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815B1 -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815B1
KR101073815B1 KR1020080115808A KR20080115808A KR101073815B1 KR 101073815 B1 KR101073815 B1 KR 101073815B1 KR 1020080115808 A KR1020080115808 A KR 1020080115808A KR 20080115808 A KR20080115808 A KR 20080115808A KR 101073815 B1 KR101073815 B1 KR 10107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image signal
image
portable termi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820A (ko
Inventor
문현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08011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8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6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res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에지 영상 생성부, 및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여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비교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영상 감시 방법은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변화가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Mobile terminal for video surveillance, and video surveilan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감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기 위해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생활에 대한 의식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감시와 보안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감시가 필요한 대상을 향해 카메라를 고정된 위치에 설치하고 카메라에 찍힌 영상을 지정된 화질로 녹화하거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여 원격에서 감시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 시스템에서는 감시 목적에 따라 사전에 감시 대상을 결정하여야 하며, 그 목적과 대상에 맞는 시스템, 즉 감시 카메라와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입하고 설치하여야 한다. 감시 목적이나 대상이 변경될 경우 추가 경비를 들여 시스템을 변경하여야 하며, 심지어 카메라의 위치를 옮기는 공사가 수반되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단시간의 감시가 필요하거나 갑작스레 감시가 필요하 더라도 종래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보안과 감시는 일반적으로 장시간 동안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류가 공급될 수 없는 상황에서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 장비를 이용하는데도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감시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영상을 감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량을 최소화하여 전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장시간 동안 영상 감시를 할 수 있는 영상 감시를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에지 신호 생성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비교 판단부는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여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신호 생성부는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생성된 영상 신호의 노출을 측정하여 카메라 모듈의 촬영 주기, 셔터 스피드 및/또는 조리개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영상 신호는 밝기 성분과 색채 성분으로 구성되는데, 에지 영상 생성부는 영상 신호의 밝기 성분 및 색채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통과시키는 필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에지 영상 생성부는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에지 검출 모듈, 및 에지 영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에지를 이미지화한 에지 이미지화 영상을 제공하는 에지 보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에지 이미지화 영상을 이용하여 감시 대상 내의 특정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특정 대상 선택 모듈, 및 선택된 특정 대상에 대응하는 에지 이미지화 영상의 영역을 감지하는 특정 대상 인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에지 영상 생성부는 영상 신호의 일부 영역만 통과시키는 필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일부 영역은 에지 영상 신호를 이미지화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르면, 비교 판단부는 에지 영상 신호의 기준 에지 프레임을 저장하는 비교 대상 저장 모듈, 상기 기준 에지 프레임과 에지 영상 신호의 현재 에지 프레임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하는 비교 모듈, 및 비교 결과가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르면, 기준 에지 프레임과 현재 에지 프레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대응하는 영역들을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한 영역들의 비율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제 1 비율보다 크거나 제 2 비율보다 작은 경우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이 제공된다.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한다. 검출된 변화가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영상 감시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에지를 검출하기 전에 영상 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만 통과시키도록 필터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택한 영역 내로 국한하여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감시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시나리오에 따라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알림 동작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 촬영 주기를 높여 영상 신호를 생성, 최대 해상도로 영상 신호를 생성, 영상 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저장,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영상 신호를 송신,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녹음해둔 음성을 미리 설정한 전화로 송신,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전화로 메시지를 송신, 및 휴대 단말기의 GPS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은, 사용자가 손 쉽게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감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유동적인 감시가 가능하다. 또한,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함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에지를 이용함으로써 카메라가 본질적으로 갖고 있는 노이즈 문제 및 오작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원 영상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비해 더 적은 연산을 수행하여 필요 전류가 작으므로 오랜 시간의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의 편이와 명확성을 위하여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구조나 크기는 과장되었고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으며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이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되었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일 뿐,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부(105)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형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원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100)란 용어는 휴대폰, PDA, PMP 등의 휴대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101), 디스플레이(102), 입력부(103), 스피커(104), 영상 감시부(105), 통신부(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영상 감시부(105)는 집적 회로의 형태로 휴대 단말기(100) 내에 내장될 수 있으며, 또는 휴대 단말기(100)용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휴대 단말기(100)에서 기능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영상 감시부(105)는 영상 신호 생성부, 에지 영상 생성부, 비교 판단부, 알림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후술한다.
카메라(101), 디스플레이(102), 스피커(104) 및 통신부(106)는 상용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100)에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101)는 예컨대 CCD 또는 CMOS 타입의 이미지 센서일 수 있으며, 촬영 대상의 이미지를 감지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카메라(101)가 촬영한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본원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입출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104)는 감시 대상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핸드폰 벨소리와 같이 경고음을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통신부(106)는 감시 대상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무선 통 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와 전화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휴대 단말기에 영상 신호를 송신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경우 다른 단말기에 영상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영상 감시부(105)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감시부(105)는 영상 신호 생성부(210), 에지 영상 생성부(220), 비교 판단부(230), 알림부(240), 제어부(2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생성부(210)는 도 1의 카메라(101)를 이용하여 감시 대상을 촬영하고 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에지 영상 생성부(220)에 제공한다. 여기서 감시 대상은 물건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장소 또는 특정 인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영상 신호는 비디오 신호로써 연속한 영상 프레임들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영상 신호는 밝기(luma) 성분과 채색(chroma) 성분으로 구성되는데, 예컨대 YUV, Y’UV, YCbCr, YPbPr 방식일 수 있다. 영상 신호 생성부(21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로 더 자세히 후술한다.
에지 영상 생성부(220)는 영상 신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비교 판단부(230)에 제공한다. 에지는 물체와 배경의 경계, 또는 물체가 오버랩 되는 경계이며, 색이나 농도, 밝기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부분을 에지로 검출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전체 픽셀들 각각에 해당하는 컬러 데이터와 밝기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일반적으로 큰 용량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이 목적하는 영상 감시를 위해서는 모든 픽셀에 대한 상기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으며, 오직 감시 대상의 윤곽선에 대한 데이터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에지 영상은 픽셀들의 컬러 데이터 또는 밝기 데이터가 급격히 변하는 영역만을 포함하므로,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아 프레임 간의 변화를 검출하는데 연산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에지 영상 생성부(22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로 더 자세히 후술한다.
비교 판단부(230)는 에지 영상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에지 영상에 변화가 생겼는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에지 영상에 변화가 생겼는지 검출하기 위해서는 에지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비교하여야 한다. 프레임들 간에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야 할 것이다. 프레임들을 비교함에 있어서, 에지 영상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컨대 조명의 밝기 변화, 그림자와 같은 주변 환경의 변화나 카메라가 본질적으로 갖고 있는 노이즈에 영향을 받아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에지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명의 밝기가 변하더라도 감시 대상의 윤곽선에는 변화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므로 상술된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비교 판단부(23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로 더 자세히 후술한다.
알림부(240)는 비교 판단부(230)에서 소정에 기준에 해당하는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나리오에 따라 알림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로 더 자세히 후술한다.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설정하는 모드, 시나리오, 파라미터 등에 따라 전술한 영상 신호 생성부(210), 에지 영상 생성부(230), 비교 판단부(230) 및 알림부(240)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생성부(210), 에지 영상 생성부(230), 비교 판단부(230) 및 알림부(240)에서 발생한 신호들에 의해 피드백으로 이들을 조절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본원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어부(25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해당 부분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신호 생성부(210), 제어부(2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신호 생성부(210)는 카메라 모듈(211)과 영상 분석 모듈(212)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211)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영상 분석 모듈(212)에 입력된다. 카메라 모듈(211)은 도 1의 카메라(101)가 감시 대상을 촬영한 영상을 주기적으로 캡쳐하여 연속하는 영상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생성된 영상 프레임은 전체 픽셀에 대해 밝기 데이터와 색채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용량이 크며, 이 영상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며 소비 전류도 많을 것이다.
영상 신호가 유효한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셔터 속도, 조리개 크기 및 촬영 주기 등을 포함하는 촬영 파라미터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은 경우, 카메라 모듈(211)이 생성한 영상 프레임에서는 물체를 분간할 수 없 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영상 분석 모듈(212)이 제공될 수 있다.
영상 분석 모듈(212)은 카메라 모듈(211)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의 노출을 측정하여 상기 촬영 파라미터들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노출이 너무 큰 경우, 셔터 속도를 빠르게 하고 조리개를 좁힐 수 있고, 반대로 노출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셔터 속도를 느리게 하고 조리개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셔터 속도에 따라 촬영 주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촬영 파라미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250)의 카메라 제어 모듈(25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 모듈(212)에서 측정한 노출 값을 도 4의 필터 제어 모듈(252)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분석 모듈(212)은 카메라 모듈(211)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문단에서 설명하는 영상 분석 모듈(212)은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구성으로써 생략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제어부(250)의 카메라 제어 모듈(251)은 영상 분석 모듈(212)에서 생성된 상기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211)의 촬영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 모듈(25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의 카메라 설정 모듈(261)을 통해 촬영 주기, 셔터 속도, 및 조리개 크기 등을 포함하는 촬영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지 영상 생성부(220), 제어부(2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지 영상 생성부(220)는 필터 모듈(221), 에지 검출 모듈(222) 및 에지 보정 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221)은 영상 신 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의 특정 성분만 통과하도록 필터링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을 감시하는데 모든 픽셀에 대한 밝기 값과 색채 값을 모두 연산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지를 검출하는데 적합한 성분만 통과시킬 수 있다. 필터 모듈(221)은 에지를 검출하는데 필요하지 않는 성분을 제거하여,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에지를 검출하는데 주로 밝기 성분이 이용되지만, 주변 환경의 밝기가 자주 변하는 장소를 감시하는 경우에는 색채 성분, 또는 색채 성분과 밝기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색채 성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밝기 성분을 제거하여야 할 것이며, 색채 성분과 밝기 성분을 모두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 성분을 모두 통과시켜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3의 영상 분석 모듈(212)에서 생성된 노출 값을 필터 제어 모듈(252)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필터 제어 모듈(252)은 노출 값에 따라 에지를 검출하기에 적합한 성분만을 통과시키도록 필터 모듈(221)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노출 값이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에, 필터 제어 모듈(252)은 색채 성분을 통과시키도록 필터 모듈(221)에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또는 색채 성분과 밝기 성분 모두를 통과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설정 모듈(262)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어떤 성분을 통과시킬 것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필터 모듈(221)은 영상 신호의 영상 프레임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또는 일부 영역만을 통과시키도록 필터링 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감시하는 경우, 주차장은 다른 차들이나 사람들이 왕래하므로 영상 신호에 변 화가 검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하고자 하는 자동차만을 선택하여 자동차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제거할 수 있다. 선택 영역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전체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연산량이 줄어들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설정 모듈(262)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에지 이미지화를 통해 특정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된 필터 모듈(221)은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생략될 수 있다.
에지 검출 모듈(222)은 필터링 된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 예컨대 미분 필터와 같은 연산자를 이용한다.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 예컨대 유사 연산자, 차분 연산자, 그라디언트 연산자, 로버트(Roberts) 연산자, 소벨(Sobel) 연산자, 프리윗(Prewitt) 연산자, 및 컴패스 그라디언트 연산자와 같은 1차 미분 에지 연산자, 또는 예컨대 라플라시안 연산자 및 가우스형 라플라시안 연산자와 같은 2차 미분 에지 연산자가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상기 연산자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감시 대상의 에지의 변화 여부를 찾기 위한 것이므로, 1차 미분 에지 연산자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장 간단하다고 알려진 차분 연산자를 이용할 수 있다.
차분 연산자를 이용한 에지 검출은 해당 픽셀과 이에 인접한 픽셀의 값과의 차를 구하는 것이다.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과의 차를 구하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과의 차를 구하고,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 픽셀과의 차를 구하여, 이러 한 차들 중에 가장 큰 차를 구할 수 있다. 최대 차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보다 큰 경우 에지로 판단하여 해당 픽셀을 예컨대 흰색으로 결정하고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예컨대 검은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전체 픽셀에 대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된 바와 같이 선택 영역에 국한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임계값은 감시 대상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임계값을 조절하기 위해 임계값 설정 모듈(263)이 제공될 수 있다. 임계값을 높이면 강한 에지만 살아남아 단순한 에지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반면, 너무 높이면 물체의 윤곽선마저도 에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임계값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에지 검출 모듈(222)은 상술된 바와 같이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을 생성한다.
에지 보정 모듈(223)은 에지가 검출된 에지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에지를 이미지화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의 카메라 모듈(211)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노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는 에지 검출 모듈(222)에서 에지로 인식되어 오동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노이즈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에지 보정 모듈(223)은 에지 영상의 에지를 향상시켜, 에지와 배경 간의 대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에지 검출 모듈(222)에서 설명한 최대 차를 임계 값과 비교하여 임계값보다 큰 경우를 에지로 판단하는 것도 에지 향상일 수 있다.
에지 보정 모듈(223)은 에지 영상을 이미지화하여, 에지로 표현된 물체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호그변환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경과 물체 의 경계 사이에는 에지 데이터가 많이 존재한다. 에지가 많은 곳을 하나의 선으로 이어 그 물체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배경과 감시하고자 하는 물체가 포함된 감시 대상에서 감시 물체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특정 대상 선택 모듈(260)을 이용할 수 있다. 에지 이미지화 영상의 제 1 프레임에서 사용자가 감시 물체를 선택한 후에, 그 물체를 다음 프레임에서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후술되겠지만, 감시 물체를 선택하기 위해 촬영한 제 1 프레임과 그 이후 프레임 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후 프레임에서 상기 감시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특정 대상 인지 모듈(253)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대상 인지 모듈(253)에서 인지한 감시 물체의 영역을 필터 제어 모듈(252)에 제공하여, 필터 제어 모듈(252)은 상기 영역만을 통과시켜 연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교 판단부(230), 제어부(2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의 블록도이다.
비교 대상 저장 모듈(231)은 비교될 기준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기준 프레임은 에지 영상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에지 영상의 최초 프레임일 수 있다. 또는 기준 프레임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가 영상 감시를 위해 특정 장소에 고정된 후 안정될 때까지의 시간, 예컨대 10초가 경과한 후에 생성된 에지 영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간격, 예컨대 10분, 1시간 등으로 주기적으로 기준 프레임을 재설정할 수 있다.
비교 모듈(232)는 에지 영상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에지 영상의 현재 프레 임과 기준 프레임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하는 방식은 각 픽셀 별로 차이가 존재하는 픽셀을 모두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한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방식은 프레임을 일정 영역들로 분할하고, 대응하는 영역 별로 비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대상을 촬영한 사진을 비교해 볼 때, 동일한 픽셀도 다른 색으로 표현 될 수 있으며, 동일한 윤곽선도 다른 위치에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윤곽선을 촬영하였지만, 에지가 1픽셀만큼 평행 이동되어 표현되는 경우, 픽셀 별로 비교하는 경우 에지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 별로 비교하여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비교 모듈(232)은 영역 별로 차이가 발생한 비율을 결과로써 제공한다.
다른 방식으로, 기준 프레임에서 강한 에지를 갖고 있는 픽셀들을 검출하고, 에지를 검출하지 않은 영상 신호의 현재 프레임에서 대응하는 픽셀들이 에지에 해당하는 지를 검사할 수 있다. 비교 대상에 이상이 없다면, 기준 프레임에서 에지인 픽셀은 비교할 현재 프레임에서도 에지에 해당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비교 대상에 이상이 생긴다면, 에지인 픽셀이 이동될 것이므로, 기준 프레임에서 에지였던 픽셀이 현재 프레임에서는 에지가 아닐 가능성이 많다. 에지 프레임들을 비교하는 방식은 모든 영상 신호에 대해 에지를 검출해야 하는 반면에, 이 방식은 기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에지를 검출하기만 하면 되며, 영상 신호의 프레임과 바로 비교하면 되므로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비교 모듈(232)은 검사한 픽셀이 에지가 아닌 비율을 결과로써 제공한다.
판단 모듈(233)은 상기 비율이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소정의 기준은 감시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감시할 물체가 사라지거나 변형이 생기거나 외부에서 접근하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기준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소정의 기준은 미리 설정한 비율보다 커지는 것일 것이다. 비교 모듈(232)에서 생성된 비율이 미리 설정한 비율보다 커지는 경우, 판단 모듈(233)은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감시할 물체가 어린 아이와 같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고, 사용자는 어린 아이가 특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현재 프레임이 기준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서는 안될 것이다. 여기서 기준 프레임은 감시한 물체가 없는 배경만 있는 영상이다. 즉, 현재 프레임도 배경만 존재하는 경우라면, 이동가능한 감시 물체가 사라진 것이므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소정의 기준은 미리 설정한 비율보다 작은 경우일 것이다. 비교 모듈(232)에서 생성된 비율이 미리 설정한 비율보다 작은 경우, 판단 모듈(233)은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감시 모드 설정 모듈(265)을 통해 감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한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비율이 너무 작아 0에 가까운 경우, 노이즈나 카메라의 본질적인 오차에도 영향을 받아 오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미리 설정한 비율이 너무 큰 경우에는, 감시 대상에서 배경이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큰 경우에는 감시 대상이 사라지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알림부(240), 제어부(2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의 블록도이다. 알림 동작 모듈(241)는 비교 판단부(230)에서 생성된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시나리오에 따라 알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사용자는 시나리오 설정 모듈(266)을 통해 감시 대상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취할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시나리오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벨소리와 같이 경보음을 발생(242)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는 현재의 촬영 주기보다 더 높은 촬영 주기로 영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243)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현재 촬영되고 있는 해상도 보다 더 높은 해상도, 예컨대 최대 해상도로 영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244)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영상 신호를 압축(245)하여 휴대 단말기에 저장(245a)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부(도 1의 106)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에 영상 신호를 송신하거나,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 예컨대 컴퓨터 단말기에 영상 신호를 송신(245b)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녹음해둔 음성을 미리 설정해 둔 전화 번호, 예컨대 경찰서로 송신(246)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전화 번호로 메시지를 송신(247)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GPS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다른 휴대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248)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은 오직 한 가지 시나리오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조합하여 동시에 여러 시나리오들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시나리오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6과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카메라(101)로 감시 대상을 촬영하고, 카메라 모듈(211)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일정 촬영 주기로 캡쳐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702). 영상 분석 모듈(212)은 상기 생성된 영상 신호의 노출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모듈(211)의 촬영 주기, 도 1의 카메라(101)의 셔터 속도 및/또는 조리개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단계 704). 영상 신호에는 에지를 검출하는데 적합한 성분과 그렇지 않은 성분이 있을 수 있다. 필터 모듈(221)은 에지를 검출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을 갖지 않는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단계 706). 필터링된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708). 에지 보정 모듈(223)에서 생성된 에지 영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에지 영상 신호의 에지를 이미지화 한다(단계 710). 에지 이미지화된 영상 신호들은 주기적으로 캡쳐된 에지 이미지화 프레임들로 구성되는데, 제 1 에지 이미지화 프레임과 이후 에지 이미지화 프레임들을 비교한다(단계 712). 비교한 결과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것으 로 판단하면,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714).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나리오에 따라 상술된 알림 동작들 중 일부를 수행한다(단계 716).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지만, 비교하는 단계(811, 812)가 상이하다. 단계 810에서 에지 보정된 에지 이미지화 영상 신호의 프레임을 저장한다(단계 811). 저장된 에지 이미지화 영상 프레임 중 강한 에지를 갖는 영역을 검출하고, 단계 802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상기 강한 에지를 갖는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이 에지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812). 검사한 결과는 에지에 해당하는 비율로 나타난다.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한 기준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814).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로서, 에지 보정된 에지 이미지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특정 대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대상만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특정 대상을 선택하거나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도 1의 휴대 단말기(100)를 손에 들고 수행하여야 할 것이며, 영상 감시를 위해 다시 감시할 위치에 고정시켜야 할 것이다. 이 경우 특정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촬영한 영상과 감시에 사용되는 영상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 대상을 인지하는 단계(920)가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도 1의 100)를 감시할 위치에 놓고 감시 대상의 사진을 찍어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902). 생성된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 단계들(904, 906, 908 및 910)을 거쳐 에지 이미지화된 사진이 된다. 상기 사진은 도 4의 특정 대상 선택 모듈(264)로 전송되어 사용자는 물체의 윤곽선이 표시된 사진에서 감시하고자 하는 특정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918).
사용자는 감시할 특정 대상을 선택한 후,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도 1의 100)를 상기 감시할 위치에 놓고 영상 감시를 시작한다. 단계 902에서 영상 신호의 제 1 프레임이 생성되며, 이 제 1 프레임은 영상 처리 단계들(904, 906, 908 및 910)을 거쳐 에지 이미지화 제 1 프레임이 되며, 에지 이미지화 제 1 프레임은 에지 영상 비교 단계(912)에서 이용될 기준 프레임으로 저장되고, 도 4의 특정 대상 인지 모듈(253)에 제공된다. 특정 대상 인지 모듈(253)은 특정 대상 선택 모듈(264)에서 선택된 특정 대상과 실질적으로 매칭하는 영역을 에지 이미지화 제 1 프레임에서 검사한다. 매칭하는 영역을 도 4의 필터 제어 모듈(252)에 제공하며, 필터 제어 모듈(252)은 제 1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상기 영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링을 수행할 것이다(단계 906). 다시 단계 902에서 제 1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들이 포함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이 영상 신호는 단계 904를 거쳐 단계 906에서 상기 매칭하는 영역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링이 수행된다(단계 906). 다시 영상 처리 단계들(908, 910)을 거쳐 단계(912)에서 상기 기준 프레임과 비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모드로서, 전체 감시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도 1의 100)를 전체 감시 모드로 설정하고, 감시할 위치에 고정시킨 후 전체 감시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전체 감시 모드는 예컨대 특정 장소에 어떠한 변화도 발생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감시될 특정 장소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순서도에 따라 전체 영상을 감시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는 특정 장소의 조명 상태, 주변 환경, 예컨대 야외, 실내 등을 고려하여 영상 신호 중 필터링할 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에지 검출에 필요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임계값이 너무 작은 경우, 물체의 표면에 나타나는 색 차이도 에지로 검출하게 되어 영상 감시에 필요하지 않은 정보까지 처리해야 하고 물체를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임계값은 물체의 윤곽을 에지로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기준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간의 차이 비율에 대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너무 작게 기준을 설정하면, 환경적인 변화나 카메라 내부 오동작 까지도 이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 기준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다른 실시 모드로서, 일부 감시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도 1의 100)을 일부 감시 모드로 설정하고, 감시할 위치에서 감시할 대상을 촬영하고 이를 기초로 특정 대상을 선택한다. 그 후 다시 감시할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위치시키고, 일부 감시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일부 감시 모드 는 예컨대 감시할 대상에만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그 주변에는 변화가 불가피하거나 허용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출입구를 감시하는 경우, 전체 감시 모드로 출입구 근처까지 감시할 수도 있으나, 일부 감시 모드로 출입구 근처의 사람들의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출입구의 변화만을 감시할 수도 있다. 일부 감시 모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순서도에 따라 일부 여상을 감시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 모드로서, 움직임이 있는 물체나 사람, 예컨대 어린 아이를 감시하기 위한 추적 감시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도 1의 100)을 추적 감시 모드로 설정하고, 움직임이 있는 물체를 제외한 배경을 촬영하여 기준 프레임으로 설정한다. 그 후 움직임이 있는 물체를 감시 대상 안에 위치시킨 후 추적 감시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추적 감시 모드는 예컨대 특정 장소에서 움직임이 있는 물체가 사라지는 것을 이상으로 감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린 아이가 혼자 수영장에서 놀고 있는 경우, 보호자는 어린 아이가 눈에 보이는 곳에서 놀고 있길 바랄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가 수영장 전체가 조망되도록 고정시키고, 추적 감시 모드로 동작시키면, 어린 아이가 시야에서 사라지는 경우, 예컨대 물에 빠지는 경우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이상을 판단하는 방법은 움직일 수 있는 물체가 없는 배경 사진을 기준 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이후 프레임이 배경 사진과 동일해 지는 경우, 즉 움직일 수 있는 물체가 사라져 배경만 남은 경우 이상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기준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추적 감시 모드에서도 프레임들 간에 차이가 발생한 비율을 검사하고, 이 비율이 기준 이하인 경우에 이상으로 인지한다. 사용자는 이상으로 인지할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시야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도 이상으로 감지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에 이상이 생겨 시야를 가리는 물체가 생겼다거나 휴대 단말기의 고정이 풀려 시야가 움직인 경우에는 추적 감시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 2 기준 보다 큰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상으로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 모드로서, 추적 감시 모드와 일부 감시 모드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어린 아이가 바닷가에서 놀고 있는 경우, 보호자는 깊은 바닷물에 아이가 들어가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이며, 또한 시야에서 사라지는 것을 원하지도 않을 것이다. 이 경우, 어린 아이가 있어도 좋은 안전 구역과 어린 아이가 가면 안 되는 위험 구역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안전 구역에서는 추적 감시 모드로 동작시켜 안전 구역에서 벗어난 경우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위험 구역은 일부 감시 모드로 동작시켜 위험 구역으로 어린 아이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알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부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영상 감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신호 생성부, 및 제어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지 영상 생성부, 및 제어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교 판단부, 및 제어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알림부, 및 제어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Claims (18)

  1.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
    상기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에지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여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비교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신호 생성부는,
    상기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영상 신호의 노출을 측정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주기, 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는 밝기 성분과 색채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지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밝기(luma) 성분 및 색채(chroma) 성분 중 하나 이상의 성분만 통과시키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상기 에지를 검출하여 상기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에지 검출 모듈; 및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에지를 이미지화한 에지 이미지화 영상을 제공하는 에지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이미지화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감시 대상 내의 특정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특정 대상 선택 모듈; 및
    상기 에지 이미지화 영상 중에서 선택된 상기 특정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을 감지하는 특정 대상 인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일부 영역만 통과시키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에지 영상 신호를 이미지화한 결과를 이 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기준 에지 프레임을 저장하는 비교 대상 저장 모듈;
    상기 기준 에지 프레임과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현재 에지 프레임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는 상기 기준 에지 프레임과 상기 현재 에지 프레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대응하는 영역들을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한 영역들의 합을 상기 영역들의 총수로 나눈 비율이며, 상기 판단 모듈은 모드에 따라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보다 크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선택 영역만 통과시키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교 모듈은 상기 기준 에지 프레임과 상기 현재 에지 프레임 을 상기 선택 영역에 국한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기준 에지 프레임을 저장하는 비교 대상 저장 모듈;
    상기 기준 에지 프레임 중에서 에지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신호의 현재 프레임의 영역이 에지인 비율을 산출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보다 크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i)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경보 발생, ii) 상기 영상 신호 생성부의 촬영 주기를 높임, iii) 상기 영상 신호 생성부의 해상도를 최대 해상도로 전환, iv)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 v)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를 송신, vi)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녹음해둔 음성을 미리 설정한 전화로 송신, vii)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전화로 메시지 송신 및 viii) 상기 휴대 단말기의 GPS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송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12.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변화가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를 검출 하기 전에, 상기 영상 신호의 노출을 측정하여 촬영 주기, 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촬영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를 검출하기 전에, 밝기 성분과 색채 성분으로 구성되는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밝기 성분 및 상기 색채 성분 중 하나 이상의 성분, 및 선택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시키도록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를 검출하기 전에, 상기 영상 신호를 일부 영역만 통과시키도록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일부 영역 내로 국한하여 상기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기준 에지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에지 프레임과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현재 에지 프레임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 영상 신호의 기준 에지 프레임 중 에지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신호의 현재 프레임의 영역이 에지에 해당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모드에 따라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보다 큰지 또는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보다 작은지에 대한 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과정,
    촬영 주기를 높여 상기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최대 해상도로 상기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상기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녹음해둔 음성을 미리 설정한 전화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전화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GPS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방법.
KR1020080115808A 2008-11-20 2008-11-20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KR10107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08A KR101073815B1 (ko) 2008-11-20 2008-11-20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08A KR101073815B1 (ko) 2008-11-20 2008-11-20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20A KR20100056820A (ko) 2010-05-28
KR101073815B1 true KR101073815B1 (ko) 2011-10-17

Family

ID=4228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808A KR101073815B1 (ko) 2008-11-20 2008-11-20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152B1 (ko) 2016-11-22 2018-09-03 윤창한 전동침대
KR102530094B1 (ko) * 2021-07-19 2023-05-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호 장비 착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장치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20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3376B2 (ja) カメラ妨害検知方式
US10979654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N101366271B (zh) 用于校正图像中的闪烁的方法和装置
CN105122794B (zh) 相机遮挡检测
US8237853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922784B1 (ko) 영상 기반 화재 감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범 및 방재 시스템
US20110221895A1 (en) Detection of Movement of a Stationary Video Camera
KR101514061B1 (ko) 노인 관리용 무선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통한 노인 관리 시스템
US20090322897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elf-navigator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6508314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73815B1 (ko) 영상 감시용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JP2014209681A (ja) 色調調整装置および色調調整方法
CN101494770B (zh) 用于控制监控照相机的屏蔽的颜色的装置和方法
JP2008186283A (ja) 人体検出装置
JP2019170868A (ja) 生体情報検出装置および生体情報検出方法
JP2008185480A (ja) 人体検出装置
KR20080077427A (ko) 화상 변화 감지 및 화면 확대 축소 카메라 장치 및 그 방법
JP645010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6246383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撮影システム
JP2005286474A (ja) 通信端末
JP201523320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09924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767108B1 (ko) 촬영모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영상처리하는 이동형촬영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2561A (ko) 이벤트 발생 감지 방법
JP4804121B2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