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075B1 -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075B1
KR101113075B1 KR1020110088860A KR20110088860A KR101113075B1 KR 101113075 B1 KR101113075 B1 KR 101113075B1 KR 1020110088860 A KR1020110088860 A KR 1020110088860A KR 20110088860 A KR20110088860 A KR 20110088860A KR 101113075 B1 KR101113075 B1 KR 101113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unit
water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구
Original Assignee
신영구
주식회사 아이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구, 주식회사 아이렉스 filed Critical 신영구
Priority to KR102011008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오탁수에 응집제를 희석하여 슬러지와 청등수로 구분되어 배출하는 오탁수 고속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고속처리장치는 오탁수 원수조(100), 투입부(101), 침전부(102), 탈수부(103) 및 배출부(104)를 포함하는 것으로, 건설현장에서의 협소한 설치장소를 감안하여 기능별로 극소화함으로 신속하게 장비를 설치할 수 있고, 전자동 처리에 의한 작업의 간편화, 설비관리 능률의 극대화 및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SEWAGE HIGH-SPEED TREATMENT UNIT}
본 발명은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로써,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오탁수에 응집제를 혼합하여 플록을 형성하고, 침강조 내의 경사진 침강판을 통해 짧은 거리에서 플록을 하부로 침전시켜 탈수기를 통해 최소부피, 최소무게의 슬러지로 처리하고, 상부의 청정수는 pH, BOD, COD, 탁도를 측정하여 방류기준내로 조정 후 재활용수로 활용 또는 방류하는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의 오탁수는 미량의 자성을 띠고 미립자 토사와 혼재되어 방출됨으로 미분과 수분의 분리가 불완전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함은 물론 막대한 오탁수 처리경비를 발생하게 한다.
그리고, 오탁수 처리시설은 도심에서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운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처리 유량에 비해 처리장치를 대형화해야하고, 처리시간 및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했다.
종래의 초고속 이온 정수장치인 특허공개공보 제 10-2009-0029067호(공개일자 2009년 3월 20일)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오탁수 원수가 이송 펌프에 의해 제1번 교반탱크에 보내어지면 아지테이터가 부착된 응집제 저장 호퍼에 투입되어진 초고속 침전용 분말 응집제가 스크류우 피더의 운전에 의해 일정량씩 제1번 교반탱크에 투입되어지고 초고속 분말 응집제와 유입된 오.탁수원수는 서로 혼합되고 혼합이 완료되면 제2번 교반탱크로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간다. 제2번 교반탱크에서 재차 혼합된 처리수는 침전조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게 된다. 침전조는 혼합된 처리수를 자연스러운 상태로 침전조 하부로 침전되도록 여러개의 격자판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있다. 침전이 완료된 후 깨끗한 처리수는 방류수 탱크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방류수 탱크에 저장된 깨끗한 물은 자연스럽게 방류 처리하는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공보 제10-1033953호(공고일자 2011년 5월 11일)에 ‘굴착토사 고화장치’를 출원하였고 그 구성은, 각종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처리하는 굴착토사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저장하는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 상부에 저장되는 오탁수를 하부에 남게 되는 굴착토사와 분리하여 슬러리 저장조로 이송하여 저장한 후, 수처리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 침전 후 탈수처리 방법으로 고형화하여 탈수케익 상태로 외부로 반출시키며, 또한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 하부에 남아 있던 굴착토사는 고화용 믹서기에 이송한 후 고화제를 투입하여 고형화한 후 반출시키는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전자동 제어방식이 아니라 인력으로 모든 공정이 관리되어 숙련공이 필요하고, 오탁수의 처리장치의 설치와 처리시간도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는 현실이며, 관리 경비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침전 공정과 최종 배출부에서 pH농도를 측정 및 관리를 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오류나 기계의 오작동에 의하여 미분과 수분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오탁수가 방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기능별로 극소화된 장치들로 구성하여 협소한 건설현장에서 단시간내에 설치가 가능하고, 자동 제어방식으로 청정수와 고농도 슬러지를 완벽하게 분리 배출함으로써, 작업시간의 대폭적인 단축효과와, 관리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오탁수에 응집제를 희석하여 슬러지와 청등수로 구분되어 배출하는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고속처리장치는 오탁수 원수조(100), 투입부(101), 침전부(102), 탈수부(103) 및 배출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건설현장에서의 협소한 설치장소를 감안하여 기능별로 극소화함으로 신속하게 장비를 설치할 수 있고, 전자동 처리에 의한 작업의 간편화, 설비관리 능률의 극대화 및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침전부 우측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침전부 유체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플록 침강모형도
본 발명은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탁수에 응집제를 희석하여 슬러지와 청등수로 구분되어 배출하는 오탁수 고속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고속처리장치는 오탁수 원수조(100), 투입부(101), 침전부(102), 탈수부(103) 및 배출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탁수 원수조(100)는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저장탱크로써, 내부는 고형물 분리조와 교반조로 나누어지며, 상기 오탁수 원수조(100)의 고형물분리조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오탁수를 저장하며, 상기 오탁수중 혼재된 고형물은 침전되고, 상기 고형물을 제외한 오탁수는 pH값 측정 후 산성일 때는 NaOH(가성소다)를, 알칼리성일 때는 H2SO4(황산)를 투입하여 정제 후 교반조로 흘러넘치게 하며, 또한, 상기 교반조에서 한 번 더 pH값 측정후 관리치인 pH5.8~pH8.5 사이일 때는 인젝션모터(250)를 통해 라인믹스관(120)으로 주입시키고, pH값이 pH5.8 미만일 때는 주입을 중지한 후 NaOH를 재투입 시키며, pH값이 pH8.5를 초과할 때는 주입을 중지한 후 H2SO4를 재투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부(101)는 오탁수 원수조(100)의 교반조로부터 유입된 오탁수에 응집제를 투입시켜 플록을 형성하여 상기 오탁수와 플록이 침전부(102)로 흘러 넘어가는 공정으로써, 상기 오탁수 고속처리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응집제 공급장치(200), 응집제 용해장치(210), 응집제 저장장치(220), 라인믹스(LINE MIXER)관(120) 및 저류변환 확장관(230)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저류변환 확장관(230)과 연결된 사각 프레임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상부에 위치한 유량분산 커버(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전부는 플록이 생성된 오탁수를 저장하는 사각 프레임, 침강판(300), 슬러지 저장조(310), 슬러지배출 자동밸브(320), 에어 콤프레셔(330), 에어콘트롤 전자밸브(340), 슬러지 배출관(350), 및 농축조(3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수부(103)는 탈수기(400)와 이송컨베이어(410)로 구성되며, 상기 침전부(102)의 우측 위에 이송컨베이어(410)가 장착이 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410) 위로는 탈수기(400)가 장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104)는 투입부(101)와 침전부(102) 후방측 하부에 위치하며 상등수의 흐름에 따라 pH처리조(500)와, 폭기조(510), 방류조(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강판(300)은 수평에서 일정각도로 경사가 지고, 또한 유로가 ‘ㄹ’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침전부 우측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침전부 유체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의 플록 침강모형도이다.
본 발명은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로써, 오탁수에 응집제를 희석하여 슬러지와 청등수로 구분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흐름순으로 살펴보면, 오탁수 원수조(100), 투입부(101), 침전부(102), 탈수부(103) 및 배출부(104)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에 있어서, 오탁수 원수조(100)는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저장탱크로써, 내부는 고형물 분리조와 교반조로 나누어진다.
상기 오탁수 원수조(100)의 고형물분리조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오탁수를 저장하며, 상기 오탁수중 혼재된 고형물은 침전되고, 상기 고형물을 제외한 오탁수는 pH값 측정 후 산성일 때는 NaOH(가성소다)를, 알칼리성일 때는H2SO4(황산)를 투입하여 정제 후 교반조로 흘러넘치게 한다.
또한, 상기 교반조에서 한 번 더 pH값 측정후 pH관리치 pH5.8~pH8.5 사이 일 때는 인젝션펌프를 통해 라인믹스관(120)으로 주입시키고, pH값이 관리 치에서 벗어나면 주입을 중지한 후 약품(가성소다 또는 황산)을 재투입 시킨다.
그리고, pH농도에 맞춰 약품을 투입시키는 공정은 원수조와 배출부 중 한곳에서만 약품처리를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원수조의 오탁수가 산성일때는 원수조에서 약품처리를 하고 알카리성일때는 배출조에서 약품처리를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01)는 오탁수 원수조(100)의 교반조로부터 유입된 오탁수에 응집제를 투입시켜 플록을 형성하여 상기 오탁수와 플록이 침전부(102)로 흘러 넘어가는 공정으로써, 상기 오탁수 고속처리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응집제 공급장치(200), 응집제 용해장치(210), 응집제 저장장치(220), 라인믹스(LINE MIXER)관(120) 및 저류변환 확장관(230)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저류변환 확장관(230)과 연결된 사각 프레임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상부에 위치한 유량분산 커버(2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101)는 응집제의 공급(200), 용해(210), 저장(220)장치가 극소화 및 기능별로 설계되어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레벨센서로 인해 응집제의 투입, 용해 및 저장 작동이 전자동으로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투입부(101)의 응집제 공급장치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소형 스크류 또는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으로 콘트롤 되는 방식에 의해 응집제가 투입되며, 잔여 응집제가 저장 공간의 하한에 있을 때는 관용의 레벨센서에 의해 알람이 울려 응집제를 적기에 보충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의 오탁수처리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L자동 CONTROL 연산장치에 의해 응집제의 투입량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투입부의 응집제로는 PAC(폴리염화알루미늄) 또는 황산반토, 음이온 고분자 유기응집제인 폴리아크릴산계, 양이온 고분자 유기응집제인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가 주로 쓰인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101)의 응집제 용해장치(210)는 응집제 저장장치(220)와 연계하여 밸브가 작동하며, 용해장치 밸브는 레벨센서가 High-Low와, Low일 때는 응집제 용해장치(210)의 물 공급 펌프작동과 입수밸브가 열림으로 적정량의 물 공급을 받고 배출밸브는 닫히게 되며, 레벨센서가 High일 때는 물 공급 펌프정지와 입수밸브가 닫히게 된다.
또한, 투입된 물의 양에 대한 적정한 응집제의 비율은 물 공급펌프의 회전속도(RPM)와 TIMER로 조정된다. 즉, 물 공급펌프의 작동 속도 및 시간 만큼 적정량의 응집제가 일정량이 자동으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투입부의 응집제 저장장치(220)는 레벨센서가 High일 때는 용해장치 밸브가 닫히면서 대기상태가 되고, High-Low일 때는 용해장치 밸브가 열리면서 용해잔량을 저장조로 배출하게 되며, Low일 때는 용해장치 밸브가 열려 용해잔량을 저장조(220)로 보내지며 용해장치(210)가 작동을 시작하면서 물과 응집제를 공급하게 되고 믹서에 가동신호를 보내게 되어 희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응집제 저장장치(220) 레벨센서가 Low-Low일 때는 오탁수와 응집제 혼합장치 및 라인믹스 등의 전 공정이 정지되며 비상신호 알람이 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응집제와 용해된 응집제는 레벨센서 감지작동으로 자동 관리되며, 상기의 용해된 응집제는 인젝션모터(250)에 의해 라인믹스관(120)으로 자동 투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오탁수 원수조(100)에서 1차 정제된 오탁수는 오탁수 주입구(110)를 통해 라인믹스관(120)으로 주입되고, 상기 오탁수는 상기 라인믹스관(120)에 투입되는 용해된 응집제와 섞여 S자모양의 형상을 한 상기 라인믹스관(120) 내부의 라인믹스(130)에 의해 자연스럽게 희석이 된다.
또한, 상기의 용해된 응집제와 오탁수는 모터의 가압으로 인해 유속이 빠른 상태로 외경이 좁은 라인믹스관(120)을 통과하면서 희석이 되고, 외경이 넓은 저류변환 확장관(230)을 통과하면서 저류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응집제와 희석된 오탁수는 저류변환 확장관(230)과 연결된 사각프레임 저장탱크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상부에 장착된 유량분산커버(240)에 의해 사방으로 분산되며, 상기 응집제와 희석된 오탁수는 플록이 형성되어 침전부(102)로 흘러 넘어가게 된다.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 처리장치에 있어서, 침전부(102)는 플록이 생성된 오탁수를 저장하는 사각 프레임, 침강판(300), 슬러지 저장조(310), 슬러지배출 자동밸브(320), 에어 콤프레셔(330), 에어콘트롤 전자밸브(340), 슬러지 배출관(350), 및 농축조(360)로 구성된다.
상기 침전부(102) 상부에는 플록이 형성된 오탁수를 저장하는 사각프레임 내부에 다수 개의 침강판(300)이 ‘ㄹ’형태로 오탁수가 흐르게 유도하며, 우측으로 경사지게 세워져 있고, 상기 침전부(102)의 하부에는 깔때기 형상을 한 다수 개의 슬러지 저장조(310)가 상기 오탁수를 저장하는 사각프레임 하부에 용접 설치되어 오탁수나 슬러지가 누출되지 않게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플럭이 형성된 오탁수를 ‘ㄹ’형태로 흐르게 유도하는 침강판(300)에 있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강판(300)의 각도가 30도로 경사가 짐에 따라 플록의 침강거리가 짧아지고, 침강시간도 줄어들어 빠른 시간내 플록과 청정수로 분리가 되어 작업시간 단축이 되며,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강판(300)이 ‘ㄹ’형태로 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플럭이 형성된 오탁수의 이동거리는 긴 반면에 침전부(102)의 설치면적이 대폭적으로 축소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저장조 아래에는 슬러지배출 자동밸브(320)가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배출 자동밸브(320)는 슬러지 배출관(350)과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배출관(350)은 오탁수 원수조 후방에 위치한 농축조(36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 배출관(350) 위로는 에어 콤프레셔(330)와 연결된 다수 개의 에어콘트롤 전자밸브(340)가 장착된다.
상기 침전부(102)로 흘러 넘어온 플록과 오탁수는 경사지게 세워지고 ‘ㄹ’형태로 흐르게 유도하는 침강판(300)을 거치면서 플록은 상기 침강판에 걸려 아래 슬러지 저장조(310) 낙하하게 되고, 상기 침강판(300)에 걸러진 오탁수는 상등수가 되어 배출부(104)로 흘러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저장조(310)에 모인 플록은 회전하는 교반기에 의해 골고루 섞이어 슬러지화되며, 슬러지 저장조(310)에 아래로 침전된 슬러지는 수분함량이 최소화된 상태로 배출관을 통해 농축조(360)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상기 농축조(360)의 레벨센서가 Hi 일때는 슬러지배출 자동밸브(320)와 에어콘트롤 전자밸브(340)가 잠기고, Low 일때는 상기 슬러지배출 자동밸브(320)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배출 자동밸브와 에어콘트롤 전자밸브가 열리게 되면 상기 슬러지저장조의 슬러지는 침전부(102)와 농축조(360)의 수위차에 의해 상기 농축조(360)로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되고, 에어 콤프레셔(330)가 공기를 에어콘트롤 전자밸브(340)를 통해 슬러지배출관(350) 내부로 불어 줌으로써, 상기 슬러지가 막힘없이 슬러지 농축조(360)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침전부(102) 내의 경사진 침강판(300)에 오탁수를 와류 없이 침전시킴으로써, 미분이 안정적으로 플록화하여 침전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침전되는 슬러지는 자성이 없는 상태로 침전됨으로 수분함량이 최소화되어 농축조의 레벨센서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농축조에 모이게 되어 탈수가 극히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 처리장치에 있어서, 탈수부(103)는 탈수기(400)와 이송컨베이어(410)로 구성되며, 상기 침전부(102)의 우측 위에 이송컨베이어(410)가 장착이 되고 상기 컨베이어 위로는 탈수기(400)가 장착이 된다.
상기 침전부(102)의 슬러지 농축조(360)에 저장된 슬러지를 슬러지 공급펌프로 탈수기(400)로 투입하고, 상기 탈수기(400)의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실린더(430)를 전진시켜 여과판(420)을 압착하게 되며, 실린더(430)의 전, 후진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상기 탈수기(400)에 투입된 슬러지는 함수율이 낮아지게 되어 납작한 탈수 케익이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430)가 뒤로 완전히 후진하게 되면 여과판(420)은 분리되고, 함수율인 낮아져 고형화된 탈수 케익은 아래 이송컨베이어(410)에 떨어지게 된다.
또한, 여과판(420)의 압착시간과 압력은 조절할 수 있으며, 압착시간이 길어지고 압력이 높을수록 탈수 케익의 함수율은 낮아 진다.
그리고, 상기 탈수 케익은 탈수기(400) 아래에 위치한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 차량에 자동으로 실리게 되며, 탈수기(필터프레스)에서 탈수된 상등수는 침전부(102)로 흘러가게 된다.
본 발명의 오탁수 고속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출부(104)는 투입부(101)와 침전부(102) 후방측 하부에 위치하며 상등수의 흐름에 따라 pH처리조(500)와, 폭기조(510), 방류조(520)로 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침전부(102)의 침강판(300)에 걸러진 상등수는 pH센서(550)에 의해 pH농도 측정을 한 후 배출부(104)로 흘러 넘어가게 되고, 상기 배출부의 pH 처리조(500)에는 H2SO4탱크(530)와 Ca(oH)2탱크(540)와 교반기가 장착되어 약품처리로 pH농도를 맞춰 폭기조(510)로 흘러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폭기조(510)는 공기 공급 장치로서 잘게 부서진 공기를 공급하여 단 시간 내 미생물의 활동을 극대화시켜 BOD, COD 탁도를 맞추어 방류조(520)로 흘러넘가며, 상기 방류조(520)에서는 pH센서(550)가 부착되어 최종적으로 적정 관리치 내에 유지관리가 되는지 확인하여 방류 또는 재활용수로 쓰이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오탁수 고속 처리장치로써, 응집제의 공급(200), 용해(210), 저장장치(220)를 기능별로 극소화 및 자동화했으며, 침전부(102)는 23개의 침강판(300)이 경사지고 ‘ㄹ’자 구조의 유로를 형성하여 단시간 내에 플록의 침강을 유도하고, 슬러지를 분리한 상등수는 pH, BOD, COD 탁도 수치값을 일괄 측정후 철저한 오염방지를 위해 적정 관리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공정이 연결되어 통제 및 제어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탁수 고속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건설현장에서의 협소한 설치장소를 감안하여 기능별로 극소화함으로 신속하게 장비를 설치할 수 있고, 전자동 처리에 의한 작업의 간편화, 설비관리 능률의 극대화 및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오탁수 원수조 101 : 투입부
102 : 침전부 103 : 탈수부
104 : 배출부 110 : 오탁수 주입구
120 : 라인믹스관 130 : 라인믹스
200 : 응집제 공급장치 210 : 응집제 용해장치
220 : 응집제 저장장치 230 : 저류변환 확장관
240 : 유량분산커버 250 : 인젝션모터
300 : 침강판 310 : 슬러지 저장조
320 : 슬러지배출 자동밸브 330 : 에어 콤프레셔
340 : 에어콘트롤 전자밸브 350 : 슬러지 배출관
360 : 농축조 370 : 슬러지 교반기
380 : 교반기 모터 390 : 교반기 기어박스
400 : 탈수기 410 : 이송컨베이어
420 : 여과판 430 : 실린더
440 : 슬러지 공급 모터
500 : pH처리조 510 : 폭기조
520 : 방류조 530 : H2SO4탱크
540 : Ca(OH)2탱크 550 : pH센서

Claims (7)

  1. 오탁수에 응집제를 희석하여 슬러지와 청등수로 구분되어 배출하는 오탁수 고속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고속처리장치는 오탁수 원수조(100), 투입부(101), 침전부(102), 탈수부(103) 및 배출부(104)를 포함하되,
    상기 오탁수 원수조(100)는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저장탱크로써, 내부는 고형물 분리조와 교반조로 나누어지며, 상기 오탁수 원수조(100)의 고형물분리조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오탁수를 저장하며, 상기 오탁수중 혼재된 고형물은 침전되고, 상기 고형물을 제외한 오탁수는 pH값 측정 후 산성일 때는 NaOH(가성소다)를, 알칼리성일 때는 H2SO4(황산)를 투입하여 정제 후 교반조로 흘러넘치게 하며, 또한, 상기 교반조에서 한 번 더 pH값 측정후 관리치인 pH5.8~pH8.5 사이일 때는 인젝션모터(250)를 통해 라인믹스관(120)으로 주입시키고, pH값이 pH5.8 미만일 때는 주입을 중지한 후 NaOH를 재투입 시키며, pH값이 pH8.5를 초과할 때는 주입을 중지한 후 H2SO4를 재투입 시키는 것이며,
    상기 투입부(101)는 오탁수 원수조(100)의 교반조로부터 유입된 오탁수에 응집제를 투입시켜 플록을 형성하여 상기 오탁수와 플록이 침전부(102)로 흘러 넘어가는 공정으로써, 상기 오탁수 고속처리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응집제 공급장치(200), 응집제 용해장치(210), 응집제 저장장치(220), 라인믹스(LINE MIXER)관(120) 및 저류변환 확장관(230)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저류변환 확장관(230)과 연결된 사각 프레임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상부에 위치한 유량분산 커버(240)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침전부는 플록이 생성된 오탁수를 저장하는 사각 프레임, 침강판(300), 슬러지 저장조(310), 슬러지배출 자동밸브(320), 에어 콤프레셔(330), 에어콘트롤 전자밸브(340), 슬러지 배출관(350), 및 농축조(360)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탈수부(103)는 탈수기(400)와 이송컨베이어(410)로 구성되며, 상기 침전부(102)의 우측 위에 이송컨베이어(410)가 장착이 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410) 위로는 탈수기(400)가 장착이 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부(104)는 투입부(101)와 침전부(102) 후방측 하부에 위치하며 상등수의 흐름에 따라 pH처리조(500)와, 폭기조(510), 방류조(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판(300)은 수평에서 일정각도로 경사가 지고, 또한 유로가 ‘ㄹ’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KR1020110088860A 2011-09-02 2011-09-02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KR101113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60A KR101113075B1 (ko) 2011-09-02 2011-09-02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60A KR101113075B1 (ko) 2011-09-02 2011-09-02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075B1 true KR101113075B1 (ko) 2012-02-29

Family

ID=4584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860A KR101113075B1 (ko) 2011-09-02 2011-09-02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0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75B1 (ko) 2013-04-15 2013-09-23 한붕전 건설용 폐수의 처리장치
CN115784331A (zh) * 2022-11-04 2023-03-14 浙江中控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混凝沉淀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8993273A (zh) * 2024-09-24 2024-11-22 山东域潇锆钛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海滨砂选矿厂废水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4224A (ja) * 1989-11-24 1991-07-16 Toshiba Mach Co Ltd 加熱温度制御装置
JP2001347103A (ja) 2000-06-08 2001-12-18 Takashima & Co Ltd 汚濁水処理装置
KR20020057592A (ko) * 2001-01-02 2002-07-12 최대일 급속반응조와 완속응집조가 연결된 고속응집 경사판침전장치
KR200377629Y1 (ko) * 2004-12-22 2005-03-16 진성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4224A (ja) * 1989-11-24 1991-07-16 Toshiba Mach Co Ltd 加熱温度制御装置
JP2001347103A (ja) 2000-06-08 2001-12-18 Takashima & Co Ltd 汚濁水処理装置
KR20020057592A (ko) * 2001-01-02 2002-07-12 최대일 급속반응조와 완속응집조가 연결된 고속응집 경사판침전장치
KR200377629Y1 (ko) * 2004-12-22 2005-03-16 진성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75B1 (ko) 2013-04-15 2013-09-23 한붕전 건설용 폐수의 처리장치
CN115784331A (zh) * 2022-11-04 2023-03-14 浙江中控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混凝沉淀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8993273A (zh) * 2024-09-24 2024-11-22 山东域潇锆钛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海滨砂选矿厂废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5338C (zh) 循环冷却水或城镇二级污水的净化方法及设备
CN101830585A (zh) 酸性矿井水处理系统
CN106881319B (zh) 一种污水零排放的塑料周转箱清洗系统及其工作方法
CN204325024U (zh) 一种新型铅酸蓄电池重金属废水处理系统
JP4202207B2 (ja) 凝集分離装置
KR101113075B1 (ko)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KR20110116418A (ko) 슬러지 고형물량, 농도 계측 및 폴리머 투입량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113079B1 (ko) 오탁수 고속처리 방법
CN216918721U (zh) 一种处理含煤废水的重介质耦合沉淀系统
CN114573143A (zh) 拌合站废水净化处理方法
CN105314777A (zh) 一种氢氟酸提纯废水处理装置及工艺
CN111732234A (zh) 一种高悬浮物矿井水作为电厂循环水补水的处理系统及方法
CN209442766U (zh) 输煤含煤废水处理改造装置
CN105293660B (zh) 制浆造纸行业污水处理基础工艺
CN117945595A (zh) 一种高浊矿井水井下低碳处理的工艺及系统
CN208916952U (zh) 矿井水一体组合沉淀装置
CN212609938U (zh) 一种tbm施工隧洞污水处理系统
CN207418355U (zh) 一种尾矿污水处理罐
CN217230439U (zh) 含锑砷废水处理系统
CN114180689B (zh) 一种原位磁种分离回用的磁混凝水处理方法
CN215365206U (zh) 一种一体式脱硫废水处理设备
KR200377591Y1 (ko) 일체 조립형 이동식 폐수설비
CN105384281B (zh) 一种半地埋式一体化脱硫废水处理装置
Reshma Iron Settling and Sludge Dewatering for Pigment Production From Acid Mine Drainage Remediation at Low pH
CN222374541U (zh) 一种矿井水除硬除硅固液分离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