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26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26B1
KR101121826B1 KR1020107018000A KR20107018000A KR101121826B1 KR 101121826 B1 KR101121826 B1 KR 101121826B1 KR 1020107018000 A KR1020107018000 A KR 1020107018000A KR 20107018000 A KR20107018000 A KR 20107018000A KR 101121826 B1 KR101121826 B1 KR 10112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rive sheave
failure
operation unit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714A (ko
Inventor
다카하루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은 권상기 브레이크를 각각 가지는 복수대의 권상기에 의해 승강된다. 권상기 브레이크는 각각 단독으로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있다. 대응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는 각각 복수의 연산부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대응하는 권상기 브레이크에 제동 동작을 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복수대의 권상기(卷上機)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칸은 제1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는 제1 권상기와, 제2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는 제2 권상기에 의해 승강된다. 제1 브레이크 장치는 제1 내지 제3 브레이크 본체를 가지고 있다. 제2 브레이크 장치는 제4 내지 제6 브레이크 본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4 브레이크 본체는 제1 그룹에 속하고, 제2 및 제5 브레이크 본체는 제2 그룹에 속하고, 제3 및 제6 브레이크 본체는 제3 그룹에 속해 있다. 비상 제동시에는 제1 내지 제6 브레이크 본체에 의한 브레이크력의 발생 타이밍이 그룹마다 시프트되고,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칸에 과대한 감속도가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W0 2007/023550A1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권상기에 의해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연산부에서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연산부에 고장이 발생해도 엘리베이터칸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연산부에 고장이 발생해도 엘리베이터칸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각각 가지는 복수대의 권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서스펜딩(suspending) 수단; 서스펜딩 수단에 의해 매달려,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및 대응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권상기 브레이크는 각각 단독으로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브레이크 제어부는 각각 복수의 연산부를 가지고, 연산부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대응하는 권상기 브레이크에 제동 동작을 시킨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구동 쉬브와, 제1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제1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는 제1 권상기; 제2 구동 쉬브와, 제2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는 제2 권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서스펜딩 수단; 서스펜딩 수단에 의해 매달려, 제1 및 제2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제2 및 제3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 및 제1 및 제4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2 및 제3 브레이크 장치의 세트와, 제1 및 제4 브레이크 장치의 세트는 각각 단독의 세트로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제1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각각 복수의 연산부를 가지고, 연산부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제1 브레이크 제어부는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제2 및 제3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 동작을 시키고,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제1 및 제4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 동작을 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각각 가지는 복수대의 권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서스펜딩 수단; 서스펜딩 수단에 의해 매달려,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및 대응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제어부는 각각 복수의 연산부를 가지고, 연산부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모든 권상기 브레이크에 제동 동작을 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산부에 고장이 발생해도 엘리베이터칸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는 현가 수단인 서스펜딩 수단(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제1 및 제2 권상기(4, 5)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서스펜딩 수단(3)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인 로프(6)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메인 로프(7)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 메인 로프(6, 7)로서는 단면이 원형인 로프, 또는 벨트 형상의 로프가 이용된다.
제1 권상기(4)는 제1 구동 쉬브(8)와, 제1 구동 쉬브(8)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9)와, 제1 구동 쉬브(8)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휠(brake wheel; 10a, 10b)과, 제1 및 제2 브레이크 휠(10a, 10b)의 회전을 각각 제동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11a, 11b)를 가지고 있다.
제2 권상기(5)는 제2 구동 쉬브(12)와, 제2 구동 쉬브(12)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13)와, 제2 구동 쉬브(12)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3 및 제4 브레이크 휠(10c, 10d)과, 제3 및 제4 브레이크 휠(10c, 10d)의 회전을 각각 제동하는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c, 11d)를 가지고 있다.
제1 구동 쉬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1 권상기 브레이크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11a, 1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구동 쉬브(12)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2 권상기 브레이크는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c, 11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권상기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칸(1)을 단독으로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권상기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칸(1)을 단독으로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있다.
각 브레이크 장치(11a, 11b, 11c, 11d)는 대응하는 브레이크 휠(10a, 10b, 10c, 10d)에 접리(接離)되는 브레이크 슈(brake shoe)와,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휠(10a, 10b, 10c, 10d)에 프레스(press)시키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브레이크 스프링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휠(10a, 10b, 10c, 10d)로부터 분리시키는 전자석(電磁石)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휠(10a, 10b, 10c, 10d)로서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디스크가 이용된다.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11a, 11b)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된다.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c, 11d)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된다. 제1 브레이크 제어부(14)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11a, 11b)의 전자석으로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16a, 16b)의 개폐를 제어한다. 제2 브레이크 제어부(15)는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c, 11d)의 전자석으로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16c, 16d)의 개폐를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우선, 제1 브레이크 제어부(14)에 관련하는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브레이크 장치(11a)의 전자석에는 제1 브레이크 코일(제1 전자 코일; 17a)이 마련되어 있다. 제2 브레이크 장치(11b)의 전자석에는 제2 브레이크 코일(제2 전자 코일; 17b)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브레이크 코일(17a, 17b)은 전원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16a, 16b)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코일(17a, 17b)과 전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브레이크 코일(17a)에는 제1 방전 저항(18a)과 제1 방전 다이오드(19a)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브레이크 코일(17b)에는 제2 방전 저항(18b)과 제2 방전 다이오드(19b)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브레이크 코일(17a)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1 제동력 제어 스위치(20a)가 접속되어 있다. 제2 브레이크 코일(17b)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2 제동력 제어 스위치(20b)가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제동력 제어 스위치(20a, 20b)로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제동력 제어 스위치(20a, 20b)를 온/오프함으로써, 제1 및 제2 브레이크 코일(17a, 17b)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고,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11a, 11b)의 제동력의 인가 정도가 각각 제어된다.
제1 전자 스위치(16a)는 제1 구동 코일(21a)에 의해 개폐된다. 제1 구동 코일(21a)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1 구동 코일(21a)의 타단은 제1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a)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전자 스위치(16b)는 제2 구동 코일(21b)에 의해 개폐된다. 제2 구동 코일(21b)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구동 코일(21b)의 타단은 제2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b)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a, 22b)로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1 제동력 제어 스위치(20a) 및 제1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a)의 온/오프는 제1 연산부(제1 계산기; 23a)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제동력 제어 스위치(20b) 및 제2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b)의 온/오프는 제2 연산부(제2 계산기; 23b)에 의해 제어된다.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각각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에는 데이터 버스(24)를 통해, 각종 센서나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격납된 프로그램과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11a, 11b)를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 사이에는 2포트 RAM(25)이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2포트 RAM(25)을 통해 서로의 데이터를 교환하고, 계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 중 어느 것에 고장이 발생했음을 검출한다.
다음에, 제2 브레이크 제어부(15)에 관련하는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3 브레이크 장치(11c)의 전자석에는 제3 브레이크 코일(제3 전자 코일; 17c)이 마련되어 있다. 제4 브레이크 장치(11d)의 전자석에는 제4 브레이크 코일(제4 전자 코일; 17d)이 마련되어 있다.
제3 및 제4 브레이크 코일(17c, 17d)은 전원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16c, 16d)는 제3 및 제4 브레이크 코일(17c, 17d)과 전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 브레이크 코일(17c)에는 제3 방전 저항(18c)과 제3 방전 다이오드(19c)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4 브레이크 코일(17d)에는 제4 방전 저항(18d)과 제4 방전 다이오드(19d)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 브레이크 코일(17c)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3 제동력 제어 스위치(20c)가 접속되어 있다. 제4 브레이크 코일(17d)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4 제동력 제어 스위치(20d)가 접속되어 있다. 제3 및 제4 제동력 제어 스위치(20c, 20d)로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3 및 제4 제동력 제어 스위치(20c, 20d)를 온/오프함으로써, 제3 및 제4 브레이크 코일(17c, 17d)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고,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c, 11d)의 제동력의 인가 정도가 각각 제어된다.
제3 전자 스위치(16c)는 제3 구동 코일(21c)에 의해 개폐된다. 제3 구동 코일(21c)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구동 코일(21c)의 타단은 제3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c)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4 전자 스위치(16d)는 제4 구동 코일(21d)에 의해 개폐된다. 제4 구동 코일(21d)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4 구동 코일(21d)의 타단은 제4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d)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c, 22d)로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3 제동력 제어 스위치(20c) 및 제3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c)의 온/오프는 제3 연산부(제3 계산기; 23c)에 의해 제어된다. 제4 제동력 제어 스위치(20d) 및 제4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d)의 온/오프는 제4 연산부(제4 계산기; 23d)에 의해 제어된다.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각각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에는 데이터 버스(26)를 통해, 각종 센서나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격납된 프로그램과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c, 11d)를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 사이에는 2포트 RAM(27)이 접속되어 있다.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2포트 RAM(27)을 통해 서로의 데이터를 교환하고, 계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 중 어느 것에 고장이 발생했음을 검출한다.
다음에, 제1 브레이크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칸(1)의 기동ㆍ정지에 따라, 브레이크 동작 지령을 제1 브레이크 제어부(14)에 보낸다. 브레이크 동작 지령이 발해지면,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a, 22b)를 온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구동 코일(21a, 21b)이 여자(勵磁)되고,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16a, 16b)가 닫혀진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제동력 제어 스위치(20a, 20b)를 온/오프함으로써, 제1 및 제2 브레이크 코일(17a, 17b)의 여자 상태가 제어되고,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11a, 11b)의 제동 상태가 제어된다. 또,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제어 지령, 예를 들어 필요 전류에 따라 연속적인 온/오프 지령을 제1 및 제2 제동력 제어 스위치(20a, 20b)에 인가한다.
엘리베이터칸(1)의 비상 정지시에,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속도 검출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를 참조하면서, 제1 구동 쉬브(8)의 회전 속도, 즉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목표 속도 패턴에 추종하도록, 제1 및 제2 브레이크 코일(17a, 17b)의 전류를 제동력 제어 스위치(20a, 20b)의 온/오프에 의해 제어한다. 감속의 패턴은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지 않게 설정된다.
또,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의 계산 결과가 다른 경우,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났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16a, 16b)를 열기 위한 지령을 발생한다.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16a, 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리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11a, 11b)는 감속도 제어를 행하는 일 없이, 즉시 제동 동작한다.
다음에, 제2 브레이크 제어부(1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칸(1)의 기동ㆍ정지에 따라, 브레이크 동작 지령을 제2 브레이크 제어부(15)에 보낸다. 브레이크 동작 지령이 발해지면,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 제어 스위치(22c, 22d)를 온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3 및 제4 구동 코일(21c, 21d)이 여자되고,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16c, 16d)가 닫혀진다.
이 상태에서, 제3 및 제4 제동력 제어 스위치(20c, 20d)를 온/오프함으로써, 제3 및 제4 브레이크 코일(17c, 17d)의 여자 상태가 제어되고,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c, 11d)의 제동 상태가 제어된다. 또,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제어 지령, 예를 들어 필요 전류에 따라 연속적인 온/오프 지령을 제3 및 제4 제동력 제어 스위치(20c, 20d)에 인가한다.
엘리베이터칸(1)의 비상 정지시에,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속도 검출부로부터의 신호를 참조하면서, 제2 구동 쉬브(12)의 회전 속도, 즉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목표 속도 패턴에 추종하도록, 제3 및 제4 브레이크 코일(17c, 17d)의 전류를 제동력 제어 스위치(20c, 20d)의 온/오프에 의해 제어한다. 감속의 패턴은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지 않게 설정된다.
또,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의 계산 결과가 다른 경우,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났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16c, 16d)를 열기 위한 지령을 발생한다.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16c, 16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리는 것에 의해,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c, 11d)는 감속도 제어를 행하는 일 없이, 즉시 제동 동작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권상기 브레이크가, 각각 단독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제1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14, 15)는 연산부(23a, 23b, 23c, 23d) 중 어느 것의 고장을 검출하면 대응하는 권상기 브레이크에 제동 동작을 시키므로, 연산부(23a, 23b, 23c, 23d)에 고장이 발생해도 엘리베이터칸(1)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2 및 제3 브레이크 장치(11b, 11c)의 세트와, 제1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a, 11d)의 세트는 각각 단독의 세트로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있다. 제1 브레이크 제어부(14)는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 중 어느 것의 고장이 검출되면, 제2 및 제3 브레이크 장치(11b, 11c)에 제동 동작을 시킨다. 제2 브레이크 제어부(15)는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 중 어느 것의 고장이 검출되면, 제1 및 제4 브레이크 장치(11a, 11b)에 제동 동작을 시킨다.
즉, 도 2에 있어서, 제1 전자 스위치(16a)를 개폐하는 제1 구동 코일(21a)과, 제3 전자 스위치(16c)를 개폐하는 제3 구동 코일(21c)를 바꿔 넣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질적으로는, 도 2의 회로 구성 그대로이면서, 도 1의 제1 브레이크 장치(11a)와 제3 브레이크 장치(11c)를 바꿔 넣은 구성과 같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연산부(23a, 23b, 23c, 23d)에 고장이 발생해도 엘리베이터칸(1)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연산부(23a, 23b, 23c, 23d)의 고장 검출시에, 제1 및 제2 구동 쉬브(8, 12)의 양쪽에 제동력이 가해지므로, 제동력의 언밸런스를 억제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1)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전자 스위치(16a ~ 16d)는 제1 내지 제4 브레이크 코일(17a ~ 17d)과 전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스위치(16a ~ 16d)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모든 브레이크 장치(11a, 11b, 11c, 11d)로의 통전이 차단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연산부(23a, 23b, 23c, 23d)에 고장이 발생하면, 모든 브레이크 장치(11a, 11b, 11c, 11d)로의 통전이 차단되므로, 엘리베이터칸(1)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11a, 11b, 11c, 11d) 각각의 제동력(제동 토크)을 실시 형태 1, 2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와,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통신 수단(28)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의 고장이 검출되면,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16a, 16b)를 열기 위한 지령을 발생함과 아울러, 통신 수단(28)을 통해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에 고장 검출 정보를 송신한다. 이로 인해,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16c, 16d)를 열기 위한 지령을 발생한다.
또,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의 고장이 검출되면, 제3 및 제4 연산부(23c, 23d)는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16c, 16d)를 열기 위한 지령을 발생함과 아울러, 통신 수단(28)을 통해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에 고장 검출 정보를 송신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연산부(23a, 23b)는 제1 및 제2 전자 스위치(16a, 16b)를 열기 위한 지령을 발생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연산부(23a, 23b, 23c, 23d)에 고장이 발생하면, 모든 브레이크 장치(11a, 11b, 11c, 11d)로의 통전이 차단되므로, 엘리베이터칸(1)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11a, 11b, 11c, 11d) 각각의 제동력(제동 토크)을 실시 형태 1, 2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 형태 3에서는 전자 스위치(16a ~ 16d)의 각각이, 모든 브레이크 코일(17a ~ 17d)에 공급되는 전력에 적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 4에서는 브레이크 코일(17a ~ 17d) 중 2 개씩에 공급되는 전력에 적용되면 좋기 때문에, 장치를 비교적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2 대의 권상기(4, 5)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을 승강시켰지만, 3 대 이상의 권상기를 이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권상기(4, 5) 각각에 2 대씩의 브레이크 장치(11a, 11b, 11c, 11d)를 이용했으나, 1 대 또는 3 대 이상의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1 엘리베이터칸
2 균형추
3 서스펜딩 수단
4, 5 제1 및 제2 권상기
6, 7 제1 및 제2 메인 로프
8 제1 구동 쉬브
9 제1 모터
10a, 10b 제1 및 제2 브레이크 휠
11a, 11b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

Claims (5)

  1. 구동 쉬브와, 상기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각각 가지는 복수대의 권상기,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서스펜딩(suspending) 수단,
    상기 서스펜딩 수단에 의해 매달려,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및
    대응하는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는 각각 단독으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각각 복수의 연산부를 가지고,
    상기 연산부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대응하는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에 제동 동작을 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 구동 쉬브와, 상기 제1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는 제1 권상기,
    제2 구동 쉬브와, 상기 제2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3 및 제4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는 제2 권상기,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서스펜딩 수단,
    상기 서스펜딩 수단에 의해 매달려, 상기 제1 및 제2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제2 및 제3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4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및 제3 브레이크 장치의 세트와, 상기 제1 및 제4 브레이크 장치의 세트는 각각 단독의 세트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각각 복수의 연산부를 가지고,
    상기 연산부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1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상기 제2 및 제3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 동작을 시키고,
    상기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상기 제1 및 제4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 동작을 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3. 구동 쉬브와, 상기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각각 가지는 복수대의 권상기,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서스펜딩 수단,
    상기 서스펜딩 수단에 의해 매달려,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및
    대응하는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각각 복수의 연산부를 가지고,
    상기 연산부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모든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에 제동 동작을 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로의 전력 공급을 각각 온/오프하는 복수의 전자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자 스위치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대응하는 상기 전자 스위치를 오프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 사이는 통신 수단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의 고장을 검출하면, 다른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에 고장 검출 정보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07018000A 2008-04-15 2008-04-15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21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7325 WO2009128139A1 (ja) 2008-04-15 2008-04-15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714A KR20100102714A (ko) 2010-09-24
KR101121826B1 true KR101121826B1 (ko) 2012-03-22

Family

ID=4119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000A KR101121826B1 (ko) 2008-04-15 2008-04-1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65872B2 (ko)
EP (1) EP2263961B1 (ko)
JP (1) JP5383664B2 (ko)
KR (1) KR101121826B1 (ko)
CN (1) CN102007062B (ko)
WO (1) WO2009128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3717B (zh) * 2009-02-25 2014-03-12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监控系统的电梯和电梯的通讯方法
FI20106092A (fi) 2010-10-21 2012-04-22 Kone Corp Jarrutuslaitteisto
EP2998260B1 (de) * 2010-12-17 2018-10-17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kabine und gegengewicht
EP2763925B1 (en) * 2011-10-06 2020-11-2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control
KR101455680B1 (ko) * 2012-04-06 2014-11-03 남 영 김 웜 구동부를 이용한 승강장치
FI123506B (fi) * 2012-05-31 2013-06-14 Kone Corp Hissin käyttölaite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JP2016011201A (ja) * 2014-06-30 2016-01-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CN104044964A (zh) * 2014-07-02 2014-09-17 吴优良 一种智能电梯装置
EP3006385B1 (en) * 2014-10-09 2017-05-31 Kone Corporation A brake controller and an elevator system
US9988240B2 (en) * 2015-03-24 2018-06-05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with master controller
CN107428498B (zh) * 2015-04-01 2022-01-14 通力股份公司 制动控制设备和控制电梯制动器的方法
US10479645B2 (en) * 2015-06-29 2019-11-19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for elevator application
US10450162B2 (en) * 2015-06-29 2019-10-22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brake control circuitry for elevator application
US10442659B2 (en) * 2015-06-29 2019-10-15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for elevator appl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2896A1 (fr)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KR100844671B1 (ko) 2006-11-02 2008-07-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0922036B1 (ko) 2005-08-25 2009-10-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53237B1 (ko) 2006-04-13 2010-04-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976A (en) * 1979-02-02 1980-08-16 Hitachi Ltd Controller for elevator
JP2000309475A (ja) * 2000-01-01 2000-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3093156A1 (ja) * 2002-05-01 2005-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の昇降機構及び昇降方法
JP2005289532A (ja) *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5343602A (ja) 2004-06-01 2005-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580749B2 (ja) * 2004-12-20 2010-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1107191B (zh) * 2005-03-01 2010-06-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FI117381B (fi) * 2005-03-11 2006-09-29 Kone Corp Hissiryhmä ja menetelmä hissiryhmän ohjaamiseksi
JP4831995B2 (ja) * 2005-05-11 2011-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WO2007013141A1 (ja) 2005-07-26 2007-02-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WO2007023550A1 (ja) 2005-08-25 2007-03-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4701946B2 (ja) 2005-09-20 2011-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JP5079517B2 (ja) * 2005-11-25 2012-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非常停止システム
US7669697B2 (en) 2006-02-01 2010-03-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KR100949238B1 (ko) 2006-03-02 2010-03-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5053074B2 (ja) 2006-03-17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053075B2 (ja) 2006-03-20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006232B1 (en) * 2006-04-13 2019-01-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US7931127B2 (en) 2006-08-03 2011-04-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JP5172695B2 (ja) * 2006-12-05 2013-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1636340B (zh) 2007-03-27 2013-06-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制动装置
FI119508B (fi) * 2007-04-03 2008-12-15 Kone Corp Vikaturvallinen tehonohjauslaitteisto
KR101121793B1 (ko) 2007-04-26 2012-03-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WO2009008049A1 (ja) * 2007-07-09 2009-01-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FI120938B (fi) * 2009-02-06 2010-05-14 Kone Corp Järjestely ja menetelmä hissin jarrun ohjaamiseks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036B1 (ko) 2005-08-25 2009-10-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53237B1 (ko) 2006-04-13 2010-04-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WO2008012896A1 (fr)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KR100844671B1 (ko) 2006-11-02 2008-07-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7062B (zh) 2013-08-21
EP2263961A4 (en) 2014-03-26
US20100282545A1 (en) 2010-11-11
US8365872B2 (en) 2013-02-05
JP5383664B2 (ja) 2014-01-08
KR20100102714A (ko) 2010-09-24
EP2263961A1 (en) 2010-12-22
JPWO2009128139A1 (ja) 2011-08-04
CN102007062A (zh) 2011-04-06
EP2263961B1 (en) 2015-10-21
WO2009128139A1 (ja)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82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2179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19774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5550718B2 (ja) エレベータ安全制御装置
JP50530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1899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68933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0478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12134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806883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10150644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2436635A1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