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642B1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psc side beam and slab - Google Patents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psc side beam and slab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1642B1 KR101071642B1 KR1020090089225A KR20090089225A KR101071642B1 KR 101071642 B1 KR101071642 B1 KR 101071642B1 KR 1020090089225 A KR1020090089225 A KR 1020090089225A KR 20090089225 A KR20090089225 A KR 20090089225A KR 101071642 B1 KR101071642 B1 KR 101071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bridge
- side beams
- lower flange
- ps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종래 하로교 시공에 있어, 가시설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아도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하로교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로교는 측면빔 사이에 슬래브를 형성시키되, 특히 슬래브와 측면빔을 슬래브의 양 측부가 측면빔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직접 얹어지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슬래브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측면빔의 외측면에서 긴장 후 정착되는 횡방향 긴장재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한다. 이에 보다 안정적이고 간단한 시공이 가능한 PSC 측면빔을 이용한 하로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haro bridge construction, a halo bridge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be economically constructed without using a provisional system is disclosed. For this purpose, the haro bridge forms a slab between the side beams, and in particular, the slab and the side beams are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slab are direct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side beam, the slab penetr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ide beam It is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the transverse tension that is fixed after the tension on the outer 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halo bridge using the PSC side beam, which enables more stable and simple construction.
하로교, 슬래브 Haro bridge, slab
Description
본 발명은 PSC 측면빔과 슬래브를 이용한 하로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슬래브가 주거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하로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시설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하로교를 시공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하로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construction using a PSC side beam and a slab.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construction in which the slab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because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using the provisional system.
하로교(THROUGH BRIDGE)는 슬래브의 위치에 따른 교량형식이다. 즉 하로교는 슬래브(노면)가 종방향 거더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교량이다.THROUGH BRIDGE is a bridge typ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lab. In other words, the bridge is a bridge in which the slab (surface) is positioned below the longitudinal girder.
이러한 하로교 방식으로 최근 적용된 교량이 경전철 시공에 사용된 바 있는 UCB(U-TYPE CHANNEL BRIDGE, 채널브리지)이다.The bridge that has been recently applied in this way is the UCB (U-TYPE CHANNEL BRIDGE, channel bridge) that has been used for light rail construction.
도 1a는 상기 하로교인 채널브리지(10,UCB)와 PSC 거더교(20)의 시공단면도를 비교 도시한 것인데, PSC 거더교 보다 형고가 낮아 주행 중 시야확보에 유리하고, 슬래브 접속구간의 토공량 감소에 의하여 시공성 및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cross-section of the channel bridge (10, UCB) and the PSC girder bridge (20), which is lower than the PSC girder bridge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visibility during driving, by reducing the earthwork volume of the slab connection s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ability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이러한 채널브리지의 종래 시공방법으로서 채널브리지용 U형 세그먼트를 풀- 스테이징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동바리와 같은 가시설 시스템을 반드시 설치해야 하므로 현장여건상 이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가시설 시스템의 시공비가 너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 도 1b와 같이 교량 상부에서 U형 세그먼트(10)를 교량 진행방향으로 런칭시스템(30)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such a channel bridge, a U-segment for a channel bridge can be installed by a full-stage method. In this case, a temporary facility such as a copper bar must be installed, so it may not be possible to install it in the field conditions. In many cases, it takes too much specific gravity, and as shown in FIG. 1B,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U-shaped
하지만 이러한 런칭시스템은 채널브리지용 U형 세그먼트(10)를 제작하여 교각 및 교대 상부로 인양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종방향으로 서로를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운영하다보니 고가의 런칭시스템(30)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달리 공사를 진행할 수 없어 공사가 중단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launch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e
도 1c는 다른 종래 하로교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것인데, 특히 프리플렉스 빔(40)을 제작하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41) 각 내측면 하부에 수평으로 돌출된 돌출부(42)를 형성시키고, 상기 돌출부(42)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50)가 얹어지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50)와 프리플렉스 빔(40)은 돌출철근(43,44)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철근(43,44)이 연결되는 부위를 콘크리트(45)로 마감하도록 하로교를 제작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Figure 1c shows another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aro Bridge, in particular to produce a
이러한 하로교 제작은 종래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방식의 U형 세그먼트(10)를 제작하는 방식과는 차별화되지만 상기 돌출부(42)에 슬래브의 자중 및 활하중이 작용할 경우 자칫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 있고, 각 프리플렉스 빔을 구성하는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의 측면에 돌출철근(43)을 형성시키고, 이를 슬래 브의 돌출철근(44)와 연결한 후, 연결되는 부위를 콘크리트(45)로 마감시키다 보니 아무래도 공종이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haro bridge fabrica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1d는 다른 종래 하로교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인데, 먼저 교각과 같은 교량하부구조(50) 사이에 ㄱ자형 가설프레임(60)을 설치하고, 상기 ㄱ자형 가설프레임(60)에 얹어지도록 U형 프리캐스트 세그먼트(70)를 설치한 후, 도 1e와 같이 종방향으로 배치된 긴장재(72)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70)를 서로 압착 연결시키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Figure 1d shows another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first install the U-shaped
이때 상기 U형 프리캐스트 세그먼트(70)는 도 1e와 같이 슬래브(71)에 횡방향으로 긴장재(73)에 의하여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슬래브(71)의 폭에 따른 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고, U형 프리캐스트 세그먼트(70)의 시공과는 달리 상관이 없음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haped
하지만, 이러한 하로교 시공방법도 ㄱ자형 가설프레임(60)을 설치해야 하는 등 가시설 설치를 위한 노력과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하로교 시공에 있어 보다 간단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인 하로교 시공방법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However, such a method of construc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requires the effort and cost for installing the temporary facilitie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he L-shaped
이에 본 발명은 하로교를 시공함에 있어 그 제작, 운반 및 시공에 있어 보다 간단하면서도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작 및 시공되는 하로교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of the Haro Bridge in a new way that can be reduced in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more simple, but also in construction cos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즉, 교대, 교각을 포함하는 교량하부구조를 종방향으로 설치한후에,That is, after installing the bridge substructure including the alternating, pi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하부플랜지 및 상기 하부플랜지 보다 작은 폭을 가진 복부를 포함하는 PSC 빔으로서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교량하부구조의 상면 사이에 1경간씩 종방향으로 거치시키되, 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양 측면빔을 설치하고, 상기 양 측면빔의 내측면 하부 사이에 슬래브를 형성시켜 양 측면빔과 일체화시키되,A PSC beam including a lower flange and an abdomen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e lower flange, which is vertically moun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using a lifting device, and is provided with both side beams so as to be spaced apart laterally. And, by forming a slab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oth side beams to integrate with both side beams,
상기 슬래브와 양 측면빔은 슬래브의 양 측부가 측면빔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직접 얹어지도록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슬래브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측면빔의 외측면에서 긴장 후 정착되는 횡방향 긴장재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간단하게 하로교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slab and both side beams are mutually formed by a transverse tension member which is fixed after tension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beams by passing the slab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of the slab are formed so as to be plac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side beams. It is to be integrated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can be simply.
이에 종래 하로교에 있어 1스판을 다수의 U형 세그먼트를 종방향으로 여러개 연결시키는 방식이 아니라,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Haro bridge, a single span is not a method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U-shaped segme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스판 전체에 걸쳐 먼저 측면빔을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시켜 간단하게 거치한 후,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슬래브를 연속하여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 에,Since the side beams are simp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ver one span, and then a slab having a certain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tinuously installed.
종래 1스판을 여러번 나누어 U형 세그먼트로 설치하거나, 1스판 전체에 걸쳐 완성된 U형 세그먼트를 설치하는 것과 대비하여 그 제작, 운반 및 시공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re made very efficiently in comparison with installing a U-shaped segment by dividing one span several times, or installing a completed U-shaped segment over one span.
또한, 상기 슬래브는 미리 설치된 측면빔에 그 양 측단부가 측면빔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직접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종래 돌출부에 의한 지지보다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In addition, the slab is to be installed structurally more stable than the support by the conventional protrusion by allowing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slab to be direct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side beam,
슬래브와 측면빔이 따로따로 설치되는 관계로 그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특히 상기 슬래브와 측면빔을 횡방향 긴장재로 확실하려 일체화되도록 하였다.Since the slab and the side beams are installed separately, the slab and the side beams are particularly integrated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slab and the side beams as the transverse tension members.
또한, 하로교 횡방향 폭에 따라 측면빔 중간에 중간빔을 더 설치하고, 이러한 중간빔과 측면빔 사이에도 슬래브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로폭에 따른 하로교의 확장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intermediate beam in the middle of the side beam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ridge, the slab can be formed between the intermediate beam and the side beam to ensure the expandability of the bridge according to the road width.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는 공장에서 미리 양 측면빔과 슬래브가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생상되기 때문에 품질관리에 유리하고,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quality control because both side beams and slabs are produced in advance as a precast product in the factory,
1스판을 한꺼번에 설치함에도 2개의 측면빔을 먼저 설치하고, 측면빔 사이에 슬래브를 따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공장에서 제작된 측면빔과 슬래브를 운반 및 시공에 있어 대형 중장비가 동원될 필요도 없으며, 고가의 가설시스템 또는 런칭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고,Even when installing 1 span at a time, two side beams are installed first, and the slabs are installed separately between the side beams, so that large heavy equipment needs to be mobilized in the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factory-made side beams and slabs. It is very economical because it does not use expensive construction system or launching system.
측면빔 및 슬래브는 공장에서 현장까지 운반함에 있어어도 종래 교량용 거더 와 마찬가지로 운반 및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슬래브가 측면빔의 하부플랜지에 얹어지도록 설치함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며,Side beams and slabs can be transported and mounted in the same way as conventional bridge girders even when transporting them from the factory to the site,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The slabs are mount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side beams to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Construction is possible,
또한, 종래 하로교는 그 횡방향 폭을 자유롭게 변경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양 측면빔의 횡방향 이격거리를 조정하면서, 필요한 경우 중간빔을 더 설치함으로서 간단하게 하로교 횡방향 폭에 따른 설계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aro bridge, it is almost impossible to freely change its transverse width,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lateral separation distance of both side beams, an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n intermediate beam if necessary, Design and construction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는 일반 교량 및 철도교에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철도교는 슬래브위에 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t is in general bridges and railway bridges, and in particular, the railway bridges can be used by allowing the railway to be formed on the slab.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 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and easily, the following describes the bes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의 구성><Configuration of 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하로교(100)를 양 측면빔(110)과 슬래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both
먼저 도 2와 같이 양 측면빔(110)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는 교량용 거더와 형상은 유사하지만 하로교용 측면빔이기 때문에 그 작용과 가능은 상이하다.First, both
즉, 하로교에서는 작용하중을 대부분 양 측면빔(110)이 부담하도록 하기 때문에 측면빔이 단면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In other words, the cross section design of the side beam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이에 합성빔을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합성빔은 고가의 강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본 발명은 PSC 빔을 이용하게 된다.The composite beam may be used, but since the composite beam is inexpensive because it uses expensive steel,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SC beam.
이러한 PSC 빔은 단면의 형상을 I형 단면으로 형성시킨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긴장재가 배치되어 상기 긴장에 의한 프리스트레스가 콘크리트에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Such a PSC beam may be referred to as a prestressed concrete beam formed by forming an I-shaped cross section. The tension member is dispos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restress caused by the tension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이러한 PSC 빔에 의한 측면빔(110)은 적어도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플랜지(111)와 상기 하부플랜지(111) 보다 작은 폭을 가진 복부(112)를 포함하도록 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하부플랜지(111)의 상면은 통상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슬래브(120)가 용이하게 얹어지도록 수평면 형태의 상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에 하부플랜지(111)의 높이(H)는 후술되는 슬래브(120)가 얹어지더라도 구 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높이(H)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하게된다.Accordingly, the height H of the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브는 하부플랜지(111) 상면에 직접 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슬래브의 양 측단부와 접하는 하부플랜지 부위는 하중이 집중될 수 밖에 없다.The reason is that th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에 하중 집중에 의하여 하부플랜지(111)에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높이(H)를 가지도록 하여야 하며, 이렇게 하부플랜지(111)를 형성시키게 되면 측면빔(110)에 슬래브(120)를 안정적으로 얹어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달리 보강수단을 강구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성이 매우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때, 하부플랜지(111)의 내측 외곽부(A)에는 슬래브(120)가 얹어져 설치될 때, 그 위치구속 및 전단키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단블록(114)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상기 복부(112)는 하부플랜지(111)의 개략 중앙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하부플랜지(111)의 폭(B1)보다 작은 폭(B2)을 가지도록 하여 슬래브(120)가 얹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복부 하부내측면과 슬래브의 양 측단부면이 최대한 접하도록 하여 서로의 일체성 확보에 유리하도록 한다.The abdomen 112 is formed to extend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웨브에는 횡방향 긴장재(215)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115)이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rough-
상기 상부플랜지(113)는 복부(112) 상부에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되도록 형성 시키는데, 측면빔으로서 배제될 수 도 있으나, 하로교 특징상 정거장 등에 있어 플랫폼의 형성높이에 맞추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승객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바닥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적어도 하부플랜지(111)와 복부(112)에 의한 측면빔(110)공장에서 일체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way, at least the
이러한 측면빔(110)은 미리 공장에서 일정한 단면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된 프리캐스트 방식의 측면빔으로 제작하여 이를 현장에 운반하여 교량하부구조(200)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The
이러한 측면빔(110)은 2개가 서로 좌우대칭으로 배치되도록 한쌍을 제작하고, 이러한 한쌍의 측면빔(110)이 1경간(교각과 교각 사이 또는 교각과 교대 사이)에 해당하는 길이(L)를 가지도록 제작하게 된다.The side beams 110 are made of a pair so that the two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pair of side beams 110 has a length (L) corresponding to one span (between piers and piers or between piers and alternators). It is made to have.
다음으로 슬래브(120)는 한쌍의 측면빔(110) 내측면 사이에 얹어져 지지되도록 그 폭(B3)이 정해진 판형 구조물이다. Next, the
물론 이러한 슬래브(120)도 도 3a와 같이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부재로 제작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123)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122)를 타설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도 3c와 같이 거푸집(124)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122)를 타설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Of course, such a
단지 이러한 슬래브(120)는 프리캐스트 부재 또는 적어도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Only such a
또한 상기 슬래브(120)의 양 측단부는 도 2와 같이 그 하부면으로부터 하방 으로 돌출된 걸침부(121)가 더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측면빔(110)을 구성하는 하부플랜지(111)의 전단블록(114)과 맞물리도록 함으로서, 슬래브 초기 설치 시 그 위치구속, 낙교방지 및 측면빔의 전단블록과 함께 서로 접하는 부위를 두껍게 형성시켜 연결부위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다.Also, both side ends of the
이러한 슬래브(120)는 하로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양 측면빔(110) 내측면 하부에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슬래브 상면에는 표장층이 형성되어 통상의 교량용 슬래브로서 기능하게 된다.The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는 종래와 달리 U형 단위 세그먼트(10) 다수를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1경간의 하로교를 시공하거나, 1경간에 걸친 전체 하로교 세그먼트를 교량하부구조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이 아니라,As a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art, a plurality of
먼저, 공장등에서 제작된 양 측면빔(110)을 먼저 교량하부구조(200)에 설치한 다음 그 내측면 하부에 슬래브(120)를 얹어 시공함으로서 종래 하로교를 시공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가시설 또는 런칭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을 알 수 있다.First, both
즉, 본 발명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측면빔(110)을 인양할 수 있는 통상의 기중기와 같은 양중장치만을 확보하면 하로교 시공이 가능하며, 슬래브(120)의 경우에도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하면 역시 같은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미리 설치된 양 측면빔 내측면 하부 사이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ly if the lifting device such as a conventional crane that can lift the
이때, 슬래브(120)가 양 측면빔(110)에 일체화되어 거동하도록 슬래브(120)에는 도 2와 같이 그 내부에 미리 횡방향으로 슬래브용 긴장재(125,예컨대 강봉)가 다수 배치되도록 홀(126)을 형성시키고 긴장재 양 단부가 슬래브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미리 형성시킨 양 측면빔(110) 내측면의 관통홀(115)을 관통하여 측면빔 외부로 연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긴장후 정착(예컨대, 정착 너트(127) 사용)되도록 한다. 이에 양 측면빔과 슬래브는 교량하부구조 위에서 안정적으로 일체화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위와 같이 양 측면빔(110)과 슬래브(120)가 준비되면, 이를 이용하여 하로교 시공이 진행되는데 이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hen both
교량에 따라 그 연장길이에는 차이가 있으나 다경간으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2경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tension length depending on the bridge, it is most often required to construct a multi-span, s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wo spans.
먼저, 도 4a와 같이 교각(210) 3개를 이격 시공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4a, three
이때, 교각과 교각 사이의 연장길이를 통상 1경간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1경간의 길이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양 측면빔(110)의 길이를 정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length between the bridge piers and the piers is generally referred to as one span. Since the length of the one span is predetermined, the lengths of both
이에 교대와 교각 상면 사이, 교각과 교각의 상면 사이에 공장등에서 제작되어 현장에 반입된 한쌍의 측면빔(110)을 기중기와 같은 양중장치로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시켜 거치하게 된다.Accordingly, a pair of
이때, 미리 교대와 교각의 상면에는 교량받침을 설치하여 상기 교량받침에 양 측면빔의 단부 저면이 지지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ridge bearing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and the bridge in advance so that the end surfaces of both side beams of the bridge bearing are supported.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양 측면빔의 내측면 하부에 슬래브(120)를 시공해 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3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Next, as shown in FIG. 4b, the
첫째는 도 3a와 같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슬래브(120)의 시공이다. 즉, 공장등에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슬래브(120)를 상기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양 측면빔의 하부플랜지(111) 상면에 직접 얹어지도록 설치하게 된다.First is the construction of the
이때 상기 슬래브(120)의 양 측단부는 그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걸침부(121)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측면빔(110)을 구성하는 하부플랜지(111)의 전단블록(114)과 맞물리도록 할 수 있음을 살펴본 바와 같다.At this time, both side ends of the
이와 같이 슬래브(120)를 설치하면 후에는 앞서 살펴본 횡방향 긴장재(125)를 이용하여 양 측면빔(110)과 슬래브(120)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When the
이러한 슬래브(12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있으므로 종방향으로 다수의 슬래브(120)가 서로 접하여 연속되도록 다수를 설치하게 된다.Since the
이에 상기 슬래브(120) 상면에 포장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최종 하로교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final downlink construction is possible by forming a pav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슬래브의 종방향으로 연결, 양 측면빔과의 일체화를 위해서 횡방향 긴장재뿐만 아니라 다른 통상의 연결수단을 추가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it is possible to add not only the transverse tension member but also other conventional connecting means for integration with both side beams.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는 종래 도 1f와 같이 런칭 시스템 등이 전혀 이용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하로교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launching system at all, as in FIG. 1F, and thu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ore economical haro bridge construction.
둘째, 도 3b와 같이 현장타설방식으로 슬래브(120)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이 를 위해 슬래브용 거푸집(124)을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하기 위하여 예컨대 양 측면빔의 상부플랜지 사이에 거푸집(124)을 설치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124)에 콘크리트(122)를 소정 두께 타설하여 슬래브가 최종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Second, as shown in Figure 3b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이와 같이 슬래브(120)를 설치하면 후에는 앞서 살펴본 횡방향 긴장재(125)를 이용하여 양 측면빔(110)과 슬래브(120)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When the
이에 역시 상기 슬래브(120) 상면에 포장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최종 하로교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This can also be seen that by forming a pav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 경우에는 상기 슬래브(120)의 걸침부(121)와 측면빔(110)을 구성하는 하부플랜지(111)의 전단블록(114)과 맞물리도록 할 필요는 없게 된다. 셋째, 도 3c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23)를 사용하여 슬래브(120)를 시공하는 방법인다. 이를 위하여 공장등에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데크플레이트(123)를 상기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양 측면빔의 단턱부에 얹어지도록 설치하게 된다.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engage the
다음으로는 상기 데크플레이트(123) 상부에 콘크리트(122)를 타설하여 데크플레이트와 일체화된 슬래브가 형성되도록 한다.Next, the concrete 122 is poured on the
역시 슬래브(120)가 최종 완성되면 앞서 살펴본 횡방향 긴장재(125)를 이용하여 양 측면빔(110)과 슬래브(120)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에 상기 슬래브(120) 상면에 포장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최종 하로교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final downlink construction is possible by forming a pav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 경우에도 상기 슬래브(120)의 걸침부(121)와 측면빔(110)을 구성하는 하 부플랜지(111)의 전단블록(114)과 맞물리도록 할 필요는 없게 된다.Even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engage the
이러한 슬래브(120)는 양 측면빔(110)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얹어지도록 설치할 때, 필요할 경우 에폭시 수지,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로 슬래브(120)를 상기 단턱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When the
도 4b는 특히 상기 도 3a와 같이 슬래브(120)를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된 것이다.Figure 4b is shown in particular based on the case where the
나아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에 있어, 양 측면빔(110) 사이에 중간빔(130)이 더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하로교의 폭은 왕복 차선수 등에 따라 변경될 수밖에 없다.Furthermore, FIG.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이에 양 측면빔(110) 사이에 횡방향 폭이 커진 슬래브(120)를 사용할 경우 자칫 슬래브(120)의 처짐이 커질 수 있고, 교통하중 등 작용하중이 커질 수밖에 없어 슬래브의 두께를 크게 형성시키는 경우 그 제작, 운반 및 시공등에 불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이에 본 발명은 양 측면빔(110) 사이에 측면빔 역할을 하는 중간빔(130)을 더 설치하여, 하로교의 횡방향 폭에 따른 슬래브의 폭을 조정하면서 측면빔과 중간빔 사이 사이에 슬래브(1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stalls an
이러한 중간빔(130)은 하부플랜지(131)와 복부(132) 및 상부플랜지(133)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중간빔(130)에 슬래브(120)는 동일하게 도 3a,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이때, 슬래브(120)는 그 설치 시 측면빔(120) 및 중간빔(130)에 하중으로 작 용하여 측면빔과 중간빔의 위치이동, 비틀림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도 5와 같이 그 상부면들에 상부구속프레임(140)의 단부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측면빔(110)과 중간빔(130)의 위치를 구속시켜주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부구속프레임(140)은 종래 거더 복부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보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앵커볼트 등으로 설치한 후에 추후 해체하면 된다.The upper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를 철도교에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6A and 6B show an example of using the 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railway bridge.
즉, 양 측면빔(110)과 슬래브(120)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하고, 상기 슬래브(120) 상부에 콘크리트도상(310, 道床, ballast), 상기 콘크리트도상 상부면에 침목(320)과 레일(330)을 설치함으로서 철도용 하로교로도 이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That is, the use of both
도 6a의 경우에는, 양 측면빔(110)과 슬래브(120)를 하로교 형태의 철도교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In the case of Figure 6a, it shows an example in which both
도 6b는 중간빔(130)이 포함된 하로교 형태의 철도교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b shows an example applied to the railway bridge in the form of a halo bridge including the intermediate beam (130).
도 1a는 하로교 및 PSC 거더교의 비교단면도이며,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the Haro Bridge and PSC girder bridge,
도 1b는 종래 채널브리지(UCB)의 가시설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사진이며,Figure 1b is a construction photograph using the provisional system of the conventional channel bridge (UCB),
도 1c는 종래 하로교 제작단면도이며,1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Haro bridge fabrication,
도 1d는 종래 하로교용 U형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시공사시도이며,1D is a constru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U-shaped precast segment for a downhill bridge,
도 1e는 종래 도 1d에 의한 하로교용 U형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며,FIG. 1E is a perspective view of a U-shaped precast segment for a downlink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IG. 1D;
도 2는 본 발명의 하로교의 측면빔 및 슬래브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beam and slab of the Haro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슬래브의 실시예들에 의한 사시도,3A, 3B and 3C are perspective view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하로교 시공방법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Figures 4a and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로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철도교용 하로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a railway bridge for a railwa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하로교 110: 측면빔100: Haokyo 110: side beam
120: 슬래브 130: 중간빔120: slab 130: intermediate beam
140: 상부구속프레임 200: 교량 하부구조140: upper confinement frame 200: bridge undercarriag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9225A KR101071642B1 (en) | 2009-09-21 | 2009-09-21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psc side beam and slab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9225A KR101071642B1 (en) | 2009-09-21 | 2009-09-21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psc side beam and slab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1816A KR20110031816A (en) | 2011-03-29 |
KR101071642B1 true KR101071642B1 (en) | 2011-10-11 |
Family
ID=4393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9225A KR101071642B1 (en) | 2009-09-21 | 2009-09-21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psc side beam and slab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164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7234A (en) | 2015-04-24 | 2016-11-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U-type girder of lower route bridge for decreasing nois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KR20180091582A (en) | 2017-02-07 | 2018-08-1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Composite through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920681B1 (en) * | 2018-05-31 | 2018-11-21 | (주)덕산지에스 | Bridge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girder bridge with pretension and PC wall |
KR20190035117A (en) | 2017-09-26 | 2019-04-03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lower through brid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9352B1 (en) * | 2013-04-10 | 2015-02-06 |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 Torsion Reinforcing Structure and Bridge Girders having such reinforcing structure |
CN108203901A (en) * | 2018-02-09 | 2018-06-26 | 北京交通大学 | A kind of cross-saddle single-track traffic consolidates formula two-orbit beam |
CA3113893A1 (en) * | 2018-10-03 | 2020-04-09 | Atesvi, S.L. | Modular longitudinal system for bridge decks for double-track railway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8090B1 (en) | 2000-10-19 | 2003-04-07 | 김근택 | plate have a birdg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of |
KR100693872B1 (en) | 2005-10-17 | 2007-03-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with a blocked out |
-
2009
- 2009-09-21 KR KR1020090089225A patent/KR101071642B1/en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8090B1 (en) | 2000-10-19 | 2003-04-07 | 김근택 | plate have a birdg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of |
KR100693872B1 (en) | 2005-10-17 | 2007-03-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with a blocked ou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7234A (en) | 2015-04-24 | 2016-11-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U-type girder of lower route bridge for decreasing nois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KR20180091582A (en) | 2017-02-07 | 2018-08-1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Composite through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90035117A (en) | 2017-09-26 | 2019-04-03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lower through bridge |
KR101920681B1 (en) * | 2018-05-31 | 2018-11-21 | (주)덕산지에스 | Bridge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girder bridge with pretension and PC wal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1816A (en) | 2011-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1642B1 (en)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psc side beam and slab | |
KR100889273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bridge | |
KR100742206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90001261A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hav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steel ba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107826B1 (en) | Slab-type box girder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with | |
KR100728106B1 (en) | Cantilever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 bridge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1366903B1 (en) | Girder having truss s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and pedestrian overpass using it | |
US5152112A (en) |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 |
KR101104298B1 (en)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side beam and slab by box structure without lateral prestressing | |
KR101242842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100936944B1 (en) | Continuity Girder, Continuity Structure of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090100537A (en) |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bridge using prestressed i-type girder | |
KR101243777B1 (en) |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4585614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synthetic steel slab bridge, ribbed steel slab, and synthetic steel slab bridge | |
KR20130090709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JP4977110B2 (en) | Composite digit structure and composite digit construction method | |
KR100592196B1 (en) | large number bracket in which supporter was installed is used and it is a bridge, multiplex point installed so that support might be carried out support bracke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KR101404481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road decking panel at limited space for girder manufacturing | |
KR101324982B1 (en) | Walking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sc girder with connecting anchor block | |
KR101688517B1 (en)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 |
KR100634344B1 (en) | Composite slab and the joint structure | |
KR20090075484A (en) | Preflex composite girder bridge coupled width composite girder and method thereof | |
KR101043710B1 (en)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side beam and slab by box structure without lateral prestressing | |
KR20060017949A (en) | Field-fabricated prestressing steel-composed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 using the girder | |
KR10072473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SC Girder bridge using Retensionable and Detensionable anchorage with unbonded tend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020 Effective date: 2013020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263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020 Effective date: 20130208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2200; INVALIDATION |
|
J122 |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