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269B1 - Vehicle protective fence - Google Patents
Vehicle protective fe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3269B1 KR101083269B1 KR1020110073754A KR20110073754A KR101083269B1 KR 101083269 B1 KR101083269 B1 KR 101083269B1 KR 1020110073754 A KR1020110073754 A KR 1020110073754A KR 20110073754 A KR20110073754 A KR 20110073754A KR 101083269 B1 KR101083269 B1 KR 1010832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act resistance
- control member
- coupling
- rail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746 Structur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01F15/043—Details of rails with multiple superimposed members; Rails provided with ski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블록아웃과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이 결합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블록아웃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와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의 사이에는 슬립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 차량의 충돌 초기에는 충격저항력이 강하게 발휘되고, 충돌 초기 이후에는 충격저항력이 저감되므로 충돌차량이 반대측 차로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충돌차량이 정상적인 추행차로에 원활하게 이탈하도록 유도하게 되며,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충돌할 때의 속도, 즉 탑승자충돌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저항력 제어부재가 결합판을 통하여 상, 하행 차로측 레일에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충돌 초기에는 강한 충격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며, 충돌 초기 이후에는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와 충격저항력 제어부재의 레일 결합부 사이와,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와 결합판 사이에서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충격저항력이 저감되도록 하여 충돌 초기와 충돌 초기 이후의 충격저항력을 차량 방호 울타리의 등급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다. 충격저항력 제어부재는 충돌 초기에는 충격저항력을 보강하게 되며, 충돌 초기 이후에는 변형되면서 충격저항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충격저항력 제어부재의 제어부재 몸체에는 복수개의 충격저항력 제어공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충격저항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 충격저항력 제어부재에는 제어부재 몸체의 상, 하행 차로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편과, 제어부재 몸체의 일부와 연장편에 걸쳐서 부착되는 반사지를 더 포함하여 차량 방호 울타리에 별도의 야간표시기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야간에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방호 울타리를 식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ve fence, and the blockout and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are indirect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plate between the rail coupling flange of the block out and the block out coupling flange of the up and down lane rails. During the crash, the impact resistance is strong,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reduced after the initial collision. Therefore, the collision vehicle is prevented from invading the opposit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collision vehicle smoothly travels on the normal lane. In this case, the speed at which the occupant's head collides with the vehicle internal structure, that is, the occupant collision speed, may be reduced. In addition,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aterial is indirectly coupled to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through the coupling plate, and thus exhibits strong impact resistance at the beginning of the crash. Slip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rail coupling portion of the resistive force control member and the block-out coupling flange and coupling plate of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to reduce the impact resistance, thereby protecting the vehicle against impact resistance at the beginning and after the impact.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the rating of the fence.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reinforces the impact resistance at the beginning of the collision, and serves to reduce the impact resistance while deforming after the collision.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impact resistance control holes are drilled in the control member body of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the impact resistance can be optimized more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iece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lane side ends of the control member body, and a reflective paper attached over a portion of the control member body and the extension piece, a separate night indicator on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Drivers of vehicles running at night without installation can identify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충돌 초기에는 차량이 반대측 차로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유지되면서도 차량 충돌 후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충돌하기 전에 충돌저항력이 저하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충돌속도를 저감시켜 탑승자의 2차 충돌에 의한 인명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충돌 차량이 충돌 위치로부터 정상적인 주행 차로에 안전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on fence, and more particularly, at the early stage of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head of the occupant may collide wit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after the collision while the vehicle is maintained at a size sufficient to prevent the vehicle from invading the opposite lane. By reducing the crash resistance before, the collision speed of the passengers can be reduced to minimize the human accidents caused by the secondary collision of the occupants. will be.
일반적으로 차도의 중앙선에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행 차로와 하향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반대측 차로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대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center line of the driveway is provided with a central separator to prevent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up and down lanes to the opposite lane from the center line.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지주와 블록아웃이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직접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아웃과 레일도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직접 결합되어 있다.Conventional median is not only directly coupled by bolts and nuts by struts and blockouts, but also by means of bolts and nuts.
즉,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지주와 블록아웃에 볼트를 관통시키고 이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지주와 블록아웃을 직접 결합하고 있음은 물론, 블록아웃과 레일에 볼트를 관통시키고 이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블록아웃과 레일을 직접적으로 결합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center separator penetrates the bolts to the posts and the blockout, and fastens the bolts to the support and the blockout, as well as penetrates the bolts to the blockout and the rail and fastens the nuts to the bolts. The blockout and the rail are combined directly.
이와 같이 지주와 블록아웃은 물론 블록아웃과 레일까지도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결합한 경우, 충돌차량이 반대측 차로에 침범하지 못하게 되기는 하지만, 충돌초기에 충격력에 대항하는 중앙분리대의 충격저항력이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충돌하는 시점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탑승자충돌속도(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 THIV)가 크게 되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충돌할 때의 충돌속도가 크기 때문에 인명 피해가 심각한 정도로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truts and blockouts as well as the blockouts and the rails are directly coupled by bolts and nuts, the impact vehicle of the center separator against the impact force at the beginning of the collision is prevented from impacting the passengers. 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 (THIV) is high because the head lasts until the point of impact on the vehicle's internal structure, resulting in a high impact speed when the occupant's head hits the vehicle's internal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appears to be serious.
또한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지주와 블록아웃 및 레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충격저항력을 최적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enter separator is difficult to optimize the impact resistance structurally because it is composed of the strut, blockout and rai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차량의 반대측 차로에의 침범 방지와 충돌차량의 정상적인 주행차로에의 이탈 및 탑승자충돌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protection fence that prevents intrusion into a lane on the opposite side of a crash vehicle, reduces departure of a crash vehicle into a normal driving lane, and reduces occupant collision spe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돌 차량에 대한 충격저항력을 보다 최적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protective fence that can more optimally control the impact resistance for a crash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표시기를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protective fence that can simplify its structure by allowing it to serve as a nighttime indicator.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도를 따라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열의 지주; 상기 지주에 중앙부가 고정, 결합되며, 도로에 직각을 이루며 상, 하행 차로를 향해 연장되는 블록아웃; 및 양측 차로 측에서 상기 블록아웃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블록아웃 몸체와, 상기 블록아웃 몸체의 상, 하행 차로 방향에 구비된 레일 결합용 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을 기준으로 상하에 형성된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와 블록아웃은 상기 지주와 블록아웃 몸체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블록아웃과 레일은 상기 레일 결합용 플랜지와 상기 결합판을 관통하며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rows of stru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a driving direction along a roadway; A center portion fixed to and coupled to the props, the block out extending at an angle to the road and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upper and lower lane rail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blockout at both side lanes, wherein the blockout is a blockout body fixed to the support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out body. And a rail coupling flange provided in a downward lane direction, wherein the rail is formed in a square pipe shape and has slits formed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blockout couplings formed up and down on the basis of the slits. And a coupling plate inserted into the rai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out coupling flange, wherein the support and the block-out are bolts passing through the support and the block-out body. Directly coupled by a nut that is fastened, the block out and the rail is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flange and the coupling plate Tube, and provides a vehicle crash barrier as claimed indirectly coupled by bolts and nuts to be fastened thereto passing through the slit.
상기 블록아웃 몸체는 상기 지주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수직판과, 상기 좌우 수직판의 상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주가 관통되는 지주 관통공이 형성된 상하 수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용 플랜지는 상기 좌우 수직판의 전후 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block-out body includes a left and right vertical plat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ar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vertical horizontal plat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plates and having a pilla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llar is penetrated. The coupling flange extends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plate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 사이에 연결되는 충격저항력 제어부재가 더 포함된다.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is further connected between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는 도로에 직각인 수직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어부재 몸체와, 상기 제어부재 몸체의 상, 하행 차로측 단부에서 각각 상, 하행 차로측 레일에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에 밀착되는 레일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과 결합판은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판을 관통하며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된다.When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is based on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ad, the control member body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rails of the up and down lanes, and the upper and lower lanes of the control member body, respectively. And a rail coupling part which is bent and formed parallel to the downward lane side rail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for coupling the blockout,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downward lane side rail an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for the blockout coupling.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 and coupling plate is indirectly coupled by a bolt passing through the rail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late and passing through the slit and a nut coupled thereto.
상기 결합판은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상하 플랜지 밀착부와, 상하 플랜지 밀착부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절곡돌출부로 구성된다.The coupling plate is formed of an upper and lower flange contact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out coupling flange, and a bent protrusion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 contact portion inserted into the slit.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는, 상기 제어부재 몸체의 상, 하행 차로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편과, 상기 제어부재 몸체의 일부와 연장편에 걸쳐서 부착되는 반사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mpact resistance force control membe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iece extending from an up and down lane side end portion of the control member body, and a reflective paper attached over a portion of the control member body and the extension piece.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는 제어부재 몸체에 천공된 충격저항력 제어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mpact resistance control hole drilled in the control member body.
본 발명은 블록아웃과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은 결합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아웃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와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의 사이에는 슬립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 차량의 충돌 초기에는 충격저항력이 강하게 발휘되고, 충돌 초기 이후에는 충격저항력이 저감되므로 충돌차량이 반대측 차로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충돌차량이 정상적인 추행차로에 원활하게 이탈하도록 유도하게 되며,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충돌할 때의 속도, 즉 탑승자충돌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out and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are indirect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plate, a slip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rail coupling flange of the block out and the block out coupling flange of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The impact resistance is strongly exhibited at the beginning of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reduced after the collision, thereby preventing the collision vehicle from invading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and inducing the collision vehicle to move away from the normal driving lane. The speed at which the occupant's head collides wit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that is, the collision speed of the occupant can be reduced.
충격저항력 제어부재가 결합판을 통하여 상, 하행 차로측 레일에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초기에는 강한 충격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며, 충돌 초기 이후에는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와 충격저항력 제어부재의 레일 결합부 사이와, 상, 하행 차로측 레일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와 결합판 사이에서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충격저항력이 저감되므로 충돌 초기와 충돌 초기 이후의 충격저항력을 차량 방호 울타리의 등급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aterial is indirectly coupled to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through the coupling plate, it exhibits strong impact resistance at the beginning of the collision. Since the slip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rail coupling portion of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and the block-out coupling flange and coupling plate of the rail of the up and down lanes, the impact resistance is reduced.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fence.
충격저항력 제어부재는 충돌 초기에는 충격저항력을 보강하게 되며, 충돌 초기 이후에는 변형되면서 충격저항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reinforces the impact resistance at the beginning of the collision, and serves to reduce the impact resistance while deforming after the collision.
또한 충격저항력 제어부재의 제어부재 몸체에는 복수개의 충격저항력 제어공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충격저항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충격저항력 제어부재의 제어부재 몸체에 천공된 복수개의 충격저항력 제어공은 상, 하행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impact resistance control holes are drilled in the control member body of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the impact resistance can be optimized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mpact resistance control holes drilled in the control member body of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serves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f the wind generated in the vehicle traveling up and down lanes.
한편, 충격저항력 제어부재에는 제어부재 몸체의 상, 하행 차로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편과, 제어부재 몸체의 일부와 연장편에 걸쳐서 부착되는 반사지를 더 포함하고 있으므로 차량 방호 울타리에 별도의 야간표시기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야간에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방호 울타리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iece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lane side ends of the control member body, and a reflector attached over a portion of the control member body and the extension piece, a separate night indicator on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The driver of the vehicle driving at night without installing the vehicle can identify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상행 차로에서 하행 방향으로 본 사시도,
도 2는 상행 차로에서 상행 방향으로 본 사시도,
도 3은 상행 차로에서 하행 차로 방향으로 본 정면도,
도 4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4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4의 E-E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상행 차로에서 하향 방향으로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상행 차로에서 상행 방향으로 본 분해 사시도,
도 12는 지주와 레일 및 블록아웃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레일과 보강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레일과 그 선단부에 결합되는 레일단부 마감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충격저항력 제어부재의 변형 예를 보인 것이며,
도 18은 본 발명을 노측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 울타리에 적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1 to 14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an upward lane,
2 is a perspective view ascending from the upward lane,
3 is a front view of the ascending lane from the upward lane;
4 is a plan view,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8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4;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4;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upward lan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in an upward direction from an upward lan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t and the rail and the blockout;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ail and a reinforcing connection member;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ail end closure member coupled to the rail and its tip,
15 to 17 show a modified example of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hicle protective fence installed on a roadsi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상행 차로 방향을 정면으로, 하행 차로 방향을 배면 또는 후면으로 하고, 상, 하행 차로의 주행방향을 좌우측으로 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ascending lane direction is to the front, a downward lane direction is to the rear or the rear,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up and down lanes to the left and righ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Vehicl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14,
차도를 따라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열의 지주(100); A plurality of rows of
상기 지주(100)에 중앙부가 고정, 결합되며, 도로에 직각을 이루며 상, 하행 차로를 향해 연장되는 블록아웃(200); 및The central portion is fixed and coupled to the
양측 차로측에서 상기 블록아웃(2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을 포함한다.The up and down
상기 지주(100)는 원통형 파이프가 사용되며, 그 내부에는 원통형 파이프로 된 지주보강재(110)가 삽입된다. 상기 지주보강재(110)는 그 상단이 노면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고 그 하단이 지중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는 지주캡(120)이 씌워진다.The upper end of the
상기 지주(100)와 지주보강재(110)는 일반구조용 탄소강관을, 상기 지주캡(120)은 일반구조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블록아웃(200)은 상기 지주(100)에 중앙부가 고정되고 도로에 직각을 이루며 양측 차로를 향해 연장되는 블록아웃 몸체(210); The blockout 200 includes a
상기 블록아웃 몸체(2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상기 블록아웃 몸체(210)는 상기 지주(100)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수직판(211)과, 상기 좌우 수직판(211)의 상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주(100)가 관통되는 지주 관통공(213)이 형성된 상하 수평판(212)을 포함한다.The block-out
상기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는 상기 좌우 수직판(211)의 전후 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상기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는 내측 플랜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외측 플랜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블록아웃(200)은 일반구조강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ck out 200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pressing a general structural steel sheet.
상기 지주(100)와 블록아웃(200)은 상기 지주(100)와 블록아웃 몸체(210)를 관통하는 볼트(B1)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1)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결합된다.The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은 각각 상하, 한 쌍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300 and 400 are preferably installed in pairs, respectively.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310)(4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아웃(200)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에 결합되는 상하 한 쌍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와,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에서 각각 차로 방향으로 이격된 수직판(330)(430) 및, 상기 상하 한 쌍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와 상기 수직판(330)(430)의 상하 단부를 연결하는 상하 한 쌍의 수평판(340)(440)에 의해 대략 “C”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300 and 400 are formed up and down based on the
상기 블록아웃(200)과 레일(300)(400)은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와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를 직접 볼트와 너트로 결합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기 레일(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판(500)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ckout 200 and the
즉, 상기 결합판(500)을 상기 레일(300)(400)의 슬릿(310)(410)을 통하여 상기 레일(300)(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에 밀착시키고, 상기 블록아웃(200)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와 결합판(500)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슬릿(310)(410)을 통과하는 볼트(B2)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2)에 의하여 블록아웃(200)과 레일(300)이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상기 결합판(500)은 단순한 평판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레일(2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의 안쪽 면에만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하부에는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상하 플랜지 밀착부(510)와, 상하 플랜지 밀착부(51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310)(410)을 통해 상기 블록아웃(200)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에 밀착되는 절곡돌출부(52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결합판(500)은 일반구조강으로 제작하고, 상기 볼트(B2)와 너트(N2)는 용융아연도금강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은 통상적인 차량 방호 울타리의 레일과 마찬가지로 4~6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단위 레일로 제작하여 레일 연결구(350)(450)에 의하여 연결하여 설치한다.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300 and 400 are made of unit rails having a length of about 4 to 6 m like rails of a conventional vehicle protection fence, and are connected and installed by
상기 레일 연결구(350)(450)는 상기 레일(300)(4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를 제외한 수직판(330)(430)과 수평판(340)(440)에 대응하는 수직판(351)(451)과 수평판(352)(452)을 가지는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300)(400)의 수평판(340)(440)과 레일 연결구(350)(450)의 수평판(352)(452)을 고관통하는 볼트(B3)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3)에 의하여 단위 레일들을 연결하는 것이다.The
본 발명은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을 연결하여 레일(300)(400)의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충격저항력을 제어할 수 있는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mpact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도로에 직각인 수직면을 기준으로 할 때,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그 양단부가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에 결합된다.When the impact
즉,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상기 상행측 레일(300)측 단부는 상행 차로의 주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하행측 레일(400)측 단부는 하행 차로의 주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위치하도록 경사진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That is, the impact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경사 각도는 45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차량 방호 울타리의 등급 등에 따라서 크거나 작은 각도로 할 수도 있다.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impact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 사이의 대각선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어부재 몸체(610)와, 상기 제어부재 몸체(610)의 양단에서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에 밀착되는 레일 결합부(620)를 포함한다.The impact
상기 레일 결합부(620)는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에 직접 밀착시키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기 레일(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판(700)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즉, 상기 결합판(700)을 상기 레일(300)(400)의 슬릿(310)(410)을 통하여 상기 레일(300)(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에 밀착시키고, 상기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와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 및 결합판(700)에 볼트(B4)를 관통시키고 상기 볼트(B4)에 너트(N4)를 체결하는 것이다.That is, the
상기 결합판(700)은 단순한 평판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레일(2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의 안쪽 면에만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상하 플랜지 밀착부(710), 상하 플랜지 밀착부(71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310)(410)에 삽입되는 절곡돌출부(72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결합판(700)은 일반구조강으로 제작하고, 상기 볼트(B4)와 너트(N4)는 용융아연도금강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에는 상기 제어부재 몸체(610)의 상, 하행 차로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편(630)과 상기 제어부재 몸체(610)의 일부와 연장편(630)에 걸쳐서 부착되는 반사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act resistance
상기 연장편(630)은 상기 레일 결합부(620)의 일부를 절취하여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즉, 평판 상의 소재에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상기 레일 결합부(620)가 형성될 부위에 상기 연장편(630)에 상당하는 절취선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레일 결합부(620)를 절곡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장편(630)이 상기 제어부재 몸체(610)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forming a cutout line corresponding to the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그 제어부재 몸체(610)를 단순한 평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배열의 충격저항력 제어공(611)이 천공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impact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공(611)은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단면을 조정함으로써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충격저항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공(611)은 상, 하행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The impact
한편,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의 양단부에는 레일 단부 마감부재(800)가 결합된다(도면에서는 일단부에만 도시됨).On the other hand, the rail
상기 레일 단부 마감부재(800)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rail
상기 레일 단부 마감부재(800)는 상기 레일 단부 마감부재(800)의 원호형 마감부재 몸체(810)와, 상기 마감부재 몸체(810)의 양단에서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레일 결합부(820)(830)로 구성된다.The rail
상기 레일 결합부(820)(830)는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의 양단부를 감싸는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일 결합부(820)(830)는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의 양단부 상하면에 밀착되는 상하 수평판(821)(831)과, 상기 상하 수평판(821)(831)을 연결하는 수직판(822)(832)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레일(300)(400)과 상기 레일 결합부(820)(830)는 레일(300)(400)의 수평판(320)(420)과 상기 수평판(821)(831)을 관통하는 볼트(B5)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5)에 의해 결합된다.The
상기 마감부재 몸체(810)와 레일 결합부(820)(830)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840)가 구비된다.A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vehicl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여기서는 상행 차로측 레일(300)측에 차량이 충돌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 an example in which a vehicle collides with a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차량 방호 울타리에 상, 하행 차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충돌 초기에는 상기 지주(100)에 결합된 블록아웃(200)과 블록아웃(200)에 결합된 레일(300)에 의하여 강한 충격저항력을 발생시키게 된다.When the vehicle driving the up and down lanes collides with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s shown in FIGS. 1 to 6, the blockout 200 and the blockout coupled to the
이때 상행 차로측 레일(300)은 상기 블록아웃(200)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를 통하여 반대측 차로측, 즉 하행 차로측 레일(4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량 방호 울타리의 등급에 따른 충돌 초기의 충격저항력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scending
여기서 블록아웃(200)과 레일(300)의 결합에 따른 충격저항력은 블록아웃(200)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와 레일(3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 및 결합판(500)의 사이의 접촉 면적과, 레일(3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와 결합판(500)의 접촉 면적 및 볼트(B2)와 너트(N2)에 의한 조임력에 의하여 결정된다.Here, the impac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blockout 200 and the
상기 레일(300)과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결합에 따른 충돌 초기의 충격저항력은 레일(3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와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접촉 면적과, 볼트(B3)와 너트(N3)의 조임력에 의하여 결정된다.The impact resistance of the initial collision due to the coupling of the
초기 충돌 이후에는 상기 레일(300)의 변형에 따라 충격저항력이 저감됨과 아울러 상기 블록아웃(200)과 상행 차로측 레일(300) 사이의 슬립 현상에 의하여 충격저항력이 저감된다.After the initial collision, the impact resistance decreases as the
즉, 상기 블록아웃(200)과 상행 차로측 레일(300)은 상기 레일(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결합판(500)과, 상기 블록아웃(200)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와 결합판(500)을 관통하며 상기 레일(300)의 슬릿(310)을 통과하는 볼트(B2)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2)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블록아웃(200)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와 상기 상행 차로측 레일(3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의 사이에는 슬립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That is, the blockout 200 and the upward
따라서 차량의 충돌 초기에는 충격저항력이 강하게 발휘되고, 충돌 초기 이후에는 충격저항력이 저감되므로 충돌차량이 반대측 차로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충돌차량이 정상적인 추행차로에 원활하게 이탈하도록 유도하게 되며,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충돌할 때의 속도, 즉 탑승자충돌속도(THIV)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impact resistance is strongly exhibited at the beginning of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reduced after the collision, thereby preventing the collision vehicle from invading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and inducing the collision vehicle to leave the normal driving lane smoothly. The speed at which the occupant's head collides with the vehicle internal structure, that is, the occupant collision speed THIV,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결합판(700)을 통하여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에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초기에는 강한 충격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며, 충돌 초기 이후에는 상기 상행 차로측 레일(3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와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레일 결합부(620) 사이와, 상기 상행 차로측 레일(3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와 결합판(700) 사이에서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충격저항력이 저감되므로 충돌 초기와 충돌 초기 이후의 충격저항력을 차량 방호 울타리의 등급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mpact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와 상기 레일(300)(400)의 결합에 따른 충돌 초기의 충격저항력은 레일(300)의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와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레일 결합부(620) 및 결합편(700) 사이의 접촉 면적과 볼트(B4)와 너트(N4)에 의한 조임력에 의하여 결정된다.The impact resistance of the initial collision due to the coupling of the impact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충돌 초기에는 충격저항력을 보강하게 되며, 충돌 초기 이후에는 변형되면서 충격저항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impact
상기 하행 차로측 레일(400)에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상술한 상행 차로측 레일(300)에 차량이 충돌한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downward
또한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제어부재 몸체(610)에는 복수개의 충격저항력 제어공(611)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충격저항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의 제어부재 몸체(610)에 천공된 복수개의 충격저항력 제어공(611)은 상, 하행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impact resistance control holes 611 are drilled in the
한편,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에는 제어부재 몸체(610)의 상, 하행 차로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편(630)과, 상기 제어부재 몸체(610)의 일부와 연장편(630)에 걸쳐서 부착되는 반사지(640)를 더 포함하고 있어 차량 방호 울타리에 별도의 야간표시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pact
또한 본 발명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노측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 울타리에 적용할 수 있다. 노측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 울타리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블록아웃(200)의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를 한 쪽에만 설치하고, 그 레일 결합 플랜지(220)에 레일(300)을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생략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ehicle protection fence installed on a normal roadside, as shown in FIG. In application to a vehicle protection fence installed on the road side, the
본 발명을 노측 차량 방호 울타리에 적용한 경우, 상기 블록아웃(200)과 레일(300)이 결합판(500)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블록아웃(200)과 레일(300)의 간접 결합에 의한 효과는 그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oadside vehicle protection fence, the blockout 200 and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xemplary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 지주 200 : 블록아웃
210 : 블록아웃 몸체 220 : 레일 결합용 플랜지
300,400 : 레일 310,410 : 슬릿
320,420 :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
500 : 결합판 600 : 충격저항력 제어부재
700 : 결합판 800 : 레일 단부 마감부재100: Shoring 200: Blockout
210: block-out body 220: rail coupling flange
300,400: Rail 310,410: Slit
320,420: Flange for blockout joining
500: bonding plate 600: impact resistance control material
700: coupling plate 800: rail end closure member
Claims (7)
상기 지주(100)에 중앙부가 고정, 결합되며, 도로에 직각을 이루며 상, 하행 차로를 향해 연장되는 블록아웃(200); 및
양측 차로측에서 상기 블록아웃(2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200)은 상기 지주(100)에 고정되는 블록아웃 몸체(210)와, 상기 블록아웃 몸체(210)의 상, 하행 차로 방향에 구비된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300)(400)은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310)(410)과, 상기 슬릿(310)(410)을 기준으로 상하에 형성된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300)(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결합판(5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100)와 블록아웃(200)은 상기 지주(100)와 블록아웃 몸체(210)를 관통하는 볼트(B1)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1)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블록아웃(200)과 레일(300)(400)은 상기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와 상기 결합판(500)을 관통하며 상기 슬릿(310)(410)을 통과하는 볼트(B2)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2)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
A plurality of rows of struts 10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riving direction along the roadway;
The central portion is fix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100, the block out 200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road toward the up and down lanes; And
In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comprising up and down lane side rails (300, 40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lock-out 200 on both side lanes,
The blockout 200 is composed of a blockout body 210 is fixed to the support 100, and the rail coupling flange 220 provided in the up and down lane direction of the blockout body 210,
The rails 300 and 400 are formed in a square pipe shape and have slits 310 and 410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blocks formed up and down based on the slits 310 and 4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ange 320, 420 for out coupling,
Inserted into the rail 300, 400 includes a coupling plate 500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out coupling flanges 320, 420,
The strut 100 and the blockout 200 are directly coupled by a bolt B1 penetrating the strut 100 and the blockout body 210 and a nut N1 fastened thereto.
The blockout 200 and the rails 300 and 400 penetrate through the rail coupling flange 220 and the coupling plate 500 and pass through the slits 310 and 410 and bolts B2 and the like. Vehicle protection fen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indirectly by the fastening nut (N2).
상기 블록아웃 몸체(210)는 상기 지주(100)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수직판(211)과, 상기 좌우 수직판(211)의 상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주(100)가 관통되는 지주 관통공(213)이 형성된 상하 수평판(212)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용 플랜지(220)는 상기 좌우 수직판(211)의 전후 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out body 210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rut 100 and the left and right vertical plate 211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plate 211, the strut 100 is It includes a vertical horizontal plate 212 is formed through the strut through hole 213,
The rail coupling flange (220) is a vehicle protection fenc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plate (211)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 사이에 연결되는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1,
Vehicle protection f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ock resistance control member 600 connected between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 (300) (400).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도로에 직각인 수직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어부재 몸체(610)와, 상기 제어부재 몸체(610)의 상, 하행 차로측 단부에서 각각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에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에 밀착되는 레일 결합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결합판(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 하행 차로측 레일(300)(400)과 결합판(700)은 상기 레일 결합부(620)와 결합판(700)을 관통하며 상기 슬릿(310)(410)을 통과하는 볼트(B4)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4)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600 is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ad, the control member body 610 and the control member body 610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300 and 400, and the up and down of the control member body 610. And a rail coupling part 620 which is bent and formed parallel to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300 and 400 at the lane side en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s 320 and 420 for the block-out coupling. ,
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late 700 inserted into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300 and 4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out coupling flanges 320 and 420.
The up and down lane side rails 300 and 400 and the coupling plate 700 pass through the rail coupling portion 620 and the coupling plate 700 and pass through the slits 310 and 410. And indirectly coupled by a nut (N4) fastened thereto.
상기 결합판(700)은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아웃 결합용 플랜지(320)(42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상하 플랜지 밀착부(710)와, 상하 플랜지 밀착부(71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310)(410)에 삽입되는 절곡돌출부(7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upling plate 700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upper and lower flange contact portion 710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 contact portion 7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out coupling flange 320, 420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Vehicle protection fen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bent projections 720 are inserted into the slit (310) (410).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상기 제어부재 몸체(610)의 상, 하행 차로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편(630)과, 상기 제어부재 몸체(610)의 일부와 연장편(630)에 걸쳐서 부착되는 반사지(6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600,
The control member body 610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iece 630 extending from the up and down lane side end portion, and a reflective paper 640 attached over a portion of the control member body 610 and the extension piece 630. Vehicle protection fen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상기 충격저항력 제어부재(600)는 제어부재 몸체(610)에 천공된 충격저항력 제어공(6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6, wherein
The impact resistance control member 600 is a vehicle protection f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ock resistance control hole 611 perforated in the control member body (6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3754A KR101083269B1 (en) | 2011-07-25 | 2011-07-25 | Vehicle protective fe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3754A KR101083269B1 (en) | 2011-07-25 | 2011-07-25 | Vehicle protective fe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3269B1 true KR101083269B1 (en) | 2011-11-17 |
Family
ID=4539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3754A Active KR101083269B1 (en) | 2011-07-25 | 2011-07-25 | Vehicle protective fe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326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1896B1 (en) * | 2011-12-30 | 2012-10-16 | 안은희 | Guard fence for vehicle |
KR101250343B1 (en) * | 2012-11-20 | 2013-04-03 | 신도산업 주식회사 | Vehicle protection |
KR101471067B1 (en) * | 2014-07-15 | 2014-12-10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End of the Median |
US10041217B2 (en) * | 2016-05-19 | 2018-08-07 | Eti Ltd. | Traffic barrier structure |
DE102023203257A1 (en) * | 2023-04-11 | 2024-10-17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 Guardrail and method for its install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231B1 (en) | 2007-12-13 | 2008-09-01 | 경갑수 | Shock Absorption Guard Rails |
-
2011
- 2011-07-25 KR KR1020110073754A patent/KR1010832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231B1 (en) | 2007-12-13 | 2008-09-01 | 경갑수 | Shock Absorption Guard Rails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1896B1 (en) * | 2011-12-30 | 2012-10-16 | 안은희 | Guard fence for vehicle |
KR101250343B1 (en) * | 2012-11-20 | 2013-04-03 | 신도산업 주식회사 | Vehicle protection |
WO2014081056A1 (en) * | 2012-11-20 | 2014-05-30 | 주식회사 쓰리에스 | Guardrail for vehicle |
KR101471067B1 (en) * | 2014-07-15 | 2014-12-10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End of the Median |
US10041217B2 (en) * | 2016-05-19 | 2018-08-07 | Eti Ltd. | Traffic barrier structure |
DE102023203257A1 (en) * | 2023-04-11 | 2024-10-17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 Guardrail and method for its install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42837B2 (en) | Highway barrier and guardrail | |
JPH11343614A (en) | Guard rail equipped with slidable impact force receiving element | |
KR101083269B1 (en) | Vehicle protective fence | |
US20140334875A1 (en) | Jersey Barrier Improvements | |
CA2981573C (en) | Spacer for road safety barrier | |
US20080011992A1 (en) | Cable Anchor Bracket | |
EP1612334A1 (en) | A road crash barrier | |
EP3277886B1 (en) | Spacer for road safety barrier | |
KR102475735B1 (en) | Guard Rail | |
KR101181429B1 (en) |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 |
KR200245934Y1 (en) | A median strip of guid rail | |
KR102770691B1 (en) | Guardrail Easy to Install in Curved Sections Of Roads | |
KR200252807Y1 (en) | Fall guard guard rail | |
KR101548952B1 (en) | Guard Cable improved Impact Energy Absorbing Capacity | |
KR101286738B1 (en) | strips for road | |
AU2006235944A1 (en) | Shock absorber for road safety barrier | |
RU2601825C1 (en) | End section of road barrier guard | |
WO2007148110A1 (en) | Safety barrier | |
KR100478897B1 (en) | Guard-rail | |
RU160005U1 (en) | END PLOT OF ROAD BARRIER Fencing | |
KR20230001969A (en) | Handrail shock device | |
AU2013270610B2 (en) | Crash Barrier Bracket | |
KR20110054700A (en) | Central separator with shock absorbing p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7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