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041B1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Google Patents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6041B1 KR101106041B1 KR1020110082229A KR20110082229A KR101106041B1 KR 101106041 B1 KR101106041 B1 KR 101106041B1 KR 1020110082229 A KR1020110082229 A KR 1020110082229A KR 20110082229 A KR20110082229 A KR 20110082229A KR 101106041 B1 KR101106041 B1 KR 1011060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llet
- machining center
- motor
- workpiece
- pin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250 Clearance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35512 clearance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endless chain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 B23Q2716/08—Holders for tools or work comprising a divider or positioning device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머시닝 센터의 공작물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작물의 공급과 인출동작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이동중에 있는 제 1, 2펠릿이 유격없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 및 정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머시닝 센터의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changer of a machining center, and in particular, to supply and withdraw the workpiece more quickly, and to move and stop the first and second pellets in the movement to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play. It relates to a workpiece automatic changer of a machining center.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머시닝 센터는 보링 머신과 밀링 머신 및 드릴링 머신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 공작기계의 일종으로, 주축의 운동방향에 따라 수직형 머신과 수평형 머신, 수직ㆍ수평형의 기종으로 구분하며, 머시닝 센터의 운용은 직선운동, 회전운동, 주축회전의 세가지로 있는 데, 이들 운동은 수치제어(NC)서보와 NC스핀들에 의해 위치결정 및 주축속도가 제어된다.As is well known, the machining center is a complex machine tool that combines boring machine, milling machine and drilling machine into one, and is divided into vertical machine, horizontal machine and vertical and horizontal machine typ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ain axis. There are three operations of the machining center: linear motion, rotational motion and spindle rotation. These motions are controlled by the numerical servo (NC) servo and NC spindle.
한편, 이러한 머시닝 센터에는 가공을 위한 공작물을 상기 머시닝 센터로 자동 공급 및 인출하는 공작물 교환장치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chining center is provided with a workpiece exchange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nd withdrawing the workpiece for machining to the machining center.
상기 공작물 교환장치는 공작물을 머시닝 센터내의 가공툴상에 자동 공급하고, 또한 가공이 끝난 공작물을 인출한 후, 세팅된 위치로 이송한 다음, 새로운 공작물을 클램핑하여 머시닝 센터로 공급토록 하여 공작물의 공급과 인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workpiece changer automatically feeds the workpiece onto the machining tool in the machining center, and withdraws the finished workpiece, transfers it to the set position, clamps the new workpiece to the machining center, and supplies the workpiece. Withdrawal is made continuously.
하지만 종래 공작물 교환장치에는 공작물을 머시닝센터로 공급 및 인출하는 수단인 공급유닛이 한기만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공작물의 공급 및 인출작업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orkpiece exchange device, it is common that only one unit is provided with a supply unit, which is a means for supplying and withdrawing a workpiece into a machining center, thus causing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supply and withdrawal of the workpiece.
즉, 공작물이 머시닝센터내로 공급되면 공급유닛은 공작물이 가공되는 시간동안 머시닝센터앞에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공이 완료되면 공작물을 머시닝센터에서 인출한 후, 이동시켜 별도의 저장다이로 배출한 다음, 가공전의 다른 공작물을 빼내어 머시닝센터로 공급하게 됨으로서 공작물의 공급 및 인출작업이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불필요하게 지연됨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에도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었다.In other words, when the workpiece is supplied into the machining center, the supply unit waits in front of the machining center for the time that the workpiece is being processed. By removing other workpieces before processing and feeding them to the machining center, the feeding and withdrawal operations of the workpieces are not only inefficient, but also cause unnecessary problems in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due to unnecessarily delayed work time.
또한 공급유닛은 통상 턴테이블 방식으로 테이블의 회전으로 공작물을 머시닝센터로 공급 및 인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작업과정에서 머시닝센터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구성품들과 서로 간섭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In addition, the supply unit generally feeds and withdraws the workpiece into the machining center by rotating the table in a turntable manner, and thus, a phenomenon in which the supply unit interferes with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machining center often occurs.
(선행기술문헌)(Prior art document)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816637 호
Document 1: Korea Patent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16637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순차적으로 인출 동작하는 제 1, 2펠릿이 유격없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 및 정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머시닝 센터의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automatically change the workpiece of the machining center for the first and second pellets sequentially withdraw operation to move and stop to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play In provid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머시닝센터내로 공작물을 공급 및 인출시키는 공급유닛을 공작물 교환장치상에 필요에 따라 복수대를 구비하여 공작물의 공급 및 인출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머시닝센터의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chining unit with a plurality of feed units for supplying and withdrawing a workpiece into the machining center, as necessary, on a workpiece changer, so that the feeding and withdrawing work of the workpiece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To provide an automatic workpiece changer.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을 타고 좌, 우 왕복 이동하는 기대와, 상기 기대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승강하는 승강프레임이 구비된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공작물을 머시닝 센터로 공급 및 인출시키는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 머시닝 센터의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승강프레임 위에 고정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이 설치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위에 올려지며 하단에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 후 왕복 이동하는 제 1펠릿과, 상기 제 1펠릿 위에 올려지며 상기 제 1펠릿과 함께 전, 후 왕복 이동하며 공작물을 상기 머시닝 센터로 공급 및 인출시키는 제 2펠릿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일의 상면에는 고정스프로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 2펠릿의 하면에는 이동스프로켓이 설치되며, 상기 제 1펠릿의 전, 후방에는 제 1, 2아이들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2아이들롤러에는 체인이 감겨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체인은 상기 고정 및 이동스프로켓에 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 1펠릿의 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기 이동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 2펠릿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 1펠릿의 이동 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제 2펠릿을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ifting unit equipped with a lifting base which is mounted on the base and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ail, and the lifting frame is provided by the power of the motor, and the workpiece is installed on the lifting frame In the automatic work piece exchange apparatus of the machining center comprising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nd withdrawing to the machining center, the supply un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ifting frame, the motor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urface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motor A fixed rail to which a pinion is installed, and a rack which is mounted on the fixed rail and engaged with the pinion at a lower end thereof, the first pellet being reciprocated before and after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and on the first pellet. Raised and moved back and forth with the first pellets to feed and withdraw the workpiece into the machining center. It includes a second pellet, a fixed sprocke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rail, a moving sprocke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ellet, the first and second idle rollers are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first pellet. The first and second idler rollers are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chain, and the chain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pellets in a state of being bitten by the fixed and movable sprocket, and the second movable sprocket is installed. It is configured to move the pellets,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second pellets at a speed faster than the moving speed of the first pellets.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인출 동작하는 제 1, 2펠릿이 유격 없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 및 정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공급유닛을 필요에 따라 공작물 교환장치상에 복수대를 구비하여 공작물의 공급 및 인출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st and second pellets to be sequentially drawn out to move and stop the work to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play, so that more accurate and stable work can be achieved, and the feed unit as needed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hases to enable the supply and withdrawal work of the work more quickly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센터에 설치된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의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승강유닛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급유닛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급유닛의 동작상태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utomatic workpiece exchanger installed in the machining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workpiece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side of FIG. 2;
4 is a diagram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unit shown in FIG.
5 is a diagram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ly unit shown in FIG.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upply uni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presen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머시닝센터(200)와, 상기 머시닝센터(200)로 공작물을 자동 공급 및 인출시키는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는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100)는 이동유닛(12)과, 승강유닛(24), 그리고 공급유닛(42)의 작동에 따라 공작물(1)을 머시닝 센터(200)내로 자동으로 공급하고, 가공 완료된 공작물(1)을 인출하여 별도의 저장다이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의 상세구성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7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100)는 직사각형상으로 복수개의 레일(20)위에 안치된 기대(10)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기대(10)에는 이동유닛(12)과 승강유닛(24) 그리고 공급유닛(42)이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2 to 7, the
상기 이동유닛(12)은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100)인 기대(10)를 상기 레일(20)을 통해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첨부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4)와, 상기 모터(14)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는 피니언(16)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16)은 상기 레일(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프레임(22)상에 구비된 랙(18)과 맞물리게 된다. 즉, 모터(14)의 동력으로 샤프트가 회전하면 피니언(16)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랙(18)을 타고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기대(10)는 레일(20)을 타고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moving
한편, 상기 승강유닛(24)은 공작물(1)이 머시닝 센터(200)내의 구성품들과 서로 간섭됨 없이 용이하게 공급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공작물(1)을 수직으로 상, 하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이러한 승강유닛(24)의 상세구성은 첨부된 도 3과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승강유닛(24)은 기대(10)내에 설치되는 모터(26)를 가지며, 상기 모터(26)에는 기대(10)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동축(28)이 연결되어 모터(26)의 동력으로 정,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28)의 상단에는 동일선상으로 피동축(30)이 설치되며, 상기 피동축(30)은 구동축(28)과 체인(36)으로 연결되어 구동축(28)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정, 역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36)은 구동축(28)의 회전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려지며 후술하는 승강축(32) 및 승강프레임(34)을 상, 하 이동시키게 된다. 즉, 첨부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36)은 일단으로 스프링(38)이 연결된 상태로 구동축(28)과 피동축(30)을 차례로 경유한 후, 승강프레임(34)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승강축(32)을 경유한 다음, 전술한 기대(10)의 상판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핀(40)에 연결 고정된다. 즉, 모터(26)의 동력으로 구동축(28)이 정, 역회전하게 되면 체인(36)은 상기 구동축(28)의 동력으로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승강축(32)은 상기 체인(36)의 동작으로 상, 하 이동하며 승강프레임(34)을 승,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3 and 4, the
한편, 상기 공급유닛(42)은 상기 승강유닛(24), 바람직하게는 승강프레임(34)상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각 개별 모터(44)의 동력으로 전, 후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며 공작물(1)을 머시닝센터(200)내로 공급하고, 가공 완료된 공작물(1)을 머시닝센터(200)에서 인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공급유닛(42)의 상세구성은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he
상기 공급유닛(42)은 크게 고정레일(35)과, 제 1, 2펠릿(60, 90)으로 나뉘어져 구성한다.The
상기 고정레일(35)은 전술한 승강유닛(24)의 승강프레임(34) 위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으로는 제 1롤러(48)가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제 1롤러(48)는 제 1펠릿(6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64)의 제 1가이드홈(6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펠릿(60)의 전, 후 이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게 된다.The
상기 고정레일(35)의 아래에는 모터(44)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44)의 축은 상기 고정레일(35)을 관통한 상태에서 피니언(46)이 결합되어 지고, 상기 피니언(46)에는 제 1펠릿(60)에 설치되어 있는 랙(61)이 맞물리게 된다.A
또한 상기 고정레일(35)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스프로켓(50)이 설치되어 진다. 상기 고정스프로켓(50)은 막대 형상으로 상면에는 체인(80)이 물려지기 위한 톱니(5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1펠릿(60)은 구동원인 모터(44)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 후 이동하는 것으로서, 중앙으로 평판 타입의 플레이트(62)와, 상기 플레이트(62)의 양측으로 가이드(64)가 구비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고정레일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안치된다.The
상기 제 1펠릿(60)의 플레이트(62) 일측 하단에는 랙(61)이 구비되며, 상기 랙(61)은 전술한 모터(44)의 축에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는 피니언(46)과 맞물려 상기 피니언(46)의 회전력으로 직선 이동하며 제 1펠릿(60)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A
또한 상기 제 1펠릿(60)의 플레이트(62) 전, 후방에는 제 1, 2축(70, 7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2축(70, 72)에는 제 1, 2아이들풀리(74, 76)가 결합되며, 상기 제 1, 2아이들풀리(74, 76)에는 체인(80)이 감겨지며, 상기 체인(80)은 다시 전술한 고정레일(35)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스프로켓(50)과 제 2펠릿(90)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스프로켓(92)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94)에 맞물리도록 구성한다. 상기 체인(80)은 제 1펠릿(60)의 이동에 따라 고정레일(35)의 고정스프로켓(50)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52)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펠릿(90)의 이동스프로켓(92)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94)에 맞물리며 상기 이동스프로켓(92)을 이동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이동스프로켓(92)이 결합되어 있는 제 2펠릿(90)을 전, 후 이동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즉, 본 발명은 모터(44)의 동력으로 제 1, 2펠릿(60, 90)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체인(70)을 통해 제 2펠릿(90)을 다시 별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 2펠릿(90)은 제 1펠릿(60)의 이동과 함께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체인(80)의 회전 이동동작까지 더해져 상기 제 1펠릿(60)의 이동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전, 후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 2펠릿(90)을 이동시킬 때, 종래와 같이 기어 치합 구조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면 기어 백래쉬에 의해 제 2펠릿(90)의 유격이 많은 반면, 본 발명과 같이 체인(80)을 통해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 2펠릿(90)을 유격 없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 및 정지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하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ve the
상기 제 2펠릿(90)은 상부에 올려져 있는 공작물을 머시닝센터(200)로 공급하거나 인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 1펠릿(60)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제 1펠릿(60)과 연동하는 체인(80)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펠릿(60)의 이동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전, 후 이동하며 공작물(10)을 머시닝센터(200)로 신속하게 공급 및 인출시키게 된다.The
즉, 상기 제 2펠릿(90)의 하단 중앙에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톱니(94)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스프로켓(92)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스프로켓(92)의 톱니(94)는 전술한 제 1펠릿(60)의 제 1, 2아이들롤러(74, 76)에 감겨져 있는 체인(80)에 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체인(80)이 회전 이동하면, 같이 연동하여 이동하며 제 2펠릿(90)을 이동시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2펠릿(90)은 모터(44)의 동력으로 제 1펠릿(60)과 함께 일정속도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다시 체인(80)을 통해 이동속도가 더해지게 됨으로서, 제 1펠릿(60)의 이동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전, 후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상기 제 2펠릿(90)의 양측에는 제 2롤러(96)가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롤러(96)는 제 1펠릿(6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64)의 제 2가이드홈(68)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펠릿(90)의 전, 후 이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게 된다.On both sides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공급유닛(42)을 승강유닛(24)에 하나만 설치한 것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기술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동일한 구조로 하여 승강프레임(34) 상에 복수대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각 공급유닛(42)이 공작물을 머시닝센터(200)로 번갈아가며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공작물(1)을 보다 신속하게 공급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공급유닛(42)이 복수대가 구비되면 두개의 공작물(1)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공작물(1)이 머시닝센터(200)에서 가공 완료되면 상기 공작물(1)을 인출함과 동시에 다른 공작물(1)을 머시닝센터(200)에 곧바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서, 공작물(1) 공급 및 인출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머시닝 센터의 공작물 교환장치의 작동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orkpiece exchanger of the machining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먼저, 가공 전의 공작물이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공급유닛(42)에 올려지게 되면 상기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는 이동유닛(12)의 작동에 따라 레일(20)을 타고 머시닝 센터(200)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First, when a workpiece before processing is placed on the
이후,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유닛(24)이 작동하여 공작물(1)이 올려져 있는 공급유닛(42)을 승강시키게 된다.Thereafter, the lifting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유닛(24)의 구동원인 모터(26)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축(28)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축(28)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36)은 감겨지게 된다. 이때 체인(36)의 끝단은 고정핀(40)으로 기대(10)의 상판(10a)에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서 감겨지는 과정에서 승강축(32)을 위로 승강시키게 되며, 따라서 승강축(32)이 관통 설치되어 있는 승강프레임(34)과, 상기 승강프레임(34)에 안치되어 있으며 공작물(1)이 올려져 있는 공급유닛(42)은 위로 일정높이만큼 승강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이후, 상기한 과정을 거쳐 공급유닛(42)이 위로 승강하고 나면, 상기 공급유닛(42)의 구동원인 모터(44)가 작동하여 공작물(1)을 머시닝센터(200)로 공급하게 된다. Thereafter, after the
즉, 첨부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4)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44)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46)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 1펠릿(6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46)과 맞물려 있는 랙(61)이 직선 이동하며 제 1펠릿(60)을 머시닝 센터(20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the power of the
또한 상기 제 1펠릿(60)이 이동하면 상기 제 1펠릿(60) 위에 안치되어 있으며 공작물(1)이 올려져 있는 제 2펠릿(90) 역시 연동하여 이동하며 공작물(1)을 머시닝센터(200)내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펠릿(90)은 체인(80)을 통해 제 1펠릿(60)의 이동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전, 후 이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 1펠릿(60)의 아이들롤러(74, 76)에 감겨져 있는 체인(80)은 제 1펠릿(60)의 이동에 따라 고정레일(35)의 고정스프로켓(50)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52)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펠릿(90)의 이동스프로켓(92)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94)에 맞물리며 상기 이동스프로켓(92)을 이동시키게 됨으로서, 상기 이동스프로켓(92)이 결합되어 있는 제 2펠릿(90)을 전, 후 이동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제 2펠릿(90)은 제 1펠릿(60)의 이동속도외에 체인(80)에 의한 이동속도까지 더해지게 됨으로서 상기 제 1펠릿(60)의 이동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전, 후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 2펠릿(90)을 이동시킬 때, 종래와 같이 기어 치합 구조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면 기어 백래쉬에 의해 제 2펠릿(90)의 유격이 많으므로, 체인을 통해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 2펠릿(90)을 유격 없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 및 정지시킬 수 있어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후, 상기 공급유닛의 동작에 따라 머시닝센터(200)내의 가공툴상에 공작물이 공급되면 상기 공급유닛(42)인 제 1, 2펠릿(50, 54)은 모터(44)의 역회전에 따라 머시닝센터(200)에서 신속하게 빠져나온 다음, 공작물의 가공이 완료되는 동안 대기한 후, 가공 완료된 공작물을 모터(44)의 동력으로 머시닝센터(200)에서 인출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a workpiece is supplied onto a machining tool in the
12: 이동유닛 20: 레일
24: 승강유닛 32: 승강축
34: 승강프레임 35: 고정레일
42: 공급유닛 44: 모터
50: 고정스프로켓 60: 제 1펠릿
80: 체인 90: 제 2펠릿
92: 이송스프로켓 100: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
200: 머시닝 센터 12: moving unit 20: rail
24: lifting unit 32: lifting shaft
34: lifting frame 35: fixed rail
42: supply unit 44: motor
50: fixed sprocket 60: first pellet
80: chain 90: second pellet
92: feed sprocket 100: automatic workpiece changer
200: machining center
Claims (1)
상기 공급유닛(42)은;
상기 승강프레임(34) 위에 고정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모터(44)가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모터(44)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46)이 설치되는 고정레일(35)과;
상기 고정레일(35) 위에 올려지며 하단에는 상기 피니언(46)과 맞물리는 랙(61)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44)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 후 왕복 이동하는 제 1펠릿(60)과;
상기 제 1펠릿(60) 위에 올려지며 상기 제 1펠릿(60)과 함께 전, 후 왕복 이동하며 공작물(1)을 상기 머시닝 센터(200)로 공급 및 인출시키는 제 2펠릿(9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일(35)의 상면에는 고정스프로켓(50)이 설치되고, 상기 제 2펠릿(90)의 하면에는 이동스프로켓(92)이 설치되며;
상기 제 1펠릿(60)의 전, 후방에는 제 1, 2아이들롤러(74, 76)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2아이들롤러(74, 76)에는 체인(80)이 감겨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체인(80)은 상기 고정 및 이동스프로켓(50, 92)에 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 1펠릿(60)의 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기 이동스프로켓(92)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 2펠릿(9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 1펠릿(50)의 이동 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제 2펠릿(90)을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 센터의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
An elevating unit 24 having a base 10 for reciprocating left and right on the rail 20, an elevating frame 34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elevating with the power of the motor 26, and In the workpiece automatic exchange device of the machining center installed on the lifting frame 34, including a supply unit 42 for supplying and withdrawing the workpiece to the machining center 200,
The supply unit 42 is;
A fixed rail 35 fixedly installed on the elevating frame 34 and having a motor 44 installed at a bottom thereof, and a pinion 46 rotating at a power of the motor 44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first rail 60 which is mounted on the fixed rail 35 and engaged with the pinion 46 at the lower end thereof is reciprocated before and after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44. ;
It is mounted on the first pellet 60 and includes a second pellet 90 for moving back and forth with the first pellet 60 and supplying and withdrawing the workpiece 1 to the machining center 200, ;
A fixed sprocket 50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rail 35, and a moving sprocket 92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ellet 90;
First and second idle rollers (74, 76) are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first pellet (60), and the chains (80) are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idle rollers (74, 76);
The chain 8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pellet 60 in a state of being bitten by the fixed and movable sprockets 50 and 92 and the second pellet having the movable sprocket 92 installed therein ( And 90) to move the second pellet (90) at a speed faster than the moving speed of the first pellet (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2229A KR101106041B1 (en) | 2011-08-18 | 2011-08-18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2229A KR101106041B1 (en) | 2011-08-18 | 2011-08-18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6041B1 true KR101106041B1 (en) | 2012-01-18 |
Family
ID=4561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2229A KR101106041B1 (en) | 2011-08-18 | 2011-08-18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60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131B1 (en) | 2014-03-17 | 2014-09-25 | 주식회사 정우기술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CN113126565A (en) * | 2021-04-14 | 2021-07-16 | 新代科技(苏州)有限公司 | Bending center edge-changing track planning algorith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66430A (en) * | 1983-09-21 | 1985-04-16 | Oki Electric Ind Co Ltd | Forming method of resist pattern |
JPS6066430U (en) | 1983-10-12 | 1985-05-11 | ||
JPH1190760A (en) | 1997-09-18 | 1999-04-06 | Hookosu Kk | Multistage type conveying device fitted on side face of machine tool |
KR20010026348A (en) * | 1999-09-06 | 2001-04-06 | 김종국 | Linear transfer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oducts |
KR100816637B1 (en) | 2006-12-08 | 2008-03-25 | 주식회사 정우기술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
2011
- 2011-08-18 KR KR1020110082229A patent/KR10110604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66430A (en) * | 1983-09-21 | 1985-04-16 | Oki Electric Ind Co Ltd | Forming method of resist pattern |
JPS6066430U (en) | 1983-10-12 | 1985-05-11 | ||
JPH1190760A (en) | 1997-09-18 | 1999-04-06 | Hookosu Kk | Multistage type conveying device fitted on side face of machine tool |
KR20010026348A (en) * | 1999-09-06 | 2001-04-06 | 김종국 | Linear transfer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oducts |
KR100816637B1 (en) | 2006-12-08 | 2008-03-25 | 주식회사 정우기술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131B1 (en) | 2014-03-17 | 2014-09-25 | 주식회사 정우기술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CN113126565A (en) * | 2021-04-14 | 2021-07-16 | 新代科技(苏州)有限公司 | Bending center edge-changing track planning algorithm |
CN113126565B (en) * | 2021-04-14 | 2022-09-20 | 新代科技(苏州)有限公司 | Bending center edge changing track plann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394916B (en) | Adopt uncoiling blanking production equipment and the processing method of laser cutting technique | |
CN104625290A (en) | Cantilever type automatic tin soldering device | |
KR101095839B1 (en) | Automatic blank shaft machine | |
CN106003267A (en) | Mortising, drilling and slot-milling multi-station processing machine tool for solid-wood square stock | |
CN105345274A (en) | Light guide plate machining device | |
CN206263322U (en) | For the gantry type double-head CNC milling machine of wheel hub processing | |
CN102409488B (en) | Electro-pattern sewing machine | |
KR101082972B1 (en) | Processing apparatus for two heads milling | |
KR101106041B1 (en)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
CN103331612A (en) | Automatic machine tool for inflating valve | |
CN206544060U (en) | Automatic lathe feeding device | |
KR100910590B1 (en) | A multipurpose carving machine with the movement of both direction | |
KR20100119017A (en) | Stone cutting machine | |
CN206795054U (en) | Laser cutting machine mobile work platform | |
KR100957609B1 (en) | A exclusive processing facilities for v-groove | |
KR100932540B1 (en) | A combined processing facilities with processing many faces | |
CN203526653U (en) | Full-automatic malleable cast iron pipe fitting end-flattening machine | |
CN213945316U (en) | Laser plate cutting machine with jacking loading attachment | |
CN203390204U (en) | Automatic rolling front fee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lathe | |
KR101079142B1 (en) | Automation overhead equipment | |
KR100816637B1 (en) | Automatic works change device for machining center | |
CN103252525A (en) | Workpiece surface processing method and multi-shaft milling planer | |
CN202278670U (en) | Stone profiling machine | |
CN102350740B (en) | Multi-head stone profiling cutting machine | |
JP5275663B2 (en) | Modified cross section bar supply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