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917B1 -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Google Patents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917B1
KR101064917B1 KR1020110036501A KR20110036501A KR101064917B1 KR 101064917 B1 KR101064917 B1 KR 101064917B1 KR 1020110036501 A KR1020110036501 A KR 1020110036501A KR 20110036501 A KR20110036501 A KR 20110036501A KR 101064917 B1 KR101064917 B1 KR 10106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granular material
inflow
normal
de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1003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 신뢰도를 향상하고 선별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색채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에 걸친 선별과정을 통해 불량 입상물 중에 혼합되어 있는 정상 입상물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선별과정별로 정상 입상물과 불량 입상물의 비중을 고려하여 분사 대상물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분사 횟수의 감소 및 잦은 공기분사로 인한 선별과정에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선별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불량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입상물이 유입되되 유입시 서로 차단되도록 분리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유입호퍼와, 선별된 입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호퍼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입상물을 일정한 경로를 따라 하강시키되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경로를 가지는 다수의 슈트와; 상기 다수의 슈트 일측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하강하는 입상물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촬영되는 입상물의 화소 레벨을 측정하여 레벨데이터를 생성하는 광학검출장치와; 상기 광학 검출장치에 근접 설치되어 광학검출장치에 의해 불량 또는 정상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불량 입상물 및 정상 입상물을 각각 설정된 배출호퍼로 수용되도록 하는 공기분사장치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상에 결합 설치되며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승하강바스켓을 통해 다수의 유입호퍼에 입상물을 유입시키고 다수의 배출호퍼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는 다수의 승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는 각각 다수의 선별 과정에 따라 선별 과정별 유입호퍼가 특정되며 선별 과정별 입상물의 정상 입상물 대비 불량 입상물의 분포량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선별 과정에서 상기 광학검출장치 및 공기분사장치가 목적하는 분리 대상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Optional Detachable Color Sorter by Including Rate of Debris}
본 발명은 다수의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 신뢰도를 향상하고 선별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색채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에 걸친 선별과정을 통해 불량 입상물 중에 혼합되어 있는 정상 입상물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선별과정별로 정상 입상물과 불량 입상물의 비중을 고려하여 분사 대상물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분사 횟수의 감소 및 잦은 공기분사로 인한 선별과정에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선별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채선별기는 쌀,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은 물론 원두커피 또는 기타 입상물(이하, 입상물이라 한다)의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크게 입상물공급장치, 상기 입상물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입상물을 일정한 궤적 또는 경로를 따라 떨어뜨리는 배출부, 그리고 떨어지는 입상물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광학검출장치, 불량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정상적인 입상물과 분리해 내는 공기분사장치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색채선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색채선별기의 입상물공급장치(1)는 본체 상부에 위치하여 입상물의 투입구가 되는 호퍼(1a), 상기 호퍼(1a)의 하부에 형성되어 진동수단(1c)에 연결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판(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2)는 공급된 입상물을 분리하여 하부로 일정한 경로를 통해 떨어뜨리는 배출부(2)로 이루어지며, 광학검출장치(3)는 입상물에 빛을 비추는 조명수단(3aa)과 반사판(3ab)으로 이루어진 조명부(3a)와, 반사되는 빛의 파장을 각각 분리하여 광검출을 하고 얻어진 검출 값에 의해 불량 입상물을 판단해 내는 광검출부(3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수단(3aa)으로는 형광램프 또는 적외선램프 등이 적용되며, 상기 광검출부(3b)는 CCD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IR Camera) 등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검출부(3b)에 의해 촬영된 입상물을 포함하는 화상에 대한 비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임계값보다도 낮거나 높은 비디오 신호 레벨을 갖는 화소를 검출하여 이를 불량 입상물로 특정하며 이와 함께 화소가 속하는 채널, 즉 불량 입상물이 낙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채널을 특정함에 따라 상기 공기분사장치(4)를 통한 불량 입상물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불량 입상물의 분리시에는 불량 입상물만을 분리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일부 정상 입상물도 혼합된 상태로 분리되므로 1차적으로 분리된 불량 입상물을 다시 색채선별기로 통과시켜 한번 더 선별과정을 거치거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불량 입상물에 포함된 정상 입상물을 색출하여 분리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색채선별기를 재통과하여 선별하는 경우 1차 선별시 불량 입상물을 별도의 수집통 등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이를 작업자가 다시 색채선별기의 호퍼를 통해 공급시키거나 색채선별기 부근에 설치된 최초공급 승강기를 이용하여 2차로 공급시키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재공급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력이 과다하게 필요한등 선별작업시의 큰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아울러 2차 선별을 통하더라도 2차 선별에 따라 불량한 것으로 판정되어 분리 수집되는 불량 입상물 중 정상 입상물이 여전히 다소 많은 양으로 존재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선별하거나 작업자가 별도의 수작업으로 분리하게 되어 작업 시간과 공수의 증가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제 3유입호퍼 및 각각 이와 대응되는 슈트, 광검출수단, 공기분사장치, 배출호퍼를 구비하고 자가적으로 1차, 2차, 3차 선별과정이 가능하도록 배출호퍼와 유입호퍼 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승강기로 색채선별기를 구성함으로써 3차에 걸친 불량 입상물 선별과정을 통해 불량 입상물 중에 혼합되어 있는 정상 입상물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3차 선별과정이 모두 작업자의 투입없이 자동으로 처리되어 작업 시간, 작업 공수를 대폭 감소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색채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차, 2차 선별과정에서 정상 입상물과 불량 입상물의 판별하기 위한 화소 레벨데이터 설정 범위를 3차에서는 역으로 설정함으로써 3차 선별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불량 입상물을 공기분사로 분리시키지 않고 정상 입상물을 공기분사로 분리시킴에 따라 공기분사 횟수를 감소시켜 작업 소요 에너지를 감소시킴은 물론 선별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색채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일정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불량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입상물이 유입되되 유입시 서로 차단되도록 분리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유입호퍼와, 선별된 입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호퍼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입상물을 일정한 경로를 따라 하강시키되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경로를 가지는 다수의 슈트와; 상기 다수의 슈트 일측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하강하는 입상물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촬영되는 입상물의 화소 레벨을 측정하여 레벨데이터를 생성하는 광학검출장치와; 상기 광학검출장치에 근접 설치되어 광학검출장치에 의해 불량 또는 정상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불량 입상물 및 정상 입상물을 각각 설정된 배출호퍼로 수용되도록 하는 공기분사장치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상에 결합 설치되며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승하강바스켓을 통해 다수의 유입호퍼에 입상물을 유입시키고 다수의 배출호퍼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는 다수의 승강기와; 상기 광학검출장치로부터 생성된 화소 레벨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에 따른 공기분사대상여부를 판별하여 공기분사장치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불량 또는 정상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는 서로 차단 분리되는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슈트, 광학검출장치, 공기분사장치 및 배출호퍼는 상기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각각 연결되어 분리 형성되며, 상기 배출호퍼는 상기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대응하여 정상 입상물 및 불량 입상물을 분리 수집하는 제 1정상 배출호퍼, 제 1불량 호퍼, 제 2정상 배출호퍼, 제 2불량 배출호퍼, 제 3정상 배출호퍼 및 제 3불량 배출호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선별 과정별 입상물의 정상 입상물 대비 불량 입상물의 분포량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선별 과정에서 상기 광학검출장치 및 공기분사장치가 목적하는 분리 대상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삭제
또한 상기 제 1유입호퍼 및 제 2유입호퍼에 각각 대응되는 광학검출장치와 제 3유입호퍼에 대응되는 광학검출장치는 서로 공기분사장치를 통해 분리하고자 하는 레벨데이터 설정값과 공기분사장치에 따라 분리되지 않고 배출시키고자 하는 레벨데이터 설정값이 서로 전환되어 설정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기는 제 1유입호퍼로 불량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입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아 이를 제 1유입호퍼와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1승강부와, 제 1정상 배출호퍼, 제 2정상 배출호퍼 및 제 3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승강부와, 제 1불량 배출호퍼 및 제 2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전달받아 이를 각각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3승강부 및 제 4승강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강기는 제 1유입호퍼로 불량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입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거나 상기 제 2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1유입호퍼와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1승강부와, 제 1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승강부와, 제 1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거나 제 3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2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2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3승강부와, 제 2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3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3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4승강부로 이루어진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에 걸친 불량 입상물 선별과정을 통해 불량 입상물 중에 혼합되어 있는 정상 입상물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3차 선별과정이 모두 작업자의 투입없이 자동으로 처리되어 작업 시간, 작업 공수를 대폭 감소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1차, 2차 선별과정에서 정상 입상물과 불량 입상물의 판별하기 위한 화소 레벨데이터 설정 범위를 3차에서는 역으로 설정함으로써 3차 선별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불량 입상물을 공기분사로 분리시키지 않고 정상 입상물을 공기분사로 분리시킴에 따라 공기분사 횟수를 감소시켜 작업 소요 에너지를 감소시킴은 물론 선별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색채선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간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호퍼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간략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호퍼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100)는 입상물이 유입 배출되는다수의 유입호퍼(11) 및 배출호퍼(12)를 가지는 하우징(10)과, 입상물의 하강 경로가 형성되는 슈트(20)와, 입상물의 불량여부를 광학적으로 판별하는 광학검출장치(30)와, 광학검출장치(30)의 판별에 따라 목적 입상물을 공기분사하여 분리시키는 공기분사장치(40)와, 유입호퍼(11) 및 배출호퍼(12)와 연결되어 입상물을 목적하는 지점으로 투입 또는 이송시키는 승강기(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색채선별기(100)에서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다수의 선별과정, 바람직하게는 3차에 걸친 선별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입호퍼(11), 슈트(20), 배출호퍼(12)로 연결되는 경로가 각각 선별과정별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구조로 형성되고, 배출호퍼(12)를 통해 정상 입상물 및 불량 입상물을 별도로 수용하여 각각 이후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된 승강기를 통해 해당 입상물을 이송함으로써 3차에 걸친 선별과정이 인력의 투입없이 자동적으로 선별됨은 물론 다수 회차에 의해 선별이 이루어져 불량 입상물과 정상 입상물의 분리가 보다 이상적인 목표치에 가까워지게 된다.
아울러 또 하나의 큰 특징 중 하나는 2차, 3차 선별과정에서 점점 불량 입상물의 비중이 증가되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다수 회차를 통해 분리하게 되면 분리시 공기분사장치(40)의 작동회수가 증가됨은 물론 다수의 작동에 따라 분사 대상물이 아닌 정상 입상물도 함께 분사되어 다수 회차에 걸친 선별과정의 선별효율 상승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불량 입상물의 비중이 극대화되는 3차 선별과정에서는 불량 입상물을 분사 대상으로 하지 않고 정상 입상물을 분사 대상으로 하여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분리하고자 하는 입상물의 정상 입상물 대비 불량 입상물 비율을 고려하여 분사 대상물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함에 따라 선별 효율과 작업 효율 양자를 동시에 극대화 시킨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선별 구성에 따라 실시하여 본 결과, 작업 에너지의 감소, 선별 신뢰도 증가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색채선별기를 각 구성요소별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하우징(10)은 일정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불량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입상물이 유입되며 유입시 서로 차단되도록 분리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유입호퍼(11)와, 선별된 입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호퍼(1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유입호퍼(11) 하부 측에 슈트(20), 광학검출장치(30), 공기분사장치(40)가 수용되며, 유입호퍼(11) 하부에 슈트(20)로 입상물이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진동발생수단 등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다수의 수평, 수직 프레임(10a)이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승강기(50)가 고정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호퍼(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3차 선별과정으로 이루어질 경우 서로 차단 분리되는 서로 차단 분리되는 제 1유입호퍼(11a), 제 2유입호퍼(11b) 및 제 3유입호퍼(11c)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유입호퍼(11)들의 크기는 2차, 3차 선별과정으로 갈수록 투입되는 입상물의 양이 감소되므로 수용 용량이 제 1유입호퍼(11a) > 제 2유입호퍼(11b) > 제 3유입호퍼(11c) 순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 1유입호퍼(11a), 제 2유입호퍼(11b) 및 제 3유입호퍼(11c) 하부측에는 각각 슈트(20)가 별도로 분리 배치되어 유입호퍼(11)로부터 유입된 입상물을 일정한 경로를 따라 하강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슈트(20)에는 일정 지점에 광학검출장치(30)와 공기분사장치(40)가 배치되어 입상물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촬영되는 입상물의 화소 레벨을 측정하여 레벨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레벨데이터에 따라서 설정된 임계 레벨데이터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공기분사장치(40)를 동작하여 목적하는 입상물을 분리시켜 정상 입상물 및 불량 입상물을 별도로 해당 배출호퍼(12)에 수집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출호퍼(12)는 상기 제 1유입호퍼(11a), 제 2유입호퍼(11b) 및 제 3유입호퍼(11c)에 대응하여 정상 입상물 및 불량 입상물을 분리 수집하는 제 1정상 배출호퍼(12aa), 제 1불량 호퍼(12ab), 제 2정상 배출호퍼(12ba), 제 2불량 배출호퍼(12bb), 제 3정상 배출호퍼(12ca) 및 제 3불량 배출호퍼(12cb)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 해당 배출호퍼(12)는 특정 승강기(50)와 연결되거나 별도의 수집통 등에 연결되어 수용되는 입상물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별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유입호퍼(11a) 및 제 2유입호퍼(11b)에 각각 대응되는 광학검출장치(30)와 제 3유입호퍼(11c)에 대응되는 광학검출장치(30)는 서로 공기분사장치(40)를 통해 분리하고자 하는 레벨데이터 설정값과 공기분사장치(40)에 따라 분리되지 않고 배출시키고자 하는 레벨데이터 설정값이 역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백미를 선별하는 경우 임계 화소 레벨데이터가 우선 설정되면, 임계 화소 레벨데이터보다 밝은 입상물은 정상 입상물로 간주하며 어두운 입상물은 불량 입상물로 간주하게 된다.
이에 따라 1차 선별과정 및 2차 선별과정에서는 불량 입상물의 비중이 정상 입상물의 비중보다 작거나 비슷하므로 불량 입상물을 즉, 임계 화소 레벨데이터보다 어두운 입상물을 공기분사장치(40)가 분사하여 분리하여야 할 입상물로 설정하여 선별이 이루어지며, 3차 선별과정에서는 불량 입상물의 비중이 정상 입상물의 비중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정상 입상물을 즉, 임계 화소 레벨데이터보다 밝은 입상물을 공기분사장치(40)가 분사하여 분리하여야 할 입상물로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불량 입상물의 비중이 훨씬 큰 경우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불량 입상물을 분사 대상으로 할 경우 잦은 분사로 인해 정상 입상물이 오동작으로 분사 대상에 포함될 확률이 커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선별 과정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사 대상을 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사 횟수를 감소시키고 입상물 분리시 오동작을 줄임에 따라 선별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설정에 따라 공기분사장치(40)의 분사 제어는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광학검출장치(30)로부터 생성된 화소 레벨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에 따른 공기분사대상여부를 판별하여 공기분사장치(4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최종적으로 분사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광학검출장치(30)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분리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분사 제어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기(50)는 상기 하우징(10)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10a)상에 결합 설치되며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승하강바스켓(50a)을 통해 다수의 유입호퍼에 입상물을 유입시키고 다수의 배출호퍼(12)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승강기(50)는 제 1유입호퍼(11a)로 불량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입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아 이를 제 1유입호퍼(11a)와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1승강부(51)와, 제 1정상 배출호퍼(12aa), 제 2정상 배출호퍼(12ba) 및 제 3정상 배출호퍼(12ca)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승강부(52)와, 제 1불량 배출호퍼(12ab) 및 제 2불량 배출호퍼(12bb)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전달받아 이를 각각 제 2유입호퍼(11b) 및 제 3유입호퍼(11c)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2유입호퍼(11b) 및 제 3유입호퍼(11c)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3승강부(53) 및 제 4승강부(5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통관은 승강기와 유입호퍼(11), 배출호퍼(12) 간을 연결하는 연결 관체로서 공지 구성이므로 도 2 내지 도 6에서 별도로 도시하지 않고, 화살표로 대체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50)는 일실시예에 따라 기존의 벨트 승강기를 통해 벨트와 결합된 다수의 승하강바스켓(50a)이 하강 후 상승 시점에서 수용 용기 내에 입상물을 수용하고 상승 후 하강 시점에서 수용된 입상물을 투척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승강기(50) 구성은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1승강부(51)는 최초 선별대상 입상물을 승강시켜 제 1유입호퍼(11a)로 투입하며, 제 2승강부(52)는 정상 입상물로 판별된 입상물을 해당 배출호퍼(12aa, 12ba, 12ca)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배출하며, 제 3승강부(53)는 1차 선별과정에서 불량 입상물로 판별된 입상물을 제 2유입호퍼(11b)로 전달하고, 제 4승강부(54)는 2차 선별과정에서 불량 입상물로 판별된 입상물을 제 3유입호퍼(11c)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1차 선별과정 및 2차 선별과정에서 불량 입상물로 판별된 입상물은 이후 선별과정에서 정상 입상물로 판별되더라도 보다 선별의 신뢰도를 증대하기 위해 재선별과정을 거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정상 배출호퍼(12ba)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은 재선별을 위해 제 1승강부(51)로 전달하여 제 1유입호퍼(11a)로 투입되도록 하며 제 3정상 배출호퍼(12ca)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은 재선별을 위해 제 3승강부(53)로 전달하여 제 2유입호퍼(11b)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재선별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선별 신뢰도 증대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 3불량 배출호퍼(12cb)로부터 배출되는 최종 불량 입상물은 외부의 별도 수용 용기로 배출되어 폐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0a : 프레임
11 : 유입호퍼 11a : 제 1유입호퍼
11b : 제 2유입호퍼 11c : 제 3유입호퍼
12 : 배출호퍼 12aa : 제 1정상 배출호퍼
12ab : 제 1불량 배출호퍼 12ba : 제 2정상 배출호퍼
12bb : 제 2불량 배출호퍼 12ca : 제 3정상 배출호퍼
12cb : 제 3불량 배출호퍼 20 : 슈트
30 : 광학검출장치 40 : 공기분사장치
50 : 승강기 50a : 승하강바스켓
51 : 제 1승강부 52 : 제 2승강부
53 : 제 3승강부 54 : 제 4승강부
100 : 색채선별기

Claims (5)

  1. 일정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불량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입상물이 유입되되 유입시 서로 차단되도록 분리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유입호퍼와, 선별된 입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호퍼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입상물을 일정한 경로를 따라 하강시키되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경로를 가지는 다수의 슈트와;
    상기 다수의 슈트 일측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하강하는 입상물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촬영되는 입상물의 화소 레벨을 측정하여 레벨데이터를 생성하는 광학검출장치와;
    상기 광학검출장치에 근접 설치되어 광학검출장치에 의해 불량 또는 정상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불량 입상물 및 정상 입상물을 각각 설정된 배출호퍼로 수용되도록 하는 공기분사장치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상에 결합 설치되며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승하강바스켓을 통해 다수의 유입호퍼에 입상물을 유입시키고 다수의 배출호퍼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는 다수의 승강기와;
    상기 광학검출장치로부터 생성된 화소 레벨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에 따른 공기분사대상여부를 판별하여 공기분사장치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불량 또는 정상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는 서로 차단 분리되는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슈트, 광학검출장치, 공기분사장치 및 배출호퍼는 상기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각각 연결되어 분리 형성되며, 상기 배출호퍼는 상기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대응하여 정상 입상물 및 불량 입상물을 분리 수집하는 제 1정상 배출호퍼, 제 1불량 호퍼, 제 2정상 배출호퍼, 제 2불량 배출호퍼, 제 3정상 배출호퍼 및 제 3불량 배출호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선별 과정별 입상물의 정상 입상물 대비 불량 입상물의 분포량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선별 과정에서 상기 광학검출장치 및 공기분사장치가 목적하는 분리 대상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입호퍼 및 제 2유입호퍼에 각각 대응되는 광학검출장치와 제 3유입호퍼에 대응되는 광학검출장치는 서로 공기분사장치를 통해 분리하고자 하는 레벨데이터 설정값과 공기분사장치에 따라 분리되지 않고 배출시키고자 하는 레벨데이터 설정값이 서로 전환되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제 1유입호퍼로 불량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입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아 이를 제 1유입호퍼와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1승강부와, 제 1정상 배출호퍼, 제 2정상 배출호퍼 및 제 3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승강부와, 제 1불량 배출호퍼 및 제 2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전달받아 이를 각각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3승강부 및 제 4승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제 1유입호퍼로 불량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입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거나 상기 제 2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1유입호퍼와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1승강부와,
    제 1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승강부와,
    제 1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거나 제 3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2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2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3승강부와,
    제 2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3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3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4승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5. 삭제
KR1020110036501A 2011-04-20 2011-04-20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KR101064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501A KR101064917B1 (ko) 2011-04-20 2011-04-20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501A KR101064917B1 (ko) 2011-04-20 2011-04-20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917B1 true KR101064917B1 (ko) 2011-09-16

Family

ID=4495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501A KR101064917B1 (ko) 2011-04-20 2011-04-20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4585A (zh) * 2017-11-28 2018-03-09 安徽文尧智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拼装式色选机结构
CN108126915A (zh) * 2017-12-26 2018-06-08 合肥谷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洁的盐色选机
KR102056955B1 (ko) * 2012-06-01 2019-12-17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색채 선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939A (ja) * 1996-12-19 1998-06-30 Kubota Corp 粒状体の検査装置
KR20080003517U (ko) * 2007-02-21 2008-08-26 염규철 세립 임산물 선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939A (ja) * 1996-12-19 1998-06-30 Kubota Corp 粒状体の検査装置
KR20080003517U (ko) * 2007-02-21 2008-08-26 염규철 세립 임산물 선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955B1 (ko) * 2012-06-01 2019-12-17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색채 선별기
CN107774585A (zh) * 2017-11-28 2018-03-09 安徽文尧智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拼装式色选机结构
CN108126915A (zh) * 2017-12-26 2018-06-08 合肥谷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洁的盐色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6348B2 (ja) 光学式選別機
JP5569799B2 (ja) 色彩選別機
JP6152845B2 (ja) 光学式粒状物選別機
JP3722354B2 (ja) 粒状物選別方法及び粒状物選別装置
KR101064917B1 (ko)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KR20110034171A (ko) 색채 선별기
CN104368540A (zh) 一种基于近红外技术的双波长粮食自动分选机
JP2007283204A (ja) 色彩選別機
KR101616903B1 (ko) 색채선별기
CN101786084A (zh) 双ccd物料色选方法及色选机
JP5278295B2 (ja) 色彩選別機
CN106269572A (zh) 一种大米色选机
JP5673109B2 (ja) 光学式選別機及び光学式選別機による選別方法
JP2000157936A (ja) 粒状物選別方法及び粒状物選別装置
JP5590861B2 (ja) 色彩選別機
JP2007021381A (ja) 選別機
KR100934901B1 (ko)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JP5099103B2 (ja) 色彩選別機及び該色彩選別機における良品の排出方法
CN206689068U (zh) 一种双层单通道复选色选机
JP7176386B2 (ja) 光学式選別機
CN103721947B (zh) 一种封闭式选茶分离机
CN103721946B (zh) 一种封闭式选茶方法
CN103721944B (zh) 一种选茶方法
CN214021885U (zh) 履带传送高精度色选机
JP2009154084A (ja) 光学式穀物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