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951B1 - Blower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 Google Patents
Blower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5951B1 KR101165951B1 KR1020060047089A KR20060047089A KR101165951B1 KR 101165951 B1 KR101165951 B1 KR 101165951B1 KR 1020060047089 A KR1020060047089 A KR 1020060047089A KR 20060047089 A KR20060047089 A KR 20060047089A KR 101165951 B1 KR101165951 B1 KR 1011659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blower
- cross
- intake
- sectional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부 송풍휠과 하부 송풍휠로 효과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여, 풍량 증대 및 소음 저감을 도모하고, 송풍기의 구조도 단순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duct to the upper blower wheel and the lower blower wheel, to increase the air volume and reduce noise, an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blower It is aimed at letting.
본 발명의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는, 상/하면에 상/하부 흡입구(212, 214)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216)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210)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230)가 연결되는 허브 플레이트(Hub Plate, 226)에 상/하부 송풍휠(222, 22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체화된 양흡입형 원심팬(220)과; 내/외기흡입구(242, 244) 및 상기 내/외기흡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246)를 구비하고, 상기 내/외기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상/하부 흡입구 쪽으로 분배하는 상부 공기통로(250) 및 측부 공기통로(252)를 형성하는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 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흡입구의 공기흡입 단면적(S1)과 측부 공기통로의 단면적(S2+S3)의 비는 6:4~8:2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conditione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case (Scroll Case 210) is formed in the upper / lower suction inlet (212, 214) and the discharge port 216 on one side; A double suction centrifugal fan 2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scroll case and having upper and lower blower wheels 222 and 224 integr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a hub plate 226 to which the motor 230 is connected. )and; Intake doors 246 and 246 which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takes, and distribute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takes toward the upper and lower intakes. Intake duct (240) forming the upper air passage 250 and the side air passage 252 to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air suction cross-sectional area S1 of the upper inlet por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S2 + S3 of the side air passage is 6: 4 to 8: 2.
차량, 공조, 공기조화, 송풍기, 원심팬, 듀얼팬, 단면적, 높이, 풍량 Vehicle,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ing, Blower, Centrifugal Fan, Dual Fan, Cross Section, Height, Air Flow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FIG.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1.
도 3은, 종래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4.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에 대하여 측부 공기통로와 상부 흡입구의 단면적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풍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ir volume while varying the cross-sectional ratios of the side air passages and the upper intake ports of the blower fo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공조케이스, 210 :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200: air conditioning case, 210: scroll case,
212 : 상부 흡입구, 214 : 하부 흡입구, 212: upper inlet, 214: lower inlet,
216 : 토출구, 218 : 구획판, 216: discharge port, 218: partition plate,
220 : 양흡입형 원심팬, 222 : 상부 송풍휠, 220: double suction centrifugal fan, 222: upper blowing wheel,
224 : 하부 송풍휠, 226 : 허브 플레이트(Hub Plate), 224: lower blower wheel, 226: hub plate (Hub Plate),
230 : 모터, 240 :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 230: motor, 240: intake duct,
242 : 내기흡입구, 244 : 외기흡입구, 242: air intake, 244: air intake,
246 :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248 : 물차단벽, 246: Intake Door, 248: water barrier,
250 : 상부 공기통로, 252 : 측부 공기통로, 250: upper air passage, 252: side air passage,
260 : 배출구, H1 : 상부 송풍휠의 높이, 260: outlet, H1: height of the upper blowing wheel,
H2 : 하부 송풍휠의 높이, S1 : 상부 흡입구의 공기흡입 단면적, H2: height of the lower blower wheel, S1: air intake cross section of the upper inlet,
S2+S3 : 측부 공기통로의 단면적. S2 + S3: Cross sectional area of side air passages.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흡입형 원심팬이 적용되는 송풍기에 있어서,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부 송풍휠과 하부 송풍휠로 효과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여, 풍량 증대 및 소음 저감을 도모하고, 송풍기의 구조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in a blower to which a double suction centrifugal fan is applied, air flowing into an intake duct may be effectively distributed to an upper blower wheel and a lower blower whe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an increase air volume, reduce noise, and simplify the structure of a blower.
차량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한다.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 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공기가 냉기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난방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코어(Heater Core)로 유입하여 송풍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the cooling system, the blower air is exchanged with a refrigerant circulating back to the compressor through a condenser, a receiver dry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by a compressor, and a blower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surface by a blower. It is configured to cool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changing to cold and discharging the vehicle interior. In addition, the heating system is configured to heat the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cooling water into a heater core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blowing air.
상기 송풍기는, 냉방시스템을 구성하는 증발기 및 난방시스템을 구성하는 히터코어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의 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lower is connected to an inlet of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an evaporator constituting a cooling system and a heater core constituting a heating system are embedded,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blow inside or outside air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즉, 상기 송풍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공조케이스(미도시)에 연결되는 토출구(14)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10)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의 내/외기흡입구(32, 34) 및 상기 내/외기흡입구(32, 34)의 개도를 전환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36)를 구비하는 인테이크 덕트(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30)와 스크롤 케이스(10) 간의 공기의 흡입통로를 제공하는 흡입구(20)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심팬(40)과; 그리고, 상기 원심팬(4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10)의 하부를 통하여 원심팬(40)에 연결되는 모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의 참조부호 60은 인테이크 덕트(30)로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 필터(Air Filter)를 나타내며, 이 에어 필터(60)는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blower,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상기 원심팬(40)은 단방향 흡입형의 것으로서, 그 회전에 따라 축방향의 한 쪽 즉, 흡입구(20)쪽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 다. 즉, 상기 원심팬(40)은, 모터(50)의 축(52) 상단에 연결되는 허브 플레이트(Hub Plate, 42)와, 상기 허브 플레이트(4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Blade, 44)와,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44)들의 상단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링(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허브 플레이트(42)는, 통상적으로 블레이드(44)들이 이루는 공간의 내부(즉, 상부)쪽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모터(50)의 일부가 상기 공간의 내부에 삽입된 채 허브 플레이트(42)에 연결된다. The
따라서, 모터(50)의 구동에 의하여 원심팬(40)을 회전시키면, 인테이크 도어(36)의 개도조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내기흡입구(32) 또는 외기흡입구(34)를 통하여, 내기 또는 외기가 흡입구(20)를 통해 원심팬(4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어, 허브 플레이트(42)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유동하여 원심팬(4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이 공기는 스크롤 케이스(10)의 측벽을 따라 유동하면서 풍압 및 풍량이 점증된 채 토출구(14)를 통해 미도시된 공조케이스 내부로 송풍된다. Therefore, when the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단방향 흡입형 원심팬(40)이 적용된 송풍기에 있어서는, 원심팬(4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허브 플레이트(42)의 경사면을 따라 토출되기 때문에, 상/하의 공기유동분포가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blower to which the unidirectional suction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케이스(10)의 스크롤부(12)와 토출구(14)가 만나는 부분(즉, 컷 오프(Cut-Off) 영역(16))에서의 공기유동구조를 살펴보면, 원심팬(40)에서 반경방향으로 토출되어 토출구(14) 쪽으로 곧바로 유동하는 공기와, 원심팬(40)에서 반경방향으로 토출되어 스크롤부(12)의 측벽을 따라 토출구(14)쪽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컷 오프 영역(16)에서 충돌하여 서로 혼합되면서 난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공기유동분포가 고르지 못하고 난류가 발생하면, 풍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air flow structure at a portion where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단방향 흡입형 원심팬이 적용된 송풍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풍량을 증대시키고, 소음을 저감하며, 또한 2층류 공기유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기를 양방향으로 흡입하여 토출시킬 수 있는 양흡입형 송풍기가 제안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blower to which the unidirectional suction centrifugal fan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air can be sucked in and discharged in both directions so as to increase the air volume, reduce the noise, and perform a two-laminar air flow. A double suction blower is proposed.
이러한 양흡입형 송풍기의 일 예로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 제2000-30921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된 2개의 단방향 흡입형 송풍휠에 하나의 모터가 결합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의하면, 송풍기의 크기가 커지고, 부품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수가 늘어나 송풍기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 double suction blower, for exampl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09216, there is a method in which one motor is coupled to two unidirectional suction blower wheels connec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However, according to this technique, the size of the blower is increased,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as well as the number of assembly operations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price of the blower.
상기 양흡입형 송풍기의 또 다른 예가,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5-1001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송풍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면에 상/하부 흡입구(112, 114)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110)와; 허브 플레이트(126)에 상/하부 송풍휠(122, 12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체화되어 상기 스크롤 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양흡입형 원심팬(Dual Fan, 120)과; 외기흡입구(142), 다수(4개)의 내기흡입구(144) 및 상기 흡입구들(142, 144)의 개도를 조절하는 다수(4개)의 인테이크 도어(146)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흡입구(112, 114)쪽으로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통로(150, 152)를 형성하는 인테이크 덕트(140)와; 그리고, 상기 양흡입형 원심팬(120)을 회전시키도록 하부 흡입구(114)를 통하여 허브 플레이트(126)에 연결되는 모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other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double suction blower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10016. This blower,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and
도 3의 송풍기에 따르면, 외기흡입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모든 내기흡입구(144)가 닫히고, 외기흡입구(142)만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하부 흡입구(112, 114)쪽으로 외기가 분배되어 흡입된다. 또한, 내기흡입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외기흡입구(142)는 닫히고, 모든 내기흡입구(144)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하부 흡입구(112, 114)쪽으로 내기가 분배되어 흡입된다. 또한, 내/외기흡입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외기흡입구(142)가 일부 개방되고, 내기흡입구(144)들중 일부의 내기흡입구가 선택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 흡입구(112)쪽으로는 내/외기가 혼합되어 흡입되고, 하부 흡입구(114)쪽으로는 내기가 흡입된다. According to the blower of FIG. 3, when the outside air intake mode is operated, all
그런데, 도 3의 송풍기에 있어서는, 특히 내기가 흡입되는 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상/하부 흡입구(112, 114)쪽으로 공기의 분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내기흡입구(144) 및 다수의 인테이크 도어(146)가 요구된다. 또한, 일부 인테이크 도어(146)들이 송풍기의 외부쪽으로 내기흡입구(144)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기의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차량에 대한 송풍기의 장착공간도 커져야 하고, 인테이크 도어(144)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레버 기구(미도시) 등 구동수단의 구조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의 송풍기에 있어서는, 인테이크 덕트(140)의 바닥, 즉 모터(130)의 하 부쪽에 물이나 이물질이 고여 모터(130)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모터(130)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However, in the blower of FIG. 3, since the air is not effectively distributed to the upper an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흡입형 원심팬이 적용되는 송풍기에 있어서,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부 송풍휠과 하부 송풍휠로 효과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여, 풍량 증대 및 소음 저감을 도모하고, 송풍기의 구조도 단순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n the blower to which the double suction centrifugal fa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duct to the upper blower wheel and the lower blower wheel, It aims at increasing and reducing noise,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a blow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면에 상/하부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가 연결되는 허브 플레이트에 상/하부 송풍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체화된 양흡입형 원심팬과; 내/외기흡입구 및 상기 내/외기흡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내/외기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상/하부 흡입구 쪽으로 분배하는 상부 공기통로 및 측부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인테이크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흡입구의 공기흡입 단면적과 측부 공기통로의 단면적의 비는 6:4~8: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 lower suction port is formed and the scroll case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on one side; A double suction centrifugal fan rotatably installed on the scroll case and having upper and lower blower wheels integrated in opposite directions on a hub plate to which a motor is connected; An intake door configured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inside / outside air inlet and the inside / outside air inlet, and forming an upper air passage and a side air passage for distributing air sucked through the inside / outside air inlet toward the upper / lower inlet Intake duct comprising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ratio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ntak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suction port and the side air passage is characterized in that 6: 4 ~ 8: 2.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송풍휠과 하부 송풍휠의 높이의 비는 6:4~8:2인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upper blower wheel and the lower blower wheel is preferably 6: 4 ~ 8: 2.
또한,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바닥중 모터의 둘레에, 물이나 이물질이 모터쪽 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물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바닥 일측에는 인테이크 덕트의 바닥에 고이는 물을 공조케이스쪽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water blocking wall is formed around the motor in the bottom of the intake duct to prevent water or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motor, and water at the bottom of the intake duct is collected toward the air conditioning case. It is preferable that an outlet for discharging is formed.
또한, 상기 스크롤 케이스에는, 그 내부를 허브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oll case, a partition plate for partitioning the inside up and down based on the hub plate may be install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가 도시되어 있다. 4 to 6, there is shown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는, 스크롤 케이스(210)와, 양흡입형 원심팬(220)과, 모터(230)와, 인테이크 덕트(240)를 구비한다.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스크롤 케이스(210)는 양흡입형 원심팬(2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하면에 상/하부 흡입구(212, 214)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공조케이스(200)에 연결되는 토출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스크롤 케이스(210) 내부에는 양흡입형 원심팬(2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흡입형 원심팬(220)은, 모터(230)가 연결되는 허브 플레이트(226)에 상하로 일체화된 상/하부 송풍휠(222, 224)을 구비한다. The suction cas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송풍휠(222)의 높이(H1)와 하부 송풍휠(224)의 높이(H2)의 비는 6:4~8:2인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height H1 of the
한편, 상기 인테이크 덕트(240)는, 내기 또는 외기를 상기 스크롤 케이스(21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흡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외기흡입구(242, 244) 및 상기 내/외기흡입구(242, 244)의 개도를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246)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인테이크 도어(246)는 돔형(Dome Typ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인테이크 도어(246)의 회전에 따라 내/외기흡입구(242, 244)의 개도를 조절하는 곡면 플레이트(246a)와, 상기 곡면 플레이트(246a)의 양단으로부터 굴곡되고 인테이크 덕트(240)의 벽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양쪽 지지 플레이트(246b, 246b)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테이크 도어(246)는, 인테이크 덕트(240)의 내부에서 그 회전각도에 따라 내/외기흡입구(242, 244)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인테이크 덕트(240)는, 상기 내/외기흡입구(242, 244)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상/하부 흡입구(212, 214) 쪽으로 분배하는 상부 공기통로(250) 및 측부 공기통로(252)를 구비한다. 즉, 상부 공기통로(250)는 상부 흡입구를 통하여 상부 송풍휠(222)쪽으로 바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부 공기통로(252)는, 인테이크 덕트(240)의 측벽 및 바닥이 상기 스크롤 케이스(210)의 측벽 및 바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상부 공기통로(250)와 하부 흡입구(214)를 서로 연통시키고 있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양흡입형 원심팬(220)의 회전에 따라 내/외기흡입구(242, 244)를 통하여 인테이크 덕트(240)의 상부 공기통로(250)로 흡입된 공기중 일부는, 상부 흡입구(212)를 통하여 상부 송풍휠(222) 내부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흡입 공기중 나머지는 측부 공기통로(252) 및 하부 흡입구(214)를 통하여 하부 송풍휠(224)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Therefore, a portion of the air sucked into the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유동구조에 있어서, 양흡입형 원심팬(220)을 회전시키는 모터(230)는, 인테이크 덕트(240)의 바닥에 그 하단이 지지된 채, 하부 흡입구(214)를 통하여 그 축(232)이 허브 플레이트(226)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흡입구(212)의 공기흡입 단면적(S1)이 하부 흡입구(214)의 공기흡입 단면적보다 클 뿐만 아니라 상부 송풍휠(222)의 높이(H1)도 하부 송풍휠(224)의 높이(H2)보다 크기 때문에 하부 송풍휠(224) 보다는 상부 송풍휠(222)쪽으로 더욱더 많은 풍량이 유동하도록 설계해야 인테이크 덕트(24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부 송풍휠(222)과 하부 송풍휠(224)로 효과적으로 분배되어 풍량 증대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air flow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부 흡입구(212)의 공기흡입 단면적(S1)을 측부 공기통로(252)의 단면적(S2+S3)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부 송풍휠(222)쪽으로 많은 풍량이 분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흡입구(212)의 단면적(S1)과 측부 공기통로(252)의 단면적(S2+S3)의 비는 6:4~8:2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view of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ction cross-sectional area (S1) of the
그리고, 2층류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롤 케이스(210)에, 그 내부를 허브 플레이트(226)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218)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송풍기와 대응하여 토출구(216)가 연결되는 공조케이스(200)의 내부도 미도시된 구획판(218)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n order to be able to blow air in two-layer flow, as shown in Figure 7, the
또한, 상기 인테이크 덕트(240)의 바닥중 모터(230)의 둘레에, 물이나 이물질이 모터(230)쪽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물차단벽(248)이 형성되고, 상기 인테이크 덕트(240)의 바닥 일측에는 인테이크 덕트(240)의 바닥에 고이는 물을 공조케이스(200)쪽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o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모터(230)를 구동하고, 인테이크 도어(246)의 작동에 의해 공기흡입모드를 설정하면, 양흡입형 원심팬(220)이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하여, 내기흡입구(242) 또는 외기흡입구(244)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가 인테이크 덕트(240)의 내부, 즉 상부 공기통로(250)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 공기의 일부는 상부 공기통로(250)로부터 상부 흡입구(212)를 통해 상부 송풍휠(222)의 내부로 유동하고, 상기 흡입 공기의 나머지는 측부 공기통로(252) 및 하부 흡입구(214)를 통해 하부 송풍휠(224)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When the
이러한 공기유동과정에서, 상부 흡입구(212)의 공기흡입 단면적(S1)이 측부 공기통로(252)의 단면적(S2+S3)보다 크고, 상부 송풍휠(222)의 높이(H1)도 하부 송풍휠(224)의 높이(H2)보다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풍량이 유동할 수 있는 상부 송풍휠(222)쪽으로는 많은 풍량이 분배되고 상대적으로 적은 풍량이 유동할 수 있는 하부 송풍휠(224)쪽으로는 적은 풍량이 분배되어 유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의 분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풍량이 전체적으로 커지게 된다.In this air flow process, the air suction cross-sectional area (S1) of the
본 발명자들은 동일한 형태의 송풍기들에 대하여 상부 흡입구(212)의 공기흡입 단면적(S1)과 측부 공기통로(252)의 단면적(S2+S3)의 비를 변화시키는 한편, 상부 송풍휠(222)의 높이(H1)와 하부 송풍휠(224)의 높이(H2)의 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다음의 표 1 및 도 8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표 1에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과, 도 8에 도시된 적정 사용 범위(A-A선)와 같이, 단면적 비(S1:S2+S3) 및 높이 비(H1:H2)가 각각 6:4~8:2인 범위에서 높은 풍량(단위:CMH)을 얻을 수가 있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소음도 저감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inventors change the ratio of the air intake cross-sectional area S1 of the
그리고, 상기 상부 흡입구(212)의 공기흡입 단면적(S1)과 측부 공기통로(252)의 단면적(S2+S3)의 비는 6.5:3.5~7.5:2.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S1:(S2+S3)=6.5:3.5~7.5:2.5 인 표1의 진한 음영 부분과, 도 8의 B-B선 범위에서는, 상기 상부 흡입구의 공기흡입 단면적(S1)과 측부 공기통로의 단면적(S2+S3)의 비와, 상기 상부 송풍휠(222)의 높이(H1)와 하부 송풍휠(224)의 높이(H2)의 비가 대략 동일한 경우(굵은 활자)에 풍량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Further, the ratio between the air suction cross-sectional area S1 of the
이에 반해, 표1과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송풍휠(222)의 높이(H1)와 하부 송풍휠(224)의 높이(H2)의 비가 6:4~8:2 구간을 벗어난 범위(5.5:4.5, 8.5:1.5)에서는 풍량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흡입구의 공기흡입 단면적(S1)과 측부 공기통로의 단면적(S2+S3)의 비 역시 6:4~8:2 구간 외에서는, 풍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H1:H2의 비 5.5:4.5, 8.5:1.5 구간의 풍량보다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In contrast, as shown in Table 1 and FIG. 8, the ratio of the height H1 of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송풍기의 가동중 빗물의 유입 등으로 인하여 인테이크 덕트(240)의 바닥에 물이 고일 경우에, 상기 물이, 물차단벽(248)에 의하여 모터(230)쪽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배출구(260)를 통해 공조케이스(200)쪽으로 배출되어, 증발기(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응축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water is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에 의하면, 상/하부 송풍휠(222, 224)의 내부로 통하는 상부 흡입구(212)의 공기흡입 단면적(S1) 및 측부 공기통로(252)의 단면적(S2+S3)의 비와, 상/하부 송풍휠(222, 224)의 높이(H1, H2)의 비율을 최적으로 설계하여, 전체적인 풍량 증대 및 소음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송풍기의 성능을 높일 수가 있다. According to the blower fo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take cross-sectional area (S1) and the
또한, 각각 하나의 내/외기흡입구(242, 244) 및 인테이크 도어(246)만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인테이크 도어(246)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송풍기의 제조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차량에 대한 송풍기의 장착공간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employing only one internal / external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453,590 US7682233B2 (en) | 2005-06-17 | 2006-06-15 | Blower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50052385 | 2005-06-17 | ||
KR1020050052385 | 2005-06-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2447A KR20060132447A (en) | 2006-12-21 |
KR101165951B1 true KR101165951B1 (en) | 2012-07-18 |
Family
ID=3781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7089A KR101165951B1 (en) | 2005-06-17 | 2006-05-25 | Blower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59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987B1 (en) * | 2007-04-12 | 2014-11-18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Blower for Vehicles |
KR101331100B1 (en) * | 2007-05-08 | 2013-11-19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Blower motor cool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CN116951570A (en) * | 2023-08-28 | 2023-10-2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 fan assembly,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1598B2 (en) | 1997-07-17 | 2001-02-05 |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 Blower unit |
JP2004132342A (en) | 2002-10-15 | 2004-04-30 | Denso Corp | Centrifugal blower |
-
2006
- 2006-05-25 KR KR1020060047089A patent/KR10116595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1598B2 (en) | 1997-07-17 | 2001-02-05 |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 Blower unit |
JP2004132342A (en) | 2002-10-15 | 2004-04-30 | Denso Corp | Centrifugal blow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2447A (en) | 2006-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82233B2 (en) | Blower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 |
US8074709B2 (en) |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22251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165951B1 (en) | Blower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 |
KR100772487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blowe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3847462A (en) |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0623504B1 (en) | Automotive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CN110475682B (en) | Air supply device for vehicle air conditioner | |
KR101371628B1 (en) | Blower unit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238658B1 (en) |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0715337B1 (en) | Blowing structure of packaged air conditioner | |
KR100683566B1 (en) | Blower Units for Automotive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US7473078B2 (en) | Centrifugal blower | |
KR100961018B1 (en) | Blower of automobile air conditioning with dual blower fan and this | |
KR100761163B1 (en) | Automotive air conditioner with two-layer air flow structure | |
KR20080027633A (en) | Bidirectional Suction Blower Unit | |
KR101364512B1 (en) |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177771B1 (en) | Assembly for tubofan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 |
CN111867861A (en) | Air blowing device for vehicle air conditioner | |
KR20100021712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EP3718798B1 (en) | Air blowing device for vehicle air-conditioning | |
KR101295844B1 (en) | Blower unit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442532B1 (en) | Center mounting type vehicle air conditioner | |
KR101142675B1 (en) | Blower Wheel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r | |
KR20030006411A (en) | Blower unit of air-conditioner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5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