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641B1 -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 - Google Patents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641B1
KR101029641B1 KR1020030082786A KR20030082786A KR101029641B1 KR 101029641 B1 KR101029641 B1 KR 101029641B1 KR 1020030082786 A KR1020030082786 A KR 1020030082786A KR 20030082786 A KR20030082786 A KR 20030082786A KR 101029641 B1 KR101029641 B1 KR 101029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excavator
rock
face plate
cutt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017A (ko
Inventor
조해규
박태동
남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8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64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42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the shield having means for additional processing at the front end
    • E21D9/0657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the shield having means for additional processing at the front end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rock crush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92Cutter drive sh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8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반 및 지층을 굴착하는 터널공사용 굴진기로서, 굴진기 전면에 설치되어 암반 및 지층을 깎는 복수개의 커터가 설치된 커터면판, 상기 커터면판의 후방에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진 원뿔모양의 내측크러셔, 및 상기 내측크러셔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크러셔의 고정축과 편심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내측크러셔와 부분적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커터에 의해 1차로 파쇄된 암석을 잘게 부수는 외측크러셔를 포함한다. 이 굴진기는 외측크러셔의 편심회전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이용하여 암석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TUNNELING MACHINE}
도 1은 종래 굴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 굴진기에 장착된 분쇄기를 정면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굴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굴진기에 장착된 분쇄기를 정면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굴진기의 동력전달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굴진기 210 : 커터면판
211 : 커터 212 : 통공
220 : 분쇄기 221 : 외측크러셔
222 : 내측크러셔 230 : 턴테이블베어링
240 : 구동장치
본 발명은 터널공사에 사용되는 굴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석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선 또는 통신선의 지하매설을 위해 터널공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도 1은 터널공사에 사용되는 종래 굴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분쇄기를 정면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굴진기(100)는 터널공사에 용이하게 원기둥 형태로 되어 있다. 굴진기(10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커터(111)가 결합된 커터면판(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터면판(110)의 뒤쪽으로는 분쇄기(120)가 설치되어 있다. 커터면판(110)의 중간중간에는 분쇄기(120)로 소통되는 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분쇄기(120)는 구동장치(130)에 의해 회전되는 외측크러셔(121)와 굴진기(100)의 몸체에 고정 설치된 내측크러셔(122)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크러셔(121)는 굴진기(100) 내부에 장착된 구동장치(130)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굴진기(100)의 전면에 설치된 커터면판(110)은 외측크러셔(121)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크러셔(121)가 구동장치(130)에 의해 회전하면 이 커터면판(110)도 함께 회전한다. 커터면판(110)은 굴진기(100)의 전면에서 암석을 파쇄하고, 분쇄기(120)는 커터면판(110)에 의해 1차로 파쇄된 암석을 잘게 부순다.
분쇄기(120)의 외측크러셔(121)와 내측크러셔(122)는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다. 외측크러셔(121)와 내측크러셔(122)의 경사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날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크러셔(121)는 회전하고 내측크러셔(122)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쇄기(120)로 유입된 암석은 외측크러셔(121)와 내측크러셔(12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분쇄된다.
그러나, 외측크러셔(121)와 내측크러셔(122)의 틈새간격이 원주방향으로 모두 동일하여 이 틈새간격과 동일한 크기의 암석이 분쇄되지 않고 틈새에 끼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암석이 외측크러셔(121)와 내측크러셔(122) 사이에 끼게 되면 다른 암석의 분쇄작업을 방해하며, 외측크러셔(121)는 사이에 낀 암석을 제거하기 위해 보다 큰 토크로 회전하여야 한다. 그러나, 크러셔가 큰 토크로 회전하게 되면, 굴진기가 크러셔의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롤링현상이 발생되어 굴진효율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암석이 분쇄기의 외측크러셔와 내측크러셔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은 동력으로 높은 토크를 얻을 수 있는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암반 및 지층을 굴착하는 터널공사용 굴진기로서, 굴진기 전면에 설치되어 암반 및 지층을 깎는 복수개의 커터가 설치된 커터면 판, 상기 커터면판의 후방에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진 원뿔모양의 내측크러셔, 및 상기 내측크러셔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크러셔의 고정축과 편심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내측크러셔와 부분적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커터에 의해 1차로 파쇄된 암석을 잘게 부수는 외측크러셔를 포함하는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굴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굴진기에 장착된 분쇄기를 정면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굴진기의 동력전달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굴진기(200)에는 커터면판(210), 분쇄기(220), 턴테이블베어링(230), 구동장치(240) 등이 장착되어 있다. 커터면판(210)은 굴진기(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분쇄기(220)는 이 커터면판(210)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베어링(230)과 구동장치(240)는 각각 분쇄기(220)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커터면판(210)에는 원뿔 모양으로 된 2개의 커터(2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터(211)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쐐기가 돌출되어 있다. 커터(211)는 원주면에 형성된 쐐기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커터면판(210)에 비스듬히 장착된다. 한편, 커터면판(210)의 정 중앙에는 전면을 향해 돌출된 고정축(213)이 결합되어 있다. 이 고정축(213)은 굴진작업시 굴진기(200)의 방향성을 안정화시키고 중심부에 위치한 토사나 암석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커터면판(210)의 중 간중간에는 복수개의 통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212)으로는 커터면판(210) 전면에서 파쇄된 토사 또는 암석이 유입된다.
커터면판(210)의 뒤쪽으로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간에 분쇄기(220)가 장착된다. 분쇄기(220)는 외측크러셔(221)와 내측크러셔(222)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크러셔(221)는 굴진기(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나 내측크러셔(222)는 굴진기(200)에 고정 설치된다. 외측크러셔(221)는 굴진기(200)의 전면에 설치된 커터면판(210)과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한편, 외측크러셔(221)와 내측크러셔(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중심축을 갖는다. 따라서, 외측크러셔(221)와 내측크러셔(222)의 원주면이 접하는 거리는 항상 일정하지 않고 대칭축을 중심으로 달라진다. 외측크러셔(221)의 내주면은 굴진기(200) 뒤쪽으로 갈수록 개방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내측크러셔(222)는 굴진기(200) 뒤쪽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외측크러셔(221)와 내측크러셔(222)가 형성하는 틈새는 전체적으로 굴진기(200)의 뒤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외측크러셔(221)는 턴테이블베어링(230)과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턴테이블베어링(230)은 굴진기(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베어링(230)의 내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내주면에는 구동장치(240)가 치합되어 있다. 도 5는 턴테이블베어링(230)과 구동장치(240)와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구동장치(240)가 턴테이블베어링(230)에 치합되어 있다. 각 구동장치(240)는 동일한 출력과 회전속도로 턴테이블베어링(230)을 회전시킨다. 턴테이블베어링(230)이 회전되면 외측크러셔(221)와 이 외측크러셔(221)에 결합된 커터면판(210)이 모두 함께 회전된다.
턴테이블베어링(230)에 복수의 구동장치(230)를 설치한 이유는 턴테이블베어링(230)에 외측크러셔(221)와 커터면판(210)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부재들이 암석을 깨거나 분쇄하는 비교적 큰 토크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동장치(240)의 숫자는 구동장치(240)의 출력토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굴진기(200) 내측에는 외측크러셔(221)와 내측크러셔(222)가 형성하는 틈새로부터 시작하여 굴진기(200) 뒤쪽으로 연결된 배출관(25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굴진기(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굴진기(200)가 막장에 설치되어 굴착할 곳까지 이동되면, 굴진기(200)에 설치된 구동장치(240)가 작동된다. 그러면, 구동장치(240)와 치합된 테이블베어링(230)이 회전되고 이 테이블베어링(230)과 체결된 외측크러셔(221)와 커터면판(210)이 회전된다.
커터면판(210)의 전면에 설치된 커터(211)는 외측크러셔(22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막장내의 암반과 지층을 깎아낸다. 이때, 커터(211)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므로 암석을 깨뜨림과 동시에 깨뜨린 암석을 굴진기(200) 내측으로 유입시킨다. 굴진기(200) 내부로 유입된 암석은 분쇄기(220)로 빨려 들어가 분쇄된다. 이때, 외측크러셔(221)와 내측크러셔(222)의 틈새공간보다 큰 암석은 분쇄되고 작은 것은 그대로 통과되어 내측크러셔(222) 뒤쪽에 마련된 배출관(250)을 통해 굴 진기(2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한편, 외측크러셔(22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크러셔(222)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어, 외측크러셔(221)와 내측크러셔(222)의 틈새간격이 원주방향으로 각기 다르다. 따라서, 외측크러셔(221)와 내측크러셔(222)의 틈새에 혹 암석 등이 끼워져도 암석이 외측크러셔(221)와 함께 회전되면서 암석보다 큰 틈새를 통해 빠져나가거나 좁아진 틈새를 지나면서 분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굴진기는 외측크러셔와 내측크러셔의 틈새에 암석이 끼워져 분쇄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외측크러셔의 편심회전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이용하여 암석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 편심 분쇄기를 갖는 굴진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1. 암반 및 지층을 굴착하는 터널공사용 굴진기로서,
    굴진기 전면에 설치되어 암반 및 지층을 깎는 복수개의 커터가 설치된 커터면판과;
    상기 커터면판의 후방에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진 원뿔모양의 내측크러셔와;
    상기 내측크러셔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크러셔의 고정축과 편심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내측크러셔와 부분적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커터에 의해 1차로 파쇄된 암석을 잘게 부수는 외측크러셔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터면판은 상기 외측크러셔와 연결되어 상기 외측크러셔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
  2. 삭제
KR1020030082786A 2003-11-20 2003-11-20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 KR101029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786A KR101029641B1 (ko) 2003-11-20 2003-11-20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786A KR101029641B1 (ko) 2003-11-20 2003-11-20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017A KR20050049017A (ko) 2005-05-25
KR101029641B1 true KR101029641B1 (ko) 2011-04-15

Family

ID=3724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786A KR101029641B1 (ko) 2003-11-20 2003-11-20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6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693U (ko) 1985-09-26 1987-04-07
JPH11303586A (ja) 1998-04-17 1999-11-02 Iseki Poly Tech Inc 掘進機
KR100322624B1 (ko) 1999-10-07 2002-03-18 이계철 전방통 출입이 가능한 터널 굴진기
KR100335245B1 (ko) 1999-10-07 2002-05-06 이계철 하부 암편 제거수단을 구비한 터널 굴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693U (ko) 1985-09-26 1987-04-07
JPH11303586A (ja) 1998-04-17 1999-11-02 Iseki Poly Tech Inc 掘進機
KR100322624B1 (ko) 1999-10-07 2002-03-18 이계철 전방통 출입이 가능한 터널 굴진기
KR100335245B1 (ko) 1999-10-07 2002-05-06 이계철 하부 암편 제거수단을 구비한 터널 굴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017A (ko)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4465B2 (ja) 材料を粉砕掘削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63874B1 (ko) 단일 원반 절삭 롤러들을 갖춘 하이드로밀 휠
JPH02144412A (ja) 溝壁カッター
JP3184823B2 (ja) 掘進機
CN103703215B (zh) 挖掘装置
CN112682057B (zh) 一种适用于极硬岩地层下的掘进机刀盘
CN112360494B (zh) 一种翻折式顶管机刀盘
JP4851632B1 (ja) 既存杭の破砕除去装置および既存杭の破砕除去方法
KR101029641B1 (ko) 편심 분쇄기가 장착된 굴진기
JPS6015838Y2 (ja) シ−ルド掘進機の粗大固形物排出装置
JP2918500B2 (ja) 掘進機
CN110985033A (zh) 一种n个刀头金刚石或pdc钻头顶管机刀盘
JPH0439352Y2 (ko)
CN214366076U (zh) 一种滚刀及使用该滚刀的切削装置
JP2002138795A (ja) 地中掘削機
JPS6141839Y2 (ko)
JPH0791181A (ja) 掘削機
JP3153332B2 (ja) シールド掘削装置
JP3778830B2 (ja) 掘進機
JPH11148288A (ja) 掘削装置
JPS637496A (ja) 礫用シ−ルド掘進機
KR100829075B1 (ko) 편심 크러셔를 구비한 터널 굴진기
JP2004346550A (ja) シールド掘進機
JP2003013693A (ja) シールド装置
JP2004019301A (ja) トンネル掘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1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