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379B1 -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379B1
KR101056379B1 KR1020090008677A KR20090008677A KR101056379B1 KR 101056379 B1 KR101056379 B1 KR 101056379B1 KR 1020090008677 A KR1020090008677 A KR 1020090008677A KR 20090008677 A KR20090008677 A KR 20090008677A KR 101056379 B1 KR101056379 B1 KR 10105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g
air
compressed air
air supply
drying obje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436A (ko
Inventor
양동준
Original Assignee
양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준 filed Critical 양동준
Priority to KR102009000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3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3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건조대상물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되어, 다수의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의 어느 부분에 붙어있는 수분이라도 쉽게 제거되도록 하는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송대(10)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11)의 상부로 건조대상물(12)이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대(10)의 상측으로 설치된 제수부(20)의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21)에 의하여 건조대상물(12)이 제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수부(20) 및 상기 이송대(10)의 전방으로는 회전벨트(211)로 연결된 상기 제수부(20)의 스패그장치(21)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동부(3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으로는 상기 스패그장치(2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08677
제수장치, 파우치, 제수부, 압축공기

Description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WATER ELIMINATION APPARATUS WITH SPIN MULTI SPIDER FINGER AIR GUN}
본 발명은 제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건조대상물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되어, 다수의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의 어느 부분에 붙어있는 수분이라도 쉽게 제거되도록 하는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의 경우에는 과일종류에 따라 세척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음식물 가공업에서 생산되는 제품도 위생을 위하여 세척과정을 거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일반 식당이나 가정집에서 많이 이용되는 식기세척기도 식기를 세척한 후에는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식기세척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고온 고압 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가열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등, 많은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과일이나 음식물이 포장된 상태의 제품 등은 가열하게 되면 제품의 신선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이 변질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일일이 작업자가 물기를 닦아 수분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수분제거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품에 열을 가하지 않고 수분을 제거하여,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로 건조대상물이 이송되도록 하고, 그 위로 회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건조대상물에 붙어있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특히 압축공기가 효과적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의 어느 부분에 붙어있는 수분이라도 제거가 가능하고, 특히 빠른 회전수로 회전되면서 분사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 전체적으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다관절의 핑거에어건이 이용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이 단일 구조로 형성된 것 뿐만 아니라 과일이나 식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에, 거미 손가락처럼 다관절로 자유롭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방향 및 분사각도가 건조대상물의 형태에 알맞게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건조대상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벨트가 망형태로 되고,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스패그장치가 마련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의 어느 위치에 수분이 붙어 있어도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는, 이송대(10)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11)의 상부로 건조대상물(12)이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대(10)의 상측으로 설치된 제수부(20)의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21)에 의하여 건조대상물(12)이 제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수부(20) 및 상기 이송대(10)의 전방으로는 회전벨트(211)로 연결된 상기 제수부(20)의 스패그장치(21)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동부(3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으로는 상기 스패그장치(2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회전구동부(30)는 상기 이송대(10)에 설치된 회전모터(31)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프레임(32)에 회동가능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된 분리구동축(33)이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분리구동축(33) 상부와 하부의 상구동풀리(34) 및 하구동풀리(34')로 구동력이 분리전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상구동풀리(34)와 하구동풀리(34')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 상하측으로 구비된 상하측 각각의 상기 스패그장치(21)의 스패그풀리(212)와 회전벨트(211)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대(10)의 선단에 설치되어, 건조대상물(12)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로 공급되도록 하는 건조대상물공급대(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패그장치(21)의 상측에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4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하는 공기공급연결부(22)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하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구(22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아래측으로는 스패그바디(2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상부 연결공(231)에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하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외부측부로는 핑거에어건(25)이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핑거결합공(232)이 형성되어, 상기 스패그바디(23)에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외측면(233)과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 사이에 공기충진공간(23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상부에는 상기 스패그풀리(212)가 결합되어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패그장치(21)의 핑거에어건(25)은 공기흐름로가 내부에 형성된 다관절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패그바디(23)의 핑거결합공(232)에 결합되는 바디연결관(251)이 구비되고, 상기 건조대상물(12)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노즐(252)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연결관(251)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에어노즐(252)의 분사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플랙시블관(253)이 구비되며, 상기 플랙시블관(25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에어노즐(252)이 결합된 이송관(2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로 건조대상물이 이송되도록 하고, 그 위로 회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건조대상물에 붙어있는 수분이 쉽게 제거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압축공기가 효과적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의 어느 부분에 붙어있는 수분이라도 제거가 가능하고, 특히 빠른 회전수로 회전되면서 분사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 전체적으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관절의 핑거에어건이 이용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이 단일 구조로 형성된 것 뿐만 아니라 과일이나 식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에, 거미 손가락처럼 다관절로 자유롭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방향 및 분사각도가 건조대상물의 형태에 알맞게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건조대상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벨트가 망형태로 되고,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스패그장치가 마련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의 어느 위치에 수분이 붙어 있어도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의 스패그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의 스패그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의 스패그장치의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의 회전구동부에 대한 상세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제어구성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이에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등은 내부 구조가 비춰지도록 하는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각 구성 부재들간의 결합관계가 잘 설명될 수 있도록 예시되어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A)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10)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11)의 상부로 건조대상물(12)이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대(10)의 상측으로 설치된 제수부(20)의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21)(spin multi SFAG 장치, spin multi Spider Finger Air Gun)에 의하여 건조대상물(12)이 제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수부(20) 및 상기 이송대(10)의 전방으로는 회전벨트(211)로 연결된 상기 제수부(20)의 스패그장치(21)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동부(3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으로는 상기 스패그장치(2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구동부(30)는 도 2, 도 3, 도 4 및 도 8 등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대(10)에 설치된 회전모터(31)의 회전력에 의하여 분리구동축(33)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구동축(33)은 구동프레임(32)에 회동가능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되고, 따라서 분리구동축(33) 상부와 하부의 상구동풀리(34) 및 하구동풀리(34')로 구동력이 분리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상구동풀리(34)와 하구동풀리(34')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 상하측으로 구비된 상하측 각각의 상기 스패그장치(21)의 스패그풀리(212)와 회전벨트(211)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구동부(30)의 회전모터(31)의 회전력은, 분리구동축(33)의 연동풀리(331)으로 전달되고, 이후 분리구동축(33)에 동축결합된 상구동풀리(34)와 하구동풀리(34')에 의하여, 회전벨트(211)로 연결되는 각각의 스패그풀리(212)가 연동되게 되는 것으로, 결국 스패그장치(21)가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컨베이어벨트(11)는 도 1에서와 같이 망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와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 스패그장치(21)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건조대상물(12)의 수분이 제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11) 위에 놓여 지나는 건조대상물(12)이 제수부(20)를 통과하면서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21)(spin multi SFAG 장치, spin multi Spider Finger Air Gun)에 의하여물기가 제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21)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압축공기 가 건조대상물(12)에 분사되도록 함에 있어서, 제수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스패그장치(21)의 상측에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4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하는 공기공급연결부(22)가 구비되는 것으로, 공기공급관(41)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공급관(41)은 단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1) 상부의 전후로 두 개의 스패그장치(21)가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컨베이어벨트(11) 하부의 전후로 두 개의 스패그장치(21)가 구비되어, 총 4개의 스패그장치(21)가 마련됨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패그장치(21)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공급관(41)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공기공급분기구(42)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기공급관(41)이 상부로 결합되는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하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구(221)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아래측으로는 스패그바디(23)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상부 연결공(231)에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하측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외부측부로는 핑거에어건(25)이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핑거결합공(2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패그바디(23)에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외측면(233)과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 사이에 공기충진공간(23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공기공급연결부(22)의 공기배출구(221)에서 분출되는 압축공기는 일단 공기충진공간(234) 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압축공기는 스패그바디(23)의 핑거결합공(232)에 결합된 핑거에어건(25)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스패그장치(21)의 핑거에어건(25)은 공기흐름로가 내부에 형성된 다관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또한 하나의 스패그장치(21)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총 6개의 핑거에어건(25)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장치의 필요나 건조대상물의 형태 및 크기, 제수필요시간 등에 따라서 핑거에이건(25)의 수와 분사각도 등을 자유롭게 하여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스패그바디(23)의 핑거결합공(232)에 결합되는 바디연결관(251)이 구비되어 핑거에어건(25)이 고정되게 된다. 또한 핑거에어건(25)의 끝단에는 상기 건조대상물(12)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노즐(252)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바디연결관(251)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에어노즐(252)의 분사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플랙시블관(253)이 구비되는 것으로, 에어노즐(252)의 분사방향 및 분사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처럼 핑거에어건(25)의 플랙시블관(253)에 의하여 도 1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파우치와 같은 두께가 얇은 포장재, 병과 같은 용기류, 그리고 사과, 배 등의 과일, 또는 식기 등의 용기와 같이 불규칙한 형상의 건조대상물에 대해서도, 제수를 위하여 압축공기 분사방향 및 분사각도가 특정되어야 할 경우에는 플랙시블관(253)에 의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제수특성이 탁월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핑거에어건(25)에는 상기 플랙시블관(25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에어노즐(252)이 결합된 이송관(254)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 관(254)은 플랙시블관(253)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에어노즐(252)로 공급되도록 함과 함께, 에어노즐(252)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플랙시블관(253)에서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에어노즐(252)에서 분사되는 분사방향이 직진성이 갖기 곤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에어노즐(252)이 플랙시블관(253)에 더하여 이송관(254)에 결합되기 때문에 이송관(254)에 의하여 직진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에어노즐(252)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더욱 직진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수분제거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플랙시블관(253)의 예시형태는 고무관, 주름관 등 다양한 형태로 되어 방향이 휘어지도록 하는 관으로 자유롭게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이송관(254)은 종방향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신축관으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신축관으로 하여 이송관(254)이 마련될 경우에는, 이송관(254) 내부로 흐르는 공기가 직선이송거리가 더욱 길어질수 있기 때문에, 에어노즐(252)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직진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송관(254)의 신축되기 위한 예시될 수 있는 구조로는 서로 슬라이딩결합되는 이중관, 삼중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고무관, 주름관 등으로 하되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이중관, 삼중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내부는 슬라이딩되는 이중관으로 되고, 외부는 주름관으로 될 수 있어, 외향적으로는 길이가 신축된 주름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동일 시설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벨트(11) 및 스패그장치(21)에 대하여 커다란 건조대상물뿐만 아니라 작은 크기의 건조대상물도 동일 장치로 제수 시키고자 할 경우에, 단지 이송관(254)의 신축 길이만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어서, 단일 시설물의 활용범위가 더욱 증대되도록 하는 장점을 갖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스패그장치(21)는 제수부(20)의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상부에는 상기 스패그풀리(212)가 결합되어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10)의 선단으로는 건조대상물(12)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로 공급되도록 하는 건조대상물공급대(13)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건조대상물공급대(13)에 대하여 도1 및 도 2 등에서는 파우치와 같은 두께가 얇은 건조대상물(12)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대상물공급대(13)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식기 또는 과일과 같은 경우에는 식기 또는 과일용 건조대상물공급대(13)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한 별도의 연속작업 중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건조대상물공급 컨베이어벨트(미도시됨)에 의하여 공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 분리구동축(33)과 연동되는 회전벨트(211)의 팽팽함 조절을 위한 텐셔너(35), 도 1에서 컨베이어벨트(11)의 팽팽함 조절을 위한 텐셔너(111) 등, 각 벨트에는 별도의 텐셔너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벨트는 V벨트를 예시하여 도시하였으나, 평벨트, 타이밍 벨트 등 다양한 형태의 벨트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벨트와 함께 각 풀리도 알맞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 장치(A)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도 1 및 도 9에서와 같이 이송대(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는 컨트롤부(15)의 전원부(151)에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컨트롤부(15) 전면의 스위치부(16)의 전원스위치(161)를 작동시키게 되면, 컨트롤부(15)의 전원인가모듈(152)을 통하여, 컨베이어모터(112), 회전모터(31), 공기압축펌프(43), 적치대구동모터(131) 등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모터(31)의 작동으로 컨베이어벨트(11)의 상부 전후에 설치된 두 개의 스패그장치(21-1)(21-2)와, 컨베이어벨트(11)의 하부 전후에 설치된 두 개의 스패그장치(21-3)(21-4)가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압축공기공급부(40)의 공기압축펌프(43)의 작동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게 되어, 스패그장치(21)의 각 핑거에어건(25)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게 된다.
이와 함께 컨베이어모터(112)의 회전으로 컨베이어벨트(11)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적치대구동모터(131)의 작동으로 건조대상물(12)이 컨베이어벨트(11)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결국 컨베이어벨트(11)에 놓여진 건조대상물(12)이 이송되게 되고, 또한 회전되는 다수의 핑거에어건(25)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건조대상물(12)에 붙어있는 수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특히 핑거에어건(25)은 다수개로 마련됨과 함께 계속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하나의 건조대상물(12)이 회전되면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다수의 핑거에어건(25)에 의하여 건조대상물(12) 어디에 붙어있는 수분도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이 다.
즉 하나의 건조대상물(12)에 대하여, 상면으로 두개의 스패그장치(21), 하면으로 두개의 스패그장치(21)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고, 아울러 스패그장치(21)의 핑거에어건(25)이 계속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이 변화되면서 수분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나아가 하나의 스패그장치(21)에 대해서도, 다수 개의 핑거에어건(25)들(도면 예시에서는 총 6개의 핑거에어건이 마련됨)의 플랙시블관(253)을 움직여, 압축공기의 분사각도가 서로 다르도록 할 경우에는, 하나의 스패그장치(21)라 하여도 다양한 각도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 1에서와 같이 건조대상물(12)이 봉지 형태의 파우치로 이용될 경우에는, 핑거에어건(25)의 플랙시블관(253)이 변형되지 않는 곡선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처럼 플랙시블관(253)이 각도가 변형되지 않는 곡선관으로 되는 경우에는, 대체로 에어노즐(252)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각도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10 ~ 90도의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40 ~ 50도, 특히 45도 정도로 분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하면이 평면에 가까운 파우치의 경우에 용이하게 수분이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스패그장치(21)의 알맞은 회전속도는 대략 분당 900RPM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하나의 건조대상물이 통과하는 중에, 다수의 노즐이 통과하면서 압축공기가 분사되고, 뿐만 아나라 핑거에어건(25)이 회전되기 때문에 압축공기의 분사각도와 방향이 변화됨으로써 수분을 외부로 몰듯이 제거하기 때문에 수분제거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컨트롤부(15)는 컨베이어모터(112), 회전모터(31), 공기압축펌프(43), 적치대구동모터(131) 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여, 각각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에 부하가 걸리면 작동이상으로 하여 작동이 비상정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각 벨트나 풀리에 이물질이 끼어서 회전되지 않는 경우, 벨트가 끊어진 경우 등과 같이 이상상태가 발생될 경우에는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이에 스피커(17)와 표시부(18) 등을 통하여 비상상태를 알리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망형태로 되는 컨베이어벨트(11) 상부로 건조대상물(12)이 이송되어 건조대상물(12)의 상부와 하부로 마련되는 스패그장치(21)로부터 분사되는 고압 공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수되는 것이다.
또한 건조대상물(12)이 컨베이어벨트(11)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스패그장치(21)의 핑거에이건(25)은 전방에서 후방으로(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결국 이동되는 건조대상물(12)을 중심으로 하여 사선방향으로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이 변화되도록 하면서 제수하기 때문에, 건조대상물(12) 표면에 붙어 있는 물방울을 사선방향의 외측으로 몰면서 제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핑거에어건(25)은 분당 회전수가 대략 700 ~ 1200 RPM, 바람직하게는 약 900RPM 정도의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빠르게 물방울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제수하게 된다.
또한 고압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면서, 하나의 스패그장치(21)에는 6개 정도의 핑거에어건(25)이 마련되기 때문에 압축공기가 하나의 물방울을 수 없이 분쇄시키면서 제수하기 때문에, 제수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징은 컨베이어벨트(11) 상에 건조대상물(12)이 이동함과 함께 다수 개의 핑거에어건(25)이 회전되도록 하여 스패그장치(21)가 마련되어, 결국 하나의 건조대상물(12)에 대하여 상하로 하여 사선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것이어서 더욱 향상된 제수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의 스패그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의 스패그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의 스패그장치의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의 회전구동부에 대한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장치에 대한 제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수장치 10 : 이송대
11 : 컨베이어벨트 12 : 건조대상물
13 : 건조대상물공급대
20 : 제수부 21 : 스패그장치
22 : 공기공급연결부 23 : 스패그바디
25 : 핑거에어건 30 : 회전구동부
31 : 회전모터 33 : 분리구동축
40 : 압축공기공급부

Claims (5)

  1. 이송대(10)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11)의 상부로 건조대상물(12)이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대(10)의 상측으로 설치된 제수부(20)의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21)에 의하여 건조대상물(12)이 제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수부(20) 및 상기 이송대(10)의 전방으로는 회전벨트(211)로 연결된 상기 제수부(20)의 스패그장치(21)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동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으로는 상기 스패그장치(2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부(4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부(30)는 상기 이송대(10)에 설치된 회전모터(31)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프레임(32)에 회동가능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된 분리구동축(33)이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분리구동축(33) 상부와 하부의 상구동풀리(34) 및 하구동풀리(34')로 구동력이 분리전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상구동풀리(34)와 하구동풀리(34')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 상하측으로 구비된 상하측 각각의 상기 스패그장치(21)의 스패그풀리(212)와 회전벨트(211)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패그장치(21)의 상측에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4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하는 공기공급연결부(22)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하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구(22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아래측으로는 스패그바디(2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상부 연결공(231)에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의 하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외부측부로는 핑거에어건(25)이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핑거결합공(232)이 형성되어, 상기 스패그바디(23)에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외측면(233)과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 사이에 공기충진공간(23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패그바디(23)의 상부에는 상기 스패그풀리(212)가 결합되어 상기 공기공급연결부(2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패그장치(21)의 핑거에어건(25)은 공기흐름로가 내부에 형성된 다관절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패그바디(23)의 핑거결합공(232)에 결합되는 바디연결관(251)이 구비되고, 상기 건조대상물(12)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노즐(252)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연결관(251)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에어노즐(252)의 분사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플랙시블관(253)이 구비되며, 상기 플랙시블관(25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에어노즐(252)이 결합된 이송관(25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10)의 선단에 설치되어, 건조대상물(12)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로 공급되도록 하는 건조대상물공급대(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90008677A 2009-02-04 2009-02-04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5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677A KR101056379B1 (ko) 2009-02-04 2009-02-04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677A KR101056379B1 (ko) 2009-02-04 2009-02-04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436A KR20100089436A (ko) 2010-08-12
KR101056379B1 true KR101056379B1 (ko) 2011-08-12

Family

ID=4275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6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6379B1 (ko) 2009-02-04 2009-02-04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3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52A (ja) 1997-06-27 1999-01-22 Seibu Giken:Kk 繊維製品乾燥装置
JP2000042451A (ja) * 1998-07-30 2000-02-15 Kasuga Electric Works Ltd 除水機のスピンノズル
KR200335262Y1 (ko) * 2003-09-16 2003-12-06 남식 탈피기
KR100647802B1 (ko) * 2006-05-08 2006-11-23 한국식품연구원 복숭아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52A (ja) 1997-06-27 1999-01-22 Seibu Giken:Kk 繊維製品乾燥装置
JP2000042451A (ja) * 1998-07-30 2000-02-15 Kasuga Electric Works Ltd 除水機のスピンノズル
KR200335262Y1 (ko) * 2003-09-16 2003-12-06 남식 탈피기
KR100647802B1 (ko) * 2006-05-08 2006-11-23 한국식품연구원 복숭아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436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65753U (zh) 一种带有切柄装置的菌菇清洗烘干流水线
KR102143204B1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KR20120117503A (ko) 다목적 농산물 세척장치
CN108208875B (zh) 一种水果清洗装置
KR20120013077A (ko) 야채류 가공장치
JP5894650B2 (ja) 韮洗浄装置
KR20130001190A (ko) 야채류 가공장치
KR101139035B1 (ko) 용기 세척장치
CN207839456U (zh) 一种玉米循环清洗装置
CN203388226U (zh) 一种包冰衣机
KR101056379B1 (ko) 회전형 멀티 스패그장치가 구비된 제수장치
KR101769290B1 (ko) 구근류 세척장치
KR101437116B1 (ko) 양파 박피기
CN207121127U (zh) 柑橘加工输送装置
KR101179714B1 (ko) 과일 및 과채류의 표면물기 제거장치
CN108720051B (zh) 多功能蔬菜清洗设备
KR102244401B1 (ko) 구근류 세척장치
KR200487611Y1 (ko) 탈피기
KR20030009623A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CN105747248B (zh) 一种带输送组件的萝卜清洗设备
JP2006180726A (ja) 野菜等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EP1164095B1 (en) Cleaning device for oven conveyor
CN210329215U (zh) 一种用于冰淇淋加工的智能化液氮喷淋机构
JP4923540B2 (ja) 作物洗浄装置
CN211134807U (zh) 一体式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