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571B1 -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571B1
KR101060571B1 KR1020110020814A KR20110020814A KR101060571B1 KR 101060571 B1 KR101060571 B1 KR 101060571B1 KR 1020110020814 A KR1020110020814 A KR 1020110020814A KR 20110020814 A KR20110020814 A KR 20110020814A KR 101060571 B1 KR101060571 B1 KR 10106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ropulsion
propulsion pipe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운
Original Assignee
한미기초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기초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기초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4Driving tunnels or galleries through loos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주진되는 제 1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1 추진관과 연통되어 지중에 추진되는 제 2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1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들, 및 제 1 추진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연통홀을 포함하는 제 1 박스형 추진관; 및 지중에 추진되는 제 3 추진관, 제 3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3 추진관과 연통되어 지중에 추진되는 제 4 추진관, 제 3 추진관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3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들, 및 제 3 추진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연통홀을 포함하는 제 2 박스형 추진관을 포함하되,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지중에 추진되어 결합되고,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연통되며,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작업자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자에 의한 내부 작업을 구현할 수 있고, 하나의 박스형 추진관이 다른 박스형 추진관의 안내를 받아 결합되어 용이하게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춰지며,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상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BOX TYPE PROPULSION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데 사용되는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용이하게 결합되며, 횡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으로는 개착공법 및 비개착공법이 있다.
개착공법은 지표면에서 땅을 파들어간 뒤 구조물을 설치하고 흙을 다시 메우는 방식으로, 굴착만으로 이루어지는 소굴식, 굴착과 함께 흙막이벽을 설치하는 무복공식(흙막이공법), 흙막이공 위에 복공판을 부설하는 복공식이 있는데, 상하수관을 설치하거나 터널, 지하철 건설 등에 많이 쓰인다.
하지만 기존의 도로 및 철로의 하부를 횡단하도록 지하차도나 터널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로 및 철로가 이설되고, 차량의 이동도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착공법을 대신하여 비개착공법을 이용하여 구조물 설치가 이루어진다. 비개착공법은 지표면에서 땅을 파지 않고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작업구를 형성한 후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최근에는 강관을 추진관으로 사용하는 강관루프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강관루프 공법은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중에 추진관을 추진하고, 이러한 추진관 내부를 굴착한 다음에 추진관 내부에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이 이루어진다. 이때 추진관으로 구조물의 외곽선이 형성되고, 지중을 굴착하면서 구조물을 위한 터파기 작업이 추진관을 지지하는 기둥을 설치하는 작업과 함께 구조물의 타설이 이루어진다.
한편, 추진관이 추진되면서 그 내부가 굴착될 때, 굴착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의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이때 굴착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추진관은 작업자가 추진관의 내부에 투입되어 굴착 작업을 하기에 어려운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추진관은 작업자에 의해 굴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추진관들은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구조물의 외곽선을 형성한다. 이때, 구조물의 외곽선을 따라 추진관들을 정확하게 배치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고, 이에 따라 시공 기간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추진관들의 상면에 하중이 작용하여, 추진관들이 변형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작업자가 투입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스형 추진관들의 추진을 안내하여 횡방향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면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변형이나 붕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중에 추진되는 제 1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1 추진관과 연통되어 지중에 추진되는 제 2 추진관; 및 제 1 추진관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1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을 개시한다.
또한, 제 1 추진관 및 제 2 추진관에 의해 얻어지는 횡단면은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을 개시한다.
또한, 제 1 추진관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연통홀을 포함하되, 박스형 추진관(이하 "제 1 박스형 추진관")이 다른 박스형 추진관(이하 "제 2 박스형 추진관")과 결합될 때,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연통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을 개시한다.
또한,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결합부; 및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을 개시한다.
또한,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결합부; 및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에 추진되는 제 1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1 추진관과 연통되어 지중에 추진되는 제 2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1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들, 및 제 1 추진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연통홀을 포함하는 제 1 박스형 추진관; 및 지중에 추진되는 제 3 추진관, 제 3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3 추진관과 연통되어 지중에 추진되는 제 4 추진관, 제 3 추진관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3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들, 및 제 3 추진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연통홀을 포함하는 제 2 박스형 추진관을 포함하되,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지중에 추진되어 결합되고,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연통되며,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은,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에 걸쳐 위치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제 1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결합부; 및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제 3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끼움부; 및 제 1 끼움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3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끼움부와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끼움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끼워져, 제 2 박스형 추진관이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제 1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결합부; 및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제 3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끼움부; 및 제 1 끼움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3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끼움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끼움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끼워져, 제 2 박스형 추진관이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지중에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추어 제 1 박스형 추진관을 추진하는 단계(여기서, 제 1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제 1 추진관과 연통되는 제 2 추진관, 및 제 1 추진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연통홀을 포함한다); (b)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흙을 제거하는 단계; (c) 제 1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제 1 추진관의 하면에 지지부들을 설치하는 단계; (d) 제 2 박스형 추진관을 지중에 추진하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시켜,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을 연통시키는 단계(여기서,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제 3 추진관, 제 3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제 3 추진관과 연통되는 제 4 추진관, 및 제 3 추진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연통홀을 포함한다); (e)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흙을 제거하는 단계; (f) 제 3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제 3 추진관의 하면에 지지부들을 설치하는 단계; 및 (g)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e) 단계는, (e) 단계에서, 제 1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에 제 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제 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 3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에 제 1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 1 끼움부의 하측에 제 2 끼움부가 돌출 형성된 경우에는,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가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끼워져, 제 2 박스형 추진관이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g) 단계는, 큰크리트가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공급되기 전에,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에 걸쳐 보강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각각 제 1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1 추진관과 연통된 제 2 추진관, 및 제 1 추진관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1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들을 포함하는 박스형 추진관들을 지중에 추진하여 상호 간에 결합시켜 지중에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이 지중에 추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연통된 제 1 추진관과 제 2 추진관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투입되어 연결구조물 내부의 흙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들은 상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의 변형이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작업자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연결구조물의 내부에 투입되어 흙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제 1 추진관에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제 3 추진관에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가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끼워진다. 즉,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안내를 받아 지중에 추진되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지중에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용이하게 맞춰져 지중에 추진되어,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3)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박스형 추진관 및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연통홀을 통해 연통된다. 이때,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또한,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는 보강부가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을 걸쳐 설치되어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더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면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저항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횡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면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변형이나 붕괴가 감소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은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 및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으로 이루어지고 지중에 추진되어 결합되고, 지중에 축조되는 구조물의 외곽선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은 3개의 박스형 추진관들로 이루어진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개수의 박스형 추진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은 제 1 추진관(101a), 제 2 추진관(102a) 및 지지부(103)들을 포함한다.
제 1 추진관(101a)은 지중에 추진된다.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연통홀(111)이 형성된다.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은 연통홀(111)을 통해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과 연통된다. 이때,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의 일측면은 개방된 상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통홀(111)과 같은 연통홀이 형성되기도 한다.
제 2 추진관(102a)은 제 1 추진관(101a)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1 추진관(101a)과 연통된다. 이때,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은 제 1 추진관(101a)과 제 2 추진관(102a)에 의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횡단면을 갖는다. 또한, 제 1 추진관(101a)이 지중에 추진될 때, 제 2 추진관(102a)은 함께 지중에 추진된다.
한편, 제 1 추진관(101a)의 높이와 제 2 추진관(102a)의 높이의 합이 사람의 키에 상응하도록 조합된다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내부에는 작업자를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제 1 박스형 추진관들(100a)의 내부에 투입되어 남아있는 흙을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지지부(103)들은 제 1 추진관(101a)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1 추진관(101a)의 상면을 지지한다.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이 지중에 추진되고, 내부에서 흙이 제거될 때, 지지부(113)들이 설치된다. 또한, 제 1 추진관(101a)의 상면에는 하중이 가해진다. 지지부(103)들은 이러한 하중을 지지하여, 제 1 추진관(101a)이 하중에 의해 변형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은 제 3 추진관(101b), 제 4 추진관(102b) 및 지지부(103)들을 포함하여,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은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 및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과 결합된다. 이때,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은 제 3 추진관(101b)에 연통홀(111)이 형성되어,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과 연통된다.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은 제 5 추진관(101c), 제 6 추진관(102c) 및 지지부(103)들을 포함하여, 역시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지중에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을 형성하면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이 용이하게 구성되도록,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 내지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은 각각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은 제 1 결합부(112a) 및 제 2 결합부(113a)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112a)는 제 1 추진관(101a)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제 2 결합부(113a)는 제 1 결합부(112a)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추진관(101a)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즉, 제 1 결합부(112a)와 제 2 결합부(113a)는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은 제 1 끼움부(114b) 및 제 2 끼움부(115b)를 포함하고,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과 결합된다.
제 1 끼움부(114b)는 제 3 추진관(101b)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제 2 끼움부(115b)는 제 1 끼움부(114b)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3 추진관(101b)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즉, 제 1 끼움부(114b)와 제 2 끼움부(115b)는 제 1 결합부(112a)와 제 2 결합부(113a)의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상호 간에는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이때, 제 1 끼움부(114b) 및 제 2 끼움부(115b)는 제 1 결합부(112a)와 제 2 결합부(113a)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끼움부(114b) 및 제 2 끼움부(115b)는 제 1 결합부(112a)와 제 2 결합부(113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112a)와 제 2 결합부(113a)에 각각 끼워진다. 이때,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은 지중에 추진되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안내를 받아 결합됨에 따라,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은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용이하게 맞춰져 추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결합부(112a) 및 제 2 결합부(113a)가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제 1 끼움부(114a) 및 제 2 끼움부(115b)는 제 1 결합부(112a) 및 제 2 결합부(113b)와 반대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은 제 1 결합부(112b) 및 제 2 결합부(113b)을 포함하여,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112b)는 제 3 추진관(101b)의 타측면 상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하측으로 구부러진다. 제 2 결합부(113b)는 제 1 결합부(112b)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3 추진관(101b)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즉, 제 2 결합부(113b)는 제 1 결합부(112b)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은 제 1 끼움부(114c) 및 제 2 끼움부(115c)를 포함한다.
제 1 끼움부(114c)는 제 5 추진관(101c)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제 2 끼움부(115c)는 제 1 끼움부(114c)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5 추진관(101c)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즉, 제 1 끼움부(114c) 및 제 2 끼움부(115c)는 각각 제 1 결합부(112b) 및 제 2 결합부(113c)의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상호 간에는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이때, 제 1 끼움부(114c) 및 제 2 끼움부(115c)는 제 1 결합부(112b)와 제 2 결합부(113b)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끼움부(114c) 및 제 2 끼움부(115c)는 제 1 결합부(112b)와 제 2 결합부(113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112b)와 제 2 결합부(113b)에 각각 끼워진다. 이때,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은 지중에 추진되면서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에 결합된다.
한편, 제 1 결합부(112b)가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제 2 결합부(113b)는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제 1 끼움부(114c)는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제 2 끼움부(115c)는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제 1 결합부(112b) 및 제 2 결합부(113b)는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제 1 결합부(112a) 및 제 2 결합부(113a)와 같이 상호 간에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제 1 끼움부(114c) 및 제 2 끼움부(115c)도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의 제 1 끼움부(114b) 및 제 2 끼움부(115b)와 같이 제 1 결합부(112a) 및제 2 결합부(113a)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상호 간에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 내지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박스형 추진관들(100a, 100b, 100c)의 내부에는 연통홀(111)을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박스형 추진관들(100a, 100b, 100c)이 일체형으로 견고한 상태로 이루어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은 보강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04)는 연통홀(111)들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과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에 걸쳐 설치되기도 하고,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과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에 걸쳐 설치되기도 한다. 보강부(104)는 박스형 추진관들(100a, 100b. 100c)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따라, 박스형 추진관들(100a, 100b. 100c)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보강부(104)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의 횡방향을 따라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저항하여, 안정적으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보강부(104)는 복수 개의 철근 부재들이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된다. 한편, 보강부(104)는 연장되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 내지 제 3 박스형 추진관(100c) 모두, 즉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의 횡방향 전체를 걸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을 지중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편,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은 앞서 언급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이 지중에 추진된다. 이때,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은 제 1 추진관(101a), 제 1 추진관(101a)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제 1 추진관(101a)과 연통되는 제 2 추진관(102a), 및 제 1 추진관(101a)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연통홀(111)을 포함하고, 지중에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추어 추진된다.
또한,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은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과의 결합을 위하여, 제 1 결합부(112a) 및 제 2 결합부(112b)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때, 제 1 결합부(112a)는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일측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제 2 결합부(112b)는 제 1 결합부(112a)의 하측에는 돌출 형성된다.
이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 내부의 흙이 제거된다. 이때, 흙은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추진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배출되고,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추진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어서, 지지부(103)들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부(103)들은 제 1 추진관(101a)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면을 지지한다. 이로 인해, 지지부(103)들은 제 1 추진관(101a)의 상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여, 제 1 추진관(101a)의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지지부(103)들의 설치는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 내부의 흙 제거와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어서,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이 지중에 추진되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과 결합된다. 이때, 제 1 박스형 추진관(100b)은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에 대응되는 제 3 추진관(101b), 제 3 추진관(101b)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제 3 추진관(101b)과 연통되는 제 4 추진관(102b), 및 제 3 추진관(101b)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연통홀(111)을 포함한다. 또한, 연통홀(111)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과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은 연통된다.
또한,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은 제 1 끼움부(114b) 및 제 2 끼움부(115b)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끼움부(114b)는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의 일측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제 2 끼움부(115b)는 제 1 끼움부(114b)의 하측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 1 끼움부(114b) 및 제 2 끼움부(115c)가 제 1 결합부(112a) 및 제 2 결합부(113a)를 따라 슬라이동하여 제 1 결합부(112a) 및 제 2 결합부(113a)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지중에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춰지게 된다.
이어서,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 내부의 흙이 제거된다. 이때, 흙은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의 추진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배출되고,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의 추진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어서, 지지부(103)들이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부(103)들은 제 3 추진관(101b)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면을 지지한다. 이로 인해, 지지부(103)들은 제 3 추진관(101b)의 상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여, 제 3 추진관(101b)의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지지부(103)들의 설치는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 내부의 흙 제거와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한다. 이때, 콘크리트는 연통홀(111)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의 내부에 타설된다. 이로 인해,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이 구성된다.
또한,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기 전에, 보강부(104)가 연통홀(111)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100a)과 제 2 박스형 추진관(100b)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다. 보강부(104)는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되고,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의 횡방향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로 인해,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은 안정적으로 지중에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100)은 더 많은 개수의 박스형 추진관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100a: 제 1 박스형 추진관 100b: 제 2 박스형 추진관
100c: 제 3 박스형 추진관 101a: 제 1 추진관
102a: 제 2 추진관 101b: 제 3 추진관
102b: 제 4 추진관 101c: 제 5 추진관
102c: 제 6 추진관 103: 지지부
104: 보강부 111: 연통홀
112a, 112b: 제 1 결합부 113a, 113b: 제 2 결합부
114b, 114c: 제 1 끼움부 115b, 115c: 제 2 끼움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지중에 추진되는 제 1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1 추진관과 연통되어 지중에 추진되는 제 2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1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들, 및 제 1 추진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연통홀을 포함하는 제 1 박스형 추진관; 및
    지중에 추진되는 제 3 추진관, 제 3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 3 추진관과 연통되어 지중에 추진되는 제 4 추진관, 제 3 추진관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3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들, 및 제 3 추진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연통홀을 포함하는 제 2 박스형 추진관을 포함하되,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지중에 추진되어 결합되고,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연통되며,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은,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에 걸쳐 위치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결합부; 및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제 3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끼움부; 및
    제 1 끼움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3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끼움부와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끼움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끼워져, 제 2 박스형 추진관이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결합부; 및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제 3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1 끼움부; 및
    제 1 끼움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3 추진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끼움부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끼움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끼워져, 제 2 박스형 추진관이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10. (a) 지중에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추어 제 1 박스형 추진관을 추진하는 단계(여기서, 제 1 박스형 추진관은 제 1 추진관, 제 1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제 1 추진관과 연통되는 제 2 추진관, 및 제 1 추진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연통홀을 포함한다);
    (b)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흙을 제거하는 단계;
    (c) 제 1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제 1 추진관의 하면에 지지부들을 설치하는 단계;
    (d) 제 2 박스형 추진관을 지중에 추진하면서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시켜,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을 연통시키는 단계(여기서, 제 2 박스형 추진관은 제 3 추진관, 제 3 추진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제 3 추진관과 연통되는 제 4 추진관, 및 제 3 추진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연통홀을 포함한다);
    (e)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흙을 제거하는 단계;
    (f) 제 3 추진관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제 3 추진관의 하면에 지지부들을 설치하는 단계; 및
    (g)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e) 단계는,
    (e) 단계에서, 제 1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에 제 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제 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 3 추진관의 일측면 상부에 제 1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 1 끼움부의 하측에 제 2 끼움부가 돌출 형성된 경우에는,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가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에 각각 끼워져, 제 2 박스형 추진관이 제 1 박스형 추진관에 결합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의 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g) 단계는,
    큰크리트가 제 1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와 제 2 박스형 추진관의 내부에 공급되기 전에, 제 1 연통홀과 제 2 연통홀을 통해 제 1 박스형 추진관과 제 2 박스형 추진관에 걸쳐 보강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110020814A 2011-03-09 2011-03-09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6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814A KR101060571B1 (ko) 2011-03-09 2011-03-09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814A KR101060571B1 (ko) 2011-03-09 2011-03-09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571B1 true KR101060571B1 (ko) 2011-08-31

Family

ID=4493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814A KR101060571B1 (ko) 2011-03-09 2011-03-09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633B1 (ko) 2011-09-26 2012-07-26 문찬호 분리형 세그먼트 지중압입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208419B1 (ko) * 2012-03-12 2012-12-05 주식회사 삼진그린건장 박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압입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0938A (ja) * 2005-09-08 2007-03-22 Taisei Corp 推進函体およびトンネルの構築方法
JP2007247327A (ja) * 2006-03-17 2007-09-27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地下構造物構築用の置換部材および地下構造物並びにその構築工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0938A (ja) * 2005-09-08 2007-03-22 Taisei Corp 推進函体およびトンネルの構築方法
JP2007247327A (ja) * 2006-03-17 2007-09-27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地下構造物構築用の置換部材および地下構造物並びにその構築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633B1 (ko) 2011-09-26 2012-07-26 문찬호 분리형 세그먼트 지중압입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208419B1 (ko) * 2012-03-12 2012-12-05 주식회사 삼진그린건장 박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압입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9144B (zh) 软土地区以阵列顶管建设地下空间的暗挖施工方法
KR101161332B1 (ko) 지하터널의 시공방법
KR20170102397A (ko) 사각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KR101060571B1 (ko) 박스형 추진관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68613B1 (ko) 이동가설지지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KR20060097891A (ko) 강관루프 구조체 및 이 강관루프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556674B1 (ko) 강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강관구조체 시공방법
KR101292717B1 (ko) 함체 견인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함체의 구조
KR102071647B1 (ko) 강관루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351784B1 (ko) 커팅채널부재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385542Y1 (ko) 강관루프 구조체
KR101427812B1 (ko) 개착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967167B1 (ko) 비개착식 터널의 시공방법
KR102134603B1 (ko) 비개착 구조물 시공을 위한 비개착 구조물 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07632B1 (ko) 지중 보조통로 구조물 및 지중 보조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KR101240334B1 (ko) 호형가이드판이 형성된 강관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809554B1 (ko) 키락블록과 쉬트파일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057796B1 (ko) 추진관 안내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추진관 시공 방법
JP2010059621A (ja) 地中構造物、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KR20210002947A (ko) 양면 반원아치형 선도관과 이를 이용한 비개착 터널 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170804B1 (ko) 특수선도관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201489B1 (ko) 터널의 구축방법
KR101037869B1 (ko) 함체추진용 갤러리관
KR100833700B1 (ko) 강관루프 구조체
KR101524302B1 (ko)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