxair Engineering, Llc Unmanned aircraft systems for firefighting
IT201700048138A1 (it) * 2017-05-04 2018-11-04 Actuator Solutions GmbH Attuatore per auto-focus di modulo di fotocamera
CN109756599B (zh) * 2019-02-26 2020-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8891A (ja) 2004-07-22 2006-02-0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2008020813A (ja) 2006-07-14 2008-01-31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駆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512A (ja) * 1982-07-09 1984-01-18 Waseda Daigaku サ−ボ装置
JPS63193116A (ja) * 1987-02-06 1988-08-10 Canon Inc 光学素子移動兼位置決め装置
JPH11183961A (ja) * 1997-12-24 1999-07-09 Konica Corp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2006038931A (ja) * 2004-07-22 2006-02-0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形状記憶合金を使用したアクチュエータ
GB2455219A (en) 2006-03-30 2009-06-03 Cambridge Mechatronics Ltd Camera lens actuation apparatus
JP2007292864A (ja) * 2006-04-21 2007-11-08 Fujifilm Corp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撮影装置
JP4862703B2 (ja) * 2006-05-30 2012-01-2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駆動装置、駆動機構及び撮像装置
US7953319B2 (en) * 2007-04-04 2011-05-31 Konica Minolta Opto, Inc. Position controller, driving mechanism and image pickup system
US8000044B2 (en) * 2007-11-05 2011-08-16 Panasonic Corporation Lens holder driving device and image pickup unit employing planary-driven polymer actu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8891A (ja) 2004-07-22 2006-02-0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2008020813A (ja) 2006-07-14 2008-01-31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駆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18791A1 (ja) 2011-07-21
WO2009118791A1 (ja) 2009-10-01
US8254044B2 (en) 2012-08-28
JP4971498B2 (ja) 2012-07-11
KR20100126840A (ko) 2010-12-02
US20110019293A1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0043C1 (ru) Склад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исплейный модуль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JP4771061B2 (ja) 駆動機構
KR101044219B1 (ko) 렌즈 구동 모듈
US8731390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s for digital cameras
US7855846B2 (en) Imag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169876B1 (ko) 구동 장치, 렌즈 구동 장치 및 기계 장치
KR102460756B1 (ko) 카메라 모듈
CN110543064B (zh) 光学元件驱动装置、照相机及便携式电子设备
TWI457597B (zh) 光學鏡頭影像穩定系統
JP2005250400A (ja)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KR101445604B1 (ko) 렌즈 이동 장치
TWI409498B (zh) Anti-vibration device for optical equipment
KR20110056862A (ko) 렌즈 이동 장치
WO2014112441A1 (ja) 開閉装置
JP6529220B2 (ja) レンズ駆動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JP5328393B2 (ja) 電子機器
WO2008133356A1 (en)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vibration of camera
JP4952289B2 (ja) 駆動装置、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5035192B2 (ja) 駆動機構、駆動装置
KR101089866B1 (ko) 카메라 모듈
TWM418199U (en) Two-section cushioned placing device
KR101032159B1 (ko)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이송 장치
JP5243503B2 (ja) 手ぶれ防止装置
JP5473631B2 (ja) 操作装置及び電子機器
JP587069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