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027B1 - Posture correction chair - Google Patents
Posture correction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3027B1 KR101033027B1 KR1020070078125A KR20070078125A KR101033027B1 KR 101033027 B1 KR101033027 B1 KR 101033027B1 KR 1020070078125 A KR1020070078125 A KR 1020070078125A KR 20070078125 A KR20070078125 A KR 20070078125A KR 101033027 B1 KR101033027 B1 KR 1010330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disposed
- fix
- arm
- support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4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9 user support syste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는 자세교정유닛에 의해 좌판의 기울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경사진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키는 것과 아울러 좌판을 수평하게 유지시켜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세교정을 위한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된 사용자를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by the posture correction unit, not only corrects the posture of the user sitting on the inclined seat plate, but can also be used as a general chair by keeping the seat plate horizontal, Since the kneerest is disposed to support the us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for posture correction is mov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more sta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세보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의자로 사용됨과 아울러 자세를 보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세보정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correction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ture correction chair that can be used as a general chair and can selectivel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to correct posture.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평생을 살아가면서 적어도 20년 이상은 의자에 앉아서 생활을 하게 되고, 직종에 따라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일이나 공부를 해야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경우 앉는 자세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할 것이다.Most people spend at least 20 years in a chair and live in their lifetime,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job, they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work or study for a long time. something to do.
특히 나쁜 자세로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경우, 쉽게 피로해질 뿐만 아니라 척추 및 근육 등의 변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in a bad posture, not only easily fatigued, but also causes deformation of the spine and muscles.
그래서 최근에는 앉은 사람의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의자들이 생산되고 있고, 최근의 자세교정용 의자는 대부분 등받이를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설치함으로서 사용자의 등부분에 안정적으로 밀착됨과 아울러 밀착된 사용자의 척추를 상/하 방향으로 곧게 형성시키게 한다. Recently, chairs for straightening the spine of a sitting person have been produced. In recent years, the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has been installed by dividing the backrest into two or more parts so that the backrest of the user is stably adhered to the user's back and the user's back. To form a straight in the up / down direction.
그러나 등받이 부분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등받이에 몸을 기대 지지하지 않으면 자세의 교정효과가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user through the back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ture correction effect does not occur if the user does not lean on the back.
또한, 사용자가 엉덩이를 좌판의 안쪽에 깊숙이 넣지 않고, 전단에 엉덩이가 위치된 상태에서 등받이 부분에 몸을 기대는 경우,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눕는 형태가 되어 자세교정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put the hip deep inside the seat plate, and the body is leaned on the back portion while the hip is positioned on the front end, the user is in a form of lying down as a whole, so it is difficult to expect a posture correction effect.
본 발명은 일반의자로 사용됨과 아울러 자세를 보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세보정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ture correction chair that can be used as a general chair and can selectivel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to correct the posture.
본 발명은 받침몸체와, 상기 받침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좌판과, 상기 받침몸체와 상기 좌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시키는 자세교정유닛을 포함하는 자세교정의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ture correction chair comprising a support body, a seat plate disposed on the top of the support body, and a posture correc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seat plat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자세교정유닛은 상기 받침몸체에 고정된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좌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게 배치되는 무빙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동력모듈과,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되게 힌지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좌판에 고정되는 어퍼플 레이트와, 상기 어퍼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상대 회전시키는 앵글암을 포함할 수 있다. Posture correction unit is arranged between the moving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fix plate fixed to the supporting body, the fix plate and the seat plate is arranged to be a relative mo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ody, the fix plate and the moving plate and the A power module that provides a force for sliding the moving plate, an hinge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moving plate , and an upper plate fixed to the seat plate, and hing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fix plate,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n angle arm for relatively rotating the upper plate.
여기서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사이에는 슬라이드바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다른 한쪽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Here, a slide bar is disposed between the fix plate and the moving plate, and the slide bar is disposed on either one of the fix plate and the moving plate to generate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other side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have.
그리고 상기 동력모듈은 상기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 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직선이동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다른 한쪽에 고정된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module may include a cylinder fixed to one of the moving plate and the fix plate, and a piston linearly moved by hydraulic pressure of the cylinder and fixed to the other of the moving plate and the fix plate.
여기서 상기 어퍼플레이트에서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힌지연결된 부분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에서 상기 앵글암과 힌지연결된 부분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portion hinged to the moving plate in the upper plat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and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angle arm in the upper plate is disposed in the rear relative to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 body. Can be.
또한, 상기 앵글암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gle arm may be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그리고 상기 자세교정유닛에 의해 각도조절된 상기 좌판은 상기 픽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5° 내지 45°의 기울기를 형성시키게 배치되고, 상기 자세교정유닛은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전방측으로 이동되게 상기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시킬 수 있다. And the seat plate angle adjusted by the posture correction unit is arranged to form an inclination of 5 ° to 45 ° with respect to the fix plate, the posture correction unit is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so that the user's center of gravity is moved to the front side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받침몸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더 배치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받침몸체에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몸체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는 암과, 상기 암에 배치된 무릎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rmrest is disposed on the support body to support the knee of the user is further disposed, the arm rest relative to the support body so as to be folded on the support body, the arm is disposed on the arm It may include a knee cushion.
여기서 상기 무릎쿠션은 상기 암에 대하여 상대회전되게 배치되고, 상기 받침몸체 는 중심축을 형성시키는 높이조절유닛과,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레그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몸체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의 레그부와, 상기 각 레그부의 단측에서 분기되어 형성된 2개의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레그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knee cushion is disposed to rotate relative to the arm, the support body includes a height adjusting unit for forming a central axis, a plurality of legs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the knee rest is the leg It is dispos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part, the support body includes three legs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two legs formed branched from the short side of each leg portion, the knee support is between the legs Can be placed in.
더불어 상기 좌판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더 배치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좌판에 수납되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nee support is disposed on the seat plate to support the user's knees, the knee support may be arranged to be received in the seat plate.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는 자세교정유닛에 의해 좌판의 기울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경사진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좌판을 수평하게 유지시켜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Posture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is adjusted by the posture correction unit, not only has the effect of correctly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user sitting on the inclined seat plate can also be used as a general chair by keeping the seat plate horizontal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자세교정유닛의 동력모듈인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좌판이 자동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작동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at plate is automatically inclined by the hydraulic cylinder which is the power module of the posture correction unit, the operation is easy to operate.
또한 본 발명은 자세교정을 위한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된 사용자를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more stably because the kneerest is disposed to support the user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for posture cor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받침몸체 또는 좌판에 접혀져 수납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될 때 사용자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knee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knee is folded and received in the support body or seat plate,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user when used as a general chai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세교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일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자세교정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그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자세교정유닛의 개략적인 연결상태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8은 상기 자세교정유닛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ture correction unit shown in FIG. 1.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use example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illustrated in FIG. 2,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osture correction use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leg por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nection state of the posture correction unit shown in Figure 3,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sture correction uni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100)는 좌판(10)과, 상기 좌판(1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20)와,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판(10)을 지지하는 받침몸체(30)와, 상기 받침몸체(30)와 상기 좌판(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좌판(10)의 기울기를 조절시키는 자세교정유닛(50)과, 상기 받침몸체(30)에 배치되는 무릎받이(40)를 포함한다. 1 to 3,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좌판(10)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쿠션이 상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판(10)은 상기 쿠션(12)과, 상기 쿠션(12)의 하측에 배치되는 좌판플레이트(15)를 포함한다. The
상기 등받이(20)는 상기 좌판(10)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판(1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특히 상기 좌판플레이트(15)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플레이트(15)에는 상기 등받이(20)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등받이 완 충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받침몸체(30)는 바퀴(32)가 배치되는 레그부(34)와, 상기 레그부(34)와 상기 좌판(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35)을 포함한다. The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레그부(34)와 상기 좌판(10)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실린더 기구가 사용되고,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은 상기 레그부(34)의 축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좌판(10)에서 가해진 외력을 상기 레그부(34)의 각 부분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The
상기 레그부(34)는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이 배치된 축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레그(34b)로 형성된다. The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그부(34)는 중심축(C)에 대하여 120°간격으로 배치된 레그암(34a)과, 상기 각 레그암(34a)에 대하여 소정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방사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퀴(32)가 배치되는 레그(34b)를 포함한다. 1 and 6, the
여기서 상기 각 레그암(34a)의 사이각은 120°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C)에 대하여 상기 바퀴(32)는 60°간격으로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각 레그암(34a)에 배치된 각 바퀴(32)의 사이 각은 120°로 형성된다. Here, the angle between the
그래서 상기 레그암(34a)은 상기 높이조절유닛(35)에 대하여 3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레그암(34a)에 대하여 2개의 레그(34b)는 서로 120°의 사이 각을 형성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Thus, the
도 2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무릎받이(40)는 상기 레그부(34)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되게 배치된다. 2 or 6, the
여기서 상기 무릎받이(40)는 상기 레그암(34a)에 연결되고 상기 레그암(34a)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제 1 암(42)과, 상기 제 1 암(4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게 배치된 제 2 암(44)과, 상기 제 2 암(44)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게 배치된 무릎쿠션(46)을 포함한다. Here, the
상기 제 1 암(42)은 상기 제 1 힌지(42a)를 통해 상기 레그부(34)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암(42)의 외측단에 배치된 상기 제 2 암(44)은 상기 제 1 암(42)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되게 배치되며, 상기 무릎쿠션(46)은 상기 제 2 암(44)의 외측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암(44)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게 배치된다. The
여기서 상기 제 1 암(42)은 폴딩되었을 때에는 상기 레그부(34) 측으로 회전되어 접혀지고, 언폴딩되었을 때에는 상기 레그부(34)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진다. 특히 상기 제 1 암(42)은 펼쳐졌을 때, 상기 레그부(34)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제 1 암(42)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Here,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 2 암(44)이 펼쳐졌을 때에도 상기 제 1, 2 암(42)(44)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암(44)이 상기 제 1 암(42)에 대하여 소정 각도 이상 상대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더불어 상기 무릎쿠션(46)도 상기 제 2 암(44)과 상호 간섭되게 형성되어, 소정각도 이상 상대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In addition, the
그래서 상기 중심축(C)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언폴딩된 제 1, 2 암(42)(44) 및 무릎쿠션(46)은 상기 상호간섭들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무릎쿠션(46)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중심축(C) 측으로 접혀져 수납된다. Thus, the first and
그리고 무릎받이(40)는 상기 사용자의 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레그암(34a)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레그암(34a)은 상기 중심축(C)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바, 상기 제 1, 2 암(42)(44) 역시 상기 레그암(34a)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무릎쿠션(46)은 상기 레그암(34a)에서 연장된 레그(34b) 사이에 배치된다. The
그래서 상기 무릎쿠션(46)에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레그암(34a)과 상기 무릎받이(40)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축 선상에 배치되는 바, 상기 각 레그(34b)에 배치된 바퀴(32)에 동일하게 하중을 분배시킬 수 있다. Thus, when the user's weight is applied to the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무릎받이(40)가 상기 레그암(34a)과 교차되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무릎받이(4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상기 무릎받이(40)를 지지하는 레그암(34a)의 힘의 지지방향이 상이하여 모멘트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자세교정 의자(100)의 안정성이 저해된다. On the contrary, however, when the
또한, 사용자의 발은 착석 시 상기 레그암(34a)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이 상기 받침몸체(30)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된다. In addition, the foot of the user is disposed between the
한편, 상기 자세교정유닛(50)은 상기 좌판(1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자세교정유닛(50)은 상기 받침몸체(30)에 고정된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좌판(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몸체(30)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게 배치되는 무빙플레이트(54)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무빙플레이트(5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동력모듈과,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되게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좌판(10)에 고정되는 어퍼플레이트(55)와, 상기 어퍼플레이트(55)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기 어퍼플레이트(55)를 상대 회전시키는 앵글암(58)을 포함한다. 2 to 5, the
상기 픽스플레이트(52)는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의 상단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The
상기 동력모듈은 본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56)가 사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56)는 일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고정된다. The power module is a
여기서 상기 픽스플레이트(52)의 상측면에는 상기 유압실린더(56)의 일단이 고정되는 브래킷(52a)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압실린더(56)의 피스톤(56a)이 상기 브래킷(52a)에 고정되고, 실린더(56b)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고정된다.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래서 상기 유압실린더(56)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힘을 가하게 배치된다. Thus, the
그리고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은 상기 무빙플레이트(54)를 관통하게 배치되어 상기 어퍼플레이트(55)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58b)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힌지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앵글암(58)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연결된 타 단(58b)을 중심으로 상기 일단(58a)이 소정각도 각회전 되게 배치된다. One
여기서 상기 어퍼플레이트(55)에 힌지 연결된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은 좌판(10)의 무게중심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타단(58b)은 상기 좌판(10)의 후방 측, 즉 사용자의 무게중심 뒷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one
이는 후술하는 상기 자세조정유닛(50)의 작동과정에서 설명하겠지만, 사용자가 상기 좌판(10)에 앉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일단(58a)에 집중되게 함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상기 어퍼플레이트(55)는 하면에 형성된 브래킷(미도시)이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과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무빙플레이트(54)와 힌지(55a) 연결된다. The
상기 무빙플레이트(54)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의 상대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홀(54a)과, 상기 앵글암(58)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앵글홀(54b)과, 상기 유압실린더(56)가 고정되는 브래킷(미도시)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movin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의 상대 이동을 위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의 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픽스플레이트(52)를 감싸게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그래서 상기 슬라이드홀(54a)은 상기 무빙플레이트(54)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앵글홀(54b)은 상부에 배치된다. Thus, the
그리고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대하여 상기 무빙플레이트(54)가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의 측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홀(54a)을 관통하게 슬라이드바(60)가 배치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바(60)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고정되어 상기 슬 라이드홀(54a)을 관통하게 배치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면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슬라이드바(60)가 고정되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슬라이드바(60)가 삽입되게 배치시킬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어퍼플레이트(5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좌판(10)의 좌판플레이트(15)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무빙플레이트(5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픽스바(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픽스바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54)와 끼움 결합됨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4)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배치되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끼움 결합됨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4)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바는 상기 유압실린더(56)의 동력에 의해 상기 무빙플레이트(54)가 상대 이동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서, 상기 앵글암(58)이 회전되는 것을 제한시킨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fix bar (not shown) may be dispo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ving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될 때의 상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First, a state when used as a general chai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될 경우, 좌판(10)은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 상기 어퍼플레이트(55), 상기 무빙플레이트(54)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52)는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55)를 연결시키는 앵글암(58)은 최대한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다. When used as a general chair, the
여기서 상기 좌판(10)이 수평한 상태로 배치될 때에는 상기 픽스바가 상기 유압실 린더(56)의 힘보다 크게 작용되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55)를 결속시킨다. Here, when the
한편, 상기 좌판(10)이 수평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무빙플레이트(54)는 사용자의 전방 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즉, 상기 앵글암(58)이 수평과 유사한 각도로 눕혀지게 되면,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이 소정각도 전방 측으로 회전된 상태이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4)도 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무릎받이(40)는 일반의자로 사용될 때 상기 중심축(C) 측으로 접혀져 사용자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자세교정을 위한 작동과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Next, an operation process for posture corr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사용자가 상기 픽스바를 해제시켜, 상기 무빙플레이트(54)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56)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무빙플레이트(54)는 상기 등받이(20) 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x bar to release the fixing state of the mov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압실린더(56)는 상기 픽스바를 해제시켰을 때, 상기 피스톤(56a)을 인입시키면서 상기 길이를 축소시키고,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기 무빙플레이트(54)는 상기 등받이(20) 측으로 이동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여기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힌지 연결된 상기 어퍼플레이트(55)의 전방측 부분도 상기 등받이(20)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As the moving
이때, 상기 등받이(20) 측으로 당겨지는 어퍼플레이트(55)는 상기 앵글암(58)에 후방측 단이 구속된 상태로 상대 이동되는 바, 상기 어퍼플레이트(55)의 전방측단이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상대이동을 통해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은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상대 회전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55)는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에 의해 상승된다. At this time, the
그래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어퍼플레이트(55)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힌지 연결된 부분은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되지만, 후방 부분은 상승되는 바, 좌판(10)의 뒷부분을 상승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좌판의 기울기를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다. Thus,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좌판(10)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 상기 좌판(10)에 앉는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상기 중심축(C)부분에서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And when the
한편, 접혀져 있던 상기 무릎받이(40)의 제 1, 2 암(42)(44)을 전개시킴과 아울러 상기 무릎쿠션(46)을 회전시키면, 상기 무릎쿠션(46)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측을 향하게 되고, 사용자는 무릎을 상기 무릎쿠션(46)에 지지함으로서 전방으로 이동된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지지시킬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and
그래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릎받이(40)에 무릎을 지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척추를 비롯한 몸은 경사진 좌판(10)에서 넘어지지 않기 위해 곧게 세워짐으로서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Thus,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supports the knee to the
또한, 상기 좌판(10)은 상기 픽스플레이트(52)를 기준으로 5° 내지 45°의 기울기 를 형성시키는 것이 자세교정을 위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릎받이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knee res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릎받이(14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 1, 2 암(142)(144) 및 무릎쿠션(146)으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무릎받이(140)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좌판(10)에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개되어 상기 좌판(1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그리고 상기 좌판(10)에는 상기 제 1, 2 암(142)(14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receiv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여기서 상기 제 1 암(142)은 상기 수납홈을 슬라이드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좌판(10) 내부의 수납홈에서 걸림이 발생되게 하여, 소정 거리 이상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is case, the
상기 제 2 암(144)은 상기 제 1 암(14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무릎이 지지될 때,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소정 각도영역에서 상기 제 1 암(142)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힌지구조로 형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제 2 암(144)도 상기 수납홈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 2 암(144)이 수납될 때, 상기 제 2 암(144)은 상기 제 1 암(142)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 후, 상기 수납홈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삽입된다. Here, the
상기 무릎쿠션(146)은 상기 제 2 암(144)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 2 암(144)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암(144)에서 소정각도 영역 내에서만 회전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각도를 형성시킨다. 그래서 상기 무릎쿠션(146)은 상기 제 2 암(144)과 소정각도 영역 이상에서는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10) 측으로 수납될 때, 상기 무릎쿠션(146)도 상기 제 1, 2암(142)(144)과 나란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10) 측으로 이동된다. The
이하,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nd is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osture correcting ch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측면도이고, 2 is a side view of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세교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ture correction unit shown in FIG. 1,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일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eneral use example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자세교정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osture correcting example of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illustrated in FIG. 2;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그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leg portion shown in FIG.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자세교정유닛의 개략적인 연결상태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nection state of the posture correction unit shown in FIG.
도 8은 상기 자세교정유닛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osture correction unit;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릎받이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knee res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좌판 15 : 좌판플레이트10: seat plate 15: seat plate
20 : 등받이 30 : 받침몸체20: backrest 30: support body
32 : 바퀴 34 : 레그부32: wheel 34: leg portion
35 : 높이조절부 40 : 무릎받이35: height adjustment part 40: knee support
42 : 제 1 암 44 : 제 2 암42: first arm 44: second arm
46 : 무릎쿠션 50 : 자세교정유닛46: knee cushion 50: posture correction unit
52 : 픽스플레이트 54 : 무빙플레이트52: fix plate 54: moving plate
55 : 어퍼플레이트 56 : 유압실린더55: upper plate 56: hydraulic cylinder
58 : 앵글암 60 : 슬라이드바58: angle arm 60: slide bar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8125A KR101033027B1 (en) | 2007-08-03 | 2007-08-03 | Posture correction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8125A KR101033027B1 (en) | 2007-08-03 | 2007-08-03 | Posture correction 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952A KR20090013952A (en) | 2009-02-06 |
KR101033027B1 true KR101033027B1 (en) | 2011-05-09 |
Family
ID=4068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8125A KR101033027B1 (en) | 2007-08-03 | 2007-08-03 | Posture correction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3027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1675B1 (en) | 2012-11-01 | 2013-07-03 | 정대훈 | Chair with seat board of sliding device |
KR101514386B1 (en) | 2013-01-04 | 2015-04-22 | 정대훈 | Chair with waist exercise device |
KR20190014681A (en) | 2017-08-03 | 2019-02-1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Chair for correcting a posture |
WO2019045184A1 (en) * | 2017-08-31 | 2019-03-07 | 주식회사 컴포트 | Standing assist chair and wheelchair |
KR20190046362A (en) * | 2017-10-26 | 2019-05-07 | 오승윤 | Chair |
KR20190081416A (en) | 2017-12-29 | 2019-07-09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Chair for guiding correct posture |
KR20190108439A (en) | 2018-03-14 | 2019-09-24 | (주)에프에스알엔티 | Posture correcting device using pneumatic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00080414A (en) | 2018-12-19 | 2020-07-07 | (주)에프에스알엔티 | Posture correcting device using water pressur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20153325A (en) | 2021-05-11 | 2022-11-18 | 조형진 | posture correction chai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6038Y1 (en) * | 2010-10-20 | 2013-03-25 | 정상욱 | Variable shape chair by sitting posture |
WO2014137204A1 (en) * | 2013-03-08 | 2014-09-12 | Jung Daehoon | Chair having sliding device on seat board |
KR101447650B1 (en) * | 2013-04-24 | 2014-10-13 | 정대훈 | Chair with seat board of sliding device |
FR3069765B1 (en) * | 2017-08-03 | 2019-08-16 | Eddy Vercampt | ERGONOMIC SEAT ADJUSTABLE |
KR102273575B1 (en) | 2020-03-19 | 2021-07-06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chair for correcting pos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7265Y1 (en) * | 2000-06-14 | 2000-12-15 | 이길남 | Backbone reformation chair |
KR20020007265A (en) * | 2001-11-28 | 2002-01-26 | 김선집 | Organics and nitrogen removal system in wastewater using phase separation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rocesses packed with cell-immobilized carriers |
KR200298253Y1 (en) * | 2002-09-18 | 2002-12-16 | 노주석 | Chair for the spine reform |
KR20040001895A (en) * | 2002-06-29 | 2004-01-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abricating gate electrode in semiconductor device |
KR200401895Y1 (en) * | 2005-09-02 | 2005-11-22 |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 Chair for casino dealer |
-
2007
- 2007-08-03 KR KR1020070078125A patent/KR10103302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7265Y1 (en) * | 2000-06-14 | 2000-12-15 | 이길남 | Backbone reformation chair |
KR20020007265A (en) * | 2001-11-28 | 2002-01-26 | 김선집 | Organics and nitrogen removal system in wastewater using phase separation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rocesses packed with cell-immobilized carriers |
KR20040001895A (en) * | 2002-06-29 | 2004-01-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abricating gate electrode in semiconductor device |
KR200298253Y1 (en) * | 2002-09-18 | 2002-12-16 | 노주석 | Chair for the spine reform |
KR200401895Y1 (en) * | 2005-09-02 | 2005-11-22 |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 Chair for casino dealer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1675B1 (en) | 2012-11-01 | 2013-07-03 | 정대훈 | Chair with seat board of sliding device |
KR101514386B1 (en) | 2013-01-04 | 2015-04-22 | 정대훈 | Chair with waist exercise device |
KR20190014681A (en) | 2017-08-03 | 2019-02-1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Chair for correcting a posture |
WO2019045184A1 (en) * | 2017-08-31 | 2019-03-07 | 주식회사 컴포트 | Standing assist chair and wheelchair |
JP2020531229A (en) * | 2017-08-31 | 2020-11-05 | エイチアンドイ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Standing chair and wheelchair |
KR20190046362A (en) * | 2017-10-26 | 2019-05-07 | 오승윤 | Chair |
KR102050584B1 (en) * | 2017-10-26 | 2019-12-02 | 오승윤 | Chair |
KR20190081416A (en) | 2017-12-29 | 2019-07-09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Chair for guiding correct posture |
KR20190108439A (en) | 2018-03-14 | 2019-09-24 | (주)에프에스알엔티 | Posture correcting device using pneumatic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00080414A (en) | 2018-12-19 | 2020-07-07 | (주)에프에스알엔티 | Posture correcting device using water pressur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20153325A (en) | 2021-05-11 | 2022-11-18 | 조형진 | posture correction 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952A (en) | 2009-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3027B1 (en) | Posture correction chair | |
US6752459B2 (en) | Adjustable chair | |
JP5116039B2 (en) | Seated personal rest support equipment | |
US5971485A (en) | Adjustable, folding chair for massage | |
US6923503B2 (en) |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 |
JP5892836B2 (en) | Chair type massage machine | |
KR101658486B1 (en) | Chair Having Apparatus For Body Streching | |
JP2009520543A5 (en) | ||
JP7411628B2 (en) | Push-up mechanism and chair | |
US11602469B2 (en) | Lifting mechanism and chairs | |
US6676206B2 (en) | Rocking, reclining, folding chair | |
KR101418235B1 (en) | Folding chair for fishing | |
KR100886181B1 (en) | Chair for the disabled | |
KR101213877B1 (en) | Chair that feet-prop is included | |
US20230210704A1 (en) | Lifting mechanism and chanirs | |
US20100263125A1 (en) | Embedded headrest assembly for a massage table | |
KR20100103233A (en) | A collapsible chair | |
KR101558413B1 (en) | Titing device of chair | |
US20240382359A1 (en) | Chair with a Lift Mechanism | |
CN110558760B (en) | Chair assembly structure | |
CN215076922U (en) | Self-adaptive sliding support type chair | |
JP5745459B2 (en) | Chair type massage machine | |
RU2683972C1 (en) | Mechanism of rising the stands for legs in the folding seat | |
JP2004113454A (en) | Chair | |
NO342753B1 (en) | Motorized adjustable back support for recl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