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739B1 -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739B1
KR101033739B1 KR1020067007085A KR20067007085A KR101033739B1 KR 101033739 B1 KR101033739 B1 KR 101033739B1 KR 1020067007085 A KR1020067007085 A KR 1020067007085A KR 20067007085 A KR20067007085 A KR 20067007085A KR 101033739 B1 KR101033739 B1 KR 101033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electronic component
contact
type electronic
oper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562A (ko
Inventor
카즈아키 미요시
사토시 타카모리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적음과 함께, 높이 치수 및 바닥 면적이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이, 제 1, 제 2 베이스(20, 80)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체와, 상기 테두리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통형상의 회전 조작체(60)와, 상기 테두리체에 부착된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 다리부인 제 1, 제 2 접촉편(30, 35) 및 공통 접촉편(54)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편(30, 35)의 단자부(33, 38) 및 공통 접촉편의 단자부(57, 59)를 프린트 기판에 직접 위치 결정하여 전기 접속한다.
Figure R1020067007085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Description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ROTATING AND PRESS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에 사용하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체 푸시 온 스위치(22A, 22B)를 표면 실장한 기대부(23)에, 원주형상 조작 손잡이(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ㄷ자형체(37) 및 판형상체(26)를 탑재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1의 도 1, 도 3 참조). 또한, 다른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으로서는, 누름버튼 스위치(8)를 실장한 플렉시블 기판(7)을, 부착판(1)과 조작 손잡이(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테두리체(2)로 끼여지지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2의 도 1, 도 2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2000-195388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3-92047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은 어느것이나, 기대부(23) 또는 부착판(1)을 통하여 기판 등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많음과함께, 높이 치수가 크다. 특히, 기대부(23) 등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바닥 면적이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얻을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작음과 함께, 높이 치수 및 바닥 면적이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테두리체와, 상기 테두리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통형상의 회전 조작체와, 상기 테두리체에 부착된 탄성 변형 가능한 적어도 3개의 도전성 다리부(脚部)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성 다리부의 선단부를 프린트 기판에 직접 위치 결정하여 전기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예와 같은 기대판이나 부착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적어짐과 함께, 높이 치수가 작고, 바닥 면적이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도전성 다리부가, 개략 U자형으로 만곡한 연결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성 변형 영역이 길어지기 때문에,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가압 조작시의 반력(反力)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 영역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높은 부품 치수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반복 조작에 의한 피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전성 다리부의 자유단부(自由端部)를 2분할하고, 또한,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놓아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탄성 변형이 용이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테두리체에, 회전 조작체의 회전을 자기적(磁氣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자기(磁氣) 검출 수단을 마련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회전 조작체의 회전을 자기 검출 수단에 의해 비접촉으로 검출할 수 있어서, 검출 방법의 선택 범위가 넓어진다. 또한, 테두리체에 자기 검출 수단을 미리 마련하여 놓음으로써, 프린트 기판의 배선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새로운 실시 형태로서는, 테두리체의 하면에 누름버튼 스위치를 배치하여 놓아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테두리체에 누름버튼 스위치를 미리 배치하여 놓음으로써, 프린트 기판에 누름버튼 스위치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서, 프린트 기판의 배선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의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과, 이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도전성 다리부의 선단부를 직접 전기 접속함과 함께,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테두리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누름버튼 스위치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회전 조작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회전 조작체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의 검출 데이터를 상기 도전성 다리부를 통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테두리체를 압하하여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에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도전성 다리부를 직접 전기 접속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은 기대판이나 부착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적고, 높이 치수가 작은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종래예와 같은 기대부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 면적이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얻을 수 있고, 프린트 배선의 집적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의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과, 이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도전성 다리부의 선단부를 솔더링하여 접속함과 함께,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테두리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누름버튼 스위치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회전 조작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회전 조작체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의 검출 데이터를 상기 도전성 다리부를 통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테두리체를 압하하여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솔더링하기 때문에, 접속 신뢰성이 향상한다.
다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청구항 제 5항의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과, 이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도전성 다리부의 선단부를 직접 전기 접속함과 함께,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리드 단자를 직접 전기 접속할 수 있는 프린트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회전 조작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회전 조작체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의 검출 데이터를 상기 도전성 다리부를 통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테두리체를 압하하여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프린트 기판에 누름버튼 스위치를 실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의 배선 설계가 용이하게 되고, 다른 전자 부품의 집적 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새로운 발명의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은, 테두리체와, 상기 테두리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통형상의 회전 조작체와, 소정의 각도 피치로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 조작체 내에 동일 축심상에 조립한 원환형상 마그넷과, 상기 테두리체에 부착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개의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부를 프린트 기판에 직접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예와 같은 기대판이나 부착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적어짐과 함께, 높이 치수가 작고, 바닥 면적이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비접촉으로 회전 조작체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높은 검출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새로운 발명의 전자 기기는, 청구항 제 9항의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과, 이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원환(圓環)형상 마그넷의 자속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자기 검출 수단을 실장함과 함께,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테두리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누름버튼 스위치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회전 조작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회전 조작체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상기 자기 검출 수단으로 검출함과 함께, 상기 테두리체를 압하하여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에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도전성 다리부를 직접 전기 접속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은 기대판이나 부착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적고, 높이 치수가 작은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종래예와 같은 기대부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 면적이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얻을 수 있고, 프린트 배선의 집적 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 형태를 휴대 전화에 적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주요부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분해 사시도.
A는 도 2A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 도 3C은 도 2A의 좌측면도, 도 3D은 도 3C의 단면도.
도 4A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와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5A는 회전 조작체를 편의적으로 제외한 제 1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사시도.
도 6은 도 4A에 도시한 제 1 실시 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의 조립 공정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의 조립 공정 후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A는 제 1 실시 형태의 접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 도 9B는 제 1 실시 형태의 접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A, 10B 및 10C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조작체의 정면 단면도, 측면 단면도, 단면 사시도.
도 11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 2 실시 형태의 조립 공정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제 2 실시 형태의 조립 공정 후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4A는 회전 조작체를 편의적으로 제외한 제 2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접촉 구조의 평면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6A, 16B 및 16C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조작체의 정면 단면도, 측면 단면도, 단면 사시도.
도 17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사시도.
도 18A, 18B 및 18C는 제 3 실시 형태의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다른 각도에서 눈으로 본 경우의 사시도.
도 20A는 회전 조작체를 편의적으로 제외한 제 4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20B는 도 20A의 평면도.
도 21은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사시도.
도 22A 및 도 22B는, 제 5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다른 각도에서 눈으로 본 경우의 사시도.
도 23A는 회전 조작체를 편의적으로 제외한 제 5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23B는 도 23A의 평면도.
도 24는 제 5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25A는 제 6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사시도, 도 25B는 프린트 기판에 대한 제 6 실시 형태의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의 실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6A는 제 6 실시 형태의 실장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B는 도 26A의 정면도, 도 26C은 도 26A의 우측면도, 도 26D은 도 26A의 우측면 단면도.
도 27은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을 프린트 기판에 실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8A 및 도 28B는 제 7 실시 형태의 실장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부호의 설명>
10 :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20 : 제 1 베이스
21 : 압하 핀
22 : 축부
30, 35 : 제 1, 제 2 접촉편
31, 36 : 탄성 접촉부
32, 37 : 연결부
33, 38 : 단자부
40 : 빠짐방지용 커버
45 : 조작 감촉용 스프링
50 : 공통 접촉편
51, 52 : 탄성 접촉부
53 : 설편
54 : 공통 단자
55 : 설편
56, 58 : 연결부
57, 59 : 단자부
60 : 회전 조작체
61 : 회전 조작부
62, 63 : 가압 조작부
64 : 돌조
65 : 단부
70 : 이너 콘택트
71 : 연재부
72 : 접촉부
80 : 제 2 베이스
81 : 압하 핀
82 : 축받이부
83, 84 : 완부
85. 86 : 가이드핀
100 : 휴대 전화
107 : 모니터
110 : 프린트 기판
111a, 111b : 누름버튼 스위치
112a, 112b, 112c : 접속 패드
113a, 113b, 113c : 접속 패드
114a, 114b : 위치 결정 구멍
115a. 115b : 홀 IC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28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0)의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에 적용한 경우이다.
상기 휴대 전화(100)는, 그 하우징(101)의 개구부(102)에 커버(103)를 감합(嵌合)함에 의해, 상기 하우징(101) 내에 수납한 프린트 기판(110)의 표면에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을 꽉눌러서 빠짐방지하고 있다. 상기 커버(103)는,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의 회전 조작체(60)가 감합하는 사각형의 개구부(104)를 갖음과 함께, 그 개구부(104)의 하면 연부(緣部)로부터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을 위치 규제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칸막이벽(105, 106)을 돌출하고 있다. 특히, 상기 칸막이벽(105)은, 후술하는 접촉편(接觸片)(30, 35)의 단자부(33, 38) 및 공통 접촉편(54)의 단자부(57, 59)를 압하함에 의해, 이들을 프린트 기판(110)의 접속 패드(112a, 112b 및 113a, 113b)에 각각 압접(壓接)하여, 전기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을 조작함에 의해, 상기 모니터(107) 내에 표시된 정보 데이터중, 소망하는 정보 데이터까지 스크롤 바(도시 생략)를 이동한다. 뒤이어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을 압하함에 의해, 소망하는 정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 빠짐방지 커버(40), 조작 감촉용 스프링(45), 및,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50)을 조립하는 제 1 베이스(20)와, 통형상(筒狀)의 이너 콘택트(70)를 압입하는 회전 조작체(60)와, 회전 신호용 공통 단자(54)를 조립하는 제 2 베이스(8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1 베이스(20)는, 그 하면에 압하 핀(21)(도 4B)을 돌출하고 있음과 함께, 측방으로 돌출하는 축부(22)의 양측에 팔받이부(腕受部)(23, 24)를 평행하게 돌출하고 있다. 상기 축부(22)는, 그 외주면 상단에, 조작 감촉용 스프링(45)을 압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홈(25)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외주면의 양측 측면에,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탄성 접촉부(31, 36)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26a, 26b)(가이드 홈(26a)은 도시 생략)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부(22)의 선단면에는,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을 압입할 수 있는 압입 홈(27)(도 3B 참조)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팔받이부(23, 24)의 윗면 선단 연부에는 위치 결정 돌기(23a, 24a)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은 상호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고, 후술하는 이너 콘택트(70)의 내주면에 활주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31, 36)와, 소망하는 스프링력을 얻기 위한 연결부(32, 37)와, 프린트 기판(110)의 접속 패드(112a, 112b)에 탄성 접촉하는 단자부(33, 38)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단자부(33, 38)는, 그 자유단이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고, 또한, 2분할되어 있다. 이것은, 소망하는 스프링력을 확보함과 함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31, 36)는 이너 콘택트(70)의 연재부(71)의 내 주면의 동일 부분에 접촉하지 않도록 길이가 다르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31, 36)의 선단부는 원활한 조작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곡하여 있다. 또한,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탄성 접촉부(31, 36)의 선단부는 복수 편(片)으로 분할하여 놓아도 좋다.
상기 빠짐방지용 커버(40)는, 제 1 베이스(20)에 삽입한 상기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들떠오름을 방지하고, 빠짐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커버(40)는, 그 하단부에 마련한 한 쌍의 계지 폴(pawl)(41, 42)을 상기 제 1 베이스(20)의 하면 연부에 계지(係止)함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접촉편(30, 35)을 빠짐방지한다.
조작 감촉용 스프링(45)은, 후술하는 회전 조작체(60)의 내주면 개구 연부에 마련된 돌조(突條)(64)에 접합함에 의해, 조작자에 클릭 느낌을 주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5)은, 일단부에 마련된 폭광부(幅廣部)(46)를 상기 가이드 홈(25)에 연통하는 슬릿(25a)(도 6)에 측방으로부터 압입하여 부착된다.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50)은, 후술하는 이너 콘택트(70)의 내주면에 항상 접촉하는 한 쌍의 탄성 접촉부(51, 52)와, 상기 축부(22)의 선단면에 마련한 슬릿(27)에 압입 가능한 압입용 설편(舌片)(53)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51, 52)는 상기 이너 콘택트(70)의 내주면의 동일 부분에 접촉하지 않도록 길이가 다르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31, 36)의 선단부는 원활한 조작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곡하여 있다. 또한,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탄성 접촉부(31, 36)의 선단부는 복수 편으로 분할하여 놓아도 좋다.
회전 조작체(60)는, 상기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에 삽입 가능한 통체(筒體)이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의 중앙부에 요철면을 구비한 회전 조작부(61)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 조작체(61)의 양측에 가압 조작부(62, 63)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조작체(60)는, 그 내주면의 편측 연부에 클릭 느낌을 얻기 위한 돌조(64)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내주면의 중간부에 소정의 피치로 단부(段部)(65)를 형성하고 있다(도 10).
이너 콘택트(70)는, 통형상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그 편측 연부로부터 연재부(71)를 축심과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조작체(60)의 내주면에 압입함에 의해, 상기 연재부(71)의 사이에 상기 단부(65)가 위치하고, 연재부(71)의 내주면이 상기 단부(65)와 동일면이 되어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도 10B).
제 2 베이스(80)는, 그 하면에 압하 핀(81)(도 4B)을 돌출하는 한편, 상기 축부(22)에 대응하도록 축받이부(82)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베이스(20)의 팔받이부(23, 24)에 각각 대응하도록 한 쌍의 완부(腕部)(83, 84)를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완부(83, 84)는 윗면 기부(基部)에 위치 결정 돌기(83a, 84a)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선단면에 감합용 돌기부(83b, 84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완부(83)의 하면에 대좌 부착의 가이드핀(85)을 돌설(突設)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완부(84)의 하면에 가이드핀(86)을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받이부(82)의 외향면에, 회전 신호용 공통 단자(54)의 접속용 설편(55)을 압입할 수 있는 슬릿(87a)(도 3B)을 마련하는 한편, 그 내향면에 상기 슬 릿(87a)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축부(22)를 감합하기 위한 감합 구멍(87b)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회전 신호용 공통 단자(54)는, 상기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50)에 압접하여 전기 접속되는 접속용 설편(55)과, 이 접속용 설편(55)의 기부로부터 연재(延在)하는 한 쌍의 연결부(56, 58)와, 이 연결부(56, 58)의 자유단부를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하고, 또한, 그 선단부를 2분할한 단자부(57, 59)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전술한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의 외주면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 홈(26a, 26b)에,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탄성 접촉부(31, 36)를 각각 삽입함과 함께, 팔받이부(23, 24)의 위치 결정 돌기(23a, 24a)에 연결부(32, 37)를 각각 계지하여 위치 결정한다. 또한, 상기 축부(22)의 가이드 홈(25)의 슬릿(25a)에 조작 감촉용 스프링(45)의 폭광부(46)를 압입함과 함께, 상기 축부(22)의 슬릿(27)(도 3B)에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50)의 설편(53)을 압입하여 조립한다. 뒤이어 상기 제 1 베이스(20)의 하면 연부에 빠짐방지용 커버(40)의 계지 폴(41)을 계지하여 조립함에 의해,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30, 35)을 빠짐방지한다.
또한, 이너 콘택트(70)를 압입한 회전 조작체(60)에,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를 삽입하여 조립함에 의해,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탄성 접촉부(31, 36)가 상기 이너 콘택트(70)의 연재부(71)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통 접촉편(50)의 탄성 접촉부(51, 52)가 상기 이너 콘택 트(70)의 연속하는 내주면에 각각 항상 접촉한다(도 9B). 또한, 조작 감촉용 스프링(45)이 회전 조작체(60)의 돌조(64)에 맞닿음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2 베이스(80)의 축받이부(82)에 상기 회전 신호용 공통 단자(54)의 접속 설편(55)을 압입함과 함께, 완부(83, 84)의 위치 결정 돌기(83a, 84a)에 연결부(56, 58)를 계지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축받이부(82)를 회전 조작체(60)의 일방측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하고, 그 감합 구멍(87b)에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를 감합한다. 또한, 완부(83, 84)의 감합용 돌기부(83b, 84b)를 제 1 베이스(20)의 팔받이부(23, 24)의 감합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하여 일체화한다. 이 때문에, 공통 단자(54)의 설편(55)이 공통 접촉편(50)에 압접하여 전기적 접속됨과 함께(도 3B), 상기 회전 조작체(6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0) 내에 부착된 프린트 기판(110)의 위치 결정 구멍(114a, 114b)에 제 2 베이스(80)의 위치 결정 핀(85, 86)을 각각 삽입하여 위치 결정함에 의해, 제 2 베이스(80)의 압하 핀(21, 81)이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에 각각 맞닿아진다. 또한, 상기 휴대 전화(100)의 하우징(101)에 마련한 개구부(102)에 커버(103)를 감합함에 의해,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이 빠짐방지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공통 접촉편(50)의 탄성 접촉부(51, 52)는 이너 콘택트(70)에 항상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 조작체(60)를 회전함에 의해,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 편(30, 35)의 탄성 접촉부(31, 36)가 상기 이너 콘택트(70)의 연재부(71)에 대해 접촉 상태, 비접촉 상태를 각각 교대로 반복한다. 이 때문에, 접촉 상태로 되었을 때에 펄스 신호를 각각 출력함에 의해, 상기 회전 조작체(60)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다. 뒤이어, 검출한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을 통하여 변환하고, 검출 결과를 휴대 전화(100)의 모니터(107)에 스크롤 바의 이동으로서 표시한다. 그리고, 스크롤 바로 소망하는 데이터를 특정한 후, 회전 조작체(60)의 회전 조작부(61) 또는 가압 조작부(62, 63)를 압하함에 의해, 압하 핀(21, 81)을 통하여 프린트 기판(110)에 실장한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를 구동하고, 모니터(107)에 표시된 소망하는 정보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후, 같은 조작을 반복함에 의해, 모니터(107)에 표시된 스크롤 바를 이동시켜서 소망하는 정보 데이터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110)의 접속 패드(112a, 112b 및 113a, 113b)에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의 단자부(33, 38) 및 공통 단자(54)의 단자부(57, 59)가 각각 직접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적음과 함께, 높이 치수가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종래예와 같은 기대판이나 부착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 면적이 작은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을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프린트 기판(110)에서의 다른 전자 부품의 집적 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 2 실시 형태는,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콘택트(70)에 공통 단자(54)를 직접 접촉시키는 경우이다.
즉, 이너 콘택트(70)는, 원판(圓板)형상의 접촉부(72)의 외주 연부로부터 연재부(71)를 축심과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돌출하고 있다. 한편, 공통 단자(54)의 설편(55)의 선단 연부에는 탄성 접촉부(55a, 55a)를 편심시킨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콘택트(70)를 압입한 회전 조작체(60)(도 16)에,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를 삽입하여 조립함에 의해,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탄성 접촉부(31, 36)가 상기 이너 콘택트(70)의 연재부(71)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80)의 축받이부(82)의 압입 구멍(87c)에 상기 회전 신호용 공통 단자(54)의 접속 설편(55)을 압입함과 함께, 완부(83, 84)의 위치 결정 돌기(83a, 84a)에 연결부(56, 58)를 계지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축받이부(82)를 회전 조작체(60)의 일방측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하고, 완부(83, 84)의 감합용 돌기부(83b, 84b)를 제 1 베이스(20)의 팔받이부(23, 24)의 감합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하여 일체화하고, 상기 회전 조작체(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문에, 공통 단자(54)의 설편(55)에 마련한 탄성 접촉부(55a, 55a)가, 상기 이너 콘택트(70)의 접촉부(72)에 접촉한다(도 15A).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통 접촉편(50)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감소하고, 보다 한층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그외는 전출한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 형태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하 핀(21 및 81)을, 제 1 베이스(20)의 팔받이부(23) 및 제 2 베이스(80)의 완부(83)의 하면에 각각 돌설한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자의 바로 옆과 반대측에 압하 핀(21, 81)을 배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엄지손가락 1개로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를 온, 오프하기 쉽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그외는 전출한 제 1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 형태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110)의 표면에 솔더링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크게 다른 점에 관해 설명한다.
즉, 제 1 베이스(2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으로 돌출한 축부(22)의 양측에 팔받이부(23, 24)를 평행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상기 축부(22)는, 그 외주면 상단에, 조작 감촉용 스프링(45)을 압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홈(25)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접촉부(31, 36)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26a, 26b)(가이드 홈(26a)은 도시 생략)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부(22)의 선단면에는,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50)을 압입할 수 있는 압입 홈(27)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외주면 양측에 공통 접촉편(50)의 탄성 접촉부(51, 5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8a, 28b)(가이드 홈(28a)은 도시 생략)을 마련하고 있다. 한편, 상기 팔받이부(23, 24)의 윗면 연부에 위치 결정 돌기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그 선단 면에 감합용 돌기부(23b, 24b)(감합용 돌기부(23b)는 도시 생략)를 돌설하고 있다.
상기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은 상호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고, 후술하는 이너 콘택트(70)의 내주면에 활주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31, 36)와, 프린트 기판(110)의 접속 패드(112a, 112b)에 솔더링하기 위한 단자부(33, 38)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31, 36)는 이너 콘택트(70)의 연재부 내주면의 동일 부분에 접촉하지 않도록 길이가 다르다.
상기 빠짐방지용 커버(40)는, 제 1 베이스(20)의 측단면으로부터 삽입하여 고정함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들떠오름을 방지하고, 빠짐방지를 도모한다.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50)은, 후술하는 이너 콘택트(70)의 내주면에 항상 접촉하는 한 쌍의 탄성 접촉부(51, 52)를 갖고 있다. 상기 탄성 접촉부(51, 52)는 상기 이너 콘택트(70)의 내주면의 동일 부분에 접촉하지 않도록 길이가 다르다.
회전 조작체(60)는, 도 19 및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에 삽입 가능한 통체이고, 그 외주면의 중앙부에 회전 조작부(61)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 조작체(61)의 양측에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조작부(62, 63)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조작체(60)는, 그 내주면의 편측 연부에 클릭 느낌을 얻기 위한 돌조(64)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내주면의 중간부에 소정의 피치로 단부(도시 생략)를 형성하고 있다.
이너 콘택트(70)는, 통형상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그 편측 연부로부터 연재부(71)를 축심과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조작체(60)의 내주면에 압입함에 의해, 상기 연재부(71)의 사이에 상기 단부(65)가 위치하고,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재부(71)의 내주면이 상기 단부(65)와 동일면이 되어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
제 2 베이스(80)는, 그 하면에 압하 핀(81)(도 19B)을 돌출하는 한편, 상기 축부(22)에 대응하도록 축받이부(82)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베이스(20)의 팔받이부(23, 24)에 각각 대응하도록 한 쌍의 완부(83, 84)를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완부(83, 84)는, 그 선단면에 감합용 구멍(83c, 84c)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받이부(82)의 외향면에, 회전 신호용 공통 단자(54)의 접속용 설편(55)을 압입할 수 있는 슬릿(도시 생략)을 마련하는 한편, 그 내향면에 상기 슬릿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축부(22)를 감합하기 위한 감합 구멍(87b)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회전 신호용 공통 단자(54)는, 상기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50)에 압접하여 전기 접속된 접속용 설편(55)과, 이 접속용 설편(55)의 기부로부터 연재하는 한 쌍의 단자부(57, 59)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10)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의 외주면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 홈(26a, 26b)에,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탄성 접촉부(31, 36)를 각각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다. 또한, 상기 축부(22)의 가이드 홈(25)에 조작 감촉용 스프링(45)의 폭광부(46)를 압입함과 함께, 상기 축부(22)의 슬릿(27)에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50)을 압입하고, 가이드 홈(28a, 28b)에 탄성 접촉부(51, 52)를 조립한다. 뒤이어 상기 제 1 베이스(20)의 측단면에 빠짐방지용 커버(40)를 측방으로부터 조립함에 의해, 회전 신호용 공통 접촉편(30, 35)을 빠짐방지한다.
또한, 이너 콘택트(70)를 압입한 회전 조작체(60)에,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를 삽입하여 조립함에 의해, 회전 신호용 제 1, 제 2 접촉편(30, 35)의 탄성 접촉부(31, 36)가 상기 이너 콘택트(70)의 연재부(71)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통 접촉편(50)의 탄성 접촉부(51, 52)가 상기 이너 콘택트(70)의 연속하는 내주면에 각각 항상 접촉한다. 또한, 상기 조작 감촉용 스프링(45)이 회전 조작체(60)의 돌조(64)에 맞닿음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2 베이스(80)의 축받이부(82)에 상기 회전 신호용 공통 단자(54)의 접속 설편(55)을 압입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축받이부(82)를 회전 조작체(60)의 일방측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하고, 그 감합 구멍(87b)에 제 1 베이스(20)의 축부(22)를 감합한다. 그리고, 완부(83, 84)의 감합용 구멍(83c, 84c)에 제 1 베이스(20)의 팔받이부(23, 24)의 감합용 돌기부(23b, 24b)를 삽입하여 일체화한다. 이 때문에, 공통 단자(54)의 설편(55)이 공통 접촉편(50)에 압접하여 전기적 접속됨과 함께, 상기 회전 조작체(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제 1 실시 형태에서 도시한 프린트 기판의 접속 패드(112a, 112b 및 113a, 113b)에, 단자부(33, 38 및 57, 59)를 각각 위치 결정하여 솔더링함에 의해, 제 1 베이스(20) 및 제 2 베이스(80)의 압하 핀(21, 81)이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에 각각 맞닿는다. 그외는 전출한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설명 을 제 생략한다.
제 5 실시 형태는,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조작체(60)의 회전 조작부(61)로부터 가압 조작부(40, 88)를 독립시킨 경우이다. 상기 가압 조작부(40)는 제 1, 제 2 접촉편(30, 35)을 빠짐방지용 커버로서의 기능을 다하게 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압 조작부(40, 88)의 바로 아래에 압하 핀(21, 81)이 위치하고,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를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감촉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것은, 전술한 제 4 실시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히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6 실시 형태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20) 및 제 2 베이스(80)의 하면에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를 일체화한 경우이다.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로부터는 리드 단자(111c, 111d)가 각각 연재되고, 프린트 기판(110)의 접속 패드(112d, 113d)에 각각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를 각각 가압함과 함께, 리드 단자로서 기능하는 개략 J자형상의 탄성 조작편(29, 89)이 제 1 베이스(20) 및 제 2 베이스(80)에 각각 일체 성형되어 있다. 상기 탄성 조작편(29, 89)의 선단부(29a, 89a)는 프린트 기판(110)에 마련한 접속 패드(112c, 113c)에 각각 솔더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조작체(60)를 회전하여 전술한 휴대 전화(10)의 모니터(107) 내의 스크롤 바를 이동시킨 후, 상기 회전 조작체(60)를 압하함에 의해, 제 1 베이스(20) 및 제 2 베이스(80)가 하강하고, 탄성 조작편(29, 89)이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를 각각 구동함에 의해, 탄성 조작편(29, 89)의 선단부(29a, 89a) 및 리드 단자(111c, 111d)를 총하여 선택 결정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110)에 누름버튼 스위치(111a, 111b)를 실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110)의 배선 설계가 용이하게 되고, 집적 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 7 실시 형태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110)의 표면에 실장한 홀 IC(115a, 115b)(홀 소자라도 좋다)로 회전 조작체(60)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는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N극, S극을 교대로 배치하여 고리형상으로 형성한 영구 자석을 상기 회전 조작체(60)의 내부에 동일 축심상에 조립하고, 회전 조작체(60)를 회전시킴에 의해 자속의 변화를 상기 홀 IC(115a, 115b)로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자부(33, 38) 및 연결부(32, 35)만을 연결 일체화한 접촉편(39), 또한, 단자부(57, 59) 및 연결부(56, 58)만을 연결 일체화한 접촉편(54)을, 단순한 지지 스프링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110)에 접속 패드가 불필요하게 되고, 프린트 배선의 배선 설계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부 접점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외는 전출한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히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베이스 및 제 2 베 이스에 누름버튼 스위치 및 홀 소자를 각각 부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관한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은, 휴대 전화로 한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테두리체와,
    상기 테두리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통형상의 회전 조작체와,
    상기 회전 조작체의 내주면에 배치한 이너 콘택트에 접리하는 적어도 2개의 개폐용 탄성 접촉편과,
    상기 이너 콘택트에 항상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공통 탄성 접속편과,
    일단부로부터 연재한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테두리체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개폐용 탄성 접속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를 프린트 기판에 직접 위치 결정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개폐용 도전성 다리부와,
    일단부로부터 연재한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테두리체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공통 탄성 접속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를 프린트 기판에 직접 위치 결정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1개의 공통 도전성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성 다리부에 의해, 상기 회전 조작체와 일체로 상기 테두리체를 압하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2. 테두리체와,
    상기 테두리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통형상의 회전 조작체와,
    상기 회전 조작체의 내주면에 배치한 이너 콘택트에 접리하는 2개의 개폐용 탄성 접촉편과,
    상기 이너 콘택트에 항상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공통 탄성 접속편과,
    일단부로부터 연재한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테두리체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개폐용 탄성 접속편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를 프린트 기판에 직접 위치 결정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개폐용 도전성 다리부와,
    일단부로부터 연재한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테두리체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공통 탄성 접속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면, 타단부를 프린트 기판에 직접 위치 결정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공통 도전성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성 다리부에 의해, 상기 회전 조작체와 일체로 상기 테두리체를 압하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도전성 다리부의 자유단부가 2분할되고, 또한,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테두리체에, 회전 조작체의 회전을 자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자기 검출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이어서,
    테두리체의 하면에 누름버튼 스위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테두리체와, 상기 테두리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통형상의 회전 조작체와, 소정의 각도 피치로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 조작체 내에 동일 축심상에 조립한 원환형상 마그넷과, 상기 테두리체에 부착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개의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부를 프린트 기판에 직접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10. 삭제
KR1020067007085A 2003-10-20 2004-10-14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1033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9397A JP4363155B2 (ja) 2003-10-20 2003-10-20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03-00359397 2003-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562A KR20060095562A (ko) 2006-08-31
KR101033739B1 true KR101033739B1 (ko) 2011-05-09

Family

ID=3446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085A KR101033739B1 (ko) 2003-10-20 2004-10-14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12305B2 (ko)
EP (1) EP1686601A4 (ko)
JP (1) JP4363155B2 (ko)
KR (1) KR101033739B1 (ko)
CN (1) CN1871681A (ko)
WO (1) WO2005038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496B1 (ko) * 2006-03-31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7860538B2 (en) * 2006-02-28 2010-1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10219B1 (ko) * 2006-10-30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
KR101272342B1 (ko) * 2006-11-29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JP4327838B2 (ja) * 2006-12-04 2009-09-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0835142B1 (ko) * 2006-12-27 2008-06-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JP4978413B2 (ja) * 2007-10-15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操作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US8994504B1 (en) 2008-02-14 2015-03-31 Intermec Ip Corp. Utilization of motion and spatial identification in mobile RFID interrogator
US8237563B2 (en) * 2008-02-14 2012-08-07 Intermec Ip Corp. Utilization of motion and spatial identification in mobile RFID interrogator
US9007178B2 (en) 2008-02-14 2015-04-14 Intermec Ip Corp. Utilization of motion and spatial identification in RFID systems
US8248210B2 (en) * 2009-06-30 2012-08-21 Intermec Ip Corp.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the position, orientation, size, and movement of RFID tagged objects
US9176215B2 (en) 2012-03-22 2015-11-03 Intermec Ip Corp. Synthetic aperture RFID handheld with tag location capability
KR101423145B1 (ko) * 2013-01-14 2014-07-2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조작형 스위치 장치
GB201814039D0 (en) 2018-08-29 2018-10-10 Ilika Tech Ltd Method
JPWO2023188909A1 (ko) * 2022-03-30 2023-10-05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197A (ja) * 1999-11-02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2001148219A (ja) * 1999-11-19 2001-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型エンコー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操作型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1186A1 (de) 1973-06-19 1975-01-16 Bayer Ag Sulfoniumsalze von 1,4-dithien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zur regulierung des pflanzenwachstums
JP3951485B2 (ja) 1998-12-25 2007-08-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952642B2 (ja) * 1999-09-20 2007-08-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763711B2 (ja) * 1999-10-19 2006-04-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GB2357634B (en) * 1999-12-21 2003-07-16 Nokia Mobile Phones Ltd A switch
JP3869996B2 (ja) 2000-03-10 2007-0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US6989815B2 (en) * 2001-09-13 2006-01-24 E-Book Systems Pte Ltd. Method for flipping pages via electromechanical information browsing device
JP4002414B2 (ja) 2001-09-17 2007-10-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3109467A (ja) 2001-09-27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操作型電子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US7088348B2 (en) * 2003-07-14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Ergonomic pointing device
US7082323B2 (en) * 2004-02-17 2006-07-25 Speed Tech Corp. Mobile navigation device
JP4375055B2 (ja) * 2004-02-26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型エンコーダ
US7164891B2 (en) * 2004-04-07 2007-01-16 Speed Tech Corp. Roller construction with a sense of feel for a mobile navigation device
US7145557B2 (en) * 2004-06-09 2006-12-05 Speed Tech Corp. Roller construction with direction finding for a mobile navigation device
US6967293B1 (en) * 2004-07-21 2005-11-22 Speed Tech Corp. Roller construction module having an error prevention structure
US7212834B2 (en) * 2004-08-18 2007-05-01 Speed Tech Corp. Mobile device having an improved roller fe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197A (ja) * 1999-11-02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2001148219A (ja) * 1999-11-19 2001-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型エンコー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操作型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38844A1 (ja) 2005-04-28
KR20060095562A (ko) 2006-08-31
EP1686601A1 (en) 2006-08-02
CN1871681A (zh) 2006-11-29
JP4363155B2 (ja) 2009-11-11
JP2005123130A (ja) 2005-05-12
EP1686601A4 (en) 2008-04-30
US20070272530A1 (en) 2007-11-29
US7612305B2 (en)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739B1 (ko) 회전·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US6831629B2 (en) Pointing device
JP2004152495A (ja) 狭ピッチicパッケージ用icソケット
JP2006286458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311556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JP2007227337A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022973B1 (ko) 회전 및 가압 조작형 전자 부품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JP3814280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3217393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
KR101085291B1 (ko) 조작 입력 장치
JP4693892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5639869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8108911A (ja) 回転型可変抵抗器
JP4325727B1 (ja) 入力装置及び該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6310156A (ja) 照光付回転型電気部品
JP2005158315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250457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0180145A (ja) 位置検出用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