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172B1 - 콘택트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콘택트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172B1
KR101045172B1 KR1020097019859A KR20097019859A KR101045172B1 KR 101045172 B1 KR101045172 B1 KR 101045172B1 KR 1020097019859 A KR1020097019859 A KR 1020097019859A KR 20097019859 A KR20097019859 A KR 20097019859A KR 101045172 B1 KR101045172 B1 KR 10104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oforming
voltage application
connecto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129A (ko
Inventor
요시노부 헴미
카즈마사 세키
쇼고 나가사카
토시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소망하는 탄성력과 충분한 감합(嵌合) 길이를 가지며, 감합 방향으로 치수가 작은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커넥터는, 전기주조에 의해 형성되고, 절연물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8)와, 도전 부재에 도전 접촉하는 접촉부(10)와, 지지부(8) 및 접촉부(10)를 접속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9)를 구비한 콘택트(5)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10)는, 개략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도전 부재와 활주접촉하고, 상기 스프링부(9)는,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콘택트, 커넥터

Description

콘택트 및 커넥터{CONTACT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콘택트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에 실장되고, 프린트 기판끼리를 겹치도록 하여 접속하는 다극의 커넥터는, 회로를 수용하는 기기의 소형화를 위해, 감합 방향으로 짧게 하는 것(저배화(低背化))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를 저배화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도전 접촉자)를 감합 방양으로 짧게 할 필요가 있다. 콘택트에는, 도전 접촉을 확보하기 위해 콘택트끼리를 압접하기 위한 탄성력과, 용이하게 콘택트가 이간하지 않게 하기 위한 어느 정도의 감합 길이가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콘택트를 형성하는 경우, 구부림 반경 치수가 필요하고, 감합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저배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콘택트를 일정한 판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구부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경우, 탄성력이 판두께에 의해 지배되어 버린다. 금속판의 탄성력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짓누름, 두드림)하여, 부분적으로 두께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잔류 응력, 격자(格子) 결함 등이 발생하고, 커넥터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제품마다의 편차가 커진다는 문 제가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 직립하는 핀 및 소켓을 도금 기술에 의해 형성한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의 소켓은, 핀을 받아들일 때, 기판상에서 쓰러지도록 탄성 변형하는데, 변형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탄성 변형 영역을 크게 하기 위해 소켓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 및 2의 커넥터와 같이, 핀과 소켓에 감합 방양의 랩을 마련하여 지지력을 높이거나, 유저가 착탈을 체감할 수 있는 클릭 느낌을 내거나 하면, 감합 방향으로 길어져 버린다..
또한, 이와 같은 소형의 커넥터에 이용되는 콘택트는, 매우 작아서, 절삭 가공에 의해 깎아내는 것은 현실적이 아니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4-55436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6-66349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허 제3774968호 공보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소망하는 탄성력과 충분한 감합 길이를 갖는 콘택트 및, 감합 방양으로 치수가 작은 저배화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는, 전기주조(電氣鑄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일단에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따라 도전 부재에 활주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주조에 의해 전압 인가 방향과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는 콘택트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접촉부의 도전 부재와의 활주접촉 방향(감합 방향)의 전후에 구부림 등의 여분의 구조가 불필요하고, 감합 방향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는, 절연물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지지부를 접속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주조에 의해 접촉부의 도전 부재에 대한 활주접촉 방향에 일치하는 전압 인가 방향으로 개략 직교하여 연장하는 스프링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스프링부가 도전 부재와 활주접촉한 방향으로 짧다. 또한, 전기주조의 모형(母型)의 캐비티의 폭에 변화를 줌으로써, 스프링부의 두께에 변화를 주어, 소망하는 탄성에 의해 접촉부를 도전 부재에 압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콘택트는, 도전 접촉이 충분한 감합 길이와 압접력(壓接力)을 확보하면서 감합 방향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를, 상기 전압 인가 방향으로 만곡시킴에 의해,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높이를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높이와 다르게 하여, 상기 접촉부의 상기 도전 부재에 대한 활주접촉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에, 회로에 접속되는 전극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스프링부와 반대측으로 연장하여 마련하면, 콘택트를 전기 회로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 그 일부만이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연속하여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압입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압입부를 커넥터의 하우징에 파고들어가게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주조에서는, 전압 인가 방향으로 연속하는 예리하고 매우 치수가 작은 압입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압입부를 받아들이는 하우징의 오목부가 작아도 좋고, 하우징의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콘택트를,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충분한 감합 길이와, 충분한 감합 지지력을 갖으면서, 감합 방향으로 치수가 작은 저배화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를 도전 부재에 대한 활주접촉 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주조하고, 해당 콘택트의 각 부분이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수직한 평면 내에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소형이며 확실한 도전 접촉을 할 수 있는 콘택트 및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플러그와 소켓으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 커넥터의 소켓의 정면도.
도 4는 도 2 커넥터의 플러그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소켓의 자형(雌型) 콘택트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자형 콘택트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자형 콘택트의 정면도.
도 8은 도 5의 자형 콘택트의 탄성 변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도 2의 플러그의 웅형(雄型) 콘택트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웅형 콘택트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웅형 콘택트의 정면도.
도 12는 도 4의 웅형 콘택트와 하우징과의 확대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2의 자형 콘택트와 웅형 콘택트와의 계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자형 콘택트와 웅형 콘택트의 측면도.
도 15는 도 1의 커넥터의 자형 콘택트와 웅형 콘택트의 당접부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
도 16은 도 5의 자형 콘택트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모형의 긴변 방향 단면도.
도 17은 도 5의 자형 콘택트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모형의 당접부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8은 도 5의 자형 콘택트를 후프와 일체 성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도 9의 웅형 콘택트를 후프와 일체 성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 : 소켓(제 1 접속 부재)
3 : 플러그(제 2 접속 부재) 4 : 하우징.
5 : 자형 콘택트 6 : 하우징
7 : 웅형 콘택트 8 : 지지부
9 : 스프링부 10 : 당접부
11 : 전극부 13 : 당접돌기
14 : 지지부 15 : 암부
16 : 전극부 17 : 당접면
18 : 단차 19 : 압입부
21 : 모형 22 : 캐비티
23 : 절연막
지금부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의 커넥터(1)를 도시한다. 커넥터(1)는, 소켓(제 1 접속 부재)(2)와 플러그(제 2 접속 부재)(3)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2)은, 수지제의 하우징(4)에, 금속제의 좌우 한 쌍의 자형(雌型) 커넥터(5)를 복수쌍, 배열하여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3)는, 수지제의 하우징(6)에, 금 속제의 좌우 한 쌍의 웅형(雄型) 콘택트(도전 부재)(7)를 복수쌍, 배열하여 지지하고 있다.
소켓(2)에 플러그(3)를 감합시키면, 대향하는 한 쌍의 자형 콘택트(5)의 사이에, 한 쌍의 웅형 콘택트(7)가 끼워 넣어지고, 자형 콘택트(5)와 웅형 콘택트(7)가, 각각, 도전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6, 7에, 자형 콘택트(5)의 상세 형상을 도시한다. 웅형 콘택트(5)는, 하우징(4)에 지지되는 지지부(8)와, 지지부(8)로부터 연장하는 스프링부(9)와, 스프링부(9)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10)와, 지지부(8)로부터 스프링부(9)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전극부(11)로 이루어진다.
지지부(8)는, 측부에 술통형(樽型)으로 비어져 나온 2개의 압입부(12)를 구비하고, 압입부(12)가, 수지제의 하우징(4)에 파고들어감으로써, 하우징(4)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스프링부(9)는, 선단이 얇게 되어 있고, 접촉부(10)가 지지부(8)와 높이가 다르게 되도록 도중에서 만곡되어 있다.
접촉부(10)는, 측방에 돌출하고, 웅형 콘택트(7)와 맞닿는 당접돌기(13)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부(11)는, 하우징(4)으로부터 돌출하고, 외부의 회로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전극부(11)는, 회로 기판에 마련한 패드 전극에 각각 솔더링된다.
자형 콘택트(5)는, 지지부(8)가 하우징(4)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스프링부(9)를 탄성 변형시켜서, 대향하는 접촉 부(10)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웅형 콘택트(7)는, 하우징(6)으로 지지되는 지지부(14)와, 지지부(14)로부터 연장하는 암부(15)와, 지지부(14)로부터 암부(15)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전극부(16)로 이루어진다.
암부(15)는, 그 선단부에 자형 콘택트(도전 부재)(5)의 당접돌기(13)가 맞닿는 약간 움푹 패인 당접면(17)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단차(18)를 갖는다(접촉부).
또한, 암부(15)의 선단에는, 폭방향의 일부가 세로로 길게 연속하여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압입부(19)가 형성되고 있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입부(19)가 하우징(6)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암부(15)의 위치 어긋남을 막도록 되어 있다.
소켓(2)에 플러그(3)를 감합시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형 커넥터(5)의 스프링부(9)가, 웅형 커넥터(7)의 지지부(14)를 둘러싸도록 연장하고, 스프링부(9)의 탄성에 의해 당접돌기(13)를 당접면(17)에 압접한다.
이 때, 자형 커넥터(5) 및 웅형 커넥터(7)의 전극부(11, 16)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역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된다.
또한, 도 15에, 커넥터(1)의 도 14에서의 A-A단면을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6)의 격벽부(隔壁部)(20)를 끼우고 등을 맞대고 배치된 한 쌍의 웅형 커넥터(7)의 암부(15)의 당접면(17)을, 한 쌍의 자형 커넥터(5)의 접촉부(10)의 당접돌기(13)가, 끼워 넣어져 있다.
한 쌍의 당접돌기(13)가 끼워 넣어지는, 쌍이 된 당접면(13) 사이의 거리는, 소켓(2)과 플러그(3)를 깊게 감합시킬만큼 짧아지도록, 약간 경사되어 있다. 이로써, 소켓(2)과 플러그(3)를 분리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자형 콘택트(5)와 웅형 콘택트(7)를 계합할 때, 및, 자형 콘택트(5)와 웅형 콘택트(7)를 이간할 때에는, 자형 콘택트(5)의 당접돌기(13)가 웅형 커넥터(7)의 단차(18)를 타고 넘도록, 자형 콘택트(5)를 크게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소켓(2)과 플러그(3)와 감합 및 분리할 때에는, 각각, 당접돌기(13)에 단차(18)를 타고 넘게 할 때에 저항이 한 순간 증가한다. 이로써, 유저는, 이른바 클릭 느낌을 느껴서, 소켓(2)과 플러그(3)의 감합 상태의 변화를 지각(知覺)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6의 (A)부터 도 16의 (C)에, 자형 콘택트(5)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형 콘택트(5)는, 전기주조에 의해 형성된다. 자형 콘택트(5)의 전기주조는, 우선,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모형(21)에, 자형 콘택트(5)의 반전 형상의 캐비티(22)를 형성하고, 모형(21)의 외표면 및 캐비티(22)의 측벽면에 절연막(23)을 형성한다. 그리고, 모형(21)을 전해조중의 전해액중에 침지하여, 대향 전극(부도시)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모형(21)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모형(21)의 절연막(23)으로 덮히지 않은 부분과 대향 전극 사이의 전해액에 전류가 흐르고, 캐비티(22)의 저면에, 전해액중의 금속이 전착(電着)한다.
모형(21)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계속 흐르게 하면,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착한 금속의 층이 전압을 인가한 방향으로 적층 되어 성장하여 간다. 본 발명에서는, 도 1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착에 의해 성장한 금속층이 캐비티(22)중에, 충분한 헤드 스페이스를 남겨 두도록, 전기주조를 정지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서는, 소망하는 자형 콘택트(5)에 비하여, 캐비티(22)를 충분히 깊게 형성하여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캐비티(22)에 남겨 두어야 할 헤드 스페이스의 최소 높이(H)는, 캐비티(22)의 폭(횡단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의 길이)의 1/3 이상,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이다. 이로써, 캐비티(22)의 측벽면에 형성한 절연층(23)의 상부가, 대향 전극의 캐비티(22)에 정면으로 맞서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이미 전착되어 있는 금속층으로 비스듬하게 유입하려고 하는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전착되는 금속의 두께가 흐트러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기주조된 금속층은, 캐비티(22)의 저면부터 두께가 일정하게 되도록 균일하게 성장한다.
캐비티(22)에 충분한 헤드 스페이스를 남겨 두고 전기주조함으로써 형성된 자형 콘택트(5)의 형상은,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높이가 개략 일정하게 된다. 또한, 전압 인가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폭은, 캐비티(22)의 형상에 의존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다.
스프링부(9)는, 캐비티(22)의 폭을 판두께로 하고,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의 높이를 판폭으로 하는 판스프링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즉, 스프링부(9)는, 각 부분이 각각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수직한 면 내에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한 판스프링과 같이 볼 수 있다. 이 판스프링의 판두께는, 캐비티(22)의 형상에 의해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그 탄성력에 소망하는 변화를 주어서, 바람직 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스프링부(9)의 두께의 변화는 기계 가공 없이 실현되기 때문에, 잔류 응력이나, 열에 의한 변질 등의 영향으로 기계적 특성이 열화되거나, 제품마다 탄성력이 흐트러지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소켓(2)은, 자형 콘택트(5)의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플러그(3)와 감합된다. 이로써, 자형 콘택트(5)의 접촉부(10)는, 웅형 콘택트(7)에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활주접촉한다. 소켓(2)에 있어서, 자형 콘택트(5)는, 스프링부(9)의 탄성 변형에 필요한 스페이스와, 지지부(8) 및 접촉부(10)가 각각 점유하는 스페이스가 감합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커넥터(1)를,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일치하는 감합 방향으로 짧게 하여 저배화하고 있다.
또한, 캐비티(22)의 깊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지지부(8)와 접촉부(10)가 전압 인가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높이가 다르도록), 자형 콘택트(5)를 만곡시킬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주조시에 접촉부(10)가 대향 전극에 가까워지도록, 스프링부(9)를 전압 인가 방향으로 만곡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이로써,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2)과 플러그(3)를 감합한 때에, 접촉부(10)가 플러그(3) 내로 깊숙하게 삽입되게 되고, 당접돌기(13)가 당접면(17)에 활주접촉하는 거리(감합 길이)를 길게 할 수가 있다. 감합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자형 콘택트(5)와 웅형 콘택트(7)의 도전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소켓(2)과 플러그(3)의 감합 및 이간의 조작감이 향상한다.
또한, 도 17의 (A)부터 도 17의 (D)에, 자형 콘택트(5)의 제조 과정을, 접촉 부(10)에 있어서의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비티(22)는, 그 깊이의 중간 정도에서 개구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측벽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막(23)어, 캐비티(22)의 측벽면의 단차를 덮고, 또한, 저면의 일부에 비어져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모형(21)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캐비티(22)의 저면의 절연막(23)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에 금속이 전착하는데, 더욱 전류가 흐르면,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의 일부를 덮는 절연막(23)의 위에도 금속층이 확대하여 간다. 이 때, 캐비티(22)의 저면의 절연막(23)을 덮는 금속층은, 덮히지 않은 부분에 전착한 금속층으로부터 지연되게 성장한다.
더욱 전기주조를 진행하면, 도 1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착한 금속층이 측벽면의 단차에 달한다. 여기서도, 더욱 전주를 계속함으로써, 도 1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층이 측벽면의 단차의 위로 확대하여 간다. 즉, 자형 콘택트(5)의 당접돌기(13)는, 캐비티(22)의 측벽면에 형성한 단차에 의해 형성되고, 당접돌기(13)의 상부(대향 전극측)의 경사는, 바로 아래에 절연막(23)으로 덮히지 않은 모형(21)이 존재하지 않음에 의한 전착의 지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설명은 생략하지만, 웅형 콘택트(7)의 형상도, 자형 콘택트(5)에 관해 설명한 전기주조 기술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전기주조 기술에 의하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2)에 직렬하여 지지된 복수의 자형 콘택트(5)를, 전극부(11)로부터 연장하여 서로를 접속하는 후프(24)와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3)에 직렬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웅형 콘택트(7)를, 전극부(16)로부터 연장하여 서로를 접속하는 후프(25)와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자형 콘택트(5) 및 웅형 콘택트(7)를, 하우징(4, 6)에 배설하는 피치로 배열한 상태로 후프(24, 25)와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후프(24, 25)를 지지하여, 자형 콘택트(5) 및 웅형 콘택트(7)를 각각 일괄하여 하우징(4, 6)에 지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콘택트 및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않고, 다른 콘택트 및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전기주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일단에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따라 도전 부재에 활주접촉하는 접촉부와,
    절연물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지지부를 접속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전압 인가 방향으로 만곡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회로에 접속되는 전극부를,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스프링부와 반대측으로 연장하여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 그 일부만이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으로 연속하여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압입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6. 제 1항, 제3항, 또는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택트를,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기재된 콘택트를,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지지하는 제 1 접속부재와,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에 맞닿는 도전 부재를, 상기 전기주조의 전압 인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지지하는 제 2 접속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제 5항에 기재된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7019859A 2007-04-11 2008-04-07 콘택트 및 커넥터 KR101045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03892 2007-04-11
JP2007103892A JP4967771B2 (ja) 2007-04-11 2007-04-11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129A KR20090125129A (ko) 2009-12-03
KR101045172B1 true KR101045172B1 (ko) 2011-06-30

Family

ID=3986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859A KR101045172B1 (ko) 2007-04-11 2008-04-07 콘택트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7261B2 (ko)
JP (1) JP4967771B2 (ko)
KR (1) KR101045172B1 (ko)
CN (1) CN101652905B (ko)
TW (1) TWI366959B (ko)
WO (1) WO20081268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9789B (zh) 2010-03-11 2014-03-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接觸件製造用組成物及使用其之接觸件以及連接器及製造接觸件製造用組成物之方法
JP5077479B1 (ja) 2011-12-15 2012-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5871729B2 (ja) * 2012-06-28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レスコネクタ
JP5713052B2 (ja) * 2013-06-13 2015-05-07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続端子
JP6084133B2 (ja) * 2013-08-08 2017-02-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69337B2 (ja) * 2014-06-16 2018-01-31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WO2024009971A1 (ja) * 2022-07-08 2024-01-11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809A (ja) * 1996-05-17 2003-08-22 Formfactor Inc 超小型電子接触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38431B (ko) * 1992-12-01 1995-01-11 Stanford W Crane Jr
JPH0973959A (ja) * 1995-09-05 1997-03-18 Fujitsu Takamizawa Component Kk 低背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方法
JP3774968B2 (ja) 1996-01-19 2006-05-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85908B2 (ja) * 1997-05-30 2005-08-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EP1426978A4 (en) * 2001-08-22 2008-09-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CONDUCTIVE PASTE AND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DEPOSITION METHOD, AND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UND METAL COMPONENT
EP1369504A1 (en) * 2002-06-05 2003-12-10 Hille & Müller Metal strip for the manufacture of components for electrical connectors
JP2004055436A (ja) 2002-07-23 2004-02-19 Nissin Electric Co Ltd 燃料電池、そのガス分離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81075B2 (en) * 2003-07-08 2005-04-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TW200514305A (en) * 2003-10-15 2005-04-16 Comax Technology Inc Contact terminal of connector
JP3860823B2 (ja) * 2004-08-19 2006-12-20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3887634B2 (ja) 2004-08-30 2007-02-28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6114268A (ja) * 2004-10-13 2006-04-27 Sumitomo Electric Ind Ltd 接触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接触子対
JP2007086025A (ja) * 2005-09-26 2007-04-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プローブカー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809A (ja) * 1996-05-17 2003-08-22 Formfactor Inc 超小型電子接触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2905B (zh) 2011-11-30
JP4967771B2 (ja) 2012-07-04
KR20090125129A (ko) 2009-12-03
WO2008126826A1 (ja) 2008-10-23
JP2008262780A (ja) 2008-10-30
CN101652905A (zh) 2010-02-17
US8337261B2 (en) 2012-12-25
US20100065430A1 (en) 2010-03-18
TWI366959B (en) 2012-06-21
TW200847538A (en) 200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172B1 (ko) 콘택트 및 커넥터
JP5908225B2 (ja) 電気コネクタ
US9088113B2 (en) Connector
JP2015099694A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8485832B2 (en) Electrical connector
EP2442405A1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or using same
JP2005183025A (ja) スプリングコネクタ
JP3230774U (ja)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200026050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500460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s and assembly thereof with contact-mounting wall having variable thickness
JP6256129B2 (ja) 圧接端子
JP6360939B1 (ja) 多接点コネクタ
KR101644288B1 (ko) 접속 단자
JP6239582B2 (ja) 電気コネクタ
US7201606B2 (en)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or
JP4326871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CN101783448A (zh) 一种板对板电连接器
JP6055939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14589322U (zh) 连接器组装体及连接器
JP4386676B2 (ja) コネクタ
WO2024154678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8022682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0336106Y1 (ko) 다중 접촉 마이크론 커넥터
KR20180079552A (ko) 소켓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