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546B1 -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 Google Patents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9546B1 KR101099546B1 KR1020100067834A KR20100067834A KR101099546B1 KR 101099546 B1 KR101099546 B1 KR 101099546B1 KR 1020100067834 A KR1020100067834 A KR 1020100067834A KR 20100067834 A KR20100067834 A KR 20100067834A KR 101099546 B1 KR101099546 B1 KR 1010995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planting
- planting space
- water storage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413 gardening Method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580 one pot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식재(植裁)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화분에 대해 식물을 상부에서 식재하도록 하는 공간과 더불어 전면으로 식재하는 공간을 형성하되, 이들 각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다양하고 화려한 조경을 이루면서도 식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목적으로, 저부에 물 저장공간(111)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1식재공간(112)이 형성된 제1벽부(110)와, 상기 제1식재공간(112)과 제1벽부(110)로 격리되고 내부에 제2식재공간(121)이 형성된 제2벽부(120)와, 상기 제1식재공간(112)와 제2식재공간(121)을 분리한 제1벽부에 천공되어 상기 제1식재공간과 제2식재공간이 상호 연통하도록 한 연통홀(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식재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scape planter having a double planting space,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space for planting in front of the plant together with a space for planting the plant for one pot, each of these spaces The first wall portion 110 formed with a water storage space 111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is formed at the top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planting work while forming a variety of colorful landscaping by forming one space. ), A second wall portion 120 which is isolated from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and the first wall portion 110, and a second planting space 121 is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and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There is provided a landscaping plant having a double planting space, which comprises a communication hole 113 drilled into the first wall portion separating the two planting spaces 121 so that the first planting space and the second planting sp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등에 설치된 난간 등의 경관 조성을 위한 이중 식재(植裁)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화분에 대해 식물을 상부에서 식재하도록 하는 공간과 더불어 전면으로 식재하는 공간을 형성하되, 이들 각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다양하고 화려한 조경을 이루면서도 식물의 뿌리의 발근력에 도움이 되며 식재직후 피복효과를 볼 수 있고 식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scape planter having a double planting space for creating landscapes such as railings installed on roads, more specifically, to plant the front with a space for planting plants from the top for one potted plant. By forming a space, each of these spaces is formed into a single space to create a diverse and colorful landscape, while supporting the rooting power of the roots of the plant, and to see the coating effect immediately after planting, and to make the planting work a double planting space. It relates to landscaping pots with.
일반적으로 박람회나 전시 등의 행사가 개최되는 경우 그 행사의 이미지 향상을 위해 조경이 이루어지며, 또한 도심의 녹화사업의 일환으로도 가로변, 중앙분리대 등의 난간에 전시조경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when an event such as an exhibition or an exhibition is held, landscaping is performed to improve the image of the event. Also, as part of the greening business in the city, exhibition landscaping is performed on the railings of roadsides and central dividers.
종래 조경 화분의 일 실시 예로서 특허문헌 1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379450호는 화분에 꽃 등의 식물을 식재하는 장식용 꽃벽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것은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수평대가 구비되어 있고 상,하 수평대의 사이에는 다단의 화분 걸이홀이 형성된 다수의 수직대가 구비되어 있는 화분 장착부와, 상기 수직대의 화분 걸이홀에 후방에 형성된 고리가 삽입되어 다단의 좌우로 연속하여 장착되는 꽃이 심어진 화분(4)과, 상기 수직대와 수평대(31)에 고정되어 각 화분(4)의 상부에 구비되며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물 분사공(51)이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분기호스, 및 상기 분기호스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landscaping potted plant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379450, which is
또 다른 종래 조경 화분의 실시 예로서 특허문헌 2인 등록실용신안 제 20-0309852호는 도 5와 같이 식물이 식재되는 꽃식재부(10)와, 상기 꽃식재부(10)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탱크(30) 및 상기 물저장탱크(3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오버플로우관(31)과, 상기 물저장탱크(30) 내의 물을 꽃식재부(10)로 공급하는 물공급부재(40)를 포함하는 자동급수식 화분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30)의 상측에는 하부에 단턱(16)을 갖고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화분의 물저장탱크(30)가 삽입되는 받침틀(2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40)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물을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34)가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40)의 상부면에는 캡(32)이 결합되는 자동급수식 화분을 제안하였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landscaping potted plant Patent Registration No. 20-0309852 No. 2 is a flower planting
이때 적층된 다수의 조경용 화분을 비롯하여 수평대와 수직대가 외부로 노출되면 미관을 해치므로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이용하여 화분과 수평대 및 수직대 등을 가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위해 특허문헌 1과 같은 화분(4) 내부 또는 특허문헌 2와 같이 꽃식재부(10)에 식물을 조밀하게 식재하거나 줄기가 긴 식물을 식재하여 꽃과 줄기를 화분 앞(전면)으로 늘어뜨려야만 한다.In this case, it is common to cover the pollen, the horizontal stand and the vertical stand using plants planted in the pot, sinc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ands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cluding a plurality of laminated flower pots. In the same pot (4) or as in
그러나 식물을 조밀하게 식재하면 각 식물의 뿌리에 충분한 영양분과 물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이나 발육이 좋지 않고, 그만큼 조경 가능한 기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plants are densely planted, sufficient nutrients and water cannot be supplied to the roots of the plants, so tha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plants are not good, and the landscaping period is shortened.
뿐만 아니라 식물의 줄기가 비교적 긴 식물을 선택하여 화분(4)이나 꽃식재부(10)에 심고 그 줄기를 화분의 앞(전면)으로 늘어뜨려야 하므로, 결국 줄기가 긴 식물을 선택해야만 하는 등, 꽃 선택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수 없게 되어 조경이 단조롭고 다양한 조경 연출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plants with relatively long stems should be selected and planted in the pots (4) or flower planting (10), and the stems should be stretched to the front (front) of the po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election of flowers is very limited, so that various plants cannot be planted and the landscaping is monotonous and various landscapes cannot be produced.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조경용 꽃 식재시 줄기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것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에서 임의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음은 물론 꽃을 조밀한 간격으로 식재하지 않더라도 식재된 식물을 이용하여 피복 효과가 바로 나타나며 화분이나 기타 화분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can be planted arbitrarily selected from a variety of species regardless of whether the length of the stem is long or short when planting flowers for landscaping of course planting flowers at dense intervals Even if you do not use the planted plants, the effect of the coating immediately appears, and to provide a potted plant with a double planting space to prevent the exposure of the support for fixing the pot or other po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부에 물 저장공간(111)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1식재공간(112)이 형성된 제1벽부(110)와, 상기 제1식재공간(112)과 제1벽부(110)로 격리되고 내부에 제2식재공간(121)이 형성된 제2벽부(120)와, 상기 제1식재공간(112)와 제2식재공간(121)을 분리한 제1벽부에 천공되어 상기 제1식재공간과 제2식재공간이 상호 연통하도록 한 연통홀(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이때 상기 제2식재공간(121)의 바닥부는 제1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ttom portion of th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물 저장공간(111)과 제1식재공간(112)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망(130)과, 상기 분리망(130)을 관통하여 하부로 늘어뜨려서 분리망 저부에 저장된 물을 상부로 공급하는 물 공급부재(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installed between the
이때 상기 제1벽부(110)에서 물 저장공간(111)과 제1식재공간(112) 사이의 경계면에 물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도록 배수홀(114)이 천공되되, 상기 배수홀(114)의 저면이 경계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망(130)의 일측 단부가 상기 배수홀(114)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분리망 일측이 절곡 연장된 꺾임부(13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분리망 내부에 분리망을 지지하는 받침발(131)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벽부(110) 내면에 상기 분리망을 지지하는 받침리브(115)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상면에 식재할 수 있는 제1식재공간과 전면에 식재할 수 있는 제2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면서도 각 공간에 식재된 식물이 하나의 공간에 형성된 흙에 식재되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for planting plants in a pot is divided into a first planting space for planting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space for planting on the front surface, but the plants planted in each space are in one space. To be planted in the soil formed.
따라서 하나의 저장공간에 물이나 양분을 저장하여 제1 및 제2식재공간에 식재된 각 식물에 공급하므로 화분의 공간활용성이 우수하면서도 식재된 식물을 이용하여 화분 등을 가리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다.Therefore, the water or nutrients are stored in one storage space and supplied to each plant planted in the first and second planting spaces, so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pots is excellent, and the work of covering the pots using planted plants is very simple. .
게다가 줄기가 짧은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더라도 화분을 가릴 수 있게 되므로 꽃 종류에 제안이 없이 자유롭고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고, 그만큼 다양한 종을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게 되어 조경 연출이 다채롭다는 효과를 가진다.Moreover, even if the stems are planted with a short variety of plants, you can cover the pots, so you can plant them freely without any suggestions on the types of flowers, and you can select and plant various species, so the landscape production is divers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에서 제1식재공간과 분리망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인 특허문헌 1의 조경용 화분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인 특허문헌 2의 급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ndscape planter having a double pla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ndscape planter with a double pla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planting space and the separation net in a landscape planter having a double pla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ndscaping plant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ior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tructure of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only to the illustrated form,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ordinary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of the illustrated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의 횡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ndscape planter with a double pla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ndscape planter with a double pla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은, 제1식재공간(112)과 제2식재공간(121)을 갖춘 화분(100)을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상기 화분(100) 내에 설치되는 분리망(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the planter for landscaping having a double plant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1식재공간(112)은 주변에 제1벽부(110)가 둘러쌓여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되고, 제1벽부(110) 저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 저장공간(1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벽부(110)는 저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 저장공간(111)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물 저장공간(111)의 상부에 제1식재공간(112)이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저면이 패쇄된 형태이다.The
상기 제2식재공간(121)은 주변에 제2벽부(120)가 둘러쌓여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되되, 상기 제1식재공간(112)을 이룬 제1벽부(110)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식재공간(121)은 상기 제1식재공간(112)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식재공간(121)을 이루는 제2벽부(120)는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저면이 패쇄되되 측면의 일측이 상기 제1벽부(110)와 접하고 있다.The
이에 따라 제1벽부(110) 중 어느 하나의 벽면은 제1식재공간(112)과 제2식재공간(121)을 격리시키게 되고, 각 공간을 격리시킨 제1벽부 면에는 제1식재공간(112)과 제2식재공간(121)을 상호 연통하게 하는 연통홀(113)이 천공되어 있다.Accordingly, any one wall surface of the
따라서 도 2와 같이 제1식재공간(112)과 제2식재공간(121)은 연통홀(113)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비록 식물은 2개로 분리된 공간(112)(121)에 식재되었지만, 각 공간(112)(121)에 위치한 식물은 하나의 공간에 채워진 흙에 식재되고, 동시에 물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물로부터 성장에 필요한 물이나 양분을 공급받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since the
상기 화분(100)의 구조에 따라 각 공간(112)(121)에 식재된 식물 중, 제1식재공간(112)에 식재된 식물은 화분(100)의 상부를, 제2식재공간(121)에 식재된 식물은 화분(100)의 전면을 커버하여 화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Of the plants planted in each of the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제2식재공간(121)의 바닥부는 제1벽부(110)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하면 화분(100)이 전면으로 돌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제2식재공간(121)에 식재한 식물로 화분(100) 전면을 커버하는 것이 용이하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bottom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에서 제1식재공간과 분리망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planting space and the separation net in a landscape planter having a double pla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물 저장공간(111)과 제1식재공간(112) 사이에는 화분(100)과 탈부착 가능한 분리망(130)이 설치되고, 상기 분리망(130)에는 물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물이나 양분을 제1식재공간(112)과 제2식재공간(121)에 채워진 흙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재(140)가 설치된다.1 to 3, between the
상기 분리망(130)은 망사 형태로 되어 제1식재공간(112)에 채워진 흙과 물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물이 상호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물 공급부재(140)는 상기 분리망(130)의 상단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하측으로 늘어뜨린 것으로, 부직포와 같이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된다.The
이에 따라 분리망(130) 하부로 늘어진 물 공급부재(140)는 물 저장공간(111)에 침지되어 물을 흡수하고, 물 공급부재(140)에 흡수된 물은 점차 위로 향하여 제1식재공간(112)으로 투입되는데, 이러한 물 공급부재(140) 형태는 조경용 화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이므로 이에 관한 재질이나 작용,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물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물이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물은 화분(100)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제1벽부(110)에는 배수홀(114)이 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수홀(114)은 상기 물 저장공간(111)과 제1식재공간(112) 사이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물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물이 오버플로우되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order to circulate water stored in the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도 3과 같이 상기 배수홀(114)의 저면이 물 저장공간(111)과 제1식재공간(112)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하도록 하면, 물 저장공간(111)의 수위가 분리망(130)이 설치된 위치와 동일하게 되어 제1식재공간(112)으로의 물 공급이 원활하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bottom of the
이때 배수홀(114)로 제1식재공간(112)에 채워진 흙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분리망(130)의 일측 단부를 상기 배수홀(114)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분리망(130) 일측을 상부로 꺾어서 연장시킨 꺾임부(132)를 갖도록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oil filled in the
이와 같이 하면, 제1식재공간(112)에 채워진 흙이 꺾임부(132)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결국 흙이 배수홀(114)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배수홀(114)로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 상기 꺾임부(132)를 상향 경사지게 하였으나, 이는 계단과 같이 단이 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way, the soil filled in the
한편, 상기 분리망(130)을 화분(100) 내에 고정하는 형태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분리망(130) 내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받침발(131)을 복수 개 형성하고, 상기 받침발(131)의 하단이 물 저장공간(111)의 바닥과 접하여 지지되게 하는 형태로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벽부(110)에서 물 저장공간(111)을 이룬 벽 내면에 상기 분리망(130)의 가장자리 하단과 접하여 지지하는 받침리브(115)가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벽부(110)의 내면에 상기 분리망(130)의 가장자리를 받쳐주는 턱을 형성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form of fixing the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물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물이나 양분은 부직포 등으로 된 물 공급부재(140)에 의해 제1식재공간(112)의 흙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연통홀(113)을 통해 제2식재공간(121)으로도 공급되므로 화분(100)의 공간활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1식재공간(112)에 식재된 식물은 화분의 상면을 커버하고, 제2식재공간(121)에 식재된 식물은 화분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게 되므로 조경 공사가 용이하고 식물 선택이 자유로우며, 따라서 다채로운 조경을 이룰 수 있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water or nutrients stored i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화분 110... 제1벽부
111... 물 저장공간 112... 제1식재공간
113... 연통홀 114... 배수홀
115... 받침리브
120... 제2벽부 121... 제2식재공간
130... 분리망 131... 받침발
132... 꺾임부
140... 물 공급부재100 ... flowerpot 110 ... first wall
115 ... Support rib
120 ...
130 ...
132 ... folds
140. Water supply
Claims (5)
상기 제1식재공간(112)의 일측에 제2식재공간(121)이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저면이 패쇄되되 측면의 일측이 상기 제1벽부(110)와 접한 제2벽부(120)와,
상기 제1식재공간(112)과 제2식재공간(121)을 격리한 제1벽부에 천공되어 상기 제1식재공간과 제2식재공간이 상호 연통하도록 한 연통홀(113)을 포함하는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공간(111)과 제1식재공간(112) 사이의 제1벽부(110) 경계면 일측에 물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도록 배수홀(114)이 천공되되 상기 배수홀(114)의 저면이 물 저장공간(111)과 제1식재공간(112)의 경계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물 저장공간(111)과 제1식재공간(112)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망(130)이 더 포함되되 상기 분리망(130)의 일측 단부가 상기 배수홀(114)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분리망 일측이 절곡 연장된 꺾임부(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A first wall portion 110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closed such that a water storage space 111 is formed at a bottom thereof, and a first planting space 11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space 111;
A second wall portion 120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side and bottom surfaces closed so that a second planting space 1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but one side of th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wall portion 110. Wow,
Double plantings including a communication hole 113 perforated in the first wall portion separating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and the second planting space 121 so that the first planting space and the second planting sp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landscape flower pots with space,
The drainage hole 114 is drilled so that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overflows and discharges on one side of the boundary surface of the first wall part 110 between the water storage space 111 and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The bottom of the 114 is locat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water storage space 111 and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A separation net 130 is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water storage space 111 and the first planting space 112 to be detachably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separation net 130 is disposed above the drain hole 114. Landscaping plant with a double plant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132 is extended extending one side of the separation network to be loc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7834A KR101099546B1 (en) | 2010-07-14 | 2010-07-14 |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7834A KR101099546B1 (en) | 2010-07-14 | 2010-07-14 |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206A KR20120007206A (en) | 2012-01-20 |
KR101099546B1 true KR101099546B1 (en) | 2012-03-28 |
Family
ID=4561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783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9546B1 (en) | 2010-07-14 | 2010-07-14 |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954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841Y1 (en) | 2017-11-07 | 2018-11-13 | (주)동방에이젯 | Hanger type flower pot for controlled growth of sedu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1443U (en) | 1973-10-31 | 1975-06-24 | ||
JPS52170645U (en) | 1976-06-19 | 1977-12-24 | ||
KR200387463Y1 (en) * | 2005-03-12 | 2005-06-17 | 배근학 | A flowerpot for hanging on a street light and a telegraph pole |
KR200411876Y1 (en) * | 2005-11-10 | 2006-03-21 | 이영오 | Flowerpot with water supply |
-
2010
- 2010-07-14 KR KR1020100067834A patent/KR1010995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1443U (en) | 1973-10-31 | 1975-06-24 | ||
JPS52170645U (en) | 1976-06-19 | 1977-12-24 | ||
KR200387463Y1 (en) * | 2005-03-12 | 2005-06-17 | 배근학 | A flowerpot for hanging on a street light and a telegraph pole |
KR200411876Y1 (en) * | 2005-11-10 | 2006-03-21 | 이영오 | Flowerpot with water suppl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841Y1 (en) | 2017-11-07 | 2018-11-13 | (주)동방에이젯 | Hanger type flower pot for controlled growth of sed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206A (en) | 2012-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258925A1 (en) | Vertical planter | |
KR101234615B1 (en) | Planter for green wall | |
CN208159425U (en) | Flower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subsurface irrigation of built-in flower pots | |
KR102039379B1 (en) | multi-pot with a water tank which is easy for planting | |
JP5856828B2 (en) | Indoor planting partition | |
KR101338853B1 (en) | Flower bed | |
JP3203083U (en) | Flowerpot structure | |
KR101099542B1 (en) | Watering structure of flowerpots suitable for vertical lamination | |
KR101028771B1 (en) | Multiple flower pots with water supply | |
CN205962012U (en) | Gardens solid flowerpot for flower bed | |
KR101099546B1 (en) |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 |
KR200436996Y1 (en) | Hanging flower pot | |
KR100817549B1 (en) | Multipurpose Prefab Planter | |
KR200465181Y1 (en) | Flowerpot Combination table | |
CN206559865U (en) | A kind of wall hanging combined flower pot | |
CN205961985U (en) | water storage planter with lighting | |
KR102652312B1 (en) | Vertical gardening device | |
KR100597934B1 (en) | Watering plant | |
CN205961984U (en) | Water storage pot structure | |
KR200496880Y1 (en) | Inner space partition type flowerpot | |
CN217445972U (en) | Multifunctional green plant pot | |
KR200356742Y1 (en) | Flower pot | |
JP3932435B2 (en) | Suspended brine planter | |
KR20200086831A (en) | A self watering flowerpot | |
TWM586521U (en) | Combined floor flower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