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880B1 - Float removal equipment for water level control - Google Patents
Float removal equipment for water level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7880B1 KR101097880B1 KR1020110038733A KR20110038733A KR101097880B1 KR 101097880 B1 KR101097880 B1 KR 101097880B1 KR 1020110038733 A KR1020110038733 A KR 1020110038733A KR 20110038733 A KR20110038733 A KR 20110038733A KR 101097880 B1 KR101097880 B1 KR 101097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tube
- hopper
- foreign matter
- discharge pipe
- flo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3 g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82 bulky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로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과 부피가 작은 부유물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 하 수직으로 이동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선단에 설치되며 원수의 수위에 맞추어 상기 내관의 수직 이동으로 원수의 수면에 근접하는 호퍼를 포함하며, 상기 내관의 내부에는 상기 내관의 내부 통로를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호퍼를 통해 유입된 부피가 작은 부유물은 통과시키고, 부피가 큰 이물질은 걸러내는 이물질 제거필터와, 상기 내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필터에 걸려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이물질을 외부 처리시설로 통과시키는 주름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vel control floa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a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 and a small float in one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and the inner tube to move up and down ver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ans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exterior, and installed at the tip of the inner tube of the inner tub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raw water It includes a hopper close to the surface of the raw water in the vertical movement,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is partitioned with the inner passage of the inner tube to pass the small float floating through the hopper, the large foreign matter is filtered out Including a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a discharge pipe for penetrating the one side of the inner tube and discharges the foreign matter caught in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and the discharge pipe, including a corrugated pipe passing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o an external treatment facility.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비로 수위조절과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과 부피가 작은 부유물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control apparatus for level adjus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 control apparatus for level control, which enables the level control and the removal of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nd small volume floats with a single equipment.
일반적으로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은 오수 또는 폐수가 유입되어 일정기간 저장되며, 각종 약품처리 등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 후 상수도나 하수천으로 방류하게 된다.In general, purified water and sewage treatment plants are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the introduction of sewage or wastewater.
한편, 오·폐수의 처리 시 부피가 큰 각종 이물질은 별도의 처리장치를 통해 제거되며, 부피가 작은 스컴(SCUM), 오일류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꽃가루, 비닐 등의 부유물은 작업자가 뜰채를 이용하여 직접 제거하거나 부표식 제거기로 부유물을 제거하고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tewater is treated, various bulky foreign matters are removed through a separate treatment device, and small scum, oils, and pollutants, such as pollen and vinyl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removed by workers using Either by direct removal or by floating buoy removers.
이와 같이 뜰채 또는 부표식 제거기를 이용한 부유물의 제거는 일부 부유물 만을 간헐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오·폐수의 처리과정 중 수면으로 부상된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부유물에 각종 미생물이 서식하면서 정수환경을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공기와 수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수질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또한 뜰채를 이용한 인력제거방식의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val of suspended solids using a gardening or buoy remover removes only some of the suspended solids intermittently, and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remove the floating floated water during the treatment of the wastewater. In addition to polluting the water purification environment, reduc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ir and the water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water quality, and in the case of the manpower removal method using the gardening has caused a problem of increasing the fatigue of the worker.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부유물 제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cently, various types of float remove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일 예로, 복수개의 갈퀴가 무한궤도 타입의 링크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갈퀴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비교적 부피가 큰 쓰레기등의 각종 협잡물을 제거하는 로터리식 제진기를 들수 있고, 이외에도 호퍼를 수면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원수가 상기 호퍼의 내부로 빨려들어가는 과정에서 원수에 뭉쳐져 있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부유물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기를 예로 들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rakes are installed at a fixed distance to the link chain of the caterpillar type, and the rotary rake continuously rotates to remove various debris such as a relatively bulky waste, in addition to the hopper on the water surface For example, a float remover may be used to remove a relatively small float suspended in the raw water while the raw water is sucked into the hopper.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은 한대의 장비로는 부피가 다른 부유물과 협잡물을 동시에 제거할 수 없음으로서, 각 장비를 개별적으로 설치해서 사용해야 하며, 따라서 설비 비용 증가로 인해 비경제적이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move floating materials and other contaminants of different volumes at the same time with one piece of equipment, so that each piece of equipment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and thus it is uneconomical due to an increase in facility cost.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비로 수위조절과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과 부피가 작은 부유물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water level adjustment float removal equipment for removing the water level control and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 and small volume floating with one equipment.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의 원수를 떠다니는 이물질 및 부유물을 처리하는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에 있어서,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 하 수직으로 이동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선단에 설치되며 원수의 수위에 맞추어 상기 내관의 수직 이동으로 원수의 수면에 근접하는 호퍼를 포함하며, 상기 내관의 내부에는 상기 내관의 내부 통로를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호퍼를 통해 유입된 부피가 작은 부유물은 통과시키고, 부피가 큰 이물질은 걸러내는 이물질 제거필터와, 상기 내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필터에 걸려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이물질을 외부 처리시설로 통과시키는 주름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water level control floating material removal equipment for processing foreign matter and floating matter floating i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ewage treatment plant, the appearance and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exterior And an inner tube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nd a hopp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tube and approaching the surface of the raw water by vertical movement of the inner tub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raw water, and the inner passage of the inner tube inside the inner tube. In the partitioned state is passed through the hopper is a small float floating material, the bulky foreign matter is filtered through the foreign matter removal filter, and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inner tube and discharges foreign substances caught by the foreign matter removal filter It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and the discharge pipe, passing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o the external treatment facility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umgwan.
상기 외관의 상단 둘레면에는 플랜지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는 패킹이 얹혀지며, 상기 패킹의 상면에는 패킹누름대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와 볼트 및 너트 체결되며, 상기 패킹을 가압 고정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A flange is welded to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and a packing for sealing a gap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exterio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nd the flange and the bolt and the nut are fastened with a packing press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It is preferable to press the packing to be fixed.
본 발명은 조작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내관의 상단에 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호퍼를 수면에 근접 구성하여 원수에 뭉쳐져 있는 부피가 작은 각종 부유물을 원수와 함께 흡입하여 내관을 통해 외부 처리시설로 배출시켜 제거토록 하며, 동시에 내부에 이물질 제거필터를 설치하여 수면을 떠다니는 부피가 비교적 큰 이물질을 함께 걸러내도록 하여 하나의 장비로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과 부피가 작은 부유물을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구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hopper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tube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ans, the hopper is configured close to the water to suck various kinds of small float floating in the raw water together with the raw water to It is discharged to an external treatment facility to remove it, and at the same time, a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is installed inside to filter out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so that a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 and a small floating matter can be combined with one equipment. Implement a remova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호퍼의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물질 제거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ater level adjustment float removal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pper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ter removal filter shown in FIG.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loating water level removing equipment for adju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presen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조작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내관의 상단에 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호퍼를 수면에 근접 구성하여 원수에 뭉쳐져 있는 부피가 작은 각종 부유물을 원수와 함께 흡입하여 내관을 통해 외부 처리시설로 배출시켜 제거토록 하며, 동시에 내부에 이물질 제거필터를 설치하여 수면을 떠다니는 부피가 비교적 큰 이물질을 함께 걸러내도록 구성한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를 구현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tube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ans, and the inner hopper is formed by sucking various kinds of small floats which are bound to the water together with the raw water. It will be discharged to an external treatment facility to remove them, and at the same time, a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will be installed inside to implement a water level adjustment float removal facility configured to filter together a relatively large volume of foreign matter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호퍼의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물질 제거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ater level adjustment float removal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to extract the configuration of the hopper shown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ter removal filt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100)는 외부의 처리시설(미 도시 함)과 연결되는 외관(10)과, 상기 외관(10)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관(12)과, 상기 내관(12)의 선단에 설치되며 수면에 근접된 상태에서 수면을 떠다니는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내관으로 통과시키는 호퍼(14) 그리고 상기 호퍼(14)에 연결되며 원수의 수위에 맞추어 상기 호퍼(14)가 수면에 근접할 수 있도록 호퍼(14)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loating water
상기 내관(12)과 외관(10) 사이에는 기밀성을 고려하여 패킹(30)이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관(10)의 상단 둘레면에는 플랜지(32)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플팬지(32)의 상면에는 상기 내관(12)과 외관(10)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패킹(30)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패킹(30)의 상면에는 다시 원형 링 형상의 패킹누름대(34)가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패킹누름대(34)를 상기 플랜지(32)에 볼트(36) 및 너트(38) 체결시켜 패킹(30)을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패킹누름대(34)의 누름압력을 통해 승강수단(20)의 동작에 따라 내관(12)이 상, 하 이동하더라도 패킹(30)은 유동하지 않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기 호퍼(14)와 승강수단(20)의 연결 구조는 상기 승강수단(20)에는 구동원(2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 하로 수직 이동하는 승강대(24)를 구비시키고, 상기 승강대(24)의 단부에는 커플러(26)를 체결하고, 상기 커플러(26)의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28)의 일단을 수평으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연결대(28)의 타단은 상기 호퍼(14)의 내주면에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연결구조를 통해 구동원(22)의 동력으로 승강대(26)가 상, 하 이동하면 상기 승강대(26)의 끝단에 연결 구성된 연결대(28)를 통해 호퍼(14) 역시 상, 하 이동하게 됨으로서 원수의 수위 변화에 맞추어 호퍼(14)를 수면 근처에 항상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상기 호퍼(14)가 장착된 내관(12)의 내부에는 그물 형상으로 전면에 다수개의 통과구멍(42)들이 관통 형성된 이물질 제거필터(40)가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필터(40)는 내관(12)의 내부 통로를 구획시킨 상태에서 호퍼(14)를 통해 수면을 떠다니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은 걸러내도록 하고, 수면에 뭉쳐져 있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부유물은 전면에 형성된 통과구멍(42)들을 통해 원수와 함께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내관(12)의 내부 둘레면에는 상기 이물질 제거필터(40)가 걸려지기 위한 걸림테(43)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테(43)는 내관(12)의 내부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걸림테(43)에 걸려지는 이물질 제거필터(40)가 한쪽 방향,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주름관(46)이 설치되는 배출관(4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이물질 제거필터(40)에 걸려진 이물질은 경사각을 통해 배출구(44)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필터(40)는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내관(12) 내부로 삽입되고 나면 펼쳐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호퍼(14)와 승강대(24)를 연결하는 연결대(28)에 의해 이물질 제거필터(40)가 내관(12) 내부로 삽입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side the
상기 내관(12)의 둘레면에는 배출관(4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44)에는 굽힘이 자유로운 주름관(46)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주름관(46)의 타단은 외부 처리시설(미 도시 함)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유로(48)에 연결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44)으로는 전술한 이물질 제거필터(40)에 걸려진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이 배출되어 지며, 상기 배출관(44)으로 배출되어 진 이물질은 상기 주름관(46)을 통과한 후, 배출유로(48)를 통해 외부 처리시설로 자동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배출관(44)과 주름관(46)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여, 상기 주름관(46)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배출관(44)을 막음판(미 도시 함)으로 막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oat control equipment for leve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를 이용하여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의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원수의 수위에 맞추어 호퍼(14)의 높이를 조정토록 한다.First, when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raw water of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ewage treatment plant by using the water level adjustment float removal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즉, 도 4에서와 같이 원수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는 먼저 승강수단(20)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원(22)의 동력으로 승강대(24)를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대(24)와 호퍼(14)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대(28)를 통해 호퍼(14)는 위로 상승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호퍼(14)가 설치되어 있는 내관(12)은 외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됨으로서 호퍼(14)를 원수의 수면 근처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aw water is high, as shown in FIG. 4, when the
상기와 같이, 호퍼(14)의 위치를 조정하고 나면 원수는 이물질 및 부유물과 함께 상기 호퍼(14)로 진입하여 내관(12)으로 유입되어 지는 데, 이때 상기 내관(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물질 제거필터(40)가 내관(12)의 내부 통로를 구획시킨 상태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은 걸러내고, 부피가 작은 부유물은 원수와 함께 통과구멍(42)을 통해 외관(10)으로 통과시켜 외부 처리시설로 배출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상기 이물질 제거필터(40)에 걸려진 이물질은 내관(12)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관(44)으로 배출되고, 이어서 상기 배출관(44)에 연결된 주름관(46)을 통해 외부 처리시설로 배출되어 진다. The foreign matter caught by the foreign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원수에 포함된 부피가 큰 이물질과 부피가 적은 부유물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장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bulky foreign matter and the small volume of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raw water at the same time with a single device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10: 외관 12: 내관
14: 호퍼 20: 승강수단
30: 패킹 40: 이물질 제거필터
46: 주름관10: appearance 12: inner tube
14: Hopper 20: lifting means
30: packing 40: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46: corrugated pipe
Claims (2)
외관(10)과;
상기 외관(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수단(20)의 동작에 따라 상, 하 수직으로 이동하는 내관(12)과;
상기 내관(12)의 선단에 설치되며 원수의 수위에 맞추어 상기 내관(12)의 수직 이동으로 원수의 수면에 근접하는 호퍼(14)를 포함하며;
상기 내관(12)의 내부에는;
상기 내관(12)의 내부 통로를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호퍼(14)를 통해 유입된 부피가 작은 부유물은 통과시키고, 부피가 큰 이물질은 걸러내는 이물질 제거필터(40)와;
상기 내관(12)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필터(40)에 걸려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44) 및 ;
상기 배출관(44)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44)을 통해 배출된 이물질을 외부 처리시설로 통과시키는 주름관(46)이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상기 호퍼(14)와 승강수단(20)은;
상기 승강수단(20)에는 구동원(2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 하 수직 이동하는 승강대(24)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대(24)의 단부에는 커플러(26)를 체결하며, 상기 커플러(26)의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28) 일단을 수평으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연결대(28)의 타단을 상기 호퍼(14)의 내주면에 결합 고정시켜 상기 승강대(24)의 상, 하 수직 이동에 따라 호퍼(14)와, 상기 호퍼(14)와 연결된 내관(12)은 상, 하 수직 이동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
In the water level control float removal equipment for treating foreign matter and float floating on the raw water of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ewage treatment plant,
Appearance 10;
An inner tube 12 that moves vertically an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ans 20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exterior 10;
A hopper 14 installed at the tip of the inner tube 12 and close to the surface of the raw water by vertical movement of the inner tube 12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raw water;
In the inner tube (12);
A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40 for passing small-volume suspended matter introduced through the hopper 14 and filtering bulky foreign matter in a state of partitioning an inner passage of the inner tube 12;
A discharge pipe 44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inner pipe 12 and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caught by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filter 40;
A corrugated pipe 46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44 and configured to pass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44 to an external treatment facility;
The hopper 14 and the lifting means 20 is;
The lifting means 20 is provided with a lifting table 24 for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source 22;
The coupler 26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platform 24, and one end of at least one connection table 28 is horizontally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 26,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table 28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latform 24. The hopper 14 and the inner tube 12 connected to the hopper 14 move vertically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latform 24 by being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pper 14. Float removal equipment for water level control.
상기 외관(10)의 상단 둘레면에는 플랜지(32)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플랜지(32)의 상면에는 상기 내관(12)과 외관(10)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는 패킹(30)이 얹혀지며, 상기 패킹(30)의 상면에는 패킹누름대(34)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32)와 볼트(36) 및 너트(38) 체결되며, 상기 패킹(30)을 가압 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
The method of claim 1,
Flange 32 is welded to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10, the packing 30 for sealing the gap between the inner tube 12 and the outer surface 1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32, The flange 30 and the bolt 36 and the nut 38 ar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ing 30 in a state where the packing presser 34 is positioned, and the packing 30 is pressurized and fixed. Float removal equipment for level contro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8733A KR101097880B1 (en) | 2011-04-26 | 2011-04-26 | Float removal equipment for water level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8733A KR101097880B1 (en) | 2011-04-26 | 2011-04-26 | Float removal equipment for water level contr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7880B1 true KR101097880B1 (en) | 2011-12-26 |
Family
ID=4550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87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7880B1 (en) | 2011-04-26 | 2011-04-26 | Float removal equipment for water level contr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788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0323B1 (en) * | 2020-05-08 | 2021-01-07 | 장병용 | Oil-water separator, and ship comprising the same |
KR102355984B1 (en) * | 2020-08-25 | 2022-02-07 | 김진수 | Stone separator |
CN114670368A (en) * | 2022-04-20 | 2022-06-28 | 安徽环嘉天一再生资源有限公司 | Plastic regeneration process method and plastic regenerator |
KR20230075134A (en) * | 2021-11-22 | 2023-05-31 | 장섭근 | Mixed liquid separa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8805Y1 (en) | 1999-12-20 | 2000-07-15 | 주식회사청한 | A sewage treatment system for control the guantity of water |
KR100949823B1 (en) | 2009-07-01 | 2010-03-30 | 이정호 |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
-
2011
- 2011-04-26 KR KR1020110038733A patent/KR10109788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8805Y1 (en) | 1999-12-20 | 2000-07-15 | 주식회사청한 | A sewage treatment system for control the guantity of water |
KR100949823B1 (en) | 2009-07-01 | 2010-03-30 | 이정호 |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0323B1 (en) * | 2020-05-08 | 2021-01-07 | 장병용 | Oil-water separator, and ship comprising the same |
WO2021225335A1 (en) * | 2020-05-08 | 2021-11-11 | Chang Seopkeun | Oil-water separation apparatus and ship comprising oil-water separation apparatus |
KR102355984B1 (en) * | 2020-08-25 | 2022-02-07 | 김진수 | Stone separator |
KR20230075134A (en) * | 2021-11-22 | 2023-05-31 | 장섭근 | Mixed liquid separator |
KR102656825B1 (en) * | 2021-11-22 | 2024-04-11 | 장섭근 | Mixed liquid separator |
CN114670368A (en) * | 2022-04-20 | 2022-06-28 | 安徽环嘉天一再生资源有限公司 | Plastic regeneration process method and plastic regene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374331A1 (en) | Filter system | |
CN117342744B (en) | Mine water pollution multistage treatment device and use method | |
KR101097880B1 (en) | Float removal equipment for water level control | |
CN214763653U (en) | Sewage treatment plant convenient to it is clean | |
CN210786441U (en) | Pharmaceutical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 |
CN204448788U (en) | Rubbish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 |
KR20070074806A (en) | Screw Upflow Filtration Filter | |
KR20170101487A (en) | filtering system for seawater | |
CN202440395U (en) | Multifunctional oil-water treater | |
CN113896318A (en) | MBR membrane integration effluent treatment plant | |
US20160030864A1 (en) | Suspended solids filter system | |
KR101040201B1 (en) | Rotary Pressuriz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CN107840426A (en) | A sewage sedimentation tank from which the sludge hopper can be taken out | |
KR101886425B1 (en) | Multiple Pre-treatment System for Membrane Bio-reactor | |
CN208694352U (en) | A kind of Industrial Waste Water Treatments sedimentation basin | |
CN104147880A (en) | Dedusting and purifying device for screening working procedure | |
CN210905650U (en) | Sintering machine desulfuriza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cyclone from being blocked | |
CN208995261U (en) | A kind of sewage classification cleaning environmental protecting device | |
CN209853754U (en) | A kind of decontamination machine with high-tight inner runoff grille | |
CN209188201U (en) | Sewage draining equipment | |
CN208660715U (en) | A kind of Tower for purifying waste gas | |
WO2016040798A1 (en) | Filter system | |
CN207462761U (en) | A kind of automatic sewage filter | |
CN109806648A (en) | A kind of sewage-treatment plant | |
CN220223703U (en) | Vegetable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5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1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