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강재 합성보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각 층의 바닥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재 합성보(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부 플랜지(11),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마련된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부(16)를 형성하도록 공간(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11)는 병목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래브(1)에 삽입되어 슬래브(1)의 양생에 따라 고정된다.
또한, 또 다른 강재 합성보(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부 플랜지(21)에 마련된 볼트(21a)가 슬래브(1)에 매설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강재 합성보들(10),(20)은 건축물의 기둥(미도시)에 플레이트(5)에 의해 볼트(6) 결합된다. 즉, 웨브(13),(23)의 양측에 각각 플레이트(5)와 볼트(6)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의 미설명된 참조부호 '11a'는 상기 서로 이격된 상부 플랜지(11)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이다. 상기 볼트(11a)는 강재 합성보(10)의 상부 플랜지(11)가 좌우 분리된 개방형이므로 시공 중 휨 압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3 및 도 4의 강재 합성보(20)의 상부 플랜지(21)에도 서로 이격된 상부 플랜지(21)를 연결하는 연결재(미도시)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강재 합성보(10),(20)는 상부 플랜지(11),(21)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강재 합성보(10),(20)의 내부와 슬래브(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와 함께 일체로 조성한다.
그러나, 상기 압축을 받는 강재 합성보(10),(20)는 상부 플랜지(11,(21)의 압축응력 보다 인장을 받는 하부 플랜지(12),(22)의 인장응력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하부 플랜지(12),(22)가 상부 플랜지(11),(21)보다 빨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재 합성보(10),(20)의 설계시 하부 플랜지(12),(22)의 인장응력을 고려하여 강재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나 강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강재 합성보(10),(20)는 강재 합성보(10),(20) 위에 시공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와 강재 합성보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자중과 시공하중에 의하여 처짐이 발생하는 것에 대비하여, 강재 합성보(2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인장응력이 유발되는 강연선(18)에 사전 압축력을 가하여 보강하는 프리스트레스 공법을 사용하였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프리스트레스공법은 크게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프리텐션 방식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강연선(18)에 인장력을 주어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방법이고,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강연선(18)을 긴장하여 그 끝단을 정착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강재 합성보(20)에는 프리텐션 방식을 이용하여 강재 합성보(20)에 프리스프레스를 가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강연선(18)의 정착구(19)가 강재 합성보(20)의 내측에 위치되고, 강재 합성보(20)의 시공상 강재 합성보(20)와 슬래브(1)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강재 합성보(10),(2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건축물의 기둥에 웨브(13),(23)가 양쪽 결합되어 설치되어야 하므로 공기가 늘어나며 시공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재 합성보(10),(20)의 단면적이 커 콘크리트 사용량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자중 및 시공하중 이 증가하여 휨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강연선(18)의 정착구(19)가 강재 합성보(20)의 내측에 위치되고, 강재 합성보(20)의 시공상 강재 합성보(20)와 슬래브(1)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강재 합성보를 시공함에 있어서, 강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단면적을 줄이고, 강재 합성보의 시공의 용이성 및 재료의 절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웨브가 접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건축물의 기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단면적이 줄어들더라도 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강재 합성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리스트레스 공법을 도입하여 시공전 또는 시공후에 강연선을 인장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휨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강재 합성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재 합성보는, 건축물의 기둥에 설치되는 강재 합성보로서, 서로 대칭되어 결합된 한 쌍의 성형보를 구비하고, 상기 성형보는, 강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형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웨브; 및 상기 웨브로부터 일면이 개방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는 서로 인접한 하부 플랜지와 연결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박스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웨브는 서로 인접한 웨브와 면접촉되어 하나의 플레이트에 의해 건축물의 기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공간부로 콘크리트가 주입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웨브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건축물의 층간 바닥인 슬래브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데크 슬래브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플랜지의 끝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성형보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보강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성형보의 길이방향으로 공간부에 마련된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고, 유압잭에 의해 인장되어 성형보의 전방 및 후방의 외측에 설치되는 정착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강재 합성보는, 서로 대칭되어 결합된 한 쌍의 성형보를 구비하고, 상기 성형보는, 강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형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웨브; 및 상기 웨브로부터 절곡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박스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웨브는 서로 인접한 웨브와 면접촉되어 하나의 플레이트에 의해 건축물의 기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공간부로 콘크리트가 주입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웨브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건축물의 층간 바닥인 슬래브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데크 슬래브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성형보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보강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성형보의 길이방향으로 공간부에 마련된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고, 유압잭에 의해 인장되어 성형보의 전방 및 후방의 외측에 설치되는 정착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곡 성형 강판을 이용한 강재 합성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건축물의 기둥에 양쪽 결합되는 웨브를 하나의 판 형상으로 구현하여 하나의 플레이트로 볼트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둘째, 강재 합성보의 단면적을 줄여 콘크리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인장응력을 받는 하부를 보강함으로써 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휨 모멘트에 용이하게 저항할 수 있다.
셋째, 하부를 보강하는 구조에 의하여 콘크리트부가 생성되는 하부 플랜지에 시공전 또는 시공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재 합성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강재 합성보가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상기 강재 합성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강재 합성보(100)는, 서로 대칭되어 결합되고, 건축물용 기둥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성형보(110)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보(110)는 강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 플랜지(111)와, 상기 상부 플랜지(111)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웨브(113) 및, 상기 웨브(113)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 플랜지(112)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111)는 수평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각 층의 바닥인 슬래브(1)를 지지한다.
상기 하부 플랜지(112)는 웨브(113)로부터 절곡되어 일면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소위 'ㄷ'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된다.
이러한 성형보(110)는 강판이 복수회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부 플랜지(111), 웨브(113) 및, 하부 플랜지(112)가 각각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성형보(110)는 서로 대칭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강재 합성보(1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강재 합성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113)가 서로 면접촉되어 결합되고, 한 쌍의 하부 플랜지(112)가 서로 연결되어 박스 형태의 공간부(11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웨브(113)가 면접촉되어 결합됨에 따라 하나의 플레이트(5)에 의해 볼트(6)결합되어 건축물의 기둥에 설치될 수 있어 강재량을 줄이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하부 플랜지(112)가 연결되어 형성된 공간부(115)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부(116)가 형성된다. 즉, 강재 합성보(100)의 하부를 보강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을 받는 상부 플랜지(111)의 압축응력 보다 인장을 받는 하부 플랜지(112)의 인장응력이 크게 작용함에 따라 강재 합성보(100)의 하부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강재 합성보(100)는 종래의 강재 합성보(10),(20)에 비해 단면적이 줄어들어 가벼워짐에 따라 콘크리트 자중 및 시공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부 플랜지(112)가 보강되어 강성이 증가된다. 또한, 단면적이 줄어 콘크리트 사용량이 감소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115)로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플랜지(112)에 홀(112a)이 형성된다. 상기 홀(112a)은 한 쌍의 하부 플랜지(112)의 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홀(112a)은 콘크리트의 주 입이 용이하도록 하부 플랜지(112)의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하부 플랜지(112)의 끝단은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115)로 돌출된 돌기부(112b)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112b)는 콘크리트부(116)와 성형보(1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단면 보강의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강재 합성보(100)는 강재 합성보(100)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보강부재(12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재(120)는 상기 성형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부(115)에 마련된 복수의 보강재(121) 및 상기 각각의 보강재(121)의 양 끝단부에 설치된 정착구(125)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재(121)는 상기 공간부(115)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때, 보강재(121)는 강연선, 철근, 강봉, 강관 등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강연선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강연선(121)은 상기 공간부(115)에 마련된 쉬스관(미도시)에 삽입된다. 이러한 강연선(121)의 양 끝단부에는 정착구(125)가 설치되어 유압잭에 의해 인장된 후 성형보(110)의 전방 및 후방의 외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랜지(112)는 콘크리트부(116)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역할로서, 그 전방과 후방에 소정의 패널(117)에 의해 막힌 상태이다. 상기 패널(117)은 상기 하부 플랜지(112)의 전방과 후방을 폐쇄시키는 역할 및 강연선(121)을 고정하는 고정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강연선(121)을 인장한 후 패널(117)에 고정시키면 인장 되어던 강연선(121)이 탄성 회복되면서 패널(117)에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120)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 공간부(115)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또는 타설 후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의 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강연선(121)을 이용하여 인장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 강봉, 강관 등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잭을 이용하여 인장하는 프리스트레스 공법은 이미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강재 합성보(100)는 설치환경 및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데크 슬래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재 합성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강재 합성보(100')는 서로 대칭되어 결합되고, 건축물용 기둥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성형보(110)와, 보강부재(120) 및, 데크 슬래브(130)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 성형보(110)와 보강부재(120)는 제1 실시예의 성형보(110) 및 보강부재(120)와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8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5 및 도 6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데크 슬래브(130)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인 슬래브(1)와 하부 플랜지(112)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되다. 이러한 데크 슬래브(130)는 보 춤이 높은 슬래 브로서 사용되며, 데크 플레이트(132)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132)에 형성된 콘크리트부(13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데크 플레이트(132)는 웨브(11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 플랜지(112)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건축물의 층간 바닥인 슬래브(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데크 플레이트(132)는 하부 플랜지(112)의 상단에 형성된 홀(112a)을 막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데크 플레이트(132)와 웨브(113)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층간 바닥인 슬래브(1)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하부 플랜지(112)의 상단에 형성된 홀(112a)을 통해 공간부(115)로 주입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재 합성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강재 합성보(200)는, 서로 대칭되어 결합되고, 건축물용 기둥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성형보(2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보(210)는 강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 플랜지(211)와, 상기 상부 플랜지(211)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웨브 (213)및, 상기 웨브(213)로부터 절곡되어 박스 형태의 공간부(215)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212)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성형보(210)는 하부 플랜지(212)가 박스 형태를 갖도록 절곡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때, 상기 강재 합성보(200)에 마련된 보강부재(120)는 제1 실시예의 보강부재(12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9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5 내지 도 7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을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성형보(210)는 강판이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상부 플랜지(211), 웨브(213) 및, 하부 플랜지(2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랜지(211)와 웨브(213)는 제1 실시예에서의 상부 플랜지(111) 및 웨브(113)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플랜지(212)는 웨브(213)로부터 절곡되어 박스 형태의 공간부(215)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성형보(210)가 용접되어 결합시 두 개의 공간부(215)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하부 플랜지(212)의 끝단부는 절곡되어 웨브(213)에 용접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 플랜지(212)에 형성된 공간부(215)로 콘크리트를 주입시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하여 하부 플랜지(21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 공간부(215)에는 전술한 보강부재(120)가 마련되어 각각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됨에 따라 휨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하부 플랜지(112),(212)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콘크리트부(116)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부(115),(215)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강재 합성보(100),(200)의 하부를 보강하며 콘크리트부(116)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채용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강재 합성보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강재 합성보(200')는, 서로 대칭되어 결합 되고, 건축물용 기둥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성형보(210)와, 보강부재(120) 및, 데크 슬래브(230)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 성형보(210)와 보강부재(120)는 제3 실시예의 성형보(210) 및 보강부재(120)와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0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9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기 데크 슬래브(230)는 데크 플레이트(232)와 콘크리트부(236)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술된 제2 실시예의 데크 슬래브(13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