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208B1 -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208B1
KR101111208B1 KR1020110062411A KR20110062411A KR101111208B1 KR 101111208 B1 KR101111208 B1 KR 101111208B1 KR 1020110062411 A KR1020110062411 A KR 1020110062411A KR 20110062411 A KR20110062411 A KR 20110062411A KR 101111208 B1 KR101111208 B1 KR 10111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int
painting
coating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진
Original Assignee
김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진 filed Critical 김승진
Priority to KR102011006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08Details thereof, e.g. surfa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3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with pump
    • B05C17/0341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with pump attached to the hand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를 이용한 무늬 형성기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U'자형 프레임 지지체(100)와; 손잡이(200)와; 좌측 브라켓(300)과; 우측 브라켓(300')과; 롤러 수용체(400)와; 도료 도포롤러(500)와; 도포균일화 롤러(600)와; 도포균일화 판체(700)와; 최선단 롤러(800) 및; 도료공급수단(900)으로 구성되어 무늬 형성기 내에 도료 원료 수용부가 구비되지 않도록 무늬 형성기와 도료 공급기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무늬 형성기의 무게가 가벼워 작업자가 손에 들고 작업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료의 빈번한 소진으로 원료를 보충할 때까지 작업을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고, 작업자가 원료를 손으로 들지 않고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하는 손의 피로를 줄여 장시간 작업시에도 작업 효율의 저하가 없도록 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손목 관절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롤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등 다양한 작업으로 다양한 곳에(예컨대 벽 하단부의 테두리나, 바닥면)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선단 롤러로서 무늬롤러, 하도롤러, 중도롤러, 상도로러를 구비시켜 무늬형성, 하도, 중도, 상도 등 선택된 작업을 롤러를 간편하게 교환하여 용이하 실시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Painting apparatus and construct 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하는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 롤러와 도료 공급기를 분리하여 구성하고 도료 공급기로부터 호스를 통해 도료를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작업자가 가벼운 도장장치만을 들고 작업을 하게 되어 도장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함은 물론, 도료 원료 수용부로 부터 도료가 흘러나올 우려가 없으므로 롤러를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도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장용 롤러는 원통형 롤러에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파레트(원료를 담는 용도)에 원료를 저장한 다음, 원료를 일일이 묻혀가며 작업해야 하고, 또한 도장하는 자리를 이동할 때마다 원료통을 함께 옮기며 작업해야 한다.
아울러 다양한 색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색상의 원료통과 각각의 색상을 도장하기 위한 롤러를 각각 준비하여 롤러를 바꿔가며 도장하여야 하므로, 작업시 원료가 작업자나 주변인에게 묻을 우려가 있고, 고층 건물 등의 작업시에도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원료를 일일이 롤러에 묻혀 작업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롤러에 원료통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롤러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원료통으로 인하여 무거워서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수평으로 도장할 경우 원료통에서 도료가 흘러나와서 수평으로 도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개발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허 제0446787호의 "도장용 롤러장치"가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제0446787호의 "도장용 롤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A) 내부에 수용되는 원료가 휠(B)이 회전함에 따라 중공을 통해 원료를 끌어 올려주고, 끌어 올려진 원료는 휠(B)에 접촉되어 있는 중층롤러(C)에 전달되게 되며, 중층롤러(C)의 외측면에 묻게 되는 원료를 지지롤러(D)가 눌러주면서 원료가 뭉치지 않고 골고루 도포 되도록 해주며, 중층롤러(C)에 전달된 원료는 다시 상층롤러(E)에 전달되어 도면체에 도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롤러장치는 본체(A) 내부에 수용되는 원료가 휠(B)을 통하여 중층롤러(C)로의 전달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상층롤러(E)로써 균일한 도포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또한 본체(A) 내부의 원료가 소진되면, 원료를 보충할 때까지 일시 중단해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상층롤러(E)가 구비되는 측의 원료가 수용되는 본체(A)의 전면이 경사지게 경사부(Aa)가 형성되어 손잡이(F)를 잡고 상층롤러(E)를 사용하여 높은 곳에 작업시 본체(A)의 경사부(Aa)의 단부가 작업면에 닿게 되어 자국(페인트가 긁히게 됨)이 생기게 됨에 따라 재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본체(A) 내부에 수용되는 원료의 소모량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없어 작업 중 원료가 소모되면, 작업을 중단하고 원료를 채운 다음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벽면 등의 모서리 부위 작업시 상층롤러로써는 무늬가 형성되지 못하여 후 작업으로 마무리를 해야하는 공정상의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특허 제0936018호의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가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0936018호의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가 수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수용된 원료를 상부로 끌어올리기 위한 휠(20)(21)과; 상기 휠(20)(21)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게 되는 중층축(42)을 갖는 중층롤러(4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힌지(2)로써 회동 가능하게 축설된 프레임(3)의 전방에 중층롤러(40)와 접촉되고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중층롤러(40)로부터 원료가 전달되어 최종 무늬 도장을 하게 되는 상층축(52)과 무늬층(54)을 구비하는 상층롤러(50)로 이루어진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측면부(10a)와; 상기 측면부(10a) 전후면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게 되는 전,후면부(10b)(10c)와; 상기 측면부(10a)와 전,후면부(10b)(10c) 사이의 하부에 마감된 바닥면(10d) 및; 내부의 분리격벽(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휠(20)(21)은, 원료가 수용되는 수용홈(31)이 형성되고, 연통되게 다수의 원료배출공(32)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단차부(33)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35)와; 상기 원통형 몸체(35)의 양단에 마감되고, 외측으로 거치대(14)의 거치홈(14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축(36)이 일체로 형성된 마개(37)와; 상기 원통형 몸체(35)의 단차부(33)에 삽입되고, 원료가 흡수되는 흡입재(38)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0b) 양측에 내부의 원료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투시창(11)을 구비하되, 상기 투시창(11)은 전면부(10b)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공(11a)과; 상기 수직공(11a) 외주연의 전면부(10b)에 체결 고정되고, 중앙 영역에 눈금(11b-2)이 표시되는 투명체(11b-1)가 구비된 마감판(11b)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 후방 영역의 상단에 장공(62)이 형성되고, 이 장공(62)에 결합축(63)으로써 지지롤러(60)를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상기 프레임(3)의 후방에는 손잡이(70)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제0936018호의 "도로를 이용한 무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도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무늬형성수단에 원료가 수용되는 본체(10)가 함께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어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야기되었다.
즉, 첫째로 작업자가 원료가 수용되는 본체(10)를 손으로 들고 작업을 하여야하므로 본체(10)에 수용되는 원료의 량이 작업자가 손으로 들고 작업하기 용이한 량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본체(10) 내 수용되는 원료의 빈번한 소진으로 원료를 보충할 때까지 작업을 일시 중단해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둘째로 작업자가 원료가 수용되는 본체(10)를 손으로 들고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하는 손의 피로로 인한 장시간 작업시 작업 효율의 저하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목 관절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결점도 있었다.
셋째로 무늬형성수단에 원료가 수용되는 본체(10)가 함께 구비된 것이기 때문에 도료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본체(10)를 수직방향으로 들고 롤러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으로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도장하는 작업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장치내에 도료 원료 수용부가 구비되지 않도록 도장 롤러부와 도료 공급기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도장장치의 무게가 가벼워 작업자가 손에 들고 작업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료의 빈번한 소진으로 원료를 보충할 때까지 작업을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장 롤러와 도료 공급기가 분리되어 작업자가 원료를 손으로 들지 않고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하는 손의 피로를 줄여 장시간 작업시에도 작업 효율의 저하가 없도록 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손목 관절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장장치에 도료 수용부가 구비되지 않아 도료가 흘러나오지 않아서 롤러를 수평방향으로 작업하는 등 다양한 작업으로 다양한 곳에 도장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장 롤러로서 무늬 도장롤러, 하도 도장롤러, 중도 도장롤러, 상도 도장롤러를 구비하여 무늬형성, 하도, 중도, 상도 등 선택된 작업을 도장롤러를 교환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도장장치는 좌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과 우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에 연결 프레임(102)이 연결되어 좌우측 프레임(101, 101')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U'자형 프레임 지지체(100)와; 상기 연결 프레임(102)의 중앙에 설치되는 손잡이(200)와; 상기 좌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좌측 브라켓(300)과; 상기 우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우측 브라켓(300')과; 내부 중공부가 수평방향으로 큰 롤러 수용부(401)와 작은 롤러 수용부(402)를 이루고 큰 롤러 수용부(401) 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료 이동홈(401a)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에 연통되는 도료 공급공(403)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을 덮는 홈 덮개(401b)와,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 도료공급공(403)에 연결되는 도료 공급호스(401c) 및,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일측면을 따라 큰 롤러 수용부(401)의 내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401e)과,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홈 덮개(401b)로 부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 사이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상의 홈(401d)을 구비하며 외부가 다각체를 이루는 반 다각통체상의 롤러 수용체(400)와;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에 수용되는 도료공급롤러(500)와; 상기 작은 롤러 수용부(402)에 수용되어 도료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도료공급롤러(500)를 지지하는 보조롤러(600)와; 상기 롤러 수용체(400)의 길이 방향 상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에 도료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두께 균일화 판체(700)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이 단차져서 그 사이가 좁아진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외주연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도장롤러(800) 및; 상기 도료 공급호스(401c)에 연결되어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9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늬 형성기 내에 도료 원료 수용부가 구비되지 않도록 무늬 형성기와 도료 공급기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무늬 형성기의 무게가 가벼워 작업자가 손에 들고 작업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료의 빈번한 소진으로 원료를 보충할 때까지 작업을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고, 작업자가 원료를 손으로 들지 않고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하는 손의 피로를 줄여 장시간 작업시에도 작업 효율의 저하가 없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의 손목 관절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롤러를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작업을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장롤러로서 무늬 도장롤러, 하도 도장롤러, 중도 도장롤러, 상도 도장롤러를 구비시켜 무늬형성, 하도, 중도, 상도 등 선택된 작업을 도장롤러를 간편하게 교환하여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측 단면도,
도 3은 종래 또 다른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장치에 따른 휠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도료를 이용한 무늬 시공장치의 요부 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도장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도장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도장장치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절단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수용체의 롤러 수용부를 바라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수용체의 롤러 수용부를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도장장치의 사용상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 도장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도장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도장장치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절단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수용체의 롤러 수용부를 바라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수용체의 롤러 수용부를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도장장치의 사용상태 개략도로서, 본 발명 도장장치는, 좌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과 우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에 연결 프레임(102)이 연결되어 좌우측 프레임(101, 101')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U'자형 프레임 지지체(100)와; 상기 연결 프레임(102)의 중앙에 설치되는 손잡이(200)와; 상기 좌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좌측 브라켓(300)과; 상기 우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우측 브라켓(300')과; 내부 중공부가 수평방향으로 큰 롤러 수용부(401)와 작은 롤러 수용부(402)를 이루고 큰 롤러 수용부(401) 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료 이동홈(401a)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에 연통되는 도료 공급공(403)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을 덮는 홈 덮개(401b)와,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 도료공급공(403)에 연결되는 도료 공급호스(401c) 및,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일측면을 따라 큰 롤러 수용부(401)의 내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401e)과,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홈 덮개(401b)로 부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 사이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상의 홈(401d)을 구비하며 외부가 다각체를 이루는 반 다각통체상의 롤러 수용체(400)와;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에 수용되는 도료공급롤러(500)와; 상기 작은 롤러 수용부(402)에 수용되어 도료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도료공급롤러(500)를 지지하는 보조롤러(600)와; 상기 롤러 수용체(400)의 길이 방향 상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에 도료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두께 균일화 판체(700)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이 단차져서 그 사이가 좁아진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외주연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도장롤러(800) 및; 상기 도료 공급호스(401c)에 연결되어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9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에는 도료공급롤러(500)의 롤러 직경 크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롤러 체결공(10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의 단부 사이에는 도장롤러(80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길다란 구멍(101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00)는 1차 손잡이(201)와 2차 손잡이(202)로 분리 구성하여 1차 손잡이(201)의 단부에 너트부를 형성하고, 2차 손잡이(202)의 단부에 볼트부를 형성하여 1차 손잡이(201)와 2차 손잡이(202)를 서로 탈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짧은 길이의 손잡이(200) 또는 긴 길이의 손잡이(200)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 덮개(401b)의 일측면에는 도료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패킹재가 부착되어 패킹재가 부착된 면이 상기 도료 이동홈(401a)에 접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도포 균일화 판체(700)와 롤러 수용체(400)의 길이 방향 일측 선단 사이에는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도료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판(700a)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조절판(700a)은 볼트공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장롤러(800)는 무늬부재, 하도부재, 중도부재, 상도부재 중 어느하나가 일체화 된 도장롤러(800)로 형성하여 목적에 맞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도장롤러(800)를 조금 작게 형성하여 상기 도장롤러(800)의 외주연에 무늬부재, 하도부재, 중도부재, 상도부재 중 어느 하나로 된 가운데에 중공부를 갖는 도장부재(803)를 끼워서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 분리형 도장 롤러(800)는, 도장 롤러(800)의 롤러축(801) 양단 각각에는 상기 도장롤러(800)의 외주연에 끼워져 장착되는 도장부재(803)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원판상의 와셔(801a, 801a')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료공급수단(900)은 도료 저장통(901)과 도료 저장통(901)의 도료를 펌핑하여 도료 공급호스(401c)를 통해 상기 롤러 수용체(400) 내부의 도료공급공(403)으로 공급하는 펌프(902) 및, 상기 도료 저장통(901)과 펌프(902)를 고정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수레(903)로 구성되고, 상기 도료 저장통(901)에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에어 플로우 가이드, 안전밸브, 압력게이지 등을 구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도장장치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은, 도장작업의 계획을 수립하는 도장작업 계획 수립단계(S1단계)와; 수립된 도장작업 계획에 따라 도장롤러(800)로써 무늬롤러, 하도롤러, 중도롤러, 상도롤러 중 필요한 롤러를 준비하는 도장롤러 준비단계(S2단계)와; 좌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과 우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에 연결 프레임(102)이 연결되어 좌우측 프레임(101, 101')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U'자형 프레임 지지체(100)와, 상기 연결 프레임(102)의 중앙에 설치되는 손잡이(200)와, 상기 좌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좌측 브라켓(300)과, 상기 우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우측 브라켓(300')과, 내부 중공부가 수평방향으로 큰 롤러 수용부(401)와 작은 롤러 수용부(402)를 이루고 큰 롤러 수용부(401) 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료 이동홈(401a)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에 연통되는 도료 공급공(403)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을 덮는 홈 덮개(401b)와,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 도료공급공(403)에 연결되는 도료 공급호스(401c) 및,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일측면을 따라 큰 롤러 수용부(401)의 내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401e)과,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홈 덮개(401b)로 부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 사이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상의 홈(401d)을 구비하며 외부가 다각체를 이루는 반 다각통체상의 롤러 수용체(400)와,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에 수용되는 도료공급롤러(500)와, 상기 작은 롤러 수용부(402)에 수용되어 도료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도료공급롤러(500)를 지지하는 보조롤러(600)와, 상기 롤러 수용체(400)의 길이 방향 상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에 도료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두께 균일화 판체(700)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이 단차져서 그 사이가 좁아진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외주연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도장롤러(800) 및, 상기 도료 공급호스(401c)에 연결되어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900)으로 구성된 도장장치에 선택한 도장롤러(800)를 장착하는 도장롤러 장착단계(S3단계)와: 도료 도포구역을 설정하는 도료 도포구역 설정단계(S4단계)와; 설정된 도포구역에 따라 사용할 도료 원료의 량을 결정하는 도료 원료량 결정단계(S5단계)와; 결정된 도료 원료량을 도료 저장통(901)에 넣어 도료의 공급을 준비하는 도료공급 준비단계(S6단계)와; 펌프(902)를 가동하여 도료공급호스(401c)를 통하여 롤러수용체(400)의 도료공급공(403)으로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단계(S7단계)와; 도장롤러(800)로 도포구역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단계(S8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장작업계획 수립단계(S1단계)에서의 도장작업계획 수립에는 예를들면, 하도후 무늬를 형성하고 상도할 것인지, 하도와 중도를 실시한 후 무늬를 형성하지 않을 것인지, 무늬를 형성할 것인지 등과 그에 따라 필요로 하는 롤러의 종류, 무늬를 형성할 곳이 벽면인지, 바닥면인지 등을 포함한다.
다음에는 무늬 시공의 예로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도장장치로 무늬를 형성할 때에는 먼저 작업의 계획을 수립하는데 작업계획으로는 하도후 중도 없이 무늬를 형성할 것인지, 하도와 중도를 실시한 후 무늬를 형성할 것인지 또는 무늬 형성후 상도를 실시하지 않을 것인지 등과 그에 따라 필요로 하는 롤러의 종류, 무늬를 형성할 곳이 벽면인지, 바닥면인지 등을 포함한다(S1단계).
이하는 하도 및 중도 도장후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어서, 수립된 작업계획에 따라 도장롤러(800)로서 무늬롤러를 준비한다(S2단계), 여기서 상기 좀 작게 형성된 도장롤러(800)의 외주연에 끼워서 장착할 무늬부재를 준비할 수도 있다.
다음, 도장장치에 선택한 무늬도장롤러를 도장장치에 장착한다(S3단계).
도료 도포구역을 설정 한다(S4단계).
설정된 도료 도포구역에 따라 사용할 도료 원료의 량을 결정한다(S5단계).
계속하여 결정된 도료 원료량을 도료공급수단(900)의 도료 저장통(901)에 넣어 도료의 공급을 준비하고(S6단계),
다음, 펌프(902)를 가동하여 도료공급호스(401c)를 통하여 롤러수용체(400)의 도료공급공(403)으로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하고(S7단계), 무늬도장롤러(800)로 도포구역인 벽이나 바닥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무늬를 형성한다(S8단계).
도장롤러(800)로서 무늬도장롤러를 설치할 때에는 좌우측 프레임(101, 101')에 체결된 볼트를 풀어 'U'자형 프레임 지지체(100)의 선단을 강제로 벌린후 좌우의 길다란 구멍(101b)에 하도롤러의 양측 롤러축을 끼우고 다시 좌우측 프레임(101, 101')에 볼트를 체결하면 된다.
조금 작게 형성된 도장롤러(800)에 무늬부재(도장부재)를 끼워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무늬부재가 도장롤러에서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무늬부재의 좌우측에 원판형 와셔(801a)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무늬 형성을 위하여 도료를 도포시에는 도료 저장통(901)에 연결된 도료 공급호스(401c)를 도료 공급 조절기(401c')를 통해 도장장치에 연결된 도료 공급호스(401c)와 연결한 후 에어펌프(902)를 가동시켜 손잡이를 잡고, 도포할 면에 무늬도장롤러(800)를 밀착시켜서 회전시키면, 도료가 도장하고자 하는 면에 묻게 되면서 무늬가 형성된다.
즉, 펌프(902)의 가동으로 도료 저장통(901)의 원료는 도료 공급 조절기(401c')와 도료 공급호스(401c)를 거쳐 도료 공급공(403)으로 나오게 되고, 도료 공급공(403)으로 나온 도료 원료는 도료 이동홈(401a)을 따라 도료 이동홈(401a)의 양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 도료는 도료 이동홈(401a)에 홈 덮개(401b)가 설치되어 있어 다수의 수직홈(401e)과 다수의 원호상의 홈(401d)을 거쳐 나오게 되므로 도료 공급롤러(500)의 표면에 도료 원료가 도포된다.
이때 작은 롤러 수용부(402)에 수용되어 있는 보조롤러(600)가 도료공급롤러(500)에 밀착하여 도료공급롤러(500)와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에서의 도료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도료공급롤러(500)를 지지하여 도료공급롤러(5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도포두께균일화 판체(700)는 내측에 간격 조절판(700a)과 결합하여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과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료의 두께를 일정하게 균일화하게 된다.
상기 간격 조절판(700a)은 결합공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무늬도장롤러(800)가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에 밀착되어 도료공급롤러(500)와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료공급롤러(500) 표면상에 공급된 도료가 무늬도장롤러에 묻게되고, 이 상태에서 무늬도장롤러가 도포할 면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어 무늬도장롤러에 묻은 도료가 도장하고자 하는 면에 묻게 되면서 무늬가 도포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은 도장장치에 도료 저장통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가벼워서 도장작업이 용이하며, 옆으로 기울여도 도료가 흘러나오지 않으므로 상하로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도료 도장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 범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U'자형 프레임 지지체 101 : 좌측 프레임
101a : 롤러 체결공 101b : 길다란 구멍
101' : 우측 프레임 102 : 연결 프레임
200 : 손잡이 201 : 1차 손잡이
202 : 2차 손잡이 300 : 좌측 브라켓
300' : 우측 브라켓 400 : 롤러 수용체
401 : 큰 롤러 수용부 401a : 도료 이동홈
401b : 홈 덮개 401c : 도료 공급호스
401c' : 도료 공급 조절기 401d : 원호상의 홈
401e : 수직홈 402 : 작은 롤러 수용부
403 : 도료 공급공 500 : 도료공급롤러
600 : 보조롤러 700 : 도포두께균일화 판체
700a : 간격 조절판 800 : 도장 롤러
801 : 롤러축 801a, 801a' : 원판상 와셔
900 : 도료공급수단 901 : 도료 저장통
902 : 펌프 903 : 손수레

Claims (9)

  1. 좌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과 우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에 연결 프레임(102)이 연결되어 좌우측 프레임(101, 101')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U'자형 프레임 지지체(100)와; 상기 연결 프레임(102)의 중앙에 설치되는 손잡이(200)와; 상기 좌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좌측 브라켓(300)과; 상기 우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우측 브라켓(300')과; 내부 중공부가 수평방향으로 큰 롤러 수용부(401)와 작은 롤러 수용부(402)를 이루고 큰 롤러 수용부(401) 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료 이동홈(401a)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에 연통되는 도료 공급공(403)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을 덮는 홈 덮개(401b)와,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 도료공급공(403)에 연결되는 도료 공급호스(401c) 및,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일측면을 따라 큰 롤러 수용부(401)의 내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401e)과,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홈 덮개(401b)로 부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 사이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상의 홈(401d)을 구비하며 외부가 다각체를 이루는 반 다각통체상의 롤러 수용체(400)와;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에 수용되는 도료공급롤러(500)와; 상기 작은 롤러 수용부(402)에 수용되어 도료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도료공급롤러(500)를 지지하는 보조롤러(600)와; 상기 롤러 수용체(400)의 길이 방향 상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에 도료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두께 균일화 판체(700)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이 단차져서 그 사이가 좁아진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외주연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도장롤러(800) 및; 상기 도료 공급호스(401c)에 연결되어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900)으로 구성된 도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롤러(800)는 무늬 도장롤러, 하도 도장롤러, 중도 도장롤러, 상도 도장롤러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롤러(800)의 외주연에는 무늬부재, 하도부재, 중도부재, 상도부재 중 어느 하나의 도장부재(803)가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에는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롤러 직경 크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롤러 체결공(101a)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의 단부에는 도장 롤러(80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길다란 구멍(10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0)는 1차 손잡이(201)와 2차 손잡이(202)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1차 손잡이(201)의 단부 내측에 너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2차 솝잡이(202)의 단부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1차 손잡이(201)와 2차 손잡이(202)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덮개(401b)의 일측면에는 패킹재가 부착되어 패킹재가 부착된 면이 상기 도료 이동홈(401a)에 접하여 고정되고, 상기 도포두께균일화 판체(700)와 롤러 수용체(400)의 길이 방향 상측 선단 사이에는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판(700a)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롤러(800)의 롤러축(801) 양단 각각에는 상기 도장롤러(800)의 외주연에 끼워져 장착되는 도장부재(803)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원판상의 와셔(801a, 801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8. 도장작업의 계획을 수립하는 도장작업 계획 수립단계(S1단계)와;
    수립된 도장작업 계획에 따라 도장롤러(800)로써 무늬롤러, 하도롤러, 중도롤러, 상도롤러 중 필요한 롤러를 준비하는 도장롤러 준비단계(S2단계)와;
    좌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과 우측 프레임(101')의 일측 선단에 연결 프레임(102)이 연결되어 좌우측 프레임(101, 101')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U'자형 프레임 지지체(100)와, 상기 연결 프레임(102)의 중앙에 설치되는 손잡이(200)와, 상기 좌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좌측 브라켓(300)과, 상기 우측 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우측 브라켓(300')과, 내부 중공부가 수평방향으로 큰 롤러 수용부(401)와 작은 롤러 수용부(402)를 이루고 큰 롤러 수용부(401) 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료 이동홈(401a)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에 연통되는 도료 공급공(403)과,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을 덮는 홈 덮개(401b)와,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중앙부 도료공급공(403)에 연결되는 도료 공급호스(401c) 및, 상기 도료 이동홈(401a)의 일측면을 따라 큰 롤러 수용부(401)의 내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401e)과,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홈 덮개(401b)로 부터 큰 롤러 수용부(401)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 사이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상의 홈(401d)을 구비하며 외부가 다각체를 이루는 반 다각통체상의 롤러 수용체(400)와, 상기 큰 롤러 수용부(401)에 수용되는 도료공급롤러(500)와, 상기 작은 롤러 수용부(402)에 수용되어 도료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도료공급롤러(500)를 지지하는 보조롤러(600)와, 상기 롤러 수용체(400)의 길이 방향 상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의 표면에 도료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두께 균일화 판체(700)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101, 101')이 단차져서 그 사이가 좁아진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외주연이 상기 도료공급롤러(500)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도장롤러(800) 및, 상기 도료 공급호스(401c)에 연결되어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900)으로 구성된 도장장치에 선택한 도장롤러(800)를 장착하는 도장롤러 장착단계(S3단계)와:
    도료 도포구역을 설정하는 도료 도포구역 설정단계(S4단계)와;
    설정된 도포구역에 따라 사용할 도료 원료의 량을 결정하는 도료 원료량 결정단계(S5단계)와;
    결정된 도료 원료량을 도료 저장통(901)에 넣어 도료의 공급을 준비하는 도료공급 준비단계(S6단계)와;
    펌프(902)를 가동하여 도료공급호스(401c)를 통하여 롤러수용체(400)의 도료공급공(403)으로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단계(S7단계)와;
    도장롤러(800)로 도포구역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단계(S8단계)로 이루어지는 도장장치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롤러(800)의 외주연에는 무늬부재, 하도부재, 중도부재, 상도부재 중 어느 하나의 도장부재가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KR1020110062411A 2011-06-27 2011-06-27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1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11A KR101111208B1 (ko) 2011-06-27 2011-06-27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11A KR101111208B1 (ko) 2011-06-27 2011-06-27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208B1 true KR101111208B1 (ko) 2012-02-14

Family

ID=4584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4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1208B1 (ko) 2011-06-27 2011-06-27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9638A (zh) * 2020-06-05 2020-08-28 广西建工集团第二安装建设有限公司 一种快速涂刷花纹管装置
KR102583966B1 (ko) * 2023-02-13 2023-09-27 (주)백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반발경도 시험용 타점위치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549A (ja) 1997-09-30 1999-04-20 Asahi Sunac Corp 塗装具への塗料供給方法
KR100864977B1 (ko) 2007-06-30 2008-10-22 최규종 판넬용 도장장치 및 그 방법
KR100949088B1 (ko) 2009-09-22 2010-03-23 웰빙그린(주) 무늬 도장용 롤러
JP2011016073A (ja) 2009-07-09 2011-01-27 Kansai Paint Co Ltd 塗装用ローラ及びこれを用いた塗装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549A (ja) 1997-09-30 1999-04-20 Asahi Sunac Corp 塗装具への塗料供給方法
KR100864977B1 (ko) 2007-06-30 2008-10-22 최규종 판넬용 도장장치 및 그 방법
JP2011016073A (ja) 2009-07-09 2011-01-27 Kansai Paint Co Ltd 塗装用ローラ及びこれを用いた塗装方法
KR100949088B1 (ko) 2009-09-22 2010-03-23 웰빙그린(주) 무늬 도장용 롤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9638A (zh) * 2020-06-05 2020-08-28 广西建工集团第二安装建设有限公司 一种快速涂刷花纹管装置
KR102583966B1 (ko) * 2023-02-13 2023-09-27 (주)백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반발경도 시험용 타점위치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8300A1 (en) Painters wheeled caddy
KR100906256B1 (ko) 다 색상 페인트 도포장치
KR101111208B1 (ko)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KR20120013009A (ko) 천장용 퍼티 도포장치
EP2347066B1 (en) Tiling adhesive apparatus
JPH0786269B2 (ja) 流し展べ塗り床の施工用具
TWI602616B (zh) 流體噴霧裝置之貯槽快速汲取
CN110778071B (zh) 一种基于建筑工程的室内装修用自动刷墙装置
US5736001A (en) Combination drywall joint compound hopper and drywall tape dispenser
KR20150138631A (ko) 페인트 저장용기가 내장된 페인트 롤러
US8424480B2 (en) Vehicle tire coating apparatus
CN211817773U (zh) 一种地坪漆刮涂装置
CN104768657B (zh) 油漆刷辊系统
CN205531228U (zh) 一种滚筒刷
CN204396253U (zh) 一种自动化喷涂设备
US7748921B2 (en) Fluid applicator assembly
CN210175021U (zh) 备用型高压清洗循环系统
JP2006255558A (ja) 塗装装置
JP2003164794A (ja) 艇体用接着剤塗布装置
US2018036986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pplying paint to a surface
CN217069382U (zh) 一种涂料过滤、供漆、调压集成装置
KR20210054362A (ko)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
KR100621905B1 (ko) 차량의 글라스 마운팅용 프라이머 공급시스템
EP4467248A1 (en) Manual paint application system
JP2001145845A (ja) プライマー塗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102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