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486B1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486B1
KR101147486B1 KR1020100030085A KR20100030085A KR101147486B1 KR 101147486 B1 KR101147486 B1 KR 101147486B1 KR 1020100030085 A KR1020100030085 A KR 1020100030085A KR 20100030085 A KR20100030085 A KR 20100030085A KR 101147486 B1 KR101147486 B1 KR 10114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est
adhd
active ingredient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638A (ko
Inventor
김현기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기 filed Critical 김현기
Priority to KR102010003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48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DHD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recognition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DHD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오배자는 붉나무(Rhus javanica L.)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인 옻나무과 (Anacardiaceae)의 잎에 오배자 진딧물(Melaphis chinensis Bell)의 자상에 의하여 생긴 벌레집으로서, 전체의 50~70%가 갈로탄닌류로 갈릭에시드(gallic acid),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즈(pentagalloyl glucose) 등이 주요성분으로 밝혀지고 있다.
한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는 학동기 어린이 중 3-5%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이제까지 이 질병의 치료를 위해 제안된 심리약리제는 자극적인 화합물(암페타민과 메틸페니데이트), 트리싸이클릭 항우울제(이미프라민, 아미트립틸린) 및 항심리제(페노티아진, 할로페리돌)이다.
ADHD의 주의력에 대한(attentional) 증상들은 정신운동 자극제, 예를 들면 메틸페니데이트 (리탈린(Ritalin))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작동질인 클로니딘(Clonidine)은 공격적이고 반항적인 증상을 치료한다.
메틸페니데이트는 과잉 행동과 주의력 결핍에서 좋은 효과가 입증되어 여러 의학 연구의 목적이 되어 왔다. 그러나, 반작용으로 고혈압이 보고되었고, 가끔 충동성이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메틸페니데이트로 치료하는 중에 눈주위의 검은원, 동공 확대, 두통, 식욕감퇴와 같은 빈번한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잠에 들지 못하고, 밤에 자주 깨거나, 침상에서의 발한, 졸음, 심장의 수축과 이완시의 혈압 저하가 보고되어 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불면증, 식용감퇴 및 체중감소이다.
또한, 클로니딘은 교사와 부모에게 목적이 되는 문제에 이익이 되는 효과는 메틸페니데이트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덜하지만, 가정/학교에서의 과잉행동과 주의력 장애에 효과적이다. 클로니딘의 부작용은 다양하고 빈번하며, 그 중 졸음은 가장 흔하다. 또한, 짧은 시간의 낮잠을 자야하는 횟수가 증가됨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밤의 수면중에 자주 깨고, 가끔 악몽이 수반되기도 한다. 미식거림, 식욕감퇴 및 구강 건조가 또한 보고되어 있다. 심장의 수축시와 이완시의 혈압의 강하는 메틸페니딘으로의 치료시보다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두 화합물, 즉 메틸페니데이트 및 클로니딘의 부작용은 임상 실험동안 보고되었으며, 또한, 부모와 교사에 의해서 뿐만아니라 임상에 참여하지 않은 환자에 의해서도 보고되었다.
메틸페니데이트 및 클로니딘 양쪽 모두는 상당한 부작용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으면서 유사하거나 또는 우수한 효능을 갖는 다른 약물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ADHD는 가장 흔한 소아기 정신과 장애 중 하나이며, 성인에게도 종종 부지불식간에(underrecognized),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정신과 질환이다(Spencer T, 1998). 소아기에서 시작되는 이 장애는 평생동안 증상 (예를 들면, 과잉행동 및(또는) 충동성)의 발현이 뒤따를 수 있다(Schweitzer JB, 2001). ADHD는 취학전부터 성인기로 발현됨에 따라 그 징후가 변할 수 있다(Cantwell DP, 1996; Elia J, 1999; Nolan EE, 2001).
ADHD의 진단은 임상 평가에 기한다 (Dulcan M, 1997;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ADHD의 본질적인 특성은 동등한 수준으로 발달한 개인에게서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것보다 잦고 심한 것인 주의산만 및(또는) 과잉행동-충동성의 지속적인 패턴이다"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American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 C., 1994). ADHD로 진단받으려면, 환자는 7 세 전에 손상을 유발하는 ADHD의 증상을 보여햐 하며 상기 증상은 적어도 두 곳 이상(예를 들면, 학교 [또는 직장] 및 집)에서 6 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DSM-IV 참조).
ADHD는 주로 소아에게 빈발하며, 산만함 (attention deficit: 지속적인 주의력결핍, 주의력 지속시간의 감소), 과행동 (hyperactivity), 충동적 행위 (impulsiveness)를 주요 3대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ADHD의 경우 postmortem 연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독질환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없음) 그 병인론의 규명이 매우 어려운 질환이나, 최근 functional MRI 등의 기술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dopaminergic system의 기능저하가 가장 주요한 병인이며, 그 외에도 serotonergic system, adrenergic system의 기능저하가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
병인론의 규명이 어렵기 때문에 동물모델의 성립 역시 ADHD 환자에서 나타나는 증상의 재현 (face validity)과 ADHD 환자에 적용되는 치료약물이 동물모델에서 재현되는지의 여부 (predictive validity)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왔다. 설치류에서 주로 적용되는 ADHD의 동물모델로는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dopamine transporter knockout mice, hyperactive wheel running mice, thyroid mutant mice 등의 유전자 모델(genetic model), neonatal anoxia, hippocampal irradiation 등의 외상 모델(traumatic model), neonatal 6-OHDA lesion 등의 병변(lesioning) 모델, 그리고 bisphenol A, polychlorinated biphenyls, lead 등을 처리한 환경 독소(environmental toxicant) 모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의 유효량은 0.001~500mg/kg 체중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갈릭에시드(gallic acid) 또는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갈릭에시드(gallic acid) 또는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 능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건강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배자 추출물"이란 천연물인 오배자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오배자를 물이나 유기용매에 넣고 정치, 교반, 가압 또는 가열 등의 수단을 통해 유효성분을 용출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추출물을 동결건조함으로써 얻어진 동결건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그러한 동결건조물을 분쇄한 분말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가능한 수단이 무엇이든지 가리지 않고 추출된 모든 추출물을 포함하며, 추출된 후 동결 건조 등의 가공을 거친 것까지도 모두 포함된다. 기타, 중탕이나 상온에 의한 추출법과 같이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거나, 한의서 또는 교과서에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 활성 화합물들을 분리하기 위한 특별한 추출방법인 Stass Otto 추출법이나 각종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등을 통하여 얻어진 분획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자의 연령, 성별, 체중, 증상,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1 내지 500 mg/kg 체중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연령, 성별, 체중, 질병의 정도, 투여경로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심각한 독성 및 부작용은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 중 0.001 내지 99.9중량% 함유할 수 있다. 0.001중량% 이상이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불순물의 존재 등으로 인해 99.9중량%를 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경구 투여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정제, 캡슐, 츄잉정, 작은 봉지, 과립, 분말, 액체 용액,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시럽 등의 제제로 제형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아라비아 고무, 옥수수 전분, 미세 결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인산 이칼슘 또는 락토오즈와 같은 부형제, 알긴산, 옥수수 전분 또는 감자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 슈크로오즈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및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산염 또는 과일향과 같은 향미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투여 단위 형이 캡슐제인 경우에는 상기 성분 외에도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지방유와 같은 액상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물 또는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99.9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 중에는 100 ㎖를 기준으로 0.001 내지 0.1 g,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 유도체를 함유하는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 유도체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 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갈레이트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의약품 제조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첨가되어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쥐를 내분비 장애 물질인 polychlorinated biphenyls의 복합체인 Aroclor 1254에 exposure 시킨 경우, 유의하게 과행동장애, 충동적 행위 및 주의력집중/ 학습장애를 유도하였다.
이에 오배자 water extract의 투여는 Aroclor 1254에 의한 과행동장애, 충동적 행위 및 주의력집중/ 학습장애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대조물질인 syringic acid 및 gallic acid는 일부지표에서 유의한 약리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DHD에 대한 오배자 추출물은 ADHD치료 후보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험 스케쥴을 나타낸다. 도 1에서 PND = postnatal days를 나타냄.
도 2는 쥐에서 Aroclor 1254-유도된 hyperlocomotor 활성에 대한 오배자의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각 값은 12마리 쥐의 평균 ± S.E.M.이고, *P < 0.05, **P < 0.01 vs. Sal + Sal, #P < 0.05, ##P < 0.01 vs. Sal + Aroclor 1254 [반복된 측정에 대한 ANOVA는 Bonferroni' 테스트에 의해 수반되거나 (A) 또는 원-웨이 ANOVA는 Fisher's PLSD 테스트에 의해서 수반됨(B)].
도 3은 쥐에서 Aroclor 1254-유도된 rearing number의 증가에 대한 오배자의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각 값은 12마리 쥐의 평균 ± S.E.M.이고, *P < 0.05 vs. Sal + Sal, #P < 0.05 vs. Sal + Aroclor 1254 (원-웨이 ANOVA는 Fisher's PLSD 테스트에 의해서 수반됨)
도 4은 쥐에서 중앙 존으로 출입 능력에서 Aroclor 1254-유도된 변화에 대한 오배자의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각 값은 12마리 쥐의 평균 ± S.E.M.이고,*P < 0.01 vs. Sal + Sal, #P < 0.05 vs. Sal + Aroclor 1254(원-웨이 ANOVA는 Fisher's PLSD 테스트에 의해서 수반됨)
도 5는 쥐에서 중앙 존에서 이동한 거리에서 Aroclor 1254-유도된 증가에 대한 오배자의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각 값은 12마리 쥐의 평균 ± S.E.M.이고,*P < 0.01 vs. Sal + Sal, #P < 0.05, ##P < 0.05 vs. Sal + Aroclor 1254[반복된 측정에 대한 ANOVA는 Bonferroni' 테스트에 의해서 수반되거나 (A) 또는 원-웨이 ANOVA는 Fisher's PLSD 테스트에 의해 수반됨(B)].
도 6은 쥐에서 중앙 존으로 들어간 수에서 Aroclor 1254-유도된 증가에 대한 오배자의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각 값은 12마리 쥐의 평균 ± S.E.M.이고,*P < 0.01 vs. Sal + Sal, #P < 0.05 vs. Sal + Aroclor 1254 [반복된 측정에 대한 ANOVA는 Bonferroni' 테스트에 의해 수반되거나 (A) 또는 원-웨이 ANOVA는 Fisher's PLSD 테스트에 의해 수반됨(B)].
도 7은 쥐에서 중앙 존에서 머문 시간에서 Aroclor 1254-유도된 변화에 대한 오배자의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각 값은 12마리 쥐의 평균 ± S.E.M.이고,*P < 0.05 vs. Sal + Sal, #P < 0.05 vs. Sal + Aroclor 1254[반복된 측정에 대한 ANOVA는 Bonferroni' 테스트에 의해 수반되거나 (A) 또는 원-웨이 ANOVA는 Fisher's PLSD 테스트에 의해 수반됨(B)].
도 8은 쥐에서 새로운 대상 인식 테스트로 Aroclor 1254-유도된 학습 및 기억 손상에 대한 오배자의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각 값은 12마리 쥐의 평균 ± S.E.M.이고,*P < 0.01 vs. Sal + Sal, #P < 0.05, ##P < 0.05 vs. Sal + Aroclor 1254(원-웨이 ANOVA는 Fisher's PLSD 테스트에 의해 수반됨)
실시예 1: 오배자 추출물의 제조
제주도 일대의 국내산 오배자를 입수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된 오배자를 음건 세절하고 세절한 오배자 1 kg을 물 10 L로 실온에서 3회 반복 추출하여 그 추출물 212.2 g(수율 21.2%)을 얻었다
실시예 2: 오배자 추출물의 안전성 시험
- 단회투여 독성시험
시험물질인 오배자 추출물 물분획을 암수 SD 랫드에 단회 경구투여시 나타나는 독성반응을 관찰하고, 개략의 치사량을 구하였다. 암수 2000 mg/kg 투여군에서 사망례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체중 및 부검에서는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다. 일반증상에 있어서 암수 2000 mg/kg 투여군에서 투여 당일부터 투여 후 1일까지 설사 또는 점액변이 관찰되었으나, 그 후 회복하였다. 이 증상들은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오배자 추출물 물분획을 랫드에 단회 경구투여한 결과, 개략의 치사량은 암수 모두 2000 mg/kg 을 상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2주반복투여 독성시험
본 시험은 Sprague-Dawley 암수 SD 랫드를 이용하여 오배자 추출물 물분획을 2 주간 반복 경구투여시 나타나는 독성반응과 그 안전성을 평가하여 13 주 반복투여 독성시험의 용량설정 근거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투여기간에 암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관찰된 유연은 시험물질의 투여에 따른 일시적인 증상으로 독성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체중 및 사료섭취량의 변화, 혈액학적 검사, 장기중량 측정 및 부검 결과, 암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 암수 2000 mg/kg 투여군에서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총단백 (TP), 알부민 (Alb) 등 관련 항목의 변화가 동반되지 않았고, 조직병리학적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생물학적 변동범위 (수컷: 16.8 ~ 42.7 U/L, 암컷: 10.3 ~ 39.2 U/L)에 속하여 독성학적인 의미는 없다.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 암수 2000 mg/kg 투여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으로 오배자 추출물 물분획의 암수 랫드에 대한 2 주 반복 경구투여 용량결정시험 결과, 암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따라서, 반복투여 독성시험에서 투여용량은 고용량군 2000 mg/kg 으로, 저용량군 500 mg/kg 으로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13주반복투여 독성시험
본 시험에서는 오배자 추출물 물분획의 경구 반복투여에 따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암수 SD 랫드를 이용하여 13 주간 경구로 반복 투여하면서 나타나는 독성반응과 그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암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사망례는 관찰되지 않았다. 암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일반증상, 사료섭취량의 변화 및 안과학적 검사에 있어 시험물질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컷 2000 mg/kg 투여군의 경우 투여기간 중 유의성 있는 체중감소가 인정되었고, 투여 종료시 체중증가 억제율이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수컷은 6.0, 8.7 및 11.7%, 암컷은 1, 4.8 및 6.9%였다. 뇨검사 결과, 암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뇨색의 변화가 용량의존성은 없었으나, 다양한 색상으로 관찰되었고, 시험물질의 배설에 의한 변화로 추정되지만, 원인은 알 수 없다. 뇨중 당, 케톤체, 빌리루빈 또는 잠혈의 검출은 신장의 독성과 관련된 혈액생화학적 검사결과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틴) 및 조직병리검사결과 (신장)에서 변화를 동반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능적 이상으로 판단하였다. 뇨색의 변화가 있을 경우 뇨검사 결과에 간섭효과를 주어 당, 빌리루빈, 잠혈 등에서 의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뇨색의 변화가 보이지 않은 개체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나타낸 개체가 있기 때문에 시험물질에 의한 변화로 판단하였다. 혈액학적 검사 결과, 수컷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시험물질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암컷 1000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총적혈구수, 혈색소량 및 평균적혈구 헤모글로빈농도의 감소, 소판수의 증가, 암컷 2000 mg/kg 투여군에서 헤마토크리트치의 감소가 인정되었고, 이는 비장의 울혈 및 조혈항진의 조직병리학적 소견과 연관성이 있어,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으로 인정되었다.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 수컷 1000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총콜레스테롤 및 총단백의 감소, 2000 mg/kg 투여군에서 알부민 및 칼륨의 감소가 인정되었고, 암컷 모든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총콜레스테롤의 감소, 암컷 1000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총단백 및 칼슘의 감소, 암컷 2000 mg/kg 투여군에서 총빌리루빈의 증가, 알부민 및 나트륨의 감소가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으로 인정되었다.
장기중량에서, 암컷 500 및 1000 mg/kg 투여군에서 비장의 상대장기중량의 증가, 암컷 2000 mg/kg 투여군에서 비장의 절대 및 상대장기중량의 증가와 간의 상대장기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 소견도 관찰되어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으로 인정되었다.
부검 결과, 암컷 1000 및 암수 2000 mg/kg 투여군에서 간의 암갈색의 변색, 비장의 흑색 변색 및 암컷 2000 mg/kg 투여군에서 난소의 암갈색 변색이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 수컷 500 mg/kg 투여군, 암수 1000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샘위에서 호산구성 세포의 증가 및 점막하직의 부종, 암수 1000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기저샘에서 호산성 과립의 출현 및 표면점액세포의 과다형성이 관찰되었으나, 소견의 정도 (severity)는 미미하거나 경등도 (minimal to mild)였다. 호산구성 세포는 대부분 점막하직에 존재하였으며, 일부 1 ~ 2 개의 세포들은 점막에서 관찰되었고, 부종이 관찰된 점막하직에 넓게 분포하였으며, 조직의 손상은 동반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 외에 일부 개체에서 기저샘에 호산성 과립이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소견은 제산제를 투여한 시험에서 종종 관찰되나, 그 발생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표면점액세포의 과다형성은 표면을 이루는 점액세포가 증가하여 그 깊이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프로스타그란딘류 등을 투여하였을 때 발생되었던 보고가 있다. 시험물질의 성분은 갈산 외에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며, 독성시험에서 유사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시험물질의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은 성분에 기인한 변화로 추정된다. 또한, 암컷 500 mg/kg 투여군, 암수 1000 및 2000 mg/kg 투여군의 십이지장에서 호산성 점막 융모의 비대가 관찰되었는데, 강한 호산성의 세포질을 가지고 있었으며, 융모의 길이가 길어진 것이 특징적이었다. 이러한 변화도 프로스타그란딘류를 투여하였을 때 발생되었던 보고 4)가 있으므로, 시험물질의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은 성분에 기인한 변화로 추정된다. 수컷 2000 mg/kg 투여군의 비장에서 울혈소견, 암컷 1000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조혈항진 소견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부검시 비장의 색조변화와 관련성이 있다. 암컷의 혈액학적 검사 결과, 1000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인정된 총적혈구수, 혈색소량 및 평균적혈구헤모글로빈농도의 감소와 혈소판수의 증가, 2000 mg/kg 투여군에서 헤마토크리트치의 감소와의 연관성이 있다. 비장의 울혈소견은 동모양혈관내에 적혈구가 과량 존재함에 따라 미미하거나, 경등도로 확장되어 있었으며, 조혈항진 소견은 비장의 적수내에 작은 원형의 강한 호염성의 미성숙세포 (erythroids)가 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갈산을 이용한 F344 랫드의 13 주 반복투여 독성시험에서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으므로, 시험물질 내에 포함된 갈산에 의한 변화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암수 모든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장간막림프절, 간, 비장, 난소 및 샘위에서 갈색침착된 마크로파지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부검소견에서 간, 비장 및 난소에서의 색조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마크로파지는 장간막림프절의 수질부, 간의 동모양모세혈관, 비장의 적수 및 난소의 간질에서 갈색의 색소를 함유한 세포질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부 마크로파지의 세포질은 선명한 밝은 갈색으로 미만성으로 관찰되었다. 비장, 난소에서는 정상적으로 적혈구의 파괴가 관찰되기 때문에 대조군에서도 이러한 특성의 마크로파지가 존재하였으나, 대조군과 비교시 색조가 선명하거나, 그 수가 증가하였다. 색소침착된 마크로파지 이외에 조직의 손상으로 판단되는 소견은 동반하지 않았으며, 염료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험물질이 투여된 후 전신의 장기조직에 분포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반응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으로 오배자 추출물 물분획에 대한 13 주 경구 반복투여 독성시험 결과, 암수 1000 mg/kg 이상의 용량에서 뇨검사, 혈액학적 검사 및 부검에서, 암수 500 mg/kg 이상의 용량에서 혈액생화학적 검사, 장기중량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무독성량 (NOAEL)은 암수 500 mg/kg 미만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3: ADHD 모델에서 오배자 추출물의 약리효능평가
1) 실험동물 및 약물 처리
ADHD가 주로 소아에서 나타나는 질환이기 때문에 미성숙 생쥐를 실험에 이용하여야 함. ICR 생쥐 [(주)오리엔트바이오, 경기, 한국)]를 구입하여 실험 동물실에 적응시킨 후, mating하였다. Gestational day 6에서부터 postnatal day 21까지 모체에 Aroclor 1254(18 mg/kg)를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Postnatal day 21에 male offspring만을 이유한 후, postnatal day 21부터 행동실험이 끝나는 날까지 이유한 offspring에 syringic acid (50 또는 100 mg/kg, p.o.), gallic acid (50 또는 100 mg/kg, p.o.), methyl gallate (50 또는 100 mg/kg, p.o.) 혹은 오배자 water extract (250 또는 500 mg/kg, p.o.)를 1일 1회 투여하였다. Postnatal day 35일에 open field test로 자발운동량 및 충동적 경향을, 36일과 37일에는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를 이용하여 주의력 및 인지기억능을 평가하였다. Reference drug으로 methylphenidate를 사용하였다. 실험 과정은 도 1과 같다.
2) 행동평가
(1) Open field test
생쥐를 40 x 40 x 30 cm의 검은 색 아크릴 박스에 넣고 videotracking system을 이용하여 30분간 행동을 측정하였으며, Open field를 9등분하여 가운데 영역을 central zone으로 설정하였다. ADHD의 과행동 지표는 자발운동량 (distance moved in cm)을 이용하였으며, 충동적 행위의 지표로는 서는 행위 (rearing), central zone에 머문 시간, central zone에 진입한 횟수, 처음 central zone에 진입한 시간을 지표로 측정하였다. Open field 평가에서 central zone에 머문 시간이 길고 자주 진입하며, 최초로 진입한 시간이 짧을 수록 충동적 경향이 있으며, 반대의 경우 불안증세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행동의 측정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사이에 실시되었다.
(2)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Open field test를 마친 24시간 후에, open field test시와 같은 아크릴 박스에 두 개의 물체 (object)를 고정시켰다. 생쥐를 넣고 10분 동안 각각의 물체에 접근하는 시간을 videotracking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시 24시간 후에, 두 개의 물체 중 한 개를 새로운 물체 (novel object)로 바꾼 후, 생쥐를 넣고 10분 동안 각각의 물체에 접근하는 시간을 videotracking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두 물체에 접근한 시간 중 새로운 물체 (novel object)에 접근한 시간을 계산하여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3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roclor 1254에 의해 유도된 과잉행동에 대한 오배자 water extract 의 약리효과
Aroclor 1254의 투여는 유의하게 locomotor activity를 유도하였으며, rearing behavior를 증가시켰다. 오배자 water extract의 투여는 Aroclor 1254에 의한 hyperlocomotor activity와 rearing behavior의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syringic acid 역시 유의한 약리효능을 나타내었다(도 2 및 도 3).
(2) Aroclor 1254에 의해 유도된 충동 행위에 대한 오배자 water extract 의 약리효과
Aroclor 1254의 투여는 유의하게 open field의 central zone에 머문 시간과 central zone에 들어간 횟수를 증가시켰으며, 처음으로 central zone에 들어간 시간은 유의하게 단축되어, 충동적 행위가 유도되었다. 오배자 water extract의 투여는 Aroclor 1254에 의한 충동적 행위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syringic acid와 gallic acid 역시 부분적으로 유의한 약리효능을 나타내었다(도 4 ~ 7).
(3) Aroclor 1254에 의해 유도된 주의력 집중장애/ 학습기억능 저하에 대한 오배자 water extract 의 약리효과
Aroclor 1254의 투여는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에서 유의하게 novel object에 관심을 보인 시간을 감소시켜 주의력 집중장애 및 학습기억능 저하를 유도하였다. 오배자 water extract의 투여는 Aroclor 1254에 의한 주의력 집중장애/ 학습기억능 저하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gallic acid 역시 유의한 약리효능을 나타내었다(도 8).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으로 오배자 추출물 500 mg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유효성분 20 g을 락토오스 18 g, 감자전분 18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 g, 활석 5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유효성분(오배자 추출물) 500 ㎎을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음료 제조
유효성분(오배자 추출물) 500 ㎎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에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C, 교미제로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올리고당을 적당량 가하고, 보존제로서 적당량의 나트륨벤조에이트를 가한 후에 물을 가하여 전량을 100 ㎖로 만들어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7)

  1.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의 유효량은 0.001~500mg/kg 체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갈릭에시드(gallic acid) 또는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5.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건강 식품 조성물.
KR1020100030085A 2010-04-01 2010-04-01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 KR10114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85A KR101147486B1 (ko) 2010-04-01 2010-04-01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85A KR101147486B1 (ko) 2010-04-01 2010-04-01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638A KR20110110638A (ko) 2011-10-07
KR101147486B1 true KR101147486B1 (ko) 2012-05-21

Family

ID=4502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085A KR101147486B1 (ko) 2010-04-01 2010-04-01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25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2161A (ko) * 2018-12-18 2021-03-02 김상희 오배자 추출물 및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및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88B1 (ko) * 2012-03-26 2014-07-04 김현기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및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20241A1 (ko) * 2013-08-06 2015-02-12 Kim Hyun Kee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및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GB2596491B (en) * 2018-12-18 2022-06-29 Sang Hee Kim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and fraxin as active ingredients
KR20230129382A (ko) * 2020-11-10 2023-09-08 김현기 오배자 추출물 및 암피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치매 및 과잉행동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68A (ko) * 2000-07-20 2002-01-30 성재갑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20050093090A (ko) * 2004-03-18 2005-09-2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오배자 추출물
KR20090049536A (ko) * 2007-11-13 2009-05-18 주식회사 아이지에스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가포식을 기전으로 한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68A (ko) * 2000-07-20 2002-01-30 성재갑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20050093090A (ko) * 2004-03-18 2005-09-2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오배자 추출물
KR20090049536A (ko) * 2007-11-13 2009-05-18 주식회사 아이지에스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가포식을 기전으로 한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16(1), 2009, pp.59-72 *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16(1), 2009, pp.59-72*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25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2161A (ko) * 2018-12-18 2021-03-02 김상희 오배자 추출물 및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및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6444B1 (ko) 2018-12-18 2021-04-29 김상희 오배자 추출물 및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및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253553B1 (en) * 2018-12-18 2022-02-22 Sang Hee Kim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and fraxin as active ingredients
US11382935B2 (en) 2018-12-18 2022-07-12 Sang Hee Kim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and fraxin as active ingred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638A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486B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조성물
KR101383146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10010949A1 (ja) リパーゼ阻害剤
US11260087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e, contain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US2020000921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20140120264A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EP2682122A1 (en) Growth hormone secretion promoter
KR101522273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AU2005260339A1 (en) Extract of Nelumbinis Semen for the treatment of depresssion, medicinal composite and health foods including the extract of nelumbinis semen
WO2018093237A2 (ko) 포름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7466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US11382935B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and fraxin as active ingredients
CN113613666A (zh) 包含肉豆蔻提取物或肉豆蔻木酚素作为有效成分的用于缓解由环境污染因素引起的皮肤刺激及保护皮肤的组合物
US20060147568A1 (en) Blood pressure-lowering agent, vascular flexibility -improving agent and foods having these functions imparted thereto
CN114126594B (zh) 用于抑制TNF-α或IL-6产生的组合物
JP2019073476A (ja) Atp産生促進用剤
KR102076933B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25979B1 (ko) 몰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을 위한 조성물
TW201922234A (zh) 學習記憶能力增強組成物
KR101449105B1 (ko) 큰까치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H11343234A (ja) テトラヒドロクルクミン誘導体を含有する組成物
JPWO2005056031A1 (ja) リパーゼ阻害剤
KR20040084376A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