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607B1 -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607B1
KR101088607B1 KR1020100054880A KR20100054880A KR101088607B1 KR 101088607 B1 KR101088607 B1 KR 101088607B1 KR 1020100054880 A KR1020100054880 A KR 1020100054880A KR 20100054880 A KR20100054880 A KR 20100054880A KR 101088607 B1 KR101088607 B1 KR 101088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conductive tape
foil conductive
slitting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형철
김형선
Original Assignee
(주)동우에스티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에스티,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동우에스티
Priority to KR102010005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6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라미네이팅 및 슬리팅 가공을 할 수 있는 복합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롤 형상으로 감긴 기재원단이 장착되는 기재 권출유니트와,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의 상하에 배치되어 상기 기재의 상하부면에 각각 라미네이팅되는 롤 형상의 이형지가 장착되는 이형지 권출유니트를 포함하고 권취된 기재원단 및 이형지를 풀어 공급하는 권출부와,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가열하는 히팅롤러를 구비하는 라미네이팅부와, 기재원단과 이형지가 라미네이팅된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상기 라미네이팅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슬리팅부와, 상기 슬리팅부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동박 도전성 테이프 슬라이스를 교대로 권취하는 권취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장치에 라미네이팅 장치 및 슬리팅 장치를 연속적으로 구비하여 라미네이팅 및 슬리팅 가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슬리팅부에 단면이 직방형 형상인 복수의 커터를 마련하여, 종래의 커터에서 발생하는 컬링 현상을 방지하고, 서로 치합하는 복수의 상하부 커터를 형성함으로써 절단시 커터의 진동으로 인한 절단면의 표면거칠기를 양호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미세하게 치합하는 복수의 상하부 커터에 의해 슬리팅의 폭을 종래의 5mm로부터 3mm 정도로 미세하게 커팅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MULTI WORKING APPARATUS FOR COPPER CONDUCTIVE TAPE}
본 발명은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로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라미네이팅 및 슬리팅 가공을 할 수 있는 복합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전자, 자동차, 휴대폰, 우주 산업 등의 산업 전부분에 걸쳐서 동박 도전성 테이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산업기기 및 전자제품의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서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와 정전기로부터 인체 유해론과 각종 정밀기기의 신호교란, 오작동 및 기능이 정지되는 장해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이나 동과 같은 금속성 도전체의 얇은 박막을 기재로 하는 도전성 테이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가공은 롤 상태의 원단은 롤테이프 라미네이팅 장치에 의해 기재에 별도의 박막을 라미네이팅 처리한 후, 라미네이팅 처리된 도전성 테이프를 다음 공정인 슬리팅 장치로 이송하여 슬리팅하는 단계별 공정을 거쳐 가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가공은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가공함에 있어서, 라미네이팅 공정과 슬리팅 공정을 각각의 라미네이팅 장치와 슬리팅 장치에 의해 가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각의 공정 및 공정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치를 별도로 구동하여야 하므로 소요되는 에너지의 낭비가 많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슬리팅 장치는 슬리팅 작업시에 절단면의 표면 거칠기가 양호하지 못하고, 절단하는 커터의 구조가 첨단의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후 절단면이 감겨지는 컬링 현상이 발생하여 절단된 테이프의 폭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절단하는 슬리팅 작업의 폭이 5mm이상이 되어 미세 폭을 요구하는 전자부품 등에는 사용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라미네이팅 및 슬리팅 가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리팅 가공시에 절단면의 표면거칠기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절단하는 슬리팅 폭을 3mm이하로 가공할 수 있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는, 롤 형상으로 감긴 기재원단이 장착되는 기재 권출유니트와,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의 상하에 배치되어 상기 기재의 상하부면에 각각 라미네이팅되는 롤 형상의 이형지가 장착되는 이형지 권출유니트를 포함하고 권취된 기재원단 및 이형지를 풀어 공급하는 권출부와, 상기 권출부로부터 공급된 기재원단과 이형지를 가압 가열하는 라미네이팅부와, 기재원단과 이형지가 라미네이팅된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상기 라미네이팅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슬리팅부와, 상기 슬리팅부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동박 도전성 테이프 슬라이스를 교대로 권취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는 상기 복합가공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에어샤프트와, 상기 제 1 에어샤프트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에어샤프트에 권취된 기재 원단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감김을 해제시키는 제 1 파우더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이형지 권출유니트는 상기 복합가공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에어샤프트와, 상기 제 2 에어샤프트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에어샤프트에 권취된 이형지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감김을 해제시키는 제 2 파우더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부는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가열하는 히팅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롤러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재질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히팅롤러의 내부에는 열선이 배치되고 상기 히팅롤러의 샤프트에는 카본 재질의 시트를 얹어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리팅부는 상부 커터부와 하부 커터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커터부와 상기 하부커터부에는 단면이 직방형 형상인 복수의 커터가 상기 복수의 커터의 폭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절단시에 상기 상부커터부의 커터는 상기 하부커터부의 복수의 커터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슬리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슬리팅되어 이송되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장력유지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에 라미네이팅 장치 및 슬리팅 장치를 연속적으로 구비하여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라미네이팅 및 슬리팅 가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도전성 테이프의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팅부에 단면이 직방형 형상인 복수의 커터를 마련하여, 종래의 커터에서 발생하는 컬링 현상을 방지하고, 서로 치합하는 복수의 상하부 커터를 형성함으로써 절단시 커터의 진동으로 인한 절단면의 표면거칠기를 양호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미세하게 치합하는 복수의 상하부 커터에 의해 슬리팅의 폭을 종래의 5mm로부터 3mm 정도로 미세하게 커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가공장치의 기재권출 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권출부의 가이드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 권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커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커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부 커터부의 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장력유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1)는, 권출부(10)와, 라미네이팅부(20)와, 슬리팅부(30)와, 권취부(40)를 구비한다.
상기 권출부(10)와, 상기 라미네이팅부(20)와, 상기 슬리팅부(30)와, 상기 권취부(40)는 상기 복합가공장치(1)의 메인프레임(2)에 각각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권출부(10)는 기재 권출유니트(11)와, 복수의 이형지 권출유니트(12, 13)와, 박리필름 권취유니트(14, 15)로 구성된다.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11)에는 롤 형상으로 감긴 기재원단이 장착되며, 권취된 기재원단이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11)의 회전구동에 의해 풀려 후술하는 라미네이팅부(20)로 공급된다.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11)는 제 1 에어샤프트(11a)와 제 1 파우더 브레이크(11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에어샤프트(11a)는 상기 복합가공장치(1)의 상기 메인프레임(2)에 고정 연결된 프레임에 제 1 슬라이딩 유니트(11c)를 설치하여 상기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에어샤프트(11a)는 에어샤프트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확장되어 진원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에어샤프트(11a)에 끼워 넣어진 상기 기재원단의 롤에 압력을 가하여 권취 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에어샤프트(11a)의 일끝단에는 상기 제 1 파우더 브레이크(11b)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파우더 브레이크(11b)는 전류를 통하면 발생한 자속에 따라 파우더가 사슬 모양으로 연결되어, 파우더(Powder)간의 연결력과 파우더와 동작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토크가 전달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 1 에어샤프트에 끼워넣어진 상기 기재원단의 롤의 장력을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11)의 상하부에는 각각 이형지 권출유니트(12, 13)가 마련된다. 상기 이형지 권출유니트는 상기 기재권출유니트와 대략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형지 권출유니트는 상기 복합가공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에어샤프트(12a, 13a)와, 상기 제 2 에어샤프트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에어샤프트에 권취된 이형지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감김을 해제시키는 제 2 파우더 브레이크(12b, 13b)와, 제 2 슬라이딩 유니트(12c, 13c)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재권출유니트(11) 및 상기 이형지 권출유니트(12, 13)의 부근에는 박리필름 권취부(14, 15)가 더욱 설치된다. 상기 박리필름 권취부(14, 15)는 상기 복합가공장치(1)에 의해 가공되기 이전에 상기 기재원단 및 상기 이형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기재원단과 이형지의 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접착된 보호필름 등을 상기 기재원단과 상기 이형지를 상기 라미네이팅부에 공급하기 이전에 박리시켜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박리필름 권취부(14, 15)는 상기 복합가공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샤프트(14b, 15b)와, 상기 샤프트(14b, 15b)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 3 파우더 브레이크(14c, 15c)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구동시키는 서보모터(14a, 15a)와, 상기 보호필름에 맞닿아 상기 보호필름을 상기 기재원단 또는 이형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바(14d, 15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재권출유니트(11) 및 상기 이형지 권출유니트(12, 13)의 부근에는 상기 기재권출유니트 및 상기 이형지 권출유니트의 제 1 및 제 2 에어샤프트에 끼워넣어 고정된 상기 기재원단 및 상기 이형지의 롤의 표면에 맞닿아 상기 롤에 감긴 상기 기재원단 및 상기 이형지를 상기 라미네이팅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6)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보호필름이 박리된 상기 기재원단과 상기 이형지는 상기 라미네이팅부(20)로 이송된다. 상기 라미네이팅부(20)는 가압롤러(21)와 히팅롤러(22)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롤러(21)는 상기 메인프레임(2)에 연결된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압롤러 구동실린더(21a)에 의해 상하로 승강구동되며, 상기 가압롤러(21)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재질의 가압면(21b)이 마련된다. 상기 가압면(21b)은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유기계 러버와 비교하여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특성이 안정되어 연속 사용이 가능하며, 이물질의 제거에도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롤러(21)는 상기 가압롤러와 상기 히팅롤러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된 상기 기재원단과 상기 이형지를 상기 가압롤러 구동실린더에 의해 하강이동하여 상기 히팅롤러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히팅롤러(22)의 내부에는 열선이 배치되어, 상기 가압롤러(2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히팅롤러(22)의 표면에 접촉된 상기 기재원단과 상기 이형지를 가열하여, 상기 기재원단과 상기 이형지를 라미네이팅할 때에 접착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팅롤러(22)의 중심샤프트에는 카본 재질의 시트를 얹어 상기 히팅롤러의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팅롤러(22)는 상기 메인프레임(2)의 바닥에 설치된 메인구동부(3)에 풀리(3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메인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상기 라미네이팅부(20)에서 기재원단과 이형지가 접착 및 라미네이팅된 동박 도전성 테이프는 슬리팅부(30)에서 일정 폭을 가지는 슬라이스로 절단된다. 상기 슬리팅부(30)는 상부 커터부(31)와 하부 커터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터부(31)는 상기 메인프레임(2)에 고정연결된 프레임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상부커터 샤프트(31b)와, 상기 상부커터 샤프트(31b)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터 샤프트(31b)를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상부커터 구동실린더(31a)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커터부(31)의 상기 상부커터 샤프트(31b)에는 복수의 상부 커터(31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커터(31c)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커터의 이격거리는 후술하는 하부커터의 폭에 상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터(31c)는 단면형상이 직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터 샤프트(31b)의 하강구동에 의해 하부커터와의 치합시에 하부커터의 이격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터부(32)는 상기 메인프레임(2)에 고정연결된 프레임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하부커터 샤프트(32b)와, 상기 하부커터 샤프트(32b)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커터 샤프트(32b)를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하부커터 구동실린더(32a)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커터부(32)의 상기 하부커터 샤프트(32b)에는 복수의 하부 커터(32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커터(32c)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커터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부커터의 폭에 상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터(32c)는 단면형상이 직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터 샤프트(32b)의 승강구동에 의해 상부커터와의 치합시에 상부커터의 이격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커터를 절단시에 서로 치합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단면이 직방형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커터에서 발생하는 컬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절단시 첨단을 가지는 경사진 커터의 진동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절단면의 표면거칠기를 양호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미세하게 치합하는 복수의 상하부 커터에 의해 슬리팅의 폭을 상기 상하부 커터의 폭을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한도 내에서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5mm로부터 3mm 정도로 미세하게 커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슬리팅부(30)에 의해 복수개로 슬리팅된 동박 도전성 테이프 슬라이스는 상기 권취부(40)에 의해 권취된다. 상기 권취부(40)는 상부 권취부(41)와 하부 권취부(4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권취부(41, 42)는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 설치된 권취샤프트(41a, 42a)와, 상기 권취샤프트(41a, 42a)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권취샤프트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파우더 클러치(41b, 41c)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상부 권취부와 상기 하부 권취부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를 교대로, 즉 하나 건너 하나씩 각각 권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샤프트(41a, 42a)에는 각각 제 2 풀리(3b)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풀리(3b)는 상기 권취샤프트(41a, 42a)와, 상기 권취샤프트 사이에 배치된 아이들 샤프트(43)에 감겨 있다. 또한, 상기 제 2 풀리의 일부는 상기 메인구동부 및 상기 히팅롤러에 감긴 상기 풀리(3a)의 일끝단이 감긴 미들샤프트(3b)에도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메인구동부(3)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히팅롤러(22) 및 상기 상하부 권취부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복합가공장치의 구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40)는 슬리팅된 상기 복수의 동박 도전성 테이프 슬라이스가 상기 권취부에 감길 때에 느슨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력유지부(44)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력유지부(44)는, 상기 상하부 권취부의 부근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는 텐션 샤프트(44b)와, 상기 텐션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텐션샤프트를 회전구동시키는 텐션 구동실린더(44a)를 구비한다. 상기 텐션 구동실린더(44a)의 구동에 의해, 상기 텐션 샤프트(44b)는 텐션 샤프트 고정축(44b')을 중심으로 텐션 샤프트 이동축(44b")이 상하로 회전이동하게 되어,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에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2 : 메인프레임
3 : 메인구동부
10 : 권출부
11 : 기재권출유니트
12, 13 : 이형지 권출유니트
20 : 라미네이팅부
21 : 가압롤러
22 : 히팅롤러
30 : 슬리팅부
31 : 상부 커터부
32 : 하부 커터부
40 : 권취부
44 : 장력유지부

Claims (5)

  1. 롤 형상으로 감긴 기재원단이 장착되는 기재 권출유니트와,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의 상하에 배치되어 상기 기재의 상하부면에 각각 라미네이팅되는 롤 형상의 이형지가 장착되는 이형지 권출유니트를 포함하고 권취된 기재원단 및 이형지를 풀어 공급하는 권출부와,
    상기 권출부로부터 공급된 기재원단과 이형지를 가압 가열하는 라미네이팅부와,
    기재원단과 이형지가 라미네이팅된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상기 라미네이팅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슬리팅부와,
    상기 슬리팅부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동박 도전성 테이프 슬라이스를 교대로 권취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권출유니트는 상기 복합가공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에어샤프트와, 상기 제 1 에어샤프트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에어샤프트에 권취된 기재 원단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감김을 해제시키는 제 1 파우더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이형지 권출유니트는 상기 복합가공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에어샤프트와, 상기 제 2 에어샤프트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에어샤프트에 권취된 이형지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감김을 해제시키는 제 2 파우더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부는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가열하는 히팅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롤러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재질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히팅롤러의 내부에는 열선이 배치되고 상기 히팅롤러의 샤프트에는 카본 재질의 시트를 얹어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팅부는 상부 커터부와 하부 커터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커터부와 상기 하부커터부에는 단면이 직방형 형상인 복수의 커터가 상기 복수의 커터의 폭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절단시에 상기 상부커터부의 커터는 상기 하부커터부의 복수의 커터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동박 도전성 테이프를 슬리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슬리팅되어 이송되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장력유지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KR1020100054880A 2010-06-10 2010-06-10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88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880A KR101088607B1 (ko) 2010-06-10 2010-06-10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880A KR101088607B1 (ko) 2010-06-10 2010-06-10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607B1 true KR101088607B1 (ko) 2011-11-30

Family

ID=4539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8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8607B1 (ko) 2010-06-10 2010-06-10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6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751B1 (ko) 2013-07-22 2014-08-08 주식회사 리텍 시트-투-롤 라미네이팅 공정
KR102030675B1 (ko) * 2019-07-30 2019-10-10 (주)세광하이테크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동박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45440B1 (ko) * 2018-07-30 2019-11-15 두손산업 (주) 릴-투-릴 장치에서 동박필름 공급용 어큐뮬레이터의 자동 조심 센터링 장치
CN111757598A (zh) * 2019-03-27 2020-10-09 捷客斯金属株式会社 轧制铜箔线圈
CN117995461A (zh) * 2024-04-02 2024-05-07 西安爱邦电磁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复合材料防雷连接的含接头编织带及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115A (ja) 1997-07-08 1999-01-26 Somar Corp フィルム張付方法及び装置
KR200346636Y1 (ko) 2004-01-17 2004-04-08 주식회사 원시스템 그린시트 라미네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115A (ja) 1997-07-08 1999-01-26 Somar Corp フィルム張付方法及び装置
KR200346636Y1 (ko) 2004-01-17 2004-04-08 주식회사 원시스템 그린시트 라미네이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751B1 (ko) 2013-07-22 2014-08-08 주식회사 리텍 시트-투-롤 라미네이팅 공정
KR102045440B1 (ko) * 2018-07-30 2019-11-15 두손산업 (주) 릴-투-릴 장치에서 동박필름 공급용 어큐뮬레이터의 자동 조심 센터링 장치
CN111757598A (zh) * 2019-03-27 2020-10-09 捷客斯金属株式会社 轧制铜箔线圈
KR102030675B1 (ko) * 2019-07-30 2019-10-10 (주)세광하이테크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동박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7995461A (zh) * 2024-04-02 2024-05-07 西安爱邦电磁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复合材料防雷连接的含接头编织带及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607B1 (ko) 동박 도전성 테이프의 복합가공장치
EP3513929B1 (en) Electronic tag cutting device
KR101059431B1 (ko) 마운팅 장치 및 마운팅 방법
KR101321063B1 (ko) 전사식 그라파이트 복합 필름 가공 방법
JP6054466B2 (ja) シート製造装置
JP2008117988A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CN117183559A (zh) 一种多层贴合产品模切装置及其模切方法
JP2014094995A (ja) 刃型、接着シート製造装置、剥離方法および接着シート製造方法
CN212099689U (zh) 标签剥离裁切设备
JP2018094685A (ja) 超音波切断装置
JP5881357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シート製造装置
JP5897856B2 (ja) シート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586093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JP4952917B2 (ja) 積層成形装置および積層成形方法
US4070214A (en) Process for continuous precision lamination of multiple strips to a substrate
JP4320298B2 (ja) フィルム剥離装置
JP6069020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KR102030675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동박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3922219B2 (ja) 積層板製造用の金属箔と絶縁接着フィルムの積み重ね装置及び積み重ね方法
JP5992670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JP4713541B2 (ja) シート貼付装置
JP2012101846A (ja) シート積層装置及び積層方法、並びに、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JP6027324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JP3897040B2 (ja) 積層板製造用の金属箔と絶縁接着フィルムの積み重ね装置及び積み重ね方法
JP7364327B2 (ja) 不要シート除去装置および不要シート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