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172B1 -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7172B1 KR101037172B1 KR1020090083638A KR20090083638A KR101037172B1 KR 101037172 B1 KR101037172 B1 KR 101037172B1 KR 1020090083638 A KR1020090083638 A KR 1020090083638A KR 20090083638 A KR20090083638 A KR 20090083638A KR 101037172 B1 KR101037172 B1 KR 101037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ngsi
- red
- jelly
- drying
- flesh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4310 Cinnamomum zeylan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0280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144725 Amygdalus commun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437 Amygdalu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5781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068645 Carya illino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9025 Carya illino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408747 Lepomis gibbos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248610 Ophiocordyceps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2799 Prunus av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3095 Vaccinium corymbos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0851 Vaccinium corymb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7537 Vaccinium myrtill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224 almon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1014 blueberri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236 pumpkin see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238 sunflower see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0000007964 Diospyros virginiana Species 0.000 abstract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578 entry into hos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045 Guettarda spe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84 Hor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6 astringent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57 hong s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6 liqu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418 red dat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Abstract
본 발명은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숙성이 완료된 홍시의 꼭지와 투명한 외피막을 제거한 후 과육만을 수집하는 원료준비공정과, 상기 수집된 홍시의 과육에 부재료를 혼합하는 배합공정과, 부재료가 혼합된 홍시 과육을 교반하면서 건조수단으로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홍시 과육을 일정한 양으로 포장 용기에 담는 포장공정과, 포장 용기에 담긴 홍시 과육의 표면에 바람을 가하여 표면에 건조피막을 형성하는 피막형성공정과, 건조피막이 형성된 홍시 과육이 담긴 표장 용기를 밀봉하는 밀봉공정으로 구성하여 홍시를 젤리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함으로써, 홍시의 맛을 그대로 느끼면서 포장 용기에 담긴 홍시 젤리를 간편하게 떠먹을 수 있기 때문에 홍시를 편하게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동 또는 상온의 유통 과정에서도 안전한 위생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며, 건조피막층이 홍시 젤리의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유통 과정에서의 취급,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감, 홍시, 젤리, 제조방법, 유통
Description
본 발명은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홍시의 과육을 이용해 홍시 젤리를 제조함으로써 홍시를 이용한 식품 섭취가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유통 과정에서의 취급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한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시(紅枾)는 생감의 떫은맛이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제거되어 붉은색으로 말랑말랑하게 무르익은 상태의 감을 말하는 것으로서, 연시(軟枾) 또는 연감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홍시는 감의 색깔이 붉다는 측면에서 붙여진 명칭이고, 연시는 질감이 말랑말랑하고 부드럽다는 측면에서 붙여진 명칭인데 이처럼 붉고 말랑말랑하게 무르익은 홍시는 감 특유의 떫은맛이 없고 당도가 높기 때문에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동의보감》에 따르면 숙취를 풀어주는 효능이 있으며, 심장과 폐를 튼튼하게 하고 갈증을 없애주며 소화 기능을 좋아지게 하는 효능이 있어서 건강에 유익한 식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홍시는 강도가 물러서 작은 충격에도 형태가 쉽게 손상되거나 터질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쉽게 상하기 때문에 유통 과정에서의 취급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홍시를 상온에서 유통하기보다는 홍시를 급속 냉동하여 얼린 후 이를 유통하는 것이 일반화된 실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홍시를 급속 냉동시킨 상태로 유통하게 되면, 유통 과정에서의 취급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보관시에 반드시 냉동고에서 보관을 해야하기 때문에 보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냉동 상태로 유통, 판매되기 때문에 홍시를 구입한 구매자 역시 제품을 늘 냉동 보관해야 장기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에 따른 불편이 따를 뿐만 아니라, 냉동 보관된 홍시를 먹기 위해서는 다시 일정 시간의 해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원하는 즉시 홍시를 먹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통 과정에서의 취급 및 운반, 보관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냉동은 물론 상온에서의 유통이 가능케 함으로써 유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포장이 가능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즉시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재료의 첨가를 통해서 다양한 맛과 영양 및 기능성을 추가할 수 있는 우수한 상품성을 가진 홍시 젤리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성이 완료된 홍시의 꼭지와 투명한 외피막을 제거한 후 과육만을 수집하는 원료준비공정과,
상기 수집된 홍시의 과육에 부재료를 혼합하는 배합공정과,
부재료가 혼합된 홍시 과육을 교반하면서 건조수단으로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홍시 과육을 일정한 양으로 포장 용기에 담는 포장공정과,
포장 용기에 담긴 홍시 과육의 표면에 바람을 가하여 표면에 건조피막을 형성하는 피막형성공정과,
건조피막이 형성된 홍시 과육이 담긴 표장 용기를 밀봉하는 밀봉공정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한편, 상기 배합 공정의 부재료는 3~10㎜ 크기로 분절된 단감, 호도, 땅콩, 피칸, 초콜릿, 젤리, 아몬드 분태, 잣씨, 호박씨, 해바라기씨, 건오미자, 건체리, 건블루베리, 건포도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홍시 과육의 중량 대비 3~8%를 첨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합 공정의 부재료는 홍삼액, 벌꿀, 녹차액, 대추액, 동충하초액, 계피액, 당귀액, 뽕잎가루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홍시 과육의 중량 대비0.3~3%를 첨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공정은 열풍기를 건조수단으로 하여 30~55℃의 열풍을 가하여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55~60%까지 건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공정은 송풍기를 건조수단으로 하여 0~20℃의 저온풍을 가하여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60~80%까지 건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공정은 감압건조기에서 0~20℃의 온도로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60~75%까지 건조한 후 4~6℃의 온도에서 12~24시간 숙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막형성공정은 0~20℃의 저온풍을 6~12m/s 풍속으로 홍시 과육의 표면에 가하여 수분율을 30~50%의 건조피막층을 1~6㎜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홍시를 젤리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함으로써, 홍시의 맛을 그대로 느끼면서 포장 용기에 담긴 홍시 젤리를 간편하게 떠먹을 수 있기 때문에 홍시를 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홍시 젤리의 외표면에는 세균의 침입과 서식을 막아주는 고당도 건조피막이 형성되어 포장되기 때문에 홍시 젤리의 유통 과정에서 안전한 위생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 피막이 홍시 젤리의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유통 과정에서의 취급,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홍시 젤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숙성이 완료된 홍시의 꼭지와 투명한 외피막을 제거한 후 홍시의 과육만을 수집하여 이를 부재료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건조수단으로 일정한 수분율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건조된 홍시 과육을 일정한 양으로 포장 용기에 담고, 홍시 과육의 표면에 바람을 가하여 표면에 건조피막을 형성한 후 멸균 처리하여 밀봉함으로써 홍시 젤리가 완성된다.
한편, 위와 같이 홍시 젤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홍시 과육에 부재료를 혼합하는 배합 공정에서의 부재료는 단감이나 각종 견과류를 첨가 혼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홍삼액이나 녹차액 또는 계피액이나 당귀액과 같은 기능성 식품첨가물을 첨가 혼합할 수 있는데 각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서 첨가하는 방식이나 혼합 비율은 다르게 된다.
즉, 상기 배합 공정의 부재료는 단감, 호도, 땅콩, 피칸, 초콜릿, 젤리, 아몬드 분태, 잣씨, 호박씨, 해바라기씨, 건오미자, 건체리, 건블루베리, 건포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3~10㎜ 크기로 분절한 후 홍시 과육의 중량 대비 3~8%를 첨가 혼합하게 되는데, 이처럼 단감의 과육이나 각종 견과류 또는 초콜렛 등을 분절하여 이를 홍시 과육에 혼합하게 되면 홍시 젤리의 달콤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에 부재료의 특징적인 맛과 씹히는 식감이 더해지면서 다양한 맛과 영양 성분을 가진 홍시 젤리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합 공정의 부재료로서 홍삼액, 벌꿀, 녹차액, 대추액, 동충하초액, 계피액, 당귀액, 뽕잎가루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홍시 과육의 중량 대비0.3~3%를 첨가 혼합하게 되면, 건강에 유익한 약리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맛있는 홍시를 먹으면서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계피액이나 당귀액 등은 그 고유의 향이 탁월하기 때문에 다양한 향을 가진 홍시 젤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재료가 혼합된 홍시 과육은 교반하면서 건조하는 건조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건조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젤리 특유의 쫀득한 점도가 되면서 용기 포장을 하게 되면 그 형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강해지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즉, 건조공정에서는 건조하는 조건에 따라서 홍시 과육의 특성이 달라지게 되는데, 열풍기를 이용하여 30~55℃의 열풍을 가하여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55~60% 까지 건조시키게 되면, 진한 홍시 맛과 함께 당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쫀득한 점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송풍기를 이용하여 0~20℃의 저온풍을 가하여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60~80%까지 건조시키게 되면, 자연스러운 감 특유의 맛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좀 더 촉촉한 식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건조공정을 수행할 때, 감압건조기에서 0~20℃의 온도로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60~75%까지 건조한 후 4~6℃의 온도에서 12~24시간 숙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홍시 과육의 산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홍시 과육의 색상과 영양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건조 공정을 거친 홍시 과육은 일정 량을 다양한 형상의 포장 용기에 담은 후, 포장 용기에 담긴 홍시 과육의 표면에 피막형성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포장 용기에 담긴 홍시 과육의 표면에 0~20℃의 저온풍을 6~12m/s 풍속으로 가하여 30~50%의 수분율을 가진 건조피막층을 1~6㎜의 두께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처럼 홍시 과육의 표면에 경질화된 건조피막층을 형성하면, 유해균의 침입과서식을 방지하여 홍시 과육의 변질이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피막층 아래에 있는 홍시 과육보다 점도가 높기 때문에 취급중에 내용물이 흔들리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깔끔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 과정에서 취급 및 운반, 보관 등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경질화된 건조피막층은 곶감과 같은 맛과 식감을 가지게 되고, 건조피막층 아래에 있는 홍시 과육은 건조 상태에 따라서 홍시 또는 반건시의 맛과 식 감을 가지기 때문에 단일 제품으로 두 가지 맛을 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Claims (7)
- 숙성이 완료된 홍시의 꼭지와 투명한 외피막을 제거한 후 과육만을 수집하는 원료준비공정과, 상기 수집된 홍시의 과육에 부재료를 혼합하는 배합공정과, 부재료가 혼합된 홍시 과육을 교반하면서 건조수단으로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홍시 과육을 일정한 양으로 포장 용기에 담는 포장공정과, 포장 용기에 담긴 홍시 과육의 표면에 바람을 가하여 표면에 건조피막을 형성하는 피막형성공정과, 건조피막이 형성된 홍시 과육이 담긴 표장 용기를 밀봉하는 밀봉공정으로 이루어진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 공정의 부재료는 3~10㎜ 크기로 분절된 단감, 호도, 땅콩, 피칸, 초콜릿, 젤리, 아몬드 분태, 잣씨, 호박씨, 해바라기씨, 건오미자, 건체리, 건블루베리, 건포도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홍시 과육의 중량 대비 3~8%를 첨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 공정의 부재료는 홍삼액, 벌꿀, 녹차액, 대추액, 동충하초액, 계피액, 당귀액, 뽕잎가루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홍시 과육의 중량 대비0.3~3%를 첨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은 열풍기를 건조수단으로 하여 30~55℃의 열풍을 가하여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55~60%까지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은 송풍기를 건조수단으로 하여 0~20℃의 저온풍을 가하여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60~80%까지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은 감압건조기에서 0~20℃의 온도로 홍시 과육의 수분율을 60~75%까지 건조한 후 4~6℃의 온도에서 12~24시간 숙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막형성공정은 0~20℃의 저온풍을 6~12m/s 풍속으로 홍시 과육의 표면에 가하여 수분율을 30~50%의 건조피막층을 1~6㎜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3638A KR101037172B1 (ko) | 2009-09-04 | 2009-09-04 |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3638A KR101037172B1 (ko) | 2009-09-04 | 2009-09-04 |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5529A KR20110025529A (ko) | 2011-03-10 |
KR101037172B1 true KR101037172B1 (ko) | 2011-05-26 |
Family
ID=4393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3638A KR101037172B1 (ko) | 2009-09-04 | 2009-09-04 |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717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9341A (ko) | 2014-06-03 | 2015-12-11 | 성신제 | 곶감 초콜렛의 제조방법 |
KR20190057618A (ko) | 2017-11-20 | 2019-05-29 |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3026B1 (ko) * | 2012-03-14 | 2014-08-2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더드림 | 블루베리 젤리의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4956A (en) | 1981-03-04 | 1982-09-07 | Kazuoki Ishihara | Persimmon gel |
KR100503460B1 (ko) | 2003-04-04 | 2005-07-22 | 하영민 | 단감젤리 제조방법 |
JP2008035805A (ja) | 2006-08-08 | 2008-02-21 | Tachibana Paper Wear Kk | 柿羊かんの製造方法 |
KR100890870B1 (ko) | 2008-09-05 | 2009-03-27 | 박태천 | 감말랭이 제조방법 |
-
2009
- 2009-09-04 KR KR1020090083638A patent/KR1010371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4956A (en) | 1981-03-04 | 1982-09-07 | Kazuoki Ishihara | Persimmon gel |
KR100503460B1 (ko) | 2003-04-04 | 2005-07-22 | 하영민 | 단감젤리 제조방법 |
JP2008035805A (ja) | 2006-08-08 | 2008-02-21 | Tachibana Paper Wear Kk | 柿羊かんの製造方法 |
KR100890870B1 (ko) | 2008-09-05 | 2009-03-27 | 박태천 | 감말랭이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9341A (ko) | 2014-06-03 | 2015-12-11 | 성신제 | 곶감 초콜렛의 제조방법 |
KR20190057618A (ko) | 2017-11-20 | 2019-05-29 |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5529A (ko) | 2011-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4510B1 (ko) |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 |
RU2490926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лоеной фруктовой пастилы и слоеная фруктовая пастила | |
WO2016141871A1 (zh) | 一种柿饼的加工方法 | |
KR101785867B1 (ko) | 원형 상태의 과일 아이스 디저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037172B1 (ko) | 홍시 젤리의 제조 방법 | |
KR100930296B1 (ko) | 멍게를 이용한 기능성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및 이것을이용한 멍게 비빔밥 | |
KR101156625B1 (ko) | 당침 블루베리를 함유한 젤리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5661404A (zh) | 一种涩柿果干的加工方法 | |
KR101520291B1 (ko) | 매실 정과 제조방법 | |
KR101883059B1 (ko) | 비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강정의 제조방법 | |
KR101723527B1 (ko) | 산수유 생과 퓨레를 이용한 산수유 젤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수유 젤리 | |
KR101401016B1 (ko) | 통뿌리 식품을 함유하는 양갱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17882B1 (ko) | 케이싱을 갖는 떡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케이싱 충진떡 | |
CN108013102A (zh) | 一种苹果馅酥性点心及其制备方法 | |
JP2019122328A (ja) | 柿ペーストの製造方法及び柿アイスクリームの製造方法 | |
CN103988968A (zh) | 一种茶香凤梨蜜饯及其制作方法 | |
JPH06284875A (ja) | 被覆乾燥食品 | |
KR100401338B1 (ko) | 신규한 꿀딸기잼 및 그 제조방법 | |
CN106819329A (zh) | 一种沙棘玫瑰果糕及其制备方法 | |
KR101944314B1 (ko) | 쌀가루를 이용한 과실 와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82992B1 (ko) |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 | |
KR20030032602A (ko) | 굴비를 주재료로 하는 고추장양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EP2132993B1 (en) | Chewable foodstuff based on at least one fruit or vegetabl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
CN104542826A (zh) | 一种芝麻葡萄干饼的制作方法 | |
JP6738127B2 (ja) | 嚥下・流動食品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