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206B1 - Connector for wire buried box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wire buried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5206B1 KR101035206B1 KR1020090124891A KR20090124891A KR101035206B1 KR 101035206 B1 KR101035206 B1 KR 101035206B1 KR 1020090124891 A KR1020090124891 A KR 1020090124891A KR 20090124891 A KR20090124891 A KR 20090124891A KR 101035206 B1 KR101035206 B1 KR 1010352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body portion
- box
- connector
- ma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nector for a wire buried box.
본 발명의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는 측벽에 다수의 배관용홀이 형성된 배관박스 및 이 배관박스의 내부에서 배관용홀에 조립되는 수 체결관 및 일측에 전선관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 체결관과 결합되는 암 체결관으로 구성되는 전선 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관은 상기 배관박스의 내측에서 상기 배관용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지름이 확장된 크기로 형성되어 배관용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머리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굽힘된 탄성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 체결관은 상기 수 체결관이 끼움 삽입되게 관통된 조립구멍이 형성된 바디부 및 이 바디부의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상기 탄성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단이 바디부에 연결되어 탄성 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나머지 테두리는 간극을 두고 형성하여 상기 탄성편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onnector for wire buried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emale box that is coupled to the male fastening pipe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the one side of the pipe box having a plurality of pipe holes formed in the side wall and the pipe hole in the interior of the pipe box is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wire buried box consisting of a fastening pipe, the male fasten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 the pipe from the inside of the pipe box is provided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size of the diameter is expanded It is formed to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hea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iping hole consists of an elastic piece bent to protrude outwards, the female fastening pipe is the male fastening pip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piece at equal intervals on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assembly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is inserted It is to be provided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t a position so as to have an elastic displacement rest rim is configured to form a gap with the pressing parts comprising engaging one end which is selectively the elastic pieces to.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는,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히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을 상호 끼워 맞춤으로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상호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고, 수리를 위해 분해를 하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의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The connector for a wire buried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ool, and is secured to each other by simply assembling the male and female clamping tubes to each other by fitting to each other, for repair. In case of disassembling, the male fastening pipe and the female fastening pipe can be easily separated, so it is easy to work, which greatly shortens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is expected to have an advantage of standardizing construction quality.
전선,매립, 박스, 컨넥터, 주름관 Wire, buried, box, connector, corrugated pipe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물이나 건물의 신축시 콘크리트 옹벽에 매립되는 전선 매립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이 배선된 전선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전선관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의 표준화에 따른 높은 시공품질을 유지하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buried box buried in a concrete retaining wall when a structure or a building is newly constructed,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duit to which a wire is wired, and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conduit, thereby high construction according to standardization of 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wire buried box to improve workability while maintaining quality.
일반적으로 건물의 신축시에는 거푸집을 형성하고 전선관 및 매립박스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의 내·외측면에 위치하는 매립박스를 통하여 전선을 삽입 또는 인출시키는 등의 전기 내장 공사가 이루어진다. In general, when a building is newly constructed, a formwork is formed, a conduit tube and a landfill box are installed, and concrete is poured to insert or draw electric wires through a landfill box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종래의 전선 매립박스는 내부가 빈 상자 형태로 구비되고 측벽에 다수개의 배관용 구멍이 형성된 배관박스와, 이 배관박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그 일단이 배관용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 형태의 수 체결관과, 상기 배관박스의 외부에 구비되어 그 일단이 상기 배관용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수 체결관과 나사 체결로 연결되는 것으로 내주면이 나사선이 형성된 너트 형태로 구비되고 일측으로 전선관이 연결되는 암 체결관으로 이루어진다.Conventional wire buried box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empty box inside the pipe box formed with a plurality of pipe holes on the side wall, and provided inside the pipe box,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pipe hol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bolt-shaped male fastening tube having a screw line formed thereon, and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ipe box, is connected to the male fastening tu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ipe hole, and is screwed. It is provided with a female fastening tube is provid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duit.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선 매립박스는 전선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관박스의 내측에서 수 체결관을 배관용 구멍에 끼워 일단을 외부로 노출시킨 후, 상기 노출된 일단을 암 체결관과 나사 체결하여 연결되어진다. In order to connect the conduit, the wire filling box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female fastening pipe by inserting the male fastening pipe into the pipe hole from the inner side of the pipe box and exposing one end to the outside. .
그러나, 상기 전선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을 상호 나사체결로 결합시켜야 하는데,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수작업으로 체결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However, in order to connect the conduit, the male fastening pipe and the female fastening pipe must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ing, and the work space is narrow and the manual tightening is required, so that the work is inconvenient and the time taken for the work is long. there was.
특히,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을 완전히 나사 체결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나사체결을 위한 반복작업시 손목에 피로가 쌓여 완전한 체결이 곤란하여 느슨하게 체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시공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In particular, the male and female fasteners must be fully screwed in. In reality, when the screw is screwed on, the fatigue builds up on the wrist an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tighten the bolts. It caused a problem.
또한, 콘크리트 타설시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러내리면서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의 체결을 해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상기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재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시 침출수가 배관용 구멍을 통해 배관박스 내부로 물이 침투하여 전기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concrete is poured, the concrete in the state of kneading flows dow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between the male and female fastening pipes often occurs, so reconstruction for connecting the male and female fastening pipes is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male fastening pipe and the female fastening pipe are not firmly coup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ching water penetrates into the pipe box through the hole for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placed, causing an electric accid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관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관의 구조를 원터치 끼움 방식으로 하여 작업자가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시공품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전선 매립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touch fitting method of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ipe for connecting the conduit to the operator to easily perform the work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it is to provide a wire filling box.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는, 측벽에 다수의 배관용홀이 형성된 배관박스 및 이 배관박스의 내부에서 배관용홀에 조립되는 수 체결관 및 일측에 전선관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 체결관과 결합되는 암 체결관으로 구성되는 전선 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관은 상기 배관박스의 내측에서 상기 배관용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지름이 확장된 크기로 형성되어 배관용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머리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굽힘된 탄성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 체결관은 상기 수 체결관이 끼움 삽입되게 관통된 조립구멍이 형성된 바디부 및 이 바디부의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상기 탄성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단이 바디부에 연결되어 탄성 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나머지 테두리는 간극을 두고 형성하여 상기 탄성편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Wire embedd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pipe box formed with a plurality of pipe holes on the side wall and a male fastening tube assembled in the pipe hole in the inside of the pipe box and a conduit on one side In the wire buried box consisting of a female fastening pipe coupled to the male fastening pipe to be connected, the male fasten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pipe hole in the inner side of the pipe box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ameter is formed in the expanded size is formed in the hea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ipe hole and composed of an elastic piece bent to protrude outward The female fastening tube has a body portion having an assembly hole through which the male fastening tube is inserted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piece at equal intervals so as to have an elastic displacement, and the other edge is formed with a gap to include a pressing piece 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piece is selectively caught.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수 체결관의 탄성편은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암 체결관과 끼움되는 방향을 선단으로 하였을 때, 선단은 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나머지 테두리는 몸체부와 간극을 두고 형성되며, 후단으로 향하면서 두께가 증대되면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에 있다. As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iece of the male fastening tube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the direction fitted with the female fastening tube as the front end, the front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remaining edge is the body portion It is formed with a gap and is provided in a curved form while increasing the thickness toward the rear e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암 체결관의 가압편은 상기 탄성편과 마찬가지로 일단은 바디부에 연결되고 나머지 테두리는 간극을 두고 바디부에서 분리되며, 일측 외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iece of the female fastening tube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one end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with a gap, and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like the elastic piece .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암 체결관은 상기 가압편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일측 외면에 상기 배관박스를 향해 개구된 오목한 형상의 밀착판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male fastening tube is provided with a concave contact plate of the concave shape opened toward the pipe box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essure pie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수 체결관의 외면과 상기 암 체결관의 내면에는 상호 결정된 위치에서 끼워 맞춤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홈과 돌기로 된 위치 결정요소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le fastening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emale fastening pipe are provided with a positioning element having grooves and protrusions at corresponding positions to be fitted at mutually determined posi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암 체결관은 일단에 지름이 확장된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male fastening tube is formed in one end of the head portion is expanded diame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전선관은 주름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암 체결관은 하부 내주면에 상기 주름관의 골에 끝단이 삽입되는 탄성 걸 림편이 형성된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it is provided with a corrugated pipe, the female fastening pipe is formed i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n elastic engag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bone of the corrugated pip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는,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히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을 상호 끼워 맞춤으로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상호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고, 수리를 위해 분해를 하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수 체결관과 암 체결관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의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When the wire fil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ool and is simply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simply fitting the male and female fastening pipes together, the rigid connection state is maintained and disassembled for repair. Since the male and female clamping tubes can be easily separated, it is easy to work, which greatly shortens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is expected to have advantages in standardizing construction qua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connector for a wire buried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fil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for a wire fil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buried box connector of FIG. 2 viewed from below, and FIG. 4 is a view of the wire buried box connector of FIG. 2 viewed from the front.
끝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암·수 체결관을 분리시키기 위해 가압편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nally,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or for the wire buried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iece is pressed to separate the male and female fastening tube in the state of FIG. .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 매립박스(1)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 상자형태로 구비되는 배관박스(10)와, 상기 배관박스(10)에 전선관(30)을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20)로 구성되며, 이때의 상기 컨넥터(20)는 다시 상기 배관박스(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수 체결관(21) 그리고 상기 배관박스(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 체결관(21)과 조립되는 암 체결관(25)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rein, the
배관박스(10)는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금속판재를 굽힘 가공하여 일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배관박스(10)는 측벽에 하나 이상의 배관용홀(11)이 관통 형성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서의 배관박스(10)는 금속판재를 굽힘 성형한 것이 사용되는 것을 제안하며, 이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컨넥터(20)는 상기 배관박스(10)에 전선관(3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관박스(10)의 내부에 위치되어 배관용홀(11)을 통해 일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시키는 수 체결관(21)과, 상기 배관박스(10)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배관용홀(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수 체결관(21)의 일단과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암 체결관(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 체결관(21)은 수직하게 관통된 관통구멍(21h)이 형성된 관형 부재로서, 상기 배관용홀(11)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지름을 갖는 머리부(21a)와, 이 머리부(21a)에 비해 축소된 지름을 갖는 것으로 배관용홀(11)을 삽입 통과할 정도의 지름을 갖는 몸체부(21b) 그리고 상기 몸체부(21b)의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탄성편(21c)으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머리부(21a)와 몸체부(21b) 그리고 탄성편(21c)은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탄성편(21c)은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로서, 일단 즉, 일면이 몸체부(21b)에 연결되고 나머지 삼면은 간극(s)을 두고 분리 형성되는 것에 의해 외력에 대한 내·외측 방향으로 탄성변위를 갖는다.Here, the
즉, 상기 탄성편(21c)은 암 체결관(25)과 끼움되는 방향을 선단으로 하였을 때, 선단은 몸체부(21b)에 일체로 연결되고 나머지 테두리인 삼면은 몸체부(21b)와 간극(s)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21c)은 후단으로 향하면서 두께가 증대되면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That is, when the elastic piece (21c) is a front end of the fitting direction with the
이러한 구성의 상기 수 체결관(21)은 상기 배관박스(1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부(21b)를 배관용홀(11)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수 체결관(21)은 머리부(21a)의 지름이 배관용홀(11)의 지름에 비해 크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21b)의 일부만 상기 배관박스(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박스(10)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21b)의 일부에 암 체결관(25)을 끼워 맞춤으로 조립한다. The
상기 암 체결관(25)은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 체결관(21)이 끼움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조립구멍(25h)이 형성된 관형 부재로서, 상기 배관박스(10)의 배관용홀(11)보다 지름이 큰 헤드부(25a)와, 이 헤드부(25a)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 체결관(21)의 몸체부(21b)가 내부에 끼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는 바디부(25b) 그리고, 상기 바디부(25b)의 외면에 상기 탄성편(21c)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가압편(25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25a)와 바디부(25b) 그리고 가압편(25c)은 상기 수 체결관(21)과 마찬가지로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바디부(25b)는 내부에 상기 수 체결관(21)의 몸체부(21b)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관형 부재로서, 도면을 기준으로 하단 외주면으로는 조립 시 손으로 잡기 위한 노브(25n)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5b)는 하부 내주면에 탄성 걸림편(25p)가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탄성 걸림편(25p)은 일단이 바디부(25b)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선관(30)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전선관(30)의 외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경사각을 갖는다. 이러한 탄성 걸림편(25p)은 바디부(25b)의 내주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며, 상기 전선관(30)의 외주면에 대한 탄력적인 접촉을 통해 결속력을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 걸림편(25p)과 전선관(30)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선관(30)을 주름관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상기 탄성 걸림편(25p)의 끝단은 상기 주름관의 골 부분에 삽입되어 걸림력을 형성함으로써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상기 가압편(25c)은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상기 탄성편(21c)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단이 바디부(25b)에 연결되어 탄성 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나머지 테두리는 간극(s1)을 두고 형성되는 것에 의해 내·외측으로 탄성변위를 갖게 된다. 즉, 상기 가압편(25c)은 상기 탄성편(21c)과 마찬가지로 일단은 바디부(25b)에 연결되고 나머지 테두리는 간극(s1)을 두고 바디부(25b)에서 분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외력에 대해 탄성 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편(25c)의 외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를 위한 손잡이부(25ca)가 돌출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암 체결관(25)은 상기 가압편(25c)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일측 외면에 상기 배관박스(10)를 향해 개구된 오목한 형상의 밀착판(f)이 구비된다. 이 때의 밀착판(f)은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배관박스(10)의 배관용홀(11)의 주변을 감싸면서 밀착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암 체결관(25)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을 것이며, 유연한 움직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f)은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배관용홀(11)을 통해 배관박스(10)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배관박스(1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됨에 따라 그에 사용되는 판재의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데, 상기 밀착판(f)은 상기 암 체결관(25)이 수 체결관(21)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배관박스(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 체결관(21)의 머리부(21a)와 상기 암 체결관(25)의 헤드부(25a)간의 간격이 배관박스(10)의 판재 두께보다 넓은 경우에도 이를 탄력적으로 보상하여 상기 머리부(21a)와 헤드부(25a) 사이의 유격에 의한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성의 암 체결관(25)은 상기 배관박스(10)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박스(10)의 배관용홀(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수 체결관(21)의 몸체부(21b)와 상호 끼워 맞춤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는 앞서 설명한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는 상기 수 체결관(21)의 외면과 상기 암 체결관(25)의 내면에는 상호 결정된 위치에서 끼워 맞춤되도록 유도하는 위치결정요소를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buried box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is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connector for the wire buried box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ositioning element for inducing to be fitted at the mutually 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 체결관(21)과 암 체결관(25)을 상호 끼워 맞춤으로 조립시킴에 있어 각각의 탄성편(21c)과 가압편(25c)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수 체결관(21)과 암 체결관(25)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위치 결정요소를 형성시킨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ssembling the
일예로, 도 7에는 수 체결관(21)의 외주면에 도면을 기준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레일(21g)을 돌출 형성하였고, 상기 암 체결관(25)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g)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5g)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For example, in FIG. 7, the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수 체결관(21)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시키고, 암 체결관(25)의 내주면에 돌기를 돌출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선 매립박스의 조립과정을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process of the wire fill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ures 1 to 6 as follows.
먼저, 상기 배관박스(10)의 내부에 수 체결관(21)을 위치시키고, 상기 수 체결관(21)의 몸체부(21b)를 상기 배관박스(10)의 배관용홀(11)을 삽입 통과시킨다. 그러면, 상기 수 체결관(21)은 머리부(21a)에 의해 배관박스(10)에서 이탈되지 않고 몸체부(21b)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First, the
이어서, 상기 배관박스(10)의 외부에서 상기 암 체결관(25)을 위치시키고, 그 내부로 상기 수 체결관(21)의 몸체부(21b)가 삽입될 수 있게 위치 조정한다. 이때, 상기 암 체결관(25)의 가압편(25c)과 수 체결관(21)의 탄성편(21c)이 대응되는 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위치 조정하여야 한다. Subsequently,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암 체결관(25)을 수 체결관(21)측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수 체결관(21)의 탄성편(21c)이 상기 암 체결관(25)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일으킨다. In such a state, when the
이어서, 상기 암 체결관(25)을 수 체결관(21)과 완전히 끼워 맞춤시키면 상기 수 체결관(21)의 탄성편(21c) 일단이 상기 암 체결관(25)의 일측 간격(s1) 사이에 위치되면서 탄성복원되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를 이룸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암 체결관(25)은 끼움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견고하게 방지된다.Subsequently, when the
또한, 상기 암 체결관(25)의 헤드부(25a)에 마련된 밀착판(f)이 상기 배관박스(10)의 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배관용홀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시 생성되는 물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고, 아울러 수 체결관(21)과 머리부(21a)와 암 체결관(25)의 헤드부(25a)의 유격을 보상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머리부(21a)와 헤드부(25a) 사이의 간격이 상기 배관박스(10)의 판재 두께보다 넓은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plate (f) provided i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암 체결관(25)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암 체결관(25)의 가압편(25c)에 형성된 손잡이부(25ca)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가압편(25c)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수 체결관(21)의 탄성편(21c)이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변위를 일으키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암 체결관(25)을 조립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분리가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parate the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fil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for a wire buried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for wire filling box of FIG. 2 viewed from below;
도 4는 도 2의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4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for the wire filling box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connector for a wire buried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암·수 체결관을 분리시키기 위해 가압편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iece is pressed in order to separate the female and male clamping tube in the state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전선 매립박스 10 : 배관박스1: wire buried box 10: piping box
11 : 배관용홀 20 : 컨넥터11: Piping hole 20: Connector
21 : 수 체결관 25 : 암 체결관21: male fastener 25: female fastener
30 : 전선관 31 : 탄성링30: conduit 31: elastic ring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4891A KR101035206B1 (en) | 2009-12-15 | 2009-12-15 | Connector for wire buried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4891A KR101035206B1 (en) | 2009-12-15 | 2009-12-15 | Connector for wire buried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5206B1 true KR101035206B1 (en) | 2011-05-17 |
Family
ID=4436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48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5206B1 (en) | 2009-12-15 | 2009-12-15 | Connector for wire buried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5206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587B1 (en) * | 2017-08-24 | 2018-06-15 | 이정우 | Tube Connector |
KR101885713B1 (en) * | 2017-10-20 | 2018-08-17 |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 Connector for distribution boxes and pipe |
KR20210001572U (en) | 2019-12-30 | 2021-07-08 | 이복례 | Wiring box for easy wiring and laying of concrete |
KR102505039B1 (en) * | 2022-04-18 | 2023-03-02 | 이동열 | Piping box including wire-embedded piping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20230037328A (en) * | 2021-09-09 | 2023-03-16 | 박득재 | Connector and bushing for flexible wire tube |
WO2024221683A1 (en) * | 2023-04-27 | 2024-10-31 | 华能伊敏煤电有限责任公司 | Junction apparatus for cooling fa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0643A (en) * | 2002-01-10 | 2003-07-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eat back frame of rear seat for vehicle |
KR20040028931A (en) * | 2001-07-17 | 2004-04-03 | 지.디 쏘씨에타'퍼 아지오니 | Lateral-opening, rigid, hinged-lid packet |
KR200360643Y1 (en) | 2004-05-25 | 2004-09-01 | 전인석 | a Wire Pipe Connector. |
KR200428931Y1 (en) | 2006-06-27 | 2006-10-16 | 백순례 | Conduit connector |
KR100796728B1 (en) | 2007-10-10 | 2008-01-21 | 주식회사 한양이앤씨 | Connector for fixing wiring |
-
2009
- 2009-12-15 KR KR1020090124891A patent/KR1010352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8931A (en) * | 2001-07-17 | 2004-04-03 | 지.디 쏘씨에타'퍼 아지오니 | Lateral-opening, rigid, hinged-lid packet |
KR20030060643A (en) * | 2002-01-10 | 2003-07-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eat back frame of rear seat for vehicle |
KR200360643Y1 (en) | 2004-05-25 | 2004-09-01 | 전인석 | a Wire Pipe Connector. |
KR200428931Y1 (en) | 2006-06-27 | 2006-10-16 | 백순례 | Conduit connector |
KR100796728B1 (en) | 2007-10-10 | 2008-01-21 | 주식회사 한양이앤씨 | Connector for fixing wiring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587B1 (en) * | 2017-08-24 | 2018-06-15 | 이정우 | Tube Connector |
KR101885713B1 (en) * | 2017-10-20 | 2018-08-17 |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 Connector for distribution boxes and pipe |
KR20210001572U (en) | 2019-12-30 | 2021-07-08 | 이복례 | Wiring box for easy wiring and laying of concrete |
KR20230037328A (en) * | 2021-09-09 | 2023-03-16 | 박득재 | Connector and bushing for flexible wire tube |
KR102609094B1 (en) * | 2021-09-09 | 2023-12-04 | 박득재 | Connector and bushing for flexible wire tube |
KR102505039B1 (en) * | 2022-04-18 | 2023-03-02 | 이동열 | Piping box including wire-embedded piping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WO2024221683A1 (en) * | 2023-04-27 | 2024-10-31 | 华能伊敏煤电有限责任公司 | Junction apparatus for cooling fa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5206B1 (en) | Connector for wire buried box | |
WO2017135339A1 (en) | Clip, clamp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 |
KR20130052967A (en) | A pipe connector | |
KR101817278B1 (en) | Manufacturing Equipment For A Manhole, Its Manufacturing Method Of A Manhole And Its Assembly Type Manhole Having Connector | |
KR100958816B1 (en) | Pipe joint | |
US6113156A (en) | Pipe connector | |
KR102100056B1 (en) | Device that connects the branch pipes to the main pipe for drainage | |
KR200410284Y1 (en) | Water Gasket | |
JP2015025525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shell | |
KR101867587B1 (en) | Tube Connector | |
KR20140070165A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for spiral pipe | |
KR200463450Y1 (en) | Connecting device for plastic pipe | |
KR101027121B1 (en) | Gas Piping Fixture | |
KR101494647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of plastic pipe | |
KR20120097915A (en) | 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 |
CN219979886U (en) | Coupling piece | |
JP3734151B2 (en) | Two-part rubber ring socket and nut-clamped branch pipe with the socket | |
JP5806565B2 (en) | Block body mold | |
KR101172024B1 (en) | The fixing apparatus for connecting water supply pipes | |
KR100585842B1 (en) | Water and sewage pipe coupler | |
KR20120031859A (en) | 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 |
KR20180124656A (en) | Coupling device of underground laying corrugate pipe | |
KR20220023188A (en) | integral quick connector | |
JP2010007691A (en) | Method and instrument for fixing cable bearer | |
KR200381586Y1 (en) | A drain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