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021B1 -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021B1
KR101042021B1 KR1020100118872A KR20100118872A KR101042021B1 KR 101042021 B1 KR101042021 B1 KR 101042021B1 KR 1020100118872 A KR1020100118872 A KR 1020100118872A KR 20100118872 A KR20100118872 A KR 20100118872A KR 101042021 B1 KR101042021 B1 KR 10104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ending
heating
removal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배
Original Assignee
박윤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배 filed Critical 박윤배
Priority to KR1020100118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1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into a peculiar profilin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실내히터에 사용되는 히팅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팅핀을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되 작업자가 히팅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측에 돌출되어 설치위치가 조절되는 거리조절용 걸림핀을 포함하는 지지용 고정블록과; 상기 지지용 고정블록의 거리조절용 걸림핀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측면에 회전중심에 돌출되어 설치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이격되게 설치된 절곡용 돌기가 형성된 절곡용 피니언과; 상기 절곡용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를 왕복이동을 시키는 절곡용 왕복이동장치와;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하왕복 이동하는 탈거용 핀을 구비한 탈거용 왕복이동장치와; 상기 절곡용 왕복이동장치와 탈거용 왕복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Heating Pin Manufacturer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실내히터에 사용되는 히팅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팅핀을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되 작업자가 히팅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 공조를 위하여 차량에는 도 1과 같이 전원인가 단자가 형성된 하우징(2)에 히팅핀(1)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실내히터가 설치된다.
상기 차량용 실내히터는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부재인 히팅핀(1)이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히팅핀(1)을 차량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차량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온도조절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짐으로 조작과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실내히터에 설치되는 히팅핀(1)은 도 2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2)이 형태와 크기가 다양함으로써 절곡된 길이와 폭과 같은 크기가 다양하게 되어 히팅핀(1)은 보통 자동으로 제작되지 못하고, 수동으로 제작된다.
상기 히팅핀(1)을 수동으로 제작함으로써 작업자의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생산능률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하여 제작단가를 상승시킴으로써 제품 단가를 상승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히팅핀 제작시 노동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력을 높이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측에 돌출되어 설치위치가 조절되는 거리조절용 걸림핀을 포함하는 지지용 고정블록과; 상기 지지용 고정블록의 거리조절용 걸림핀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측면에 회전중심에 돌출되어 설치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이격되게 설치된 절곡용 돌기가 형성된 절곡용 피니언과; 상기 절곡용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를 왕복이동을 시키는 절곡용 왕복이동장치와;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하왕복 이동하는 탈거용 핀을 구비한 탈거용 왕복이동장치와; 상기 절곡용 왕복이동장치와 탈거용 왕복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용 왕복이동장치와 탈거용 왕복이동장치는 보통 공기 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한다.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을 따라 이동하는 위치블록으로 이루어진 위치조절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고정블록에는 가이드용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용 설치홈에는 거리조절용 걸림핀이 설치되는 이격되게 다수개의 핀홀이 형성된 간격조절용 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용 블록은 지지용 고정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멈춤나사로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는, 거리조절용 걸림핀이 위치가 조정되어 고정핀과의 이격거리가 조정됨으로써 이팅핀의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자의 힘으로 히팅핀을 굽히지 않고 절곡용 왕복이동장치의 힘으로 굽힘으로써 작업자의 노동력을 감소시키고, 생산능률을 향상시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리조절용 걸림핀과 고정핀에 절곡되어 걸려있는 히팅핀이 탈거용 왕복이동장치에 의하여 분리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치조절장치가 구비되어 히팅핀의 최초 굽힘 위치설정이 용이하여 생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실내히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차량용 실내히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히팅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히팅핀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히팅핀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의 거리조절용 걸림핀과 고정핀에 절곡되어 걸려있는 히팅핀이 탈거용 왕복이동장치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의 구성은 바닥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지지용 고정블록(20)과, 상기 지지용 고정블록(20)의 일측에 위치가 조정되도록 설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게 거리조절용 걸림핀(21)이 설치된 간격조절용 블록(26)과, 상기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핀(31)과, 상기 고정핀(31)과 이격되게 설치된 절곡용 돌기(32)가 형성된 절곡용 피니언(30)과, 상기 절곡용 피니언(30)과 치합되는 랙기어(40)와, 상기 랙기어(40)를 왕복이동을 시키는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와, 상기 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하왕복 이동하는 탈거용 핀(61)을 구비한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와, 상기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와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를 제어하는 조작스위치(70)와,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는 설치된 위치조절장치(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10)은 지면에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용 고정블록(20)은 테이블(10)에 고정설치되며, 거리조절용 걸림핀(21)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용 고정블록(20)은 도 3과 같이 일측에 가이드용 설치홈(2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용 설치홈(25)에 거리조절용 걸림핀(21)이 설치되는 간격조절용 블록(26)이 위치가 조정되도록 설치된다. 즉, 간격조절용 블록(26)은 도 4와 같이 가이드용 설치홈(25)에 설치되어 멈춤나사(27)로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간격조절용 블록(26)은 가이드용 설치홈(25)의 임의의 위치에서 멈춤나사(27)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용 블록(26)에는 도 3과 도 10에서와 같이 거리조절용 걸림핀(21)이 설치되는 핀홀(22)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22)은 이격되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로 이루어진 핀홀(22)에 거리조절용 걸림핀(21)이 선택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절곡용 피니언(30)에 형성된 고정핀(31)과의 거리가 조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용 고정블록(20)의 일측에는 절곡용 피니언(3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고정핀(31) 사이에 탈거용 핀(61)이 위치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용 피니언(3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랙기어(RACK GEAR)(40)와 치합되어 랙기어(40)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도 7과 같이 히팅핀(1)은 절곡하는 것으로, 상부면 회전축 중심에 고정핀(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31)과 이격되게 반원형태의 절곡용 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랙기어(RACK GEAR)(40)는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에 의하여 왕복운동을 하여 치합된 절곡용 피니언(30)을 회전시킨다. 도면부호 41은 랙기어(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용 블록이다.
상기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는 도 3과 도 5와 같이 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되며,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에 의하여 탈거용 핀(61)은 상하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왕복 이동하는 탈거용 핀(61)은 도 10과 도 11과 같이 절곡되어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고정핀(31)에 걸려있는 히팅핀(1)을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고정핀(31)으로부터 분리를 시킨다.
상기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와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는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통 공기를 사용하는 공압 실린더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조절장치(80)는 히팅핀(1)의 처음 절곡되는 위치를 설정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테이블(10)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나사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축(81)과, 상기 가이드 축(81)을 따라 이동하는 위치블록(8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히팅핀의 제조를 위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절곡하여 히팅핀(1)을 가공하기 위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히팅핀 재료를 도 6과 같이 설치한다. 이때 히팅핀 재료의 위치는 위치조절장치(80)에 의하여 절곡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절곡용 피니언(30)의 고정핀(31)과 절곡용 돌기(32)의 위치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조작스위치(70)를 조작하여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를 구동시켜 랙기어(40)를 전진이동시킴으로써 절곡용 피니언(30)를 회전시켜 도 7과 같이 절곡을 한다.
상기 절곡용 피니언(30)이 회전하여 절곡이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조작스위치(70)를 조작하여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를 구동시켜 랙기어(40)를 후진이동시켜 절곡용 피니언(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를 구동시켜 탈거용 핀(61)을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1처럼 절곡이 이루어진 히팅핀 부재를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고정핀(3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분리된 히팅핀 부재를 도 8과 같이 설치한 후 다시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를 구동시켜 절곡용 피니언(30)를 회전시킴으로써 절곡을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도 9과 같이 히팅핀(1)을 절곡가공한 후 마무리작업을 하여 도 2와 같은 히팅핀(1)을 완성하게 된다.
수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작업능률이 낮고, 제조단가가 높아 널리 이용되지 못하던 히팅핀을 사용하는 차량용 실내히터를 본 발명에 의하여 히팅핀의 제작에 따른 작업능률의 향상과 이로 인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음으로 히팅핀이 설치된 차량용 실내히터가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 히팅핀 10 : 테이블
20 : 지지용 고정블록 21 : 거리조절용 걸림핀
25 : 가이드용 설치홈 26 : 간격조절용 블록
30 : 절곡용 피니언 31 : 고정핀
32 : 절곡용 돌기
40 : 랙기어
50 : 절곡용 왕복이동장치
60 : 탈거용 왕복이동장치 61 : 탈거용 핀
70 : 조작스위치
80 : 위치조절장치

Claims (4)

  1.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측에 돌출되어 설치위치가 조절되는 거리조절용 걸림핀(21)을 포함하는 지지용 고정블록(20)과;
    상기 지지용 고정블록(20)의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측면에 회전중심에 돌출되어 설치된 고정핀(31)과, 상기 고정핀(31)과 이격되게 설치된 절곡용 돌기(32)가 형성된 절곡용 피니언(30)과;
    상기 절곡용 피니언(30)과 치합되는 랙기어(40)와;
    상기 랙기어(40)를 왕복이동을 시키는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와;
    상기 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되되,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절곡용 피니언(30) 사이에 위치하여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고정핀(31)에 걸려있는 히팅핀(1)을 밀어 분리시키는 상하왕복 이동하는 탈거용 핀(61)을 구비한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와;
    상기 절곡용 왕복이동장치(50)와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를 제어하는 조작스위치(70)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용 피니언(30)을 회전시켜 고정핀(31)을 중심으로 히팅핀을 절곡하고, 상기 절곡된 히팅핀을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로 이동시켜 고정핀(31)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히팅핀을 거리조절용 걸림핀(21)과 절곡용 피니언(30)에 설치하여 재절곡함으로써 지그재그형태로 히팅핀을 절곡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용 왕복이동장치(30)와 탈거용 왕복이동장치(60)는 공기 또는 유압 실린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는 가이드 축(81)과, 상기 가이드 축(81)을 따라 이동하는 위치블록(82)으로 이루어진 위치조절장치(8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고정블록(20)에는 가이드용 설치홈(2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용 설치홈(25)에는 거리조절용 걸림핀(21)이 설치되는 이격되게 다수개의 핀홀(22)이 형성된 간격조절용 블록(26)이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용 블록(26)은 지지용 고정블록(20)에 설치되어 있는 멈춤나사(27)로 위치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KR1020100118872A 2010-11-26 2010-11-26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KR10104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72A KR101042021B1 (ko) 2010-11-26 2010-11-26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72A KR101042021B1 (ko) 2010-11-26 2010-11-26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021B1 true KR101042021B1 (ko) 2011-06-16

Family

ID=4440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872A KR101042021B1 (ko) 2010-11-26 2010-11-26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0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675B1 (ko) * 2016-05-09 2016-07-26 김성동 유압을 이용하는 휴대용 파이프 벤딩기
CN113020479A (zh) * 2021-02-08 2021-06-25 张香爱 一种具有调节功能的电阻器引脚折弯装置
KR102356015B1 (ko) 2020-09-09 2022-02-07 전기섭 히팅핀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542B1 (ko) * 2000-12-01 2003-06-25 박홍순 예각 성형이 우수한 컷팅 블레이드의 절곡장치
KR20040075435A (ko) * 2003-02-21 2004-08-30 (주)에스.케이.이 냉동기용 와이어콘덴서의 절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542B1 (ko) * 2000-12-01 2003-06-25 박홍순 예각 성형이 우수한 컷팅 블레이드의 절곡장치
KR20040075435A (ko) * 2003-02-21 2004-08-30 (주)에스.케이.이 냉동기용 와이어콘덴서의 절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675B1 (ko) * 2016-05-09 2016-07-26 김성동 유압을 이용하는 휴대용 파이프 벤딩기
KR102356015B1 (ko) 2020-09-09 2022-02-07 전기섭 히팅핀 제조 장치
CN113020479A (zh) * 2021-02-08 2021-06-25 张香爱 一种具有调节功能的电阻器引脚折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6537B (zh) 一种用于电路板切边打孔一体设备
KR101042021B1 (ko)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장치
CN104858295B (zh) 金属外壳装饰花纹加工方法及其加工设备
CN204430051U (zh) 一种冲压工件自动接料器
CN205464534U (zh) 一种合金板材高精度切断设备
CN108907987B (zh) 一种金属板材乱纹拉丝机
CN104551697A (zh) 一种热管除气定长封口加工装置
CN204487479U (zh) 卧式缝纫机电机转子与轴承自动组装机
KR101493039B1 (ko) 왕복 승하강 장치의 높낮이 조절구조 및 이를 이용한 커팅기
CN203887439U (zh) 自动焊接装置
CN205289428U (zh) 一种简易的打圈机
CN104724541A (zh) 电缆绕线装置
CN102409955A (zh) 百叶片自动成型机
CN205324571U (zh) 电子元件剪线机构
KR20120057224A (ko) 차량용 실내히터의 히팅핀 제조방법
CN104722844A (zh) 气动式自动带锯锉钳机
CN204022044U (zh) 瓦楞纸流水线原料供给装置
CN204504391U (zh) 气动式自动带锯锉钳机
CN102310425A (zh) 一种电加热段切装置
DE112014000879T5 (de) Schneller Toastbrotröst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nselben
CN102765105A (zh) 全自动模切机
CN204409504U (zh) 全自动蛋卷机
CN102554064A (zh) 变压器片式散热器的散热片滚边机
CN204367009U (zh) 电脑切带机
CN202129829U (zh) 一种全自动裁防火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