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808B1 - 안장형 차량 - Google Patents

안장형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808B1
KR101119808B1 KR1020100021359A KR20100021359A KR101119808B1 KR 101119808 B1 KR101119808 B1 KR 101119808B1 KR 1020100021359 A KR1020100021359 A KR 1020100021359A KR 20100021359 A KR20100021359 A KR 20100021359A KR 101119808 B1 KR101119808 B1 KR 101119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mbination lamp
winker
winger
c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379A (ko
Inventor
리나츠 이이다
겐 다나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안장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승차용 시트로 폐쇄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며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를 덮는 리어 카울(73)과, 테일 램프용 벌브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를 갖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가 구비되는 안장형 차량에 있어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는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고,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상방에는 스테이가 마련되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테일 램프부 상방을 커버하는 센터 커버(307)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윙커부 및 윙커 소켓 상방을 커버하는 윙커 커버(311)를 구비하고, 윙커 커버(311)는 승용차 시트 하방에, 차폭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가지며, 아암부가 스테이에 체결된다.

Description

안장형 차량{SADDLE TYPE VEHICLE}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부착 구조의 개량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장형 차량인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전체를 리어 카울로부터 후방으로 인출하고, 인출한 상태에서의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로부터 테일 램프용 벌브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부착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1)일본특허제4104344호공보
그러나, 종래예의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부착 구조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전체를 용이하게 분리함으로써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있으나, 이것보다도 더 간단한 작업에 의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안장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승차용 시트로 폐쇄 가능한 개구부를 상부에 가지며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를 덮는 리어 카울과, 테일 램프 및 좌우 한 쌍의 윙커를 갖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를 구비하고,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후방부를 리어 카울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게 하여 리어 카울의 후방부 내에 배치하는 안장형 차량에 있어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상방에는 스테이가 마련되고, 컴비네이션 램프의 테일 램프부 상방을 커버하는 센터 커버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윙커부 및 윙커 소켓 상방을 커버하는 윙커 커버를 구비하며, 윙커 커버는, 승차용 시트의 하방에, 차폭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갖고, 아암부가 스테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장형 차량에서는, 윙커 커버에 마련되고 차폭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스테이에 체결되고, 아암부의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윙커 커버만을 분리할 수 있다. 윙커 커버가 분리되면, 윙커 소켓이 노출되어, 용이한 교환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센터 커버의 측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마련되고, 리브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윙커 커버의 차폭 내측 측부에는, 센터 커버의 리브의 슬릿에 걸려 고정되는 측부 클로(claw)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장형 차량에서는, 센터 커버에 늘어뜨려 마련된 리브의 차량 전후 방향의 슬릿에, 윙커 커버의 측부 클로가 슬라이드해서 걸려 고정되어, 슬릿 폭 방향의 윙커 커버의 이동(덜거덕거림)이 규제된다. 또한, 슬릿과 측부 클로에 의해 윙커 커버를 센터 커버에 임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윙커 커버의 부착/분리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리어 카울의 하방에 배치되어 후륜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가 부착되고, 윙커 커버의 하면이 리어 펜더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장형 차량에서는, 윙커 커버의 상부가 상기 아암부에 의해 스테이에 고정되고, 하부가 리어 펜더에 고정되어, 윙커 커버의 고정 강도가 높아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스테이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리플렉터 배면에 형성된 스테이부이고, 윙커 커버의 아암부와, 센터 커버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스테이부에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장형 차량에서는, 스테이부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베이스에 형성됨으로써, 전용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윙커 커버 및 센터 커버가 모두 동일 부위에 고정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윙커 커버와 센터 커버의 후방부에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하는 후방부 클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장형 차량에서는, 윙커 커버 및 센터 커버의 후방부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가 클로와 오목부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체결 부재를 사용하는 고정 구조에 비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센터 커버의 후방부에는, 윙커 커버의 내측 가장자리 후방부와 결합하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윙커 커버의 하면 후방부에는, 센터 커버의 후측 가장자리와 결합하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장형 차량에서는, 센터 커버 후방부에서 후방을 향하는 제1 오목부에 대하여, 윙커 커버의 전방을 향하는 제2 오목부가 전방을 향하여 끼워 맞춰져, 센터 커버와 윙커 커버의 후방부끼리가 서로 요철 결합되기 때문에, 윙커 커버와 센터 커버의 후방부에서의 맞춤 유지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시트를 떼어낸 상태에서 윙커 커버 아암부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윙커 커버만을 차량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윙커 커버를 떼어내면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윙커 소켓이 노출되기 때문에, 윙커 커버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윙커의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윙커 커버와 센터 커버를 슬릿과 클로에 의해 걸어 고정하기 때문에, 윙커 커버의 부착 상태에서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윙커 커버 분리 시에는, 윙커 커버 아암부의 체결을 해제한 후, 윙커 커버를 슬릿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클로와 슬릿의 걸림 고정을 해제한 다음에, 윙커 커버를 외측으로 빼내면 되기 때문에, 분리도 용이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윙커 커버를 상하로 체결함으로써, 윙커 커버의 상하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스테이를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스테이부로 마련할 수 있어, 부품수를 억제하고, 또한 윙커 커버 아암부와 센터 커버가 스테이부에서 함께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상면과 윙커 커버 및 센터 커버 사이의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양 커버 후단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윙커 커버와 센터 커버의 후방부에서의 맞춤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차체 좌측 측면도이다.
도 3은 차체 좌측 후방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필리온 시트(pillion seat) 및 리어 센터 카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필리온 시트를 떼어낸 리어 센터 카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리어 센터 카울 개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윙커 커버를 떼어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리어 센터 카울 공동 체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필리온 시트가 장착된 차체 후방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윙커 커버를 투시한 차체 좌측 후방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우측 윙커 커버를 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좌측 윙커 커버를 리어 펜더의 하방에서 본 바닥면도이다.
도 13은 도 5의 d-d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3의 e-e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8의 f-f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9의 g-g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9의 h-h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9의 i-i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9의 j-j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0의 k-k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0의 l-l 단면도이다.
도 22는 리어 펜더에 스테이부가 형성된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좌우, 상하는, 운전자가 본 방향에 따라, 도면에 차량의 전방을 Fr, 후방을 Rr, 좌측을 L, 우측을 R, 상방을 U, 하방을 D로서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인 예컨대 자동 이륜차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차체 좌측 측면도이다.
자동 이륜차(1)의 차체 프레임(11)은, 프론트 포크(13)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5)와, 헤드 파이프(15)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7)과, 양 메인 프레임(17)의 후단에 연달아 마련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중간 프레임(19)과, 양 중간 프레임(19)의 상부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21)을 구비한다.
프론트 포크(13)의 하단에는 전륜(25)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프론트 포크(13)의 상단에는 핸들(27)이 연결되며, 전륜(25)의 상방을 덮는 프론트 펜더(29)가 프론트 포크(13)에 지지된다.
전륜(25), 후륜(47)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브레이크(101, 103)가 부착된다. 예컨대 전륜(25)의 디스크 브레이크(101)는, 전륜(25)에 고정되어 전륜(25)과 일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105)와, 프론트 포크(13)에 부착된 캘리퍼(107)를 갖는다. 캘리퍼(107)는, 마스터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발생하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서로 접촉 및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마찰 패드를 내장하고, 이들 마찰 패드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05, 111)의 양측면의 제동면(109, 125)을 끼워 가압하여, 전륜(25), 후륜(47)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메인 프레임(17) 및 중간 프레임(19)에는 V형 수랭 4기통 엔진(31)이, 도 2에 도시하는 제1 지지부(700A), 제2 지지부(700B), 제3 지지부(700C), 제4 지지부(700D)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현가된다. 엔진(31)의 전방측 실린더(33)로부터는 전방측 실린더 배기관(35)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측 실린더(37)로부터는 후방측 실린더 배기관(39)이 일단(一端) 후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으로 연장되고 다시 후방으로 연장된다. 전방측 실린더 배기관(35) 및 후방측 실린더 배기관(39)은 엔진(31)의 크랭크 케이스(41)의 앞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촉매 챔버(CAT실)(43)를 사이에 두고 크랭크 케이스(41)의 하방에 위치한다.
촉매 챔버(43)는 후술하는 집합관을 통해 후방 집합관(45)에 접속한다. 후방 집합관(45)은 크랭크 케이스(41)의 하부와 후륜(4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되고, 후륜(47)의 차체 우측으로 연장되는 머플러(49)에 접속한다. 후방 집합관(45)은 크랭크 케이스(41)의 하방에서 지지된다.
머플러(49)는, 후단부에 후륜(47)을 지지하는 스윙 아암(53)과 측면에서 보아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다. 스윙 아암(53)은 전단부가 피벗축(55)에 의해 머플러(49)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피벗 플레이트(51)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마련된 리어 쿠션에 의해 현가된다. 전륜(25)과 후륜(47) 사이에는 승무원용 스텝(403)을 구비하는 스텝 홀더(407)가 마련된다.
엔진(31)의 출력은, 드라이브 샤프트(59)를 통해 후륜(47)에 전달되고, 이 드라이브 샤프트(59)는,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Fr)을 향한 상태로 엔진(31)의 좌측에 배치되는 스윙 아암(53)에 내장된다.
엔진(31)의 상방에는, 메인 프레임(17)에 의해 지지되는 연료 탱크(63)가 배치되고, 연료 탱크(63)의 후방에는, 운전자를 태우기 위한 승차용 시트(메인 시트)(65)가 시트 레일(2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배치되며, 동승자를 태우기 위한 승차용 시트로서의 필리온 시트(67)가 메인 시트(65)의 후방에 배치된다.
연료 탱크(63)의 후방부 하방에는 캐니스터(201)가 마련되고, 캐니스터(201)는, 연료 탱크(63) 내의 휘발 연료 가스를 외부에 누설시키지 않고 보충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210은 뚜껑(lid), 도면 부호 212는 급유구, 도면 부호 213은 퍼지 파이프를 나타낸다.
엔진(31)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69)가 배치된다. 차체 프레임(11)에 있어서의 헤드 파이프(15)의 전방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카울(71)로 덮여진다. 또한 메인 프레임(17)의 전방부, 라디에이터(69), 엔진(31)의 전방부 및 하부가, 프론트 카울(71)에 연속해 있는 합성 수지제의 로우 사이드 카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덮여진다.
차체 프레임(11)의 후방부에는, 차체 프레임(11)의 후방부를 덮는 리어 카울(73)과, 리어 카울(73)의 하방에 배치되어 후륜(47)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75)가 부착된다. 또한 리어 펜더(75)에는, 도시하지 않은 라이선스 플레이트(license plate)를 부착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착부(77)가 마련된다.
리어 카울(73) 내에는, 좌우 한 쌍의 윙커(302)와, 좌우의 윙커(302) 사이의 테일 앤드 스톱 램프(304)를 일체로 하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후방부를 리어 카울(73)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게 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81은 차체의 좌우에 마련되는 필리온 스텝 홀더이고, 도면 부호 83은 필리온 스텝을 나타낸다.
도 3은 차체 좌측 후방부의 측면도, 도 4는 필리온 시트 및 리어 센터 카울의 평면도, 도 5는 필리온 시트를 떼어낸 리어 센터 카울의 평면도, 도 6은 리어 센터 카울 개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윙커 커버를 떼어낸 사시도이다.
차체 프레임(11)의 후방부에는, 차체 프레임(11)의 후방부를 덮는 리어 카울(73)과, 리어 카울(73)의 하방에 배치되어 후륜(47)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75)가 부착된다. 리어 카울(73)은, 차체 프레임(11)의 후방부, 즉 시트 레일(21) 및 리어 펜더(75)의 후방부를 덮고 시트 레일(21)에 부착된다. 리어 카울(73)의 상부에는, 필리온 시트(67)로 폐쇄 가능한 개구부(301)(도 5 참조)가 형성되고, 폐쇄 상태에 있는 필리온 시트(67)는 시트 레일(21)에 의해 지지된다.
리어 카울(73)은, 시트 레일(21)을 양측으로부터 덮는 좌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카울(305, 305)과, 양 리어 사이드 카울(305, 305)의 상부에 체결되어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테일 앤드 스톱 램프(304)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센터 커버인 리어 센터 카울(307)을 포함한다.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는, 좌우 한 쌍의 윙커(302)와, 좌우의 윙커(302) 사이의 테일 앤드 스톱 램프(304)를 일체로 한다.
개구부(301)는, 양 리어 사이드 카울(305, 305) 및 리어 센터 카울(307)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형성된다. 리어 사이드 카울(305, 305)의 후방부에는, 시트 레일(21)에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그래브 레일(grab rail; 309, 309)이 배치된다. 리어 센터 카울(307)의 좌우 양측에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윙커(302) 상방을 덮는 한 쌍의 윙커 커버(311, 311)가 부착되어 있다. 리어 펜더(75)에는, 라이선스 플레이트(313)를 부착하기 위한 플레이트 부착부(315)가 마련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314는 U자 로크, 도면 부호 316은 시트 로크 커버를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에는, 예컨대 일본 특허 제4104344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전체를 리어 카울로부터 후방으로 빼내는 구성이 개시된다. 리어 카울로부터 빼낸 상태에서의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로부터는 렌즈를 장착한 채로 테일 램프용 벌브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부착 시에는, 상기 빼냄 조작과는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여기서, 종래예의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전체를 용이하게 분리함으로써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있으나, 이것보다도 더 간단한 작업에 의한 유지보수를 행하고 싶다는 요청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이륜차(1)는, 이러한 요청을 실현하는 구성을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에 갖는다.
도 8은 리어 센터 카울 공동 체결부의 평면도, 도 9는 필리온 시트가 장착된 차체 후방부의 평면도, 도 10은 윙커 커버를 투시한 차체 좌측 후방부의 측면도, 도 11은 우측 윙커 커버를 내측에서 본 측면도, 도 12는 좌측 윙커 커버를 리어 펜더의 하방에서 본 바닥면도, 도 13은 도 5의 d-d 단면도이다.
상부의 개구부(301)가 필리온 시트(67)로 폐쇄 가능해진 리어 펜더(75)의 후방부에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가 부착된다. 리어 센터 카울(307)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테일 램프부 상방을 커버한다.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후방부는, 리어 사이드 카울(305)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게 하여 리어 사이드 카울(305)의 후방부 내에 배치된다.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는, 테일 앤드 스톱 램프용 벌브(317)(도 13 참조)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319, 319)를 갖는다. 테일 램프용 벌브(317)는, 테일 램프 소켓(321), 테일 램프 리플렉터(323)의 후방부를 개구부(301)에 표출시킨다. 윙커용 벌브(319)는, 윙커 소켓(325)의 후방부를 개구부(301)에 표출시킨다. 윙커 커버(311)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윙커부(327)(도 7 참조) 및 윙커 소켓(325)의 상방을 커버한다.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상방에는 스테이[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도 13에 도시하는 리플렉터 배면(329)에 형성된 스테이부(331)]가 마련된다. 한편, 윙커 커버(311)는, 필리온 시트(67)의 하방에, 차폭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333)를 갖는다. 윙커 커버(311)의 아암부(333)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스테이부(331)에, 육각 구멍을 갖는 나사(335)(도 8 참조)에 의해 체결된다.
리어 펜더(75)의 후방부에는 좌우 한 쌍의 고정판(337, 337)(도 6, 도 13 참조)이 마련되고, 고정판(337, 337)은 개구부(301) 내에서 기립한다.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리플렉터 배면(329)에는 내부에서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고정 기둥(339, 339)이 돌출되어 마련되고, 고정 기둥(339, 339)은 선단면에 암나사를 갖는다. 고정판(337, 337)의 상부의 구멍부(336)(도 17 참조)에는 원환 형상의 러버(338)가 끼워 부착되며, 고정 기둥(339)은 러버에 삽입 관통되는 칼라(341)를 통해 볼트(343)로 고정판(337)에 러버 장착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윙커 커버(311)는, 수지제이며,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삼각형 형상이고, 지면(紙面) 이면측으로 중앙부가 돌출되는 추형(錐形) 사발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측 가장자리의 중앙부에는 아암부(333)가 차량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아암부(333)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는 한 쌍의 측부 클로(345, 345)가 형성된다. 윙커 커버(311)의 전방부에는 전방부 클로(346)가 형성되고, 윙커 커버(311)의 후방부에는 2개의 후방부 클로(347, 347)가 형성된다. 또한, 후방부 내면에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측면에 형성된 U자 형상 홈(349)(도 10 참조)과 결합하는 돌기(351)가 마련된다.
또한, 윙커 커버(311)의 하부에는 고정 구멍부(353)가 형성되고, 고정 구멍부(353)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비스(작은 나사; 355)에 의해 리어 펜더(75)에 나사식으로 부착된다. 윙커 커버(311)의 상부가 상기 아암부(333)에 의해 스테이부(331)에 고정되고, 하부가 리어 펜더(75)에 고정되어, 윙커 커버(311)의 고정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도면 부호 359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를 리어 펜더(75)의 아래로부터 러버 마운트(361)를 통해 고정하는 볼트, 도면 부호 363은 라이선스용 벌브(도시하지 않음)의 하니스(harness)를 나타낸다.
리어 센터 카울(307)에는 아암부(333)와 상측에서 겹쳐지는 위치에 고정 시트(357)가 형성된다. 고정 시트(357)는, 아암부(333)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부(331)에, 육각 구멍을 갖는 나사(335)에 의해 고정된다. 즉, 고정 시트(357), 아암부(333), 및 스테이부(331)는 함께 체결된다. 스테이부(331)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리플렉터 배면(329)에 형성됨으로써, 전용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윙커 커버(311) 및 리어 센터 카울(307)이 모두 동일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윙커 커버(311)에 마련되고 차폭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333)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스테이부(331)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부(333)의 체결이 해제되면, 윙커 커버(311)만이 분리 가능해진다. 윙커 커버(311)가 떼어내지면, 종래 구조와 같이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전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고, 윙커 소켓(325)이 노출되어, 용이한 교환이 가능해진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센터 카울(307)의 측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365, 365)가 마련되고, 리브(365, 365)에는 슬릿(367)이 형성되며, 슬릿(367)에는 윙커 커버(311)의 측부 클로(345, 345)가 걸려 고정된다. 리어 센터 카울(307)에 늘어뜨려 마련된 리브(365, 365)의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367)에, 윙커 커버(311)의 측부 클로(345, 345)가 슬라이드해서 걸려 고정되어, 슬릿 폭 방향(차량 상하 방향)의 윙커 커버(311)의 이동(덜거덕거림)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윙커 커버(311)는 아암부(333)에서의 스테이부(331)에 대한 체결을 해제해도 슬릿(367)과 측부 클로(345)의 결합에 의해, 리어 센터 카울(307)에 대하여 임시 고정된다.
도 14는 도 3의 e-e 단면도, 도 15는 도 8의 f-f 단면도이다.
비스(355)에 의해 리어 펜더(75)에 고정되는 윙커 커버(311)의 고정 구멍부(353)는, 단면 コ자 형상의 클립 너트(369)를 통해 고정된다. 윙커 커버(311)의 하부에는 고정 구멍부(353)가 형성되고, 고정 구멍부(353)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비스(355)에 의해 리어 펜더(75)에 나사식으로 부착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윙커 커버(311)의 아암부(333)는, 스테이부(331)와 고정 시트(357)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16은 도 9의 g-g 단면도, 도 17은 도 9의 h-h 단면도, 도 18은 도 9의 i-i 단면도, 도 19는 도 9의 j-j 단면도이다.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센터 카울(307)의 후방부 하면에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테일 앤드 스톱 렌즈(371)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373)에 결합하는 후방부 클로(375)가 형성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윙커 커버(311)의 후방부면에는, 윙커 렌즈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374)에 결합하는 후방부 클로(347)가 형성된다. 윙커 커버(311) 및 리어 센터 카울(307)의 후방부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가 클로(375, 347)와 오목부(373), 오목부(374)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체결 부재를 사용하는 고정 구조에 비하여, 공간을 절약하면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와 윙커 커버(311) 및 리어 센터 카울(307) 사이의 간극을 덜거덕거림 없이 작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리어 센터 카울(307)의 후방부에는, 윙커 커버(311)의 내측 가장자리 후방부와 결합하는 제1 오목부(377)가 형성되고, 윙커 커버(311)의 하면 후방부에는, 리어 센터 카울(307)의 후측 가장자리와 결합하며 리어 센터 카울(307)의 상면과 후방부 클로(348)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오목부(379)가 마련된다. 리어 센터 카울(307)의 후방부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제1 오목부(377)에 대하여, 윙커 커버 후방부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제2 오목부(379)가, 전방을 향하여 끼워 맞춰져, 리어 센터 카울(307)과 윙커 커버(311)의 후방부끼리가 서로 요철 결합된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도면 부호 381은 윙커 커버(311)에 의해 상부가 덮여지는 윙커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0의 k-k 단면도, 도 21은 도 10의 l-l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309)의 하부에는 리어 펜더(75)와의 간극을 덮는 리어 사이드 카울(305, 305)이 부착된다. 리어 펜더(75)의 내측에는 내측 펜더(383)가 배치되고, 내측 펜더(383)는 시트 레일(21)의 하방을 덮는다. 윙커 커버(311)의 전방부 클로(346)는 리어 사이드 카울(305)의 내측에 걸려 고정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사이드 카울(305, 305)의 후단은, 윙커 커버(311)와 리어 센터 카울(307)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도 22는 리어 펜더에 스테이부가 형성된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윙커 커버(311)의 고정 구조는, 리어 센터 카울(307)의 고정 시트(357)와, 윙커 커버(311)의 아암부(333)를,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리플렉터 배면(329)에 마련한 스테이부(331)에 함께 체결하였으나, 스테이부(331)를, 고정판(337)의 기립 선단을 L자 형상으로 구부린 스테이부(331A)로 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리어 펜더(75)로부터의 고정판(337)에 직접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시트(357), 아암부(333)의 고정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리플렉터 배면(329)의 형상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에 따르면, 필리온 시트(67)를 떼어낸 상태에서 윙커 커버 아암부(333)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윙커 커버(311)만을 차량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윙커 커버(311)를 떼어내면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윙커 소켓(325)이 노출되기 때문에, 윙커 커버(311)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윙커의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에 따르면, 윙커 커버(311)와 센터 커버(307)를 슬릿(367)과 클로(345)에 의해 걸어 고정하기 때문에, 윙커 커버(311)의 부착 상태에서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윙커 커버 분리 시에는, 윙커 커버 아암부(333)의 체결을 해제한 후, 윙커 커버(311)를 슬릿(367)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클로(345)와 슬릿(367)의 걸림 고정을 해제한 다음에, 윙커 커버(311)를 외측으로 빼내면 되기 때문에, 분리도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에 따르면, 윙커 커버(311)를 상하로 체결함으로써, 윙커 커버(311)의 상하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에 따르면, 스테이를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79)의 스테이부(331)로 마련할 수 있어, 부품수를 억제하고, 또한 윙커 커버 아암부(333)와 윙커 커버(311)가 스테이부(331)에서 함께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에 따르면,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상면과 윙커 커버(311) 및 센터 커버(307) 사이의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양 커버 후단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에 따르면, 윙커 커버(311)와 센터 커버(307)의 후방부에서의 맞춤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1: 자동 이륜차(안장형 차량) 11: 차체 프레임
67: 필리온 시트(승차용 시트) 73: 리어 카울
75: 리어 펜더 79: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301: 개구부 307: 리어 센터 카울(센터 커버)
311: 윙커 커버 317: 테일 앤드 스톱 램프용 벌브
319: 윙커용 벌브 325: 윙커 소켓
327: 윙커부 329: 리플렉터 배면
331: 스테이부(스테이) 333: 아암부
345: 측부 클로 365: 리브
367: 슬릿 375: 후방부 클로
377: 제1 오목부 379: 제2 오목부

Claims (6)

  1.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승차용 시트로 폐쇄 가능한 개구부를 상부에 가지며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를 덮는 리어 카울과,
    테일 램프 및 좌우 한 쌍의 윙커를 갖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후방부를 상기 리어 카울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리어 카울의 후방부 내에 배치하는 안장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상방에는 스테이가 마련되고,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테일 램프부 상방을 커버하는 센터 커버와,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윙커부 및 윙커 소켓 상방을 커버하는 윙커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윙커 커버는, 상기 승차용 시트의 하방에, 차폭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갖고,
    상기 아암부가 상기 스테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커버의 측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리브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윙커 커버의 차폭 내측 측부에는, 상기 센터 커버의 리브의 슬릿에 걸려 고정되는 측부 클로(claw)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카울의 하방에 배치되어 후륜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가 부착되고,
    상기 윙커 커버의 하면이 상기 리어 펜더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리플렉터 배면에 형성된 스테이부이고,
    상기 윙커 커버의 아암부와, 상기 센터 커버가,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스테이부에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커 커버와 상기 센터 커버의 후방부에는,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하는 후방부 클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커버의 후방부에는, 상기 윙커 커버의 내측 가장자리 후방부와 결합하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윙커 커버의 하면 후방부에는, 상기 센터 커버의 후측 가장자리와 결합하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KR1020100021359A 2009-03-31 2010-03-10 안장형 차량 KR101119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7775A JP5239087B2 (ja) 2009-03-31 2009-03-31 鞍乗り型車両
JPJP-P-2009-087775 200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79A KR20100109379A (ko) 2010-10-08
KR101119808B1 true KR101119808B1 (ko) 2012-03-20

Family

ID=4203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359A KR101119808B1 (ko) 2009-03-31 2010-03-10 안장형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67467B2 (ko)
EP (1) EP2236398B1 (ko)
JP (1) JP5239087B2 (ko)
KR (1) KR101119808B1 (ko)
AT (1) ATE556922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4667B2 (ja) * 2010-09-17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ウインカー及びこれを備えた鞍乗り型車両
JP5875435B2 (ja) * 2012-03-28 2016-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尾灯装置
JP5944228B2 (ja) * 2012-05-28 2016-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A2924948C (en) * 2013-09-27 2018-01-09 Honda Motor Co., Ltd. Two-wheeled motor vehicle
JP5732504B2 (ja) * 2013-09-27 2015-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テールライト構造
CN105745146B (zh) * 2013-12-02 2018-06-12 川崎重工业株式会社 跨乘式车辆
JP6254507B2 (ja) * 2013-12-26 2017-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ヤグリップを備える鞍乗り型車両
JP6417778B2 (ja) * 2014-08-08 2018-11-07 スズキ株式会社 フレームカバー構造
JP1545668S (ko) * 2015-06-19 2016-03-14
JP2018058455A (ja) * 2016-10-04 2018-04-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N109305263B (zh) * 2017-07-28 2020-09-01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骑乘型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656A (ja) 2002-02-20 2003-08-2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取付け構造
JP2006088939A (ja) 2004-09-24 2006-04-06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2007069677A (ja) 2005-09-05 2007-03-22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後部構造、及び鞍乗型車両
JP2007131152A (ja) 2005-11-10 2007-05-31 Honda Motor Co Ltd テールランプ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344A (ja) 1990-08-23 1992-04-06 Hitachi Ltd メモリ障害の回復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H07232678A (ja) * 1994-02-23 1995-09-05 Suzuki Motor Corp 小型車両のフレームカバー取り付け構造
US6218952B1 (en) * 1998-09-30 2001-04-17 Leslie R. Borland Trailer light monitor
JP4211958B2 (ja) * 1999-03-30 2009-0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テールライト組立体
JP2002193160A (ja) * 2000-12-27 2002-07-10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テールライトとカバーリヤフェンダとの取付構造
JP4108290B2 (ja) * 2001-03-28 2008-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部構造
JP2003072624A (ja) * 2001-09-03 2003-03-12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リヤフェンダ振れ調整構造
WO2003035457A1 (en) * 2001-10-24 2003-05-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ar combination lamp of motorcycle
WO2005002954A1 (ja) * 2003-07-01 2005-01-13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自動二輪車
JP2007030526A (ja) * 2003-07-04 2007-02-08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US6952162B2 (en) * 2003-07-24 2005-10-04 Monck Joan M Multidirectional cluster lights for motor vehicles
CN100519316C (zh) * 2003-12-31 2009-07-29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机动二轮车之方向灯/尾灯的组合构造
JP2007030592A (ja) * 2005-07-25 2007-02-08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ライト装置及び該ライト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4579081B2 (ja) * 2005-07-29 2010-1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配置構造
US7417533B2 (en) * 2005-11-16 2008-08-26 Owen Kenneth R Vehicle signaling system
KR101212149B1 (ko) * 2005-12-21 2012-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도메인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269143A (ja) * 2006-03-31 2007-10-18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テールランプ装置及び該テールランプ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4814739B2 (ja) * 2006-09-20 2011-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7607712B2 (en) * 2007-02-28 2009-10-27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ucture of side cover for motorcycle
JP4998942B2 (ja) * 2007-03-06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自動二輪車
US7500770B2 (en) * 2007-05-16 2009-03-10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Inc. Motorcycle tail light assembly
JP5017001B2 (ja) * 2007-07-05 2012-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フェンダー
JP2009166790A (ja) * 2008-01-18 2009-07-30 Yamaha Motor Co Ltd フラッシャーおよび鞍乗型車両
JP2009166791A (ja) * 2008-01-18 2009-07-30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656A (ja) 2002-02-20 2003-08-2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取付け構造
JP2006088939A (ja) 2004-09-24 2006-04-06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2007069677A (ja) 2005-09-05 2007-03-22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後部構造、及び鞍乗型車両
JP2007131152A (ja) 2005-11-10 2007-05-31 Honda Motor Co Ltd テールランプ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35053A (ja) 2010-10-21
JP5239087B2 (ja) 2013-07-17
ATE556922T1 (de) 2012-05-15
EP2236398A1 (en) 2010-10-06
EP2236398B1 (en) 2012-05-09
US8167467B2 (en) 2012-05-01
US20100244493A1 (en) 2010-09-30
KR20100109379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808B1 (ko) 안장형 차량
JP5261827B2 (ja) 鞍乗り型車両のキャニスタ取付構造
KR100652522B1 (ko) 자동이륜차의 브레이크 램프 구조
US8499878B2 (en) Motorcycle rear portion structure
JP506960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カバー構造
US9260151B2 (en) Rear structure of saddle riding type vehicle
CN101638118B (zh) 车体前部支承结构
JP5292607B2 (ja) 車両の後部灯火装置
US8235157B2 (en) Step holder attachment structure for a saddle-type vehicle,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JP2010235058A (ja) 鞍乗り型車両
EP2048051B1 (en) Straddle-type vehicle
JP2011046346A (ja) 自動二輪車
JP5427672B2 (ja) 二輪車のライセンスライトの配線構造
JP5908520B2 (ja) 鞍乗り型車両のグラブレール構造
JP2006240460A (ja) 自動二輪車の樹脂部材係合構造
JP5414330B2 (ja) 鞍乗り型車両
JP5283994B2 (ja) リザーバタンクの支持構造
JP7394823B2 (ja) 支持構造、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鞍乗型車両
JP5261826B2 (ja) 鞍乗り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