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784B1 - Pile type protecting wall - Google Patents
Pile type protecting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7784B1 KR101107784B1 KR1020100113984A KR20100113984A KR101107784B1 KR 101107784 B1 KR101107784 B1 KR 101107784B1 KR 1020100113984 A KR1020100113984 A KR 1020100113984A KR 20100113984 A KR20100113984 A KR 20100113984A KR 101107784 B1 KR101107784 B1 KR 101107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ast
- barrier
- pile
- support
- adjac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지주와 각 지주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차단패널을 포함하는 파일형 방벽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벽은 상기 다수의 지주의 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파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프리캐스팅 기초물; 및 상기 지주를 수평으로 관통하며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팅 기초물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ile barrier is disclosed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struts spaced apart and a plurality of blocking panels sandwiched between each strut. The disclosed barrier includes a plurality of piles supporting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posts; A plurality of precast foundations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posts; And a connecting unit which horizontally penetrates the posts and interconnects adjacent precast founda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방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방식으로 지지되는 다수의 지주 사이에 프리캐스팅 기초물을 연결 설치함에 따라 파일에 추가 지지력을 부가함으로써 파일의 근입 깊이를 줄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파일형 방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rier that is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oad, and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dditional precasting foundations between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supported by a pile method, by adding additional support force to the pi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depth of the pile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It is about the pile barrier which can be done.
일반적으로, 방벽은 도로변, 철로변, 공장 주변 및 각종 공사현장 등과 같은 소음발생원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어 각종 소음을 차단하거나 돌, 모래 등의 이물질이 주거지역 또는 도로변 등으로 침범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이다.In general, barriers are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noise sources such as roadsides, railroads, factories, and various construction sites to block various noises or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stones and sand from invading residential areas or roadsides. to be.
이러한 방벽은 통상, 소음발생원의 주변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주와, 서로 인접한 지주 사이에 차례로 적층되는 다수의 차단패널을 구비한다.Such a barrier is usu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ly installed struts and a plurality of blocking panels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adjacent strut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along the periphery of the noise source.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벽은 설치 영역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설하고 이 콘크리트 구조물 상단에 다수의 지주의 하단을 고정 설치하는데, 이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수의 지주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무게와 폭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대형 구조물에 해당한다.Such a conventional barrier embeds a concrete structure in an installation area and fixes the lower ends of a plurality of pillars on top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this case, the concrete structure has a predetermined weight and width so as to firmly support the plurality of pillars. Corresponds to a large structure intended to maintain.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넓은 설치영역이 필요하지만, 방벽이 주로 설치되는 도로변이나 철로변 등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설할 정도의 폭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설치 공간을 확보하더라도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설하기 위해 대규모 땅파기 작업 등을 사전에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embed concrete structures, a wide installation area is required,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width enough to embed concrete structures on roadsides and railroad sides where barriers are mainly installed. In addition, even if the installation space is secured, there was a need to proceed with a large-scale digging work in order to bury the concrete structur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소정 깊이의 파일을 매설하고 그 위에 지주를 지지하는 파일 방식으로 방벽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method of installing a barrier in a pile method for embedding a pile of a predetermined depth and supporting a support thereon has been proposed.
그런데 이러한 파일 방식으로 설치되는 방벽은 다수의 지주가 단지 파일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을 뿐 별도의 추가 지지구조가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또는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파일의 근입 깊이를 깊게 시공해야 하지만 이 경우 공사비가 증가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 barrier installed in the pile method has a problem that a plurality of struts are supported only by the pile but there is no additional support structure, which is vulnerable to external load or impac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depth of indentation of the pile deeply.
또한, 파일과 지주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은 파일이나 지주의 직경(또는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연결부분이 지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벽은 도로변에 설치 시 연결부분이 돌출되어 있어 차량이나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버 등 보호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ortion where the pile and the pillar are interconnected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pile or the pillar and thus the connection portion is exposed to the ground. Therefore, the conventional barrier has a hassle to provide a protective device, such as a separate cover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vehicle or pedestrian because the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when installed on the roadsid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지주에 추가 지지력을 부가하여 파일의 근입 깊이를 줄임으로써, 공사비 절감은 물론 외부 하중이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방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ng barrier that can withstand external loads or impacts as well as reducing construction costs by adding additional supporting force to a plurality of struts to reduce the indentation depth of the pi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지주와 각 지주를 지지하는 파일 간의 연결부분으로 인해 운행 차량 및 보행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연결부분이 설치영역에 매립되는 방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rier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area so that the driving vehicle and the pedestrian are not injured due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sts and the pile supporting the respective supporting pos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지주와 각 지주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차단패널을 포함하는 방벽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주의 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파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프리캐스팅 기초물; 및 상기 지주를 수평으로 관통하며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팅 기초물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방벽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rrier including a plurality of struts disposed at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blocking panels fitted between each strut, the plurality of piles supporting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truts; A plurality of precast foundations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posts; And a connecting unit penetrating the posts horizontally and interconnecting precast base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다수의 프리캐스팅 기초물 양측 단에 각각 상기 프리캐스팅 기초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나사; 및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팅 기초물의 상기 연결나사를 각각 체결하기 위한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screw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foundation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cast foundation; And a coupler for fastening the connection screws of the precast base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다수의 프리캐스팅 기초물은 상기 연결나사 주변으로 설치를 위한 작업 공간을 위한 홈을 형성하며, 상기 홈은 상기 커플링 체결작업이 완료되면 충진재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precast foundations form grooves for a work space for installation around the connection screw, and the grooves are preferably filled with filler when the coupling fastening operation is completed.
상기 다수의 파일과 상기 지주의 연결부분이 설치영역의 지면 밑으로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the support is embedded below the ground of the installation area.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벽의 다수의 지주가 파일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물론, 다수의 지주 사이에 각각 배치된 프리캐스팅 기초물을 연결유닛으로 상호 연결하므로 상기 다수의 지주는 상호 연결되는 프리캐스팅 기초물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일의 근입 깊이를 종래기술에서 적용되는 파일의 근입 깊이보다 얕게 설정하여도 종래기술에 비해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고, 아울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struts of the barrier are supported by the pile, the plurality of stru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cause the precast foundations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ruts are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ion unit. Precast foundations can provide additional support. Accordingly, even if the indentation depth of the pile is set to be shallower than the indentation depth of the pile applied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have a solid support for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and also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발명은 파일과 지주를 상호 연결하는 플레이트부 및 프리캐스팅 기초물의 하부가 토사에 의해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도로변 또는 인도변에 가깝게 설치 시 종래와 같이 연결부분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방호울타리 등의 추가 시설을 설치하지 않아도 운행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and the pre-casting foundation interconnecting the pile and the support is embedded by the earth and san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installed close to the roadside or side of the side, separate to cover the connection as in the prior art Even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fences,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vehicles and pedestrians.
더욱이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된 프리캐스팅 기초물을 구비함에 따라 종래의 옹벽형태의 방벽 기초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방식만으로 이루어진 종래 방벽에 비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as a barrier retaining foundation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as it has interconnected precasting foundations. Therefore, it can be made more robu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arrier made of the pile method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벽의 기초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벽의 기초부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basic portion of the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of the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 방벽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ile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벽은 다수의 파일(10), 다수의 지주(30), 프리캐스팅 기초물(50) 및 연결유닛(70)을 포함한다.1 and 2, a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다수의 파일(1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 영역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다수의 파일(10)은 설치 영역에 천공기 등을 통해 소정의 깊이로 파낸 구멍에 삽입한 뒤 모르타르 등을 상기 구멍에 주입하여 타설한다. 이 경우, 파일은 상술한 근입방법 이외에 항타를 이용한 설치도 가능하다. 상기 파일(10)은 H형강, 원형 강관, 각 강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때 다수의 파일(10)은 지주(30)와의 연결을 위해 상단의 플레이트(11)가 정지면(L)으로부터 소정 높이(H, 도 2 참고)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정지면(L)은 방벽 설치를 위한 기준면으로서 소정 폭과 깊이로 굴착한 설치영역의 지면을 나타낸다. 이 경우, 파일(10) 상단의 플레이트(11)는 정지면(L)에서 소정 높이(H)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다수의 지주(30)는 도로변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며, 각 지주(30) 사이에는 다수의 차단패널(40, 도 1 참고)이 적층상태로 끼워진다. 상기 지주(30)는 H형강, 원형 강관, 각 강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와 같은 다수의 지주(30)는 하단에 형성된 플레이트(31)가 각각 다수의 볼트(21) 및 너트(23)를 통해 파일(10)의 플레이트(11)에 상호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파일(10)의 플레이트(11)와 다수의 지주(30)의 플레이트(31)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판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Such a plurality of
이 경우, 다수의 파일(10) 및 지주(30)의 연결부분 즉, 플레이트(11,31)가 종래의 방벽보다 정지면(L)으로부터 훨씬 가깝게 위치한다. 더욱이 상호 연결된 플레이트(11,31)는 방벽 설치 후 정지면(L)을 형성하기 위해 굴착한 토사에 의해 완전 매립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방벽을 도로변에 가깝게 설치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도로 측으로 돌출되는 파일과 지주의 연결부분에 운행 차량이 충돌하여 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본 실시예의 방벽을 인도변에 가깝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의 날카로운 모서리 등에 보행자의 인체가 긁히는 등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arri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close to the side of the roa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damaged by collision of the driving vehicle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ile and the support projecting to the side of the road as in the prior art. When installed close to i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such as scratching the human body of the pedestrian, such as sharp edges of the connection.
더욱이 본 실시예의 방벽의 플레이트(11,31)를 토사(S)를 덮어 매립함에 따라 외부 노출을 차단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ior of the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은 서로 인접한 지주(30)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의 차단패널(40)을 지지함과 동시에, 방벽의 전체 하중을 받아 주며 방벽에 가해지는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방벽이 쓰러지는 것을 막아주는 기초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은 양단에 각각 한 쌍의 홈(51)이 형성되며, 이 홈(51)은 연결유닛(70) 설치 후 소정의 충진재로 채워진다. 이 경우, 충진재는 모르타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하에서는 지주가 H빔인 경우에 대해 지주(30)와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지주를 H빔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의 양단의 형상은 지주(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또한,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은 도로 측으로 노출되는 면(50a)이 지주(30)의 도로 측으로 노출되는 면(30a)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지주(30)에 삽입되는 양측 단에 단차부(5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경우 도로 측을 향하는 방벽의 외관이 매끄럽게 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더욱이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은 양측 단의 하부에는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을 지주(30)에 삽입하여 정지면(L)에 설치 시 플레이트부(11,31)에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의 요홈(55)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연결유닛(70)은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의 각 홈(51)에 배치되는 연결나사(71) 및 커플러(73)를 포함한다.The
연결나사(71)는 일부가 프리캐스팅 기초물(50)에 고정되도록 매설되며 대략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나사(71)는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재로 삽입되는 철근으로서 그 외주면에 나사부를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커플러(73)는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의 연결나사(71)를 각각 체결하여,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 커플러(73)는 지주(30)의 관통구멍(33)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된다. The
이와 같은 연결작업 시, 커플러(73)를 서로 인접한 2개의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의 연결나사(71)에 함께 체결함에 따라 인접한 2개의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인접한 2개의 프리캐스팅 기초물(50) 사이에 인장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방벽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onnection operation, as the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러(73)를 파이프 타입의 심플한 연결부재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커플러(73)는 상호 평행하게 마주하는 연결나사(71)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구조의 커플러라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연결유닛(70)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지주(30)와 프리캐스팅 기초물(50) 사이의 틈새에는 모르타르 같은 충진재로 채워진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팅 기초물(50)과 그 사이에 배치되는 지주(30)가 일체로 합성됨에 따라 견고한 연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유닛(70)을 빗물이나 습기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벽의 다수의 지주(30)가 파일(1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물론, 다수의 지주(30) 사이에 각각 배치된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을 연결유닛(70)으로 상호 연결하므로, 다수의 지주(30)는 상호 연결되는 프리캐스팅 기초물(50)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이에 따라 파일(10)의 근입 깊이를 종래기술에서 적용되는 파일의 근입 깊이보다 얕게 설정하여도 종래기술에 비해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고, 아울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indentation depth of the
또한, 본 발명은 파일(10)과 지주(30)를 상호 연결하는 플레이트부(11,31)와 함께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의 하부가 토사(S)에 의해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방벽을 도로변 또는 인도변에 가깝게 설치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연결부분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방호울타리 등의 추가 시설을 설치하지 않아도 운행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더욱이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된 프리캐스팅 기초물(50)을 구비함에 따라 종래의 옹벽형태의 방벽 기초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방식만으로 이루어진 종래 방벽에 비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serve as a barrier retaining foundation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y having the interconnecting
10: 파일 11, 31: 플레이트
30: 지주 50: 프리캐스팅 기초물
51: 홈 70: 연결유닛
71: 연결나사 73: 커플러10:
30: Shoring 50: Precast Foundation
51: groove 70: connection unit
71: connecting screw 73: coupler
Claims (4)
상기 다수의 파일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다수의 파일 상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설치영역의 지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프리캐스팅 기초물;
상기 지주를 수평으로 관통하며,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팅 기초물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지주와 인접한 프리캐스팅 기초물을 일체 거동 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방벽.A plurality of files inserted at a distance below the ground of the installation area;
A plurality of posts installed above the plurality of piles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piles and protruding to the ground of the installation region;
A precast foundation disposed respectively between said adjacent struts;
And a connecting unit penetrating the posts horizontally and interconnecting precast bas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unit is a pile barr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strut and adjacent precast foundation to integrally act.
상기 다수의 프리캐스팅 기초물 양측 단에 각각 상기 프리캐스팅 기초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나사; 및
상기 지주의 관통구멍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팅 기초물의 상기 연결나사를 각각 체결하기 위한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방벽.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unit,
At least one connecting screw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foundation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cast foundation; And
And a coupler positioned at the through-hole of the support, for coupling the connecting screws of the precast bases adjacent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3984A KR101107784B1 (en) | 2010-11-16 | 2010-11-16 | Pile type protecting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3984A KR101107784B1 (en) | 2010-11-16 | 2010-11-16 | Pile type protecting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7784B1 true KR101107784B1 (en) | 2012-01-20 |
Family
ID=4561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3984A Active KR101107784B1 (en) | 2010-11-16 | 2010-11-16 | Pile type protecting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778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27805A1 (en) * | 2019-01-23 | 2022-04-28 | Ail International Inc. | Post for a sound wall and sound wall employing the same |
RU2799933C1 (en) * | 2022-06-29 | 2023-07-14 | Евгений Валерьевич Чкалин | Building structure of the noise barrier |
KR102767867B1 (en) | 2023-11-30 | 2025-02-14 | (주)신화 | Protective fen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0017A (en) * | 1992-12-15 | 1994-06-28 | Natl House Ind Co Ltd |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foundation |
KR20090005399A (en) * | 2006-04-28 | 2009-01-13 |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 General purpose array processing |
KR20100090550A (en) * | 2009-02-06 | 2010-08-16 | 장영미 | Connecting apparatus and connect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elements and precast concrete element comprising the connecting apparatus |
-
2010
- 2010-11-16 KR KR1020100113984A patent/KR1011077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0017A (en) * | 1992-12-15 | 1994-06-28 | Natl House Ind Co Ltd |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foundation |
KR20090005399A (en) * | 2006-04-28 | 2009-01-13 |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 General purpose array processing |
KR20100090550A (en) * | 2009-02-06 | 2010-08-16 | 장영미 | Connecting apparatus and connect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elements and precast concrete element comprising the connecting apparat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27805A1 (en) * | 2019-01-23 | 2022-04-28 | Ail International Inc. | Post for a sound wall and sound wall employing the same |
RU2799933C1 (en) * | 2022-06-29 | 2023-07-14 | Евгений Валерьевич Чкалин | Building structure of the noise barrier |
KR102767867B1 (en) | 2023-11-30 | 2025-02-14 | (주)신화 | Protective fen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5738B2 (en) | Vehicle barrier system | |
US5400563A (en) | Combination column and panel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1364805B1 (en)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 |
US9234323B2 (en) | Post footing | |
KR101581938B1 (en) | The noise barrier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US20100272509A1 (en) | Traffic barrier section | |
US20230349117A1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 |
KR101107784B1 (en) | Pile type protecting wall | |
KR101095957B1 (en) | Door type road sig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JP6095840B1 (en) | Drainage basin, U-shaped side gutter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272494B1 (en)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413915B1 (en) | Noise barrier construction system using block module | |
KR101186563B1 (en) | Construction method and foundation structure used pile foundation of precast concrete for soundproofing fence | |
KR200266040Y1 (en) | Precast Concrete Base Structure for Soundproof Wall | |
KR101189041B1 (en) | Soundproofing walls using piles for constructing foundation and supporting pos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 |
JP4332651B2 (en) |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 |
JP7084712B2 (en) | Steel foundation members for road guard fences, road guard fence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 |
KR200387013Y1 (en) | Falling rock prevention pence | |
KR20210000098A (en) | Base structure for soundproof wall of roadway | |
KR102670724B1 (en) | Embedded Support Member And Protective Fence For Side Walk Including The Same | |
KR102654666B1 (en) | Precast concrete soundproof wall for inserting electrical wire tube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US12297617B2 (en) | Anchoring device | |
KR200323116Y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 |
JP7132681B2 (en) | Foundation members of road protection fences, road protection fences, and construction methods thereof | |
KR101003855B1 (en) | Road sig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