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094B1 -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및 그에 따른 플랫타이 - Google Patents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및 그에 따른 플랫타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8094B1 KR101138094B1 KR1020110106477A KR20110106477A KR101138094B1 KR 101138094 B1 KR101138094 B1 KR 101138094B1 KR 1020110106477 A KR1020110106477 A KR 1020110106477A KR 20110106477 A KR20110106477 A KR 20110106477A KR 101138094 B1 KR101138094 B1 KR 1011380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t tie
- plate
- hole
- flat
- ti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101710037124 TEK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265 semifinished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5 iro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06—Making more than one part out of the same blank; Scrapless wor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Abstract
반제품(1)을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플랫타이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하형다이(11)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대응되게 수용공(22)이 개재된 상형다이(21)를 구비하는 상형플레이트(20); 상기 상형플레이트(20)의 상형다이(21)의 수용공(22) 상에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1커터군(31)을 구비하고, 일측에 제2커터군(32)을 구비하는 커팅플레이트(30); 상기 커팅플레이트(30) 상에 제1커터군(31)의 고정과 이동을 조절하여 플랫타이(2)의 통공부(2a)의 형성을 설정하게 고정핀(45-1~45-n)을 구비하는 성형조절수단(40); 및 상기 커팅플레이트(30)의 저면에 커터를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스트리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플랫타이 상에 통공부를 임의적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각양의 통공부를 가진 여러 패턴의 플랫타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또 상기 통공부에 의해 콘크리트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과 동시에 플랫타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플랫타이 상에 통공부를 임의적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각양의 통공부를 가진 여러 패턴의 플랫타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또 상기 통공부에 의해 콘크리트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과 동시에 플랫타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플랫타이 상에 통공부를 임의적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각양의 통공부를 가진 여러 패턴의 플랫타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또 상기 통공부에 의해 콘크리트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과 동시에 플랫타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조 성형하는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및 그에 따른 플랫타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거푸집을 이용한 시공에 있어서 세파타이나 플랫타이 등과 같은 간격유지구가 엄청나게 소요되는 바, 이러한 간격유지구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노력이 부단히 이어지고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924302호의 “콘크리트 벽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는 철판소재가 투입되는 투입부측에 연결핀삽입공을 천공하는 펀칭기(A)가 출입되는 펀칭홀더(A')와 펀칭공(A")을 형성하고 펀칭공이 형성된 내측에 철판소재가 양측으로 배치된 거푸집 간격유지구의 결합부(201)외측면을 절단하는 경계부절단기(B)가 상하로 출입될 수 있게 경계부절단기홀더(B')와 경계부절단공(B")이 천공되고 거푸집간격유지구의 규격과 동일한 규격과 형상으로 된 거푸집간격유지구절단기(C)가 상하로 출입되게 거푸집간격유지구절단기홀더(C')와 거푸집간격유지구절단칼(C")이 형성되며 거푸집 간격유지구의 결합부(201)를 양분하는 결합부분리용절단칼(D)로 구성되어 투입되는 철판소재를 일정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펀칭하고 절단하여 거푸집 간격유지구를 제조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하지만, 이러한 거푸집 간격유지구는 통공부의 형성을 자유롭게 설정하지 못할 뿐 아니라 통공부의 구성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금형 자체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점이 있고, 또 간격유지구의 다양성마저 현저하게 떨어지는 애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플랫타이 상에 통공부를 임의적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각양의 통공부를 가진 여러 패턴의 플랫타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또 상기 통공부에 의해 콘크리트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과 동시에 플랫타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조 성형하는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및 그에 따른 플랫타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제품을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플랫타이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하형다이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수용공이 개재된 상형다이를 구비하는 상형플레이트; 상기 상형플레이트의 상형다이의 수용공 상에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1커터군을 구비하고, 일측에 제2커터군을 구비하는 커팅플레이트; 상기 커팅플레이트 상에 제1커터군이 수용공 상에 고정과 이동을 조절하여 플랫타이의 통공부의 형성을 설정하도록 고정핀을 삽입 및 분리되게 구비하는 성형조절수단; 및 상기 커팅플레이트의 저면에 커터를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스트리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플랫타이용 금형장치를 통한 성형조절수단으로 통공부를 가진 플랫타이가 하나의 금형장치에 의해 각양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이.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플랫타이 상에 통공부를 임의적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각양의 통공부를 가진 여러 패턴의 플랫타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또 상기 통공부에 의해 콘크리트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과 동시에 플랫타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따른 상형플레이트를 나타내는 A-A'선단면도이고, 2b는 도 1에 따른 상형플레이트를 나타내는 B-B'선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커팅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성형조절수단을 통한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로 인하여 형성되는 플랫타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따른 상형플레이트를 나타내는 A-A'선단면도이고, 2b는 도 1에 따른 상형플레이트를 나타내는 B-B'선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커팅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성형조절수단을 통한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로 인하여 형성되는 플랫타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도 2a는 도 1에 따른 상형플레이트를 나타내는 A-A'선단면도이고, 2b는 도 1에 따른 상형플레이트를 나타내는 B-B'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커팅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의 성형조절수단을 통한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플랫타이용 금형장치에 관련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 상형플레이트(20), 커팅플레이트(30), 스트리퍼(4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플랫타이(2)는 종류에 따라 다수의 통공부(2a)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고, 철판띠 형태의 반제품(1)은 다수의 플랫타이(2)가 인접 배치되어 소재의 낭비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는 상면에 하형다이(11)를 구비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0)는 하형다이(11)와 고정된 상태로 구비하여 언코일러 상에 권취된 상태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피더기(미도시)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형다이(11)로 공급한다. 하형다이(11)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커팅플레이트(30)의 제1커터군(31)과 제2커터군(32)과 대응되어 반제품(1)으로부터 절단된 부위가 하부로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11')(12')을 구비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형플레이트(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대응되게 수용공(22)이 개재된 상형다이(21)를 구비한다. 상형플레이트(20)는 상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면에 상형다이(21)를 고정한 상태로 형성된다. 상형다이(21)에는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수용공(22)이 다수 개 형성되는 바, 이러한 수용공(22)의 역할은 후술하는 커팅플레이트(30)와 성형조절수단(40)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하겠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커팅플레이트(30)는 상기 상형플레이트(20)의 상형다이(21)의 수용공(22) 상에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1커터군(31)을 구비하고, 일측에 제2커터군(32)을 구비한다. 커팅플레이트(30)는 다수의 반제품(1)을 단계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제1커터군(31)과 제2커터군(32)을 구비하여 상하운동을 통해 펀칭, 블랭킹, 노칭, 트리밍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반제품(1)을 플랫타이(2)로 형성하기 위하여 제1커터군(31)과 제2커터군(32)을 구비하는 바, 제1커터군(31)은 플랫타이(2) 상에 다수의 통공부(2a)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커터군(32)은 선후단챔퍼부(2b), 절곡부(2c), 관통홈(2d)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형조절수단(40)은 상기 커팅플레이트(30) 상에 제1커터군(31)의 고정과 이동을 조절하여 플랫타이(2)의 통공부(2a)의 형성을 설정하게 고정핀(45-1~45-n)을 구비한다. 성형조절수단(40)은 커팅플레이트(30)의 제1커터군(31)의 상하 이동을 설정하여 플랫타이(2)의 통공부(2a)를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45-1~45-n)은 제1커터군(31)이 수용공(22) 상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핀(45-1~45-n)은 상술한 커팅플레이트(30)의 제1커터군(31)의 상부에 수용공(22)과 접하도록 삽설되어 제1커터군(31)의 이동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커터군(31)은 수용공(22)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반제품(1) 상에 통공부(2a)의 형성 시 제1커터군(31)이 상부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핀(45-1~45-n)의 삽설을 통해 상기 제1커터군(31)의 이동을 제한하여 통공부(2a)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통공부(2a)를 형성하지 않을 시에는 고정핀(45-1~45-n)을 분리하여 제1커터군(31)이 수용공(22)의 내부로 삽설되게 구성하여 반제품(1) 상에 통공부(2a)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고정핀(45-1~45-n)은 상형다이(21)의 측면에 각각의 제1커터부(31)를 제한하여 완성된 플랫타이(2)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렇게 다양한 통공부(2a)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제1커터군(31)과 대응되게 제2커터군(32)은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플랫타이(2)의 선후단챔퍼부(2b), 절곡부(2c), 관통홈(2d)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고정핀(45-1~45-n)은 도면 상에 나타난 개수에 한정을 두지는 않는다. 도면 상에 A부분(가변)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1커터군(31)을 지칭하고, B부분(고정)은 상하 이동이 불가능한 제2커터군(32)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퍼(50)는 상기 커팅플레이트(30)의 저면에 커터를 유도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스트리퍼(50)는 커팅플레이트(30)의 저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형다이(11)와 같은 형태의 다수의 홈(11')(12')을 형성하여 커팅플레이트(30)의 제1커터군(31)과 제2커터군(32)이 스트리퍼(50)에 의해 안내되므로 프레스 가공의 정밀성과 함께 내구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이용 금형장치로 인하여 형성되는 플랫타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제1항의 플랫타이용 금형장치를 통해 성형조절수단(40)으로 통공부(2a)를 설정하여 제조되는 플랫타이(2)를 특징으로 한다. 플랫타이(2)는 도 6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즉, 피더기와의 이송을 설정하여 통공부(2a)의 개수를 설정하거나 상술한 고정핀(45-1~45-n)을 모두 제거하여 통공부(2a)를 구비하지 않은 플랫타이(2) 또한 형성할 수도 있음으로 플랫타이(2)의 다양성이 확장되고, 제1커터군(31)을 장치 상에서 분리시켜 사용하지 않음으로 편의성 또한 증진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언코일러 상에 권취된 상태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피더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반제품(1)을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형다이(11)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형플레이트(20)가 하부로 이송하여 커팅플레이트(30)를 통해 플랫타이(2)를 제조하게 되는 바, 성형조절수단(40)의 고정핀(45-1~45-n)을 설정하여 통공부(2a)의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플랫타이 상에 통공부를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의 플랫타이를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가절감의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고, 상기 통공부에 의해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딜 수 있어 플랫타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반제품 2: 플랫타이
2a: 통공부 10: 베이스플레이트
11: 하형다이 11', 12': 홈
20: 상형플레이트 21: 상형다이
22: 수용공 30: 커팅플레이트
31: 제1커터군 32: 제2커터군
40: 성형조절수단 45-1~45-n: 고정핀
50: 스트리퍼
2a: 통공부 10: 베이스플레이트
11: 하형다이 11', 12': 홈
20: 상형플레이트 21: 상형다이
22: 수용공 30: 커팅플레이트
31: 제1커터군 32: 제2커터군
40: 성형조절수단 45-1~45-n: 고정핀
50: 스트리퍼
Claims (3)
- 반제품(1)을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플랫타이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하형다이(11)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대응되게 수용공(22)이 개재된 상형다이(21)를 구비하는 상형플레이트(20);
상기 상형플레이트(20)의 상형다이(21)의 수용공(22) 상에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1커터군(31)을 구비하고, 일측에 제2커터군(32)을 구비하는 커팅플레이트(30);
상기 커팅플레이트(30) 상에 제1커터군(31)이 수용공(22) 상에 고정과 이동을 조절하여 플랫타이(2)의 통공부(2a)의 형성을 설정하도록 고정핀(45-1~45-n)을 삽입 및 분리되게 구비하는 성형조절수단(40); 및
상기 커팅플레이트(30)의 저면에 커터를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스트리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 삭제
- 제1항의 플랫타이용 금형장치를 통한 성형조절수단(40)으로 통공부(2a)를 가진 플랫타이(2)가 하나의 금형장치에 의해 각양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477A KR101138094B1 (ko) | 2011-10-18 | 2011-10-18 |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및 그에 따른 플랫타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477A KR101138094B1 (ko) | 2011-10-18 | 2011-10-18 |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및 그에 따른 플랫타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8094B1 true KR101138094B1 (ko) | 2012-04-24 |
Family
ID=4614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6477A KR101138094B1 (ko) | 2011-10-18 | 2011-10-18 |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및 그에 따른 플랫타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809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6082A (ko) * | 2001-03-27 | 2002-10-09 | 김원태 | 은행잎을 이용한 그 발효액 및 은행잎 당액 제조방법 |
KR101176029B1 (ko) | 2012-03-27 | 2012-08-24 | 김양근 | 거푸집 간격유지구 성형용 금형장치 |
KR101377568B1 (ko) | 2013-07-10 | 2014-03-24 | 이영태 | Fpcb 타발장치 |
KR101513349B1 (ko) | 2013-06-18 | 2015-04-20 | 김형건 | 선택적으로 펀칭이 가능한 도어판재의 펀칭장치 및 그 펀칭장치의 구동방법 |
KR102315411B1 (ko) * | 2021-04-09 | 2021-10-20 | 주식회사 덕성 |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제조 프레스 자동금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5096A (ja) * | 1994-10-24 | 1996-05-17 | Murata Mfg Co Ltd | リード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KR100924302B1 (ko) * | 2009-01-05 | 2009-11-02 | 미래테크(주) | 콘크리트 벽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KR101080154B1 (ko) * | 2009-06-26 | 2011-11-07 | (주)성남테크 | 펀칭금형 기구 |
-
2011
- 2011-10-18 KR KR1020110106477A patent/KR1011380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5096A (ja) * | 1994-10-24 | 1996-05-17 | Murata Mfg Co Ltd | リード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KR100924302B1 (ko) * | 2009-01-05 | 2009-11-02 | 미래테크(주) | 콘크리트 벽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KR101080154B1 (ko) * | 2009-06-26 | 2011-11-07 | (주)성남테크 | 펀칭금형 기구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6082A (ko) * | 2001-03-27 | 2002-10-09 | 김원태 | 은행잎을 이용한 그 발효액 및 은행잎 당액 제조방법 |
KR101176029B1 (ko) | 2012-03-27 | 2012-08-24 | 김양근 | 거푸집 간격유지구 성형용 금형장치 |
KR101513349B1 (ko) | 2013-06-18 | 2015-04-20 | 김형건 | 선택적으로 펀칭이 가능한 도어판재의 펀칭장치 및 그 펀칭장치의 구동방법 |
KR101377568B1 (ko) | 2013-07-10 | 2014-03-24 | 이영태 | Fpcb 타발장치 |
KR102315411B1 (ko) * | 2021-04-09 | 2021-10-20 | 주식회사 덕성 |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제조 프레스 자동금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8094B1 (ko) | 플랫타이용 금형장치 및 그에 따른 플랫타이 | |
CN202479327U (zh) | 一种汽车加强板半自动落料机构 | |
CN203144796U (zh) | 一种可以移动冲头的多冲头布料打孔机 | |
KR101075398B1 (ko) | 콘크리트 거푸집 간격유지구의 제조장치 | |
CN105057452A (zh) | 一种网型冲孔裁切模具 | |
CN101941029A (zh) | 多功能不规则板材成型数控折弯机 | |
CN203751107U (zh) | 新型冲压模具 | |
CN111215512A (zh) | 提花片冲裁模具 | |
CN202180138U (zh) | 一种冲压模具 | |
CN201966097U (zh) | 一种自动送料机构 | |
CN202291066U (zh) | 安全扣连续冲压模具结构 | |
KR20130077160A (ko) | 거푸집 간격유지구 성형용 금형장치 | |
CN204220771U (zh) | 设有凸台的插座生产用级进模 | |
CN101037004B (zh) | 一种陶瓷砖成型模具装置及利用该装置的成型方法 | |
CN209515521U (zh) | 剪刀脚自动组装机 | |
CN102699196A (zh) | 成型针床插片坯体的模具 | |
KR20110120812A (ko) | 거푸집 간격유지구 성형용 금형장치 | |
CN203972644U (zh) | 一种外链板模具 | |
CN204892683U (zh) | 一种易调节冲孔裁切模具 | |
CN206597835U (zh) | 一种多规格屋脊板快捷冲切边装置 | |
CN204867102U (zh) | 一种高精度冲孔裁切装置 | |
CN102672052A (zh) | 冲制电脑针织横编机用的针床插片坯体的模具 | |
CN205327685U (zh) | 汽车饰件电镀用周转箱 | |
CN208437486U (zh) | 一种用于四合扣母扣成型的模具 | |
CN208437487U (zh) | 一种用于四合扣端盖成型的模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