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379B1 -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379B1
KR101097379B1 KR1020100129390A KR20100129390A KR101097379B1 KR 101097379 B1 KR101097379 B1 KR 101097379B1 KR 1020100129390 A KR1020100129390 A KR 1020100129390A KR 20100129390 A KR20100129390 A KR 20100129390A KR 101097379 B1 KR101097379 B1 KR 10109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layer
ground
porous
lime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2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층(10)을 계단 형상으로 절토하고, 상기 지반층(10)의 하단부측 수충부(13)를 따라서는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배수구(60)를 형성하며, 상기 지반층(10)의 절토면(11)에는 일정 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매트 삽입홈(12)을 형성한 후 각 매트 삽입홈(12)에는 다공성 배수용 매트(21)가 포설되도록 하며, 상기 절토면(11)과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21)의 상부는 동시에 연약지반 강화 매트(31)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고, 상기 연약지반 강화 매트(31)의 상부에는 일정 두께로 성토흙(41)이 성토되면서 일정한 경사각으로 표면을 평탄화시킨 후 성토된 복토층(40)의 표면으로 일정 두께의 식생 매트(51)가 포설되도록 한 다음 지반층(10) 하단부의 수충부(13)에 터파기한 배수구(60)에 잡석(61)이 채워지게 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바 이러한 시공을 통해 더 이상 누수로 인한 제방 또는 사면의 침하나 붕괴를 예방하면서 그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Revetment for preventing waterleaka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수 또는 염분의 용출이 예상되는 제방 등의 경사면에서 토사 붕괴 또는 침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저류지, 배수 펌프장 등과 같은 곳은 항상 일정 이상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항상 물이 인접하는 지역에서의 제방이나 사면은 항상 지반의 침하 또는 붕괴 등의 위험이 있고, 이를 위해서 대부분이 돌이나 흙 등을 쌓아서 제방이나 사면을 보강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물과 인접하는 제방 등의 경사면에는 지속적으로 물이 경사면쪽으로 흡수되면서 지반이 연약해지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염해지의 경우는 물과 함께 염분이 경사면의 지면을 통해 용출되기도 하므로 더욱 지반을 약하게 한다.
한편 제방 등의 경사면은 홍수 또는 하천 범람 등에 의해 붕괴될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제방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제방사면에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는 녹화가 시행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비록 사면 녹화에 의해 경사면을 보강하더라도 사면으로 흡수된 습기나 염분이 사면 지표면을 통해 용출되면 사면 지반은 연약해질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사면 녹화 시 성토 부위는 기존 토사 부위에 비해 쉽게 침하될 수가 있으므로 이런 제방 등의 경사지 지반 침하나 붕괴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자주 발생되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 토사면을 계단형상으로 절토하고, 이 절토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공성 배수용 매트가 구비되게 하므로서 기존 토사면으로 유도되는 수분과 염분을 다공성 배수용 매트를 통해 흡수하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로부터 용출되는 수분과 염분이 다공성 배수용 매트로 모여져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기존 토사면의 침하나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누수방지용 호안은, 기존 토사면을 계단 형상으로 절토하여 절토면을 형성하는 지반층과; 상기 지반의 절토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일정 폭으로 종방향으로 터파기를 한 매트 삽입홈에 다공성 배수용 매트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지반층을 통해 수분과 염분을 흡수하여 하향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과; 분말형태의 석회석과 상기 석회석에 다양한 물질을 혼합하여 2차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석회석의 2차 가공품으로 구성되는 연약 지반 강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강화 매트가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와 함께 상기 절토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포설되는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과; 상기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성토흙을 도포하면서 표면을 일정한 경사각으로 평탄화시켜 성토되도록 하는 복토층과; 투수와 발수 기능을 가지도록 하며, 녹화용 식물이 식재되도록 식생 매트가 상기 복토층의 상부에 포설되도록 하는 식생 매트층; 및 상기 지반층의 하단부측 수충부를 따라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잡석이 채워지도록 하고,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하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로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과 상기 식생 매트층은 바이오 폴리머로서 이루어지는 친환경섬유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누수방지용 호안의 시공방법은, 지반층을 계단 형상으로 절토하는 단계와; 상기 지반층의 하단부측 수충부를 따라서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배수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토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매트 삽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매트 삽입홈에 각각 다공성 배수용 매트를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절토면과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의 상부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분말형태의 석회석과 상기 석회석에 다양한 물질을 혼합하여 2차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석회석의 2차 가공품으로 구성되는 연약 지반 강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강화 매트를 포설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약지반 강화 매트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흙을 도포하여 일정한 경사각으로 표면을 평탄화하도록 성토하는 단계와; 성토면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일정 두께로 식생 매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충부에 터파기한 배수구에 잡석을 채우는 단계로서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은 하천이나 저류지, 배수 펌프장 등의 제방이나 누수가 예상되는 경사면 또는 지하수나 염분이 용출되는 경사면에서 다공성 배수용 매트를 통해 수분과 염분이 원활하게 배수되게 하므로서 지반의 약화를 방지시키는 동시에 노후화되거나 지반 침하 또는 붕괴가 예상되는 경사면을 한층 보강하므로서 안정되고 친환경적인 사면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 및 염해지에서의 염분용출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간척사업이나 토목사업을 더욱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의 제방 단면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 시공에서의 지반층을 절토하여 절토면을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호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 시공에서의 수충부에 배수구를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호안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 시공에서의 지반층에 매트 삽입홈을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호안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 시공에서의 지반층에 형성한 매트 삽입홈에 다공성 배수용 매트를 삽입시킨 구성을 도시한 호안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 시공에서의 절토면으로 연약지반 강화 매트를 포설한 구성을 도시한 호안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 시공에서의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의 상부로 복토층을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호안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 시공에서의 복토층의 상부로 식생 매트층을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호안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의 제방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지반층(10)과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20)과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30)과 복토층(40)과 식생 매트층(50) 및 배수구(6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지반층(10)은 기존의 토사층 표면을 계단 형상으로 절토하도록 하여 계단형 절토면(11)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기존의 노후화된 제방이나 경사면을 계단 형상으로 절토하므로서 그 상부에 얹혀지는 구성과의 상호 밀착되는 면을 극대화시켜 보다 안정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20)은 지반층(10)의 절토면(11)을 따라 길이 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계단을 따라 일정 폭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누수에 의해 지반층(10)으로부터 용출되는 수분 및 염분을 흡수하여 내부의 공극을 통해서 계단을 따라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20)의 형성을 위해 지반층(10)의 절토면(11)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일정 폭으로 터파기를 하여 매트 삽입홈(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매트 삽입홈(12)에 다공성 배수용 매트(21)가 삽입되도록 한다.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는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친환경 성분인 바이오 폴리머로서 이루어지는 친환경섬유를 이용하여 매트 타입으로 성형하면서 내부 조직간 넓은 공극을 갖도록 하여 이 공극들을 통해 수분 및 염분이 흡수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20)은 상단부가 매트 삽입홈(12)의 상부면보다는 낮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30)은 계단 형상의 절토면(11)과 함께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20)의 상부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30)은 선등록특허 제922421호에서 이미 명시한 바 있는 연약지반 강화 매트(31)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의 연약지반 강화 매트(31)는 수화 반응을 통하여 지반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회석 및 석회석의 2차 가공품으로 구성되는 연약 지반 강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말화된 석회석과, 이 석회석을 포함하는 석회석 2차 가공품인 소석회(수산화칼슘Ca(OH)2), 석회고토(탄산마그네슘과 탄산칼슘의 혼합물) 등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러한 석회석 및 석회석 2차 가공품은 관수에 의해 지반에 스며들어, 하층 연약 지반의 공극 사이에 침투하여 토양에 영양을 공급하며,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황과 인의 탈황 탈인작용을 유도함과 동시에 물과 반응하여 수화반응을 함으로써 지반을 경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다만 연약 지반 강화 조성물은 석회석 20 내지 50 중량부, 소석회 20 내지 40 중량부, 석회고토 20 내지 40 중량부로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연약지반 강화 매트(31)는 다공성 배수용 매트(21)와 마찬가지로 핀이나 쐐기 또는 앵커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연약지반 강화 매트(31)에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영양분이 포함되는 구성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복토층(40)은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30)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흙을 도포하면서 일정한 경사각으로 표면이 평탄화되도록 성토한 구성이다.
다시 말해 복토층(40)은 계단 형상인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30)의 상부로 흙을 덮어 씌우면서 계단 부위가 채워지도록 하여 표면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평탄화되게 한 구성이다.
이러한 복토층(40)의 성토흙(41)은 기반층(10)의 기존 토사와는 성질이 다르며, 이 복토층(40)은 결국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30)에 의해서 지반층(10)과 층간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식생 매트층(50)은 복토층(40)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포설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반영구적으로 사면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녹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특히 식생 매트층(50)은 투수성과 발수성을 가지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 뿌리가 식재되도록 하는 구성인 바 이러한 식생 매트(51)로는 전술한 다공성 배수용 매트(21)와 동일한 친환경섬유인 바이오 폴리머 재질의 친환경섬유를 매트 타입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배수구(60)는 지반층(10)의 하단부에서 물과 만나게 되는 수충부(13)를 따라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이 홈에 잡석(61)이 채워지도록 하므로서 물과 제방과의 경계를 이루도록 하여 제방으로부터 유도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배수구(60)는 특히 다공성 배수용 매트(21)의 하단부들이 연결되도록 하여 이들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들을 통해 유도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을 어떤 과정을 통해 시공하는지에 대해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호안을 시공하는 과정의 구성을 도시한 호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방지용 호안은 하천이나 저류지, 배수 펌프장 등의 제방이나 그 외의 도로나 산의 경사면을 우선 평탄화시켜 다지도록 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제방사면이나 도로 또는 산의 경사면은 다양한 방식으로 보강을 하게 되더라도 세월이 지나면서 홍수 등에 의해서 제방사면은 심한 훼손을 입게 된다.
따라서 훼손이 심하거나 붕괴가 예상되는 부분은 다져서 우선 평탄화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평탄화된 지반층(10)의 경사면은 도 4에서와 같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절토에 의해 수평면과 수직면이 반복되게 하므로서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즉 지반층(10)을 계단 형상으로 절토하게 되면 접촉 단면적이 보다 확장되므로 그 상부에 얹혀지게 되는 구성과는 보다 강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지반층(10)의 하단부측 수충부(13)를 따라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수구(6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 지반층(10)의 절토면(11)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도 6에서와 같이 매트 삽입홈(12)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들 매트 삽입홈(12)에는 각각 도 7에서와 같이 다공성 배수용 매트(21)가 포설되도록 하며, 이러한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를 포함하여 절토면(11)의 상부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동시에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회석 및 석회석의 2차 가공품으로 구성되는 연약 지반 강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강화 매트(31)가 포설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연약지반 강화 매트(31)가 깔린 그 상부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일정 두께로 성토흙(41)을 도포하여 일정한 경사각으로 표면을 평탄화하도록 한다.
성토흙(41)을 도포하여 표면을 평탄화시킨 복토층(40)의 평탄화한 표면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식생 매트(51)를 포설하여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지반층(10)을 절토 시 수충부(13)를 따라 터파기한 배수구(60)에 잡석(61)을 채우게 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사면 시공이 완료된다.
사면 시공이 완료된 후 식생 매트(51)에는 다양한 수종의 녹화용 식물을 식재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면을 시공하게 되면 수충부(13) 아래쪽의 물이 지반층(10)으로 스며들거나 반대로 호우에 의해 상부로부터 지반층(10)으로 물이 스며들게 되며, 이렇게 지반층(10)에 스며든 물은 지하로 스며들게 된다.
하지만 지표면이 건조해지게 되면 지하 수면이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하게 되는 수분은 지반층(10)의 절토면(11)으로 유도되다 절토면(11)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한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로 대부분이 흡수된다.
즉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는 매트 자체의 조직에 매우 넓은 공극을 갖고 있으므로 지반층(10)의 표면인 절토면(11)측으로 상승하게 되는 지하수를 흡수하게 되고, 이렇게 흡수되는 다량의 지하수는 다공성 배수용 매트(21)의 공극들을 따라 하향 이동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주위로부터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로 지하수를 흡수한 후 흡수된 지하수는 다시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를 따라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염해지에서는 지하수와 함께 염분도 지표면인 절토면(11)측으로 용출되는데 이러한 염분 또한 지하수와 함께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로 흡수되면서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반층(10)의 약화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더 이상 누수로 인한 제방 또는 사면의 침하나 붕괴를 예방하면서 그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다.
또한 염해지에서의 염분 용출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염해지에서의 안정된 토목사업 및 간척사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사면에서의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식생군락을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10 : 지반층 11 : 절토면
12 : 매트 삽입홈 13 : 수충부
20 :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 21 : 다공성 배수용 매트
30 :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 31 : 연약지반 강화 매트
40 : 복토층 41 : 성토흙
50 : 식생 매트층 51 : 식생 매트
60 : 배수구 61 : 잡석

Claims (4)

  1. 기존 토사면을 계단 형상으로 절토하여 절토면(11)을 형성하는 지반층(10)과;
    상기 지반층(10)의 절토면(11)을 따라 일정 간격에는 상하로 종방향의 터파기를 실시하여 매트 삽입홈(12)을 형성하고, 매트 삽입홈(12)에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바이오 폴리머로서 이루어지는 친환경섬유를 매트의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다공성 배수용 매트(21)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21)에는 상기 지반층(10)을 통해 수분과 염분이 흡수되도록 하여 하향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20)과;
    분말형태의 석회석과 상기 석회석에 다양한 물질을 혼합하여 2차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석회석의 2차 가공품으로 구성되는 연약지반 강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강화 매트(31)가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31)와 함께 상기 지반층(10)의절토면(11)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포설되는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30)과;
    상기 연약지반 강화 매트층(30)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성토흙(41)을 도포하면서 표면을 일정한 경사각으로 평탄화시켜 성토되도록 하는 복토층(40)과;
    투수와 발수 기능을 가지며, 녹화용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식생 매트(41)가 상기 복토층(40)의 상부에 포설되도록 하고, 바이오 폴리머로서 이루어지는 친환경섬유를 매트의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식생 매트층(50); 및
    상기 지반층(10)의 하단부측 수충부(13)를 따라서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잡석(61)이 채워지도록 하고,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층(20)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하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60);
    로서 구비되는 누수방지용 호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약 지반 강화 조성물은 석회석 20 내지 50 중량부, 소석회 20 내지 40 중량부, 석회고토 20 내지 40 중량부로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용 호안.
  4. 지반층(10)을 계단 형상으로 절토하는 단계와;
    상기 지반층(10)의 하단부측 수충부(13)를 따라서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배수구(6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지반층(10)의 절토면(11)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의 종방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여 매트 삽입홈(1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매트 삽입홈(12)에 각각 다공성 배수용 매트(21)를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절토면(11)과 상기 다공성 배수용 매트(21)의 상부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분말형태의 석회석과 상기 석회석에 다양한 물질을 혼합하여 2차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석회석의 2차 가공품으로 구성되는 연약 지반 강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강화 매트(31)를 포설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약지반 강화 매트(31)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성토흙(41)을 도포하여 일정한 경사각으로 표면이 평탄화되도록 성토하는 단계와;
    성토한 복토층(4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일정 두께로 식생 매트(50)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충부(13)에 터파기한 상기 배수구(60)에 잡석(61)을 채우는 단계;
    로서 수행되도록 하는 누수방지용 호안의 시공방법.
KR1020100129390A 2010-12-16 2010-12-16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9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390A KR101097379B1 (ko) 2010-12-16 2010-12-16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390A KR101097379B1 (ko) 2010-12-16 2010-12-16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379B1 true KR101097379B1 (ko) 2011-12-23

Family

ID=4550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390A KR101097379B1 (ko) 2010-12-16 2010-12-16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37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5919A (zh) * 2016-03-07 2016-07-13 长沙理工大学 一种加宽公路老路堤边坡渗水处治结构
CN105887761A (zh) * 2016-06-15 2016-08-24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河道岸堤结构
CN106049348A (zh) * 2016-06-15 2016-10-26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挡墙结构
CN107503323A (zh) * 2017-08-24 2017-12-22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护坡的建造方法
CN107524116A (zh) * 2017-08-24 2017-12-29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河道硬质护岸生态化的方法
CN107761668A (zh) * 2017-10-19 2018-03-06 三峡大学 一种滨海滨库造地型护岸结构及其建筑方法
KR20210067038A (ko) * 2019-11-29 2021-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이오폴리머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제방 보강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74B1 (ko) * 2005-12-29 2006-12-05 임철웅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74B1 (ko) * 2005-12-29 2006-12-05 임철웅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5919A (zh) * 2016-03-07 2016-07-13 长沙理工大学 一种加宽公路老路堤边坡渗水处治结构
CN106049348B (zh) * 2016-06-15 2018-01-26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挡墙结构
CN105887761A (zh) * 2016-06-15 2016-08-24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河道岸堤结构
CN106049348A (zh) * 2016-06-15 2016-10-26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挡墙结构
CN105887761B (zh) * 2016-06-15 2018-01-26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河道岸堤结构
CN107503323A (zh) * 2017-08-24 2017-12-22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护坡的建造方法
CN107524116A (zh) * 2017-08-24 2017-12-29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河道硬质护岸生态化的方法
CN107503323B (zh) * 2017-08-24 2019-06-28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护坡的建造方法
CN107524116B (zh) * 2017-08-24 2021-01-01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河道硬质护岸生态化的方法
CN107761668A (zh) * 2017-10-19 2018-03-06 三峡大学 一种滨海滨库造地型护岸结构及其建筑方法
CN107761668B (zh) * 2017-10-19 2020-01-10 三峡大学 一种滨海滨库造地型护岸结构及其建筑方法
KR20210067038A (ko) * 2019-11-29 2021-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이오폴리머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제방 보강공법
KR102424730B1 (ko) 2019-11-29 2022-07-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이오폴리머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제방 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379B1 (ko) 누수방지용 호안 및 그의 시공방법
CN106759104B (zh) 生态型护坡结构及施工方法
CN104264557A (zh) 一种半填半挖生态路基结构及施工方法
CN104532857A (zh) 柔性减胀生态护坡构造
CN109024458B (zh) 一种采煤沉陷地景观护岸及水底防渗的构建方法
CN103882884A (zh) 一种锚索土工格栅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193066A (zh) 一种基于生态修复的黄土崩塌治理方法
CN111549799A (zh) 一种应用于碎石土边坡综合防治体系
CN207331710U (zh) 一种边坡绿化水土保护结构
CN113235626A (zh) 一种中-强膨胀岩土边坡防护结构及施工方法
CN113107061A (zh) 一种近城市废弃露天矿地层重构方法
CN204356788U (zh) 柔性减胀生态护坡构造
CN204097823U (zh) 一种半填半挖生态路基结构
CN210596858U (zh) 一种高原冻土区路基结构
CN106522244B (zh) 一种路堤组合包边结构及其施工方法
CN214363925U (zh) 一种截水渗沟系统
CN104818734A (zh) 防治全风化花岗岩边坡水毁破坏防排水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659608B1 (ko) 준설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처리방법
CN108086250A (zh) 一种带植生槽的自嵌式生态水工挡土墙砖块
CN102425175B (zh) 山区大型弃碴场加固防护构造
CN211472454U (zh) 一种土地裂缝治理结构
KR101531799B1 (ko) 수변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CN112726638A (zh) 一种膨胀土路堑边坡的防护结构及施工方法
CN111576451A (zh) 一种膨胀土路堑边坡防治结构及其施工方法
CN207944427U (zh) 一种带植生槽的自嵌式生态水工挡土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01

Effective date: 201111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