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917B1 -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Google Patents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4917B1 KR101064917B1 KR1020110036501A KR20110036501A KR101064917B1 KR 101064917 B1 KR101064917 B1 KR 101064917B1 KR 1020110036501 A KR1020110036501 A KR 1020110036501A KR 20110036501 A KR20110036501 A KR 20110036501A KR 101064917 B1 KR101064917 B1 KR 101064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pper
- granular material
- inflow
- normal
- defectiv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6 particula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불량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입상물이 유입되되 유입시 서로 차단되도록 분리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유입호퍼와, 선별된 입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호퍼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입상물을 일정한 경로를 따라 하강시키되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경로를 가지는 다수의 슈트와; 상기 다수의 슈트 일측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하강하는 입상물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촬영되는 입상물의 화소 레벨을 측정하여 레벨데이터를 생성하는 광학검출장치와; 상기 광학 검출장치에 근접 설치되어 광학검출장치에 의해 불량 또는 정상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불량 입상물 및 정상 입상물을 각각 설정된 배출호퍼로 수용되도록 하는 공기분사장치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상에 결합 설치되며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승하강바스켓을 통해 다수의 유입호퍼에 입상물을 유입시키고 다수의 배출호퍼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는 다수의 승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는 각각 다수의 선별 과정에 따라 선별 과정별 유입호퍼가 특정되며 선별 과정별 입상물의 정상 입상물 대비 불량 입상물의 분포량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선별 과정에서 상기 광학검출장치 및 공기분사장치가 목적하는 분리 대상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강기는 제 1유입호퍼로 불량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입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거나 상기 제 2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1유입호퍼와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1승강부와, 제 1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승강부와, 제 1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거나 제 3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2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2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3승강부와, 제 2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3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3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4승강부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간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선별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호퍼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11 : 유입호퍼 11a : 제 1유입호퍼
11b : 제 2유입호퍼 11c : 제 3유입호퍼
12 : 배출호퍼 12aa : 제 1정상 배출호퍼
12ab : 제 1불량 배출호퍼 12ba : 제 2정상 배출호퍼
12bb : 제 2불량 배출호퍼 12ca : 제 3정상 배출호퍼
12cb : 제 3불량 배출호퍼 20 : 슈트
30 : 광학검출장치 40 : 공기분사장치
50 : 승강기 50a : 승하강바스켓
51 : 제 1승강부 52 : 제 2승강부
53 : 제 3승강부 54 : 제 4승강부
100 : 색채선별기
Claims (5)
- 일정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불량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입상물이 유입되되 유입시 서로 차단되도록 분리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유입호퍼와, 선별된 입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호퍼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입상물을 일정한 경로를 따라 하강시키되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경로를 가지는 다수의 슈트와;
상기 다수의 슈트 일측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하강하는 입상물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촬영되는 입상물의 화소 레벨을 측정하여 레벨데이터를 생성하는 광학검출장치와;
상기 광학검출장치에 근접 설치되어 광학검출장치에 의해 불량 또는 정상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불량 입상물 및 정상 입상물을 각각 설정된 배출호퍼로 수용되도록 하는 공기분사장치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상에 결합 설치되며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승하강바스켓을 통해 다수의 유입호퍼에 입상물을 유입시키고 다수의 배출호퍼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는 다수의 승강기와;
상기 광학검출장치로부터 생성된 화소 레벨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에 따른 공기분사대상여부를 판별하여 공기분사장치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불량 또는 정상으로 판단된 입상물을 공기분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유입호퍼는 서로 차단 분리되는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슈트, 광학검출장치, 공기분사장치 및 배출호퍼는 상기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각각 연결되어 분리 형성되며, 상기 배출호퍼는 상기 제 1유입호퍼,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대응하여 정상 입상물 및 불량 입상물을 분리 수집하는 제 1정상 배출호퍼, 제 1불량 호퍼, 제 2정상 배출호퍼, 제 2불량 배출호퍼, 제 3정상 배출호퍼 및 제 3불량 배출호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선별 과정별 입상물의 정상 입상물 대비 불량 입상물의 분포량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선별 과정에서 상기 광학검출장치 및 공기분사장치가 목적하는 분리 대상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입호퍼 및 제 2유입호퍼에 각각 대응되는 광학검출장치와 제 3유입호퍼에 대응되는 광학검출장치는 서로 공기분사장치를 통해 분리하고자 하는 레벨데이터 설정값과 공기분사장치에 따라 분리되지 않고 배출시키고자 하는 레벨데이터 설정값이 서로 전환되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제 1유입호퍼로 불량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입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상물을 전달받아 이를 제 1유입호퍼와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1승강부와, 제 1정상 배출호퍼, 제 2정상 배출호퍼 및 제 3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승강부와, 제 1불량 배출호퍼 및 제 2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전달받아 이를 각각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2유입호퍼 및 제 3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3승강부 및 제 4승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제 1유입호퍼로 불량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입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거나 상기 제 2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1유입호퍼와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1승강부와,
제 1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승강부와,
제 1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거나 제 3정상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2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2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3승강부와,
제 2불량 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입상물을 연통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제 3유입호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제 3유입호퍼에 연결되는 연통관으로 이송 배출하는 제 4승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501A KR101064917B1 (ko) | 2011-04-20 | 2011-04-20 |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501A KR101064917B1 (ko) | 2011-04-20 | 2011-04-20 |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4917B1 true KR101064917B1 (ko) | 2011-09-16 |
Family
ID=4495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6501A KR101064917B1 (ko) | 2011-04-20 | 2011-04-20 |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491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74585A (zh) * | 2017-11-28 | 2018-03-09 | 安徽文尧智能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拼装式色选机结构 |
CN108126915A (zh) * | 2017-12-26 | 2018-06-08 | 合肥谷鑫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便于清洁的盐色选机 |
KR102056955B1 (ko) * | 2012-06-01 | 2019-12-17 |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 색채 선별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4939A (ja) * | 1996-12-19 | 1998-06-30 | Kubota Corp | 粒状体の検査装置 |
KR20080003517U (ko) * | 2007-02-21 | 2008-08-26 | 염규철 | 세립 임산물 선별기 |
-
2011
- 2011-04-20 KR KR1020110036501A patent/KR1010649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4939A (ja) * | 1996-12-19 | 1998-06-30 | Kubota Corp | 粒状体の検査装置 |
KR20080003517U (ko) * | 2007-02-21 | 2008-08-26 | 염규철 | 세립 임산물 선별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6955B1 (ko) * | 2012-06-01 | 2019-12-17 |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 색채 선별기 |
CN107774585A (zh) * | 2017-11-28 | 2018-03-09 | 安徽文尧智能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拼装式色选机结构 |
CN108126915A (zh) * | 2017-12-26 | 2018-06-08 | 合肥谷鑫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便于清洁的盐色选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46348B2 (ja) | 光学式選別機 | |
JP5569799B2 (ja) | 色彩選別機 | |
JP6152845B2 (ja) | 光学式粒状物選別機 | |
JP3722354B2 (ja) | 粒状物選別方法及び粒状物選別装置 | |
KR101064917B1 (ko) | 입상물의 이물질 포함비율에 따른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색채선별기 | |
KR20110034171A (ko) | 색채 선별기 | |
CN104368540A (zh) | 一种基于近红外技术的双波长粮食自动分选机 | |
JP2007283204A (ja) | 色彩選別機 | |
KR101616903B1 (ko) | 색채선별기 | |
CN101786084A (zh) | 双ccd物料色选方法及色选机 | |
JP5278295B2 (ja) | 色彩選別機 | |
CN106269572A (zh) | 一种大米色选机 | |
JP5673109B2 (ja) | 光学式選別機及び光学式選別機による選別方法 | |
JP2000157936A (ja) | 粒状物選別方法及び粒状物選別装置 | |
JP5590861B2 (ja) | 色彩選別機 | |
JP2007021381A (ja) | 選別機 | |
KR100934901B1 (ko) |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 |
JP5099103B2 (ja) | 色彩選別機及び該色彩選別機における良品の排出方法 | |
CN206689068U (zh) | 一种双层单通道复选色选机 | |
JP7176386B2 (ja) | 光学式選別機 | |
CN103721947B (zh) | 一种封闭式选茶分离机 | |
CN103721946B (zh) | 一种封闭式选茶方法 | |
CN103721944B (zh) | 一种选茶方法 | |
CN214021885U (zh) | 履带传送高精度色选机 | |
JP2009154084A (ja) | 光学式穀物選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