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677B1 -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677B1
KR101067677B1 KR1020110023848A KR20110023848A KR101067677B1 KR 101067677 B1 KR101067677 B1 KR 101067677B1 KR 1020110023848 A KR1020110023848 A KR 1020110023848A KR 20110023848 A KR20110023848 A KR 20110023848A KR 101067677 B1 KR101067677 B1 KR 10106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ase
mounting member
fixing
coating meth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규봉
Original Assignee
엠앤드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앤드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앤드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6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4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being individually presented to the spray heads by a rotating element, e.g.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3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by robots or articulated arms, e.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3D-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6/00Cleaning by electrost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부재에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회전체의 거치부재에 장착부재를 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의 정전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체를 따라 이동하는 분사수단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를 도장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공정이 단속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라인을 따라 이송되고,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를 분사수단이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스를 도장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과, 이를 통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장면의 순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에 이바지함으로써 생산자, 공급자 및 소비자들의 신뢰를 보장할 수 있는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CONSECUTIVE PAINTING METHOD}
본 발명은 종래에 케이스를 도장하기 위해 라인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도장작업을 수행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전체 공정이 단속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라인을 따라 이송되고,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를 분사수단이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스를 도장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과, 이를 통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장면의 순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에 이바지함으로써 생산자, 공급자 및 소비자들의 신뢰를 보장할 수 있는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제품 케이스의 도장방법으로는 등록번호 제10-0623935호(2006.09.07. 등록) "휴대폰 케이스 자동 코팅장치용 지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이송 라인을 이루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며, 복수의 핸드폰 케이스를 거치하는 지그와; 상기 컨베이어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에 거치된 핸드폰 케이스의 정전기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제전 및 제진기와; 상기 컨베이어 라인의 제전 및 제진기 후단에 설치되어 지그에 거치된 핸드폰 케이스를 회동시키면서 스프레이 건에 의해 하도 코팅하는 1차코팅기와; 상기 컨베이어 라인의 1차코팅기 후단에 설치되어 지그에 거치된 핸드폰 케이스를 이송하면서 건조하는 건조기와; 상기 컨베이어 라인의 건조기 후단에 설치되어 지그에 거치된 핸드폰 케이스를 회동시키면서 스프레이 건에 의해 상도 코팅하는 2차코팅기와; 상기 컨베이어 라인의 2차코팅기 후단에 설치되어 지그에 거치된 핸드폰 케이스를 회동시키면서 건조하는 IR 및 UV건조기를 포함하는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지그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핸드폰 케이스가 방사형 배치를 이루어 안착되는 거치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의 지지부는 이송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수직 설치되며, 상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자동 코팅장치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지그에 여러 개의 케이스를 배치하여 동시에 코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장액의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코팅작업을 위해 지그가 1차 및 2차코팅기에 이송된 경우 다수의 케이스가 거치된 지그가 회전 구동은 가능하나,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코팅기에 의하여 코팅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지그에 거치된 케이스가 코팅기에 의하여 작업이 수행될 때까지는 정지된 상태가 유지되고,
이는 전체적인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공정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전체 시스템의 택트 타임을 증가시켜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체 공정이 단속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라인을 따라 이송되고,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를 분사수단이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스를 도장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과, 이를 통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장면의 순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에 이바지함으로써 생산자, 공급자 및 소비자들의 신뢰를 보장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케이스가 장착된 회전체를 분리부재를 이용하여 구동부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쉽고 용이해지고,
아울러 다수의 케이스를 분리부재에 의하여 회전체 단위로 운반하거나, 이송할 수 있어 취급상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스가 장착부재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거치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거치부재와 장착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고정수단이 도입되어 회전하는 도장용 지그를 이용한 도장작업 시 케이스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방지되어 도장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고정수단에 의하여 케이스가 고정된 장착부재를 거치부재에서 쉽고 간편하게 결합 및/또는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체와, 회전체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에는 공회전 방지를 위한 고정슬롯과, 고정돌기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은
(a) 장착부재에 전자제품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
(b) 이송수단과 연결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연결된 거치부재에 상기 장착부재를 거치시키는 단계;
(c) 제전 또는 제진기,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정전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회전체를 따라 이동하는 분사수단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를 도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분사수단에 의하여 도장된 케이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배열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고, 3차원 입체동작이 가능한 로봇암과, 상기 로봇암과 연결된 분사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e)단계를 거친 후,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분리부재에 의하여 회전체를 구동부에서 분리하고, 분리된 회전체를 운반, 이송하는 (f)단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분리부재는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의 상단면에는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대응체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재와 장착부재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각 거치부재의 단부에 연결되고,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피수용체와, 상기 장착부재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피수용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와, 상기 피수용체에 인접한 거치부재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비된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하단부에는 중력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슬롯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은 전체 공정이 단속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라인을 따라 이송되고,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를 분사수단이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스를 도장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과, 이를 통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장면의 순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에 이바지함으로써 생산자, 공급자 및 소비자들의 신뢰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케이스가 장착된 회전체를 분리부재를 이용하여 구동부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쉽고 용이해지고,
아울러 다수의 케이스를 분리부재에 의하여 회전체 단위로 운반하거나, 이송할 수 있어 취급상의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스가 장착부재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거치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거치부재와 장착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고정수단이 도입되어 회전하는 도장용 지그를 이용한 도장작업 시 케이스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방지되어 도장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고정수단에 의하여 케이스가 고정된 장착부재를 거치부재에서 쉽고 간편하게 결합 및/또는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체와, 회전체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에는 공회전 방지를 위한 고정슬롯과, 고정돌기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의 지그와 분사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에서 탈부착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작동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케이스(C)의 연속 도장방법은
장착부재에 케이스(C)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회전체의 거치부재에 장착부재를 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C)의 정전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체(10)를 따라 이동하는 분사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C)를 도장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C)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에서, 상기 (a)단계(S100)는
장착부재(30)에 전자제품 케이스(C)를 고정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a)단계는 상기 장착부재(30)에 전자제품 케이스(C), 즉 태블릿 PC, 휴대폰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 등의 케이스(C)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장착부재(30)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C)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장착부재(30)의 몸체(31)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도장되는 케이스(C)의 형상이나 크기, 장착부재(30)의 배열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반영하여 설계 시 고려될 수 있는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몸체(31)의 상하부 또는 전면, 또는 이들 모두에 홈 형태나, 클램프 또는 클립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부(33)는 케이스(C)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아울러 케이스(C)의 다양한 형태나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 위치를 여러 개소로 한다든지, 또는 쉽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에서, 상기 (b)단계(S200)는
이송수단(100)과 연결된 구동부(D)와, 상기 구동부(D)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10)와 연결된 거치부재(20)에 상기 장착부재(30)를 거치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구동부(D)는 이송수단(10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10)를 연속적인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상기 회전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분사수단(300)에 의한 케이스(C)의 도장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우선 상기 이송수단(100), 구동부(D), 회전체(10), 제진 및 제전기(200), 분사수단(300), 건조수단(400)이 배열되는 베이스(B)가 구비되고,
특히 상기 베이스(B)에는 이송수단(100)이 전체 라인을 순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0)를 이송 라인을 따라 순환 이송시키게 된다.
즉 상기 이송수단(100)은 상기 베이스(B)의 양측에 스프라켓(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각 스프라켓에는 체인(110)이 연결되며,
상기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의 스프라켓에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회전시킴으로써 체인(110)을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110)에는 다수의 구동부(D)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데,
상기 체인(110)과 상기 구동부(D)의 구동모터(1),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구동모터의 하우징이 상호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체인의 구동 시 상기 구동부(D)가 연동하여 순환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수단(100)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D)가 연속하여 순환 이송되고, 동시에 상기 구동부(D)에 의하여 회전체(10)가 회전하게 되면서 전체 작업 공정이 단속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10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체인 구동방식 이외에 컨베이어나 또는 LM 가이드와 같은 다양한 구동방식으로 대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0)는 상기 구동부(D)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고,
상기 회전체(10)의 상부에 연결되고, 방사상 형태로 배열된 거치부재(20)와, 상기 케이스(C)가 고정되는 장착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20)와 장착부재(30)에는 장착부재(30)를 거치부재(2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수단(F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체(10)는 상기 구동부(D)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장착부재(30)에 고정된 케이스(C) 표면에 도장액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10)는 환형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10)의 하부 부분에는 구동부(D)가 연결되는 삽입홈(11)과, 상기 회전체(10) 상부에 형성되고, 거치부재(20)가 연결된 결합돌기(13)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13)의 상단면에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분리부재(40)의 체결부(41)와 결합되는 대응체결부(17)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D)는 구동모터(1)와, 상기 구동모터(1)와 연결되는 구동축(3)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0)의 삽입홈(11)에 끼워지는데,
이때 상기 구동축(3)과 삽입홈(11)의 단면 형상은 원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회전체(10)를 구동부(D)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쉽고 용이하도록 구동축(3)과 삽입홈(11)이 타이트하게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삽입홈(11)에서 상기 구동축(3)이 헛돌아 공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체(10)의 하단부에는 상부방향으로 일정한 높이까지 절개된 고정슬롯(15)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3)에는 상기 고정슬롯(15)에 대응하는 고정돌기(5)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3)이 삽입홈(11)에 끼워지는 경우 고정돌기(5)가 상기 고정슬롯(15)에 삽입되어 구동축(3)이 삽입홈(11)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0)의 고정슬롯(15)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10)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구동부(D)의 고정돌기(5)가 고정슬롯(15)에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어 하기할 분리부재(40)에 의한 회전체(10)의 분리작업이 쉽고 용이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회전체(10)와 연결되어 연동하고, 방사상으로 다수의 케이스(C)가 배열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거치부재(20)는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10)의 결합돌기(13)가 끼워지도록 결합공(21a)이 형성된 중심체(21)와,
상기 중심체(21)의 외측면에 방사상 형태로 연결되고, 수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연결암(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20)의 결합공(21a)과 상기 회전체(10)의 결합돌기(13)는 상호 결합된 후,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 형상이 비원형,
즉 타원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체(10)의 회전 시 회전체(10)와 거치부재(20)가 공회전 없이 회전하여 구동부(D)의 구동력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암(23)은 중심체(21)에 방사상으로 다수 연결되는데,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는 5개소가 구비되어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케이스(C)의 크기, 생산량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설계 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다.
더 나아가 상기 각 연결암(23)은 보강 지지를 위하여 보강부재(2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거치부재(20)와 장착부재(30)를 연결하고, 상기 거치부재(20)에서 상기 장착부재(30)가 탈부착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각 거치부재(20)의 단부, 즉 상기 각 연결암(23)의 단부에 연결되고,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피수용체(25)와,
상기 장착부재(30)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피수용체(25)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35a)와, 상기 피수용체(25)에 인접한 거치부재(20)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부(35b)를 갖는 수용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피수용체(25)는 살빼기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수용체(25)의 상단부 일정 지점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진입유도부(25a)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35)에 피수용체(25)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는 경우
상기 피수용체(25)의 삽입 초기에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체(35)는 하면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부(35a)는 상기 수용체(35)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피수용체(25)를 수용하여 상기 거치부재(20)와 장착부재(30)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35b)는 상기 피수용체(25)가 수용체(35)의 수납부(35a)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경우 피수용체(25)가 연결된 연결암(23)의 단부 부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수용체(35)의 측면을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된 슬롯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체(35)와 피수용체(25)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피수용체(25)에 근접한 연결암(23)의 단부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35b)를 따라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피수용체(25)와, 피수용체(25)와 연결된 연결암(23)을 상기 수용체(35)의 수납부(35a)와 가이드부(35b)가 각각 수용하여 수용체(35)와 피수용체(25)간의 결합 시, 결합 동작이 각 부재에 의하여 서로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보다 합리적인 결합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에서, 상기 (c)단계(S300)는
제전기 또는 제진기(200),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C)의 정전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즉 상기 (c)단계(S300)는 상기 베이스(B)에 배열된 제전기 또는 제진기(200),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C) 면에 부착된 먼지,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C)에 대전되어 있는 대전입자들을 제거하여 도장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C)의 먼지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 구동하는 브러쉬(미도시)나, 또는 일정한 압력으로 에어를 분출하는 에어공급부(미도시)가 도입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 시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 사항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에서, 상기 (d)단계(S400)는
상기 회전체(10)을 따라 이동하는 분사수단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C)의 표면을 도장하는 공정이다.
상기 (d)단계(S400)에서는 상기 (c)단계(S300)를 거쳐 먼지, 이물질, 대전입자들이 제거된 케이스(C)를 분사수단(300)에 의하여 도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C)가 장착된 회전체(10)는 상기 이송수단(100)에 의하여 연속으로 이송되고, 또한 상기 구동부(D)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10)의 일측에는 분사수단(300)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C)에 도장액을 분사하는 된다.
상기 분사수단(300)은 상기 베이스(B)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10)의 일측에 배열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310)와,
상기 이송부(310)와 연결되고, 3차원 입체동작이 가능한 로봇암(320)과,
상기 로봇암(320)과 연결된 분사건(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사수단(300)의 이송부(310)는 상기 베이스(B)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11)과, 상기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3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블록(313)은 LM가이드나, LM액츄에이터와 같은 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봇암(320)은 상기 이송부(310)의 상면부에 연결되는데,
상기 로봇암(320)은 절곡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3차원 입체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분사건(330)은 상기 로봇암(32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C)에 도장액을 분사하여 케이스 표면에 도장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분사수단(300)은 상기 회전체(10)가 이송수단(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경우 상기 이송부(310)가 상기 회전체(10)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로봇암(320)이 상기 회전체(10)에 의하여 회전하는 케이스(C)를 따라 작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분사건(330)이 도장액을 분사하여 상기 케이스(C) 표면에 도장액을 도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수단(300)은 상기 회전체(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스(C) 표면에 도장액을 도포함으로써 작업이 단속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도장면의 순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도장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분사수단에 의한 본 도장작업 전에 일정한 색상을 갖는 페인트나 방청재 등을 케이스 표면에 도포하기 위한 프라이머 도장기가 구비되어 분사수단에 위한 본 도장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도장기에 의한 도장작업 후에는 열풍건조기(미도시)에 의하여 열풍을 공급하여 케이스에 도포된 페인트나 방청재 등을 본 도장작업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에서, 상기 (e)단계(S500)는
상기 분사수단(300)에 의하여 도장된 케이스를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e)단계(S500)는 상기 (d)단계(S400)에 의하여 도장된 케이스(C)를 건조수단(400), IR(적외선) 또는 UV(자외선) 건조기나, 열풍히터가 구비된 건조부스(미도시)에 이송하여 건조 및 경화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10)는 상기 이송수단(100)에 의하여 건조부스 내부로 이송되고,
아울러 상기 구동부(D)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건조수단(400)에 의한 파장이나 열풍이 각 케이스(C)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스(C)의 도장면이 균일한 건조도와 경화도를 갖게 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에서, 상기 (f)단계(S600)는
상기 (e)단계에 의하여 케이스(C)의 도장면을 건조한 후, 분리부재(40)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D)에서 상기 회전체(10)를 분리시키고, 운반 및 이송하는 공정이다.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a)단계 내지 (e)단계를 거쳐 케이스 표면이 도장된 후,
상기 이송수단(100)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10)가 건조부스에서 이송되고,
이때 상기 분리부재(40)가 상기 회전체(10)에 미리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하여 다수의 케이스(C)가 장착되는 회전체(10)를 상기 분리부재(40)를 이용하여 구동부(D)에서 분리하게 되고,
또한 상기 분리부재(40)에 의하여 다수의 케이스(C)가 장착된 하나의 회전체(10)를 운반 및 이송할 수 있어 도장된 케이스의 취급상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분리부재(40)는 상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43)와,
하단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체결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0)의 상단면에는 상기 체결부(41)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대응체결부(1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41)와 대응체결부(17)가 연결되어 상기 분리부재(40)와 상기 회전체(10)가 일체로 결합된다.
즉 상기 분리부재(40)는 도장작업 전 또는 작업 후에 상기 체결부(41)를 상기 회전체(10)의 대응체결부(17)에 삽입하여 분리부재(40)와 회전체(10)를 연결하고,
상기 분리부재(40)의 손잡이(43)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전체(10)를 구동부(D)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고, 분리된 회전체(10)를 운반, 이송함으로써
낱개가 아닌 다수의 케이스를 한 번에 쉽고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가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비와 같이 상기 (d)단계 및 (e)단계, 즉 도장단계와 건조단계는 필요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제품에서 요구되는 품질의 스팩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장 내에는 환기설비가 구비되어 도장작업 시 비산하는 도장액이나 기타 먼지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각 공정마다 센서가 구비되어 각 공정 간에 연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 공정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 상기 각 센서와 연결되고, 각 공정의 작업을 모듈화시킨 컨트롤부가 구비되어 전체 작업 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로봇암에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부에 모듈화되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G : 지그 FM : 고정수단
B : 베이스 C : 케이스
D : 구동부
1 : 구동모터 3 : 구동축
5 : 고정돌기
10 : 회전체 11 : 삽입홈
13 : 결합돌기 15 : 고정슬롯
17 : 대응체결부
20 : 거치부재 21 : 중심체
21a : 결합공 23 : 연결암
25 : 피수용체 25a : 진입유도부
27 : 보강부재
30 : 장착부재 31 : 몸체
33 : 연결부 35 : 수용체
35a : 수납부 35b : 가이드부
40 : 분리부재 41 : 체결부
43 : 손잡이
100 : 이송수단 110 : 체인
200 : 제전기 및 제진기
300 : 분사수단 310 : 이송부
311 : 가이드레일 313 : 가이드블록
320 : 로봇암 330 : 분사건
400 : 건조수단
S100 : (a)단계 S200 : (b)단계
S300 : (c)단계 S400 : (d)단계
S500 : (e)단계 S600 : (f)단계

Claims (4)

  1. (a) 장착부재(30)에 전자제품 케이스(C)를 고정시키는 단계;
    (b) 이송수단(100)과 연결된 구동부(D)와, 상기 구동부(D)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10)와 연결된 거치부재(20)에 상기 장착부재(30)를 거치시키는 단계;
    (c) 제전 또는 제진기(200),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C)의 정전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회전체(10)를 따라 이동하는 분사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C)를 도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분사수단(300)에 의하여 도장된 케이스(C)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수단(300)은
    상기 회전체(10)의 일측에 배열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310)와,
    상기 이송부(310)와 연결되고, 3차원 입체동작이 가능한 로봇암(320)과,
    상기 로봇암(320)과 연결된 분사건(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e)단계를 거친 후, 상기 회전체(10)와 연결되는 분리부재(40)에 의하여 회전체(10)를 구동부(D)에서 분리하고, 분리된 회전체(10)를 운반, 이송하는 (f)단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분리부재(40)는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41)와,
    상단부에 형성된 손잡이(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10)의 상단면에는 상기 체결부(41)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대응체결부(17)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20)와 장착부재(30)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수단(FM)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각 거치부재(20)의 단부에 연결되고,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피수용체(25)와,
    상기 장착부재(30)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피수용체(25)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35a)와, 상기 피수용체(25)에 인접한 거치부재(20)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부(35b)를 갖는 수용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D)는
    구동모터(1)와, 상기 구동모터(1)에 구비된 구동축(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3)에는 고정돌기(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10)의 하단부에는 중력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5)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슬롯(15)이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10) 상부에는 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재(20)의 중심부에는 중심체(21)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체(21)에는 상기 결합돌기(13)가 끼워지는 결합공(21a)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13)와 상기 결합공(21a)은 비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공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수용체(25)의 상단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진입유도부(25a)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10023848A 2011-03-17 2011-03-17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Active KR101067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48A KR101067677B1 (ko) 2011-03-17 2011-03-17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48A KR101067677B1 (ko) 2011-03-17 2011-03-17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677B1 true KR101067677B1 (ko) 2011-09-27

Family

ID=4495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848A Active KR101067677B1 (ko) 2011-03-17 2011-03-17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32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예원테크 도장 자동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62B1 (ko) * 2005-03-28 2006-09-20 김노수 핸드폰 케이스 자동 코팅방법
KR20090118721A (ko) * 2008-05-14 2009-11-18 (주)양종테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코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62B1 (ko) * 2005-03-28 2006-09-20 김노수 핸드폰 케이스 자동 코팅방법
KR20090118721A (ko) * 2008-05-14 2009-11-18 (주)양종테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코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32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예원테크 도장 자동화 장치
KR102423027B1 (ko) * 2020-12-29 2022-07-20 주식회사 예원테크 도장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758B1 (ko) 플로어 헤드 스핀들 컨베이어형 도장장치
KR100623935B1 (ko) 휴대폰 케이스 자동 코팅장치용 지그
JP6302570B2 (ja) 電子装置生産システム
KR101659767B1 (ko) 오버 헤드 스핀들 컨베이어형 도장장치
KR101650867B1 (ko) 화장품 용기 도장방법
KR101659763B1 (ko) 도장장치용 스핀들 지지체
US9527097B2 (en) Spray coating system and method
KR101650866B1 (ko) 화장품 용기 도장방법
KR102068044B1 (ko) 분체 도장 시스템
KR20110083925A (ko) 휴대폰 케이스 자동 연속 도장장치
CN103037983B (zh) 汽车车身部件的涂装方法及装置
KR20160034612A (ko) 도장장치용 스핀들 벨트 가이드
KR101067677B1 (ko)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JP2008520411A (ja) ロールコータアセンブリシステム
KR102674672B1 (ko) 용기 구조물의 자동로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용기 제조시스템
KR102278142B1 (ko) 화장품용 용기와 뚜껑 내측 도장장치
CN111356567A (zh) 用于制造覆层的塑料构件的设施以及用于其的方法
KR101703471B1 (ko) 다축 자전방식 지그를 이용한 엑스와이 도장설비
KR20190045478A (ko) 분체도장장치
KR20160034604A (ko) 도장장치용 스핀들 고정체
KR102009114B1 (ko) 원형 전지 세정기
KR101920633B1 (ko) 코팅장갑 후처리 장치
JP2005066419A (ja) 塗装乾燥ライン装置
KR101659757B1 (ko) 도장장치용 스핀들 연결 로드
KR101067676B1 (ko) 전자제품 케이스의 자동 도장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3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