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242B1 - Multi fuctional multi concent - Google Patents
Multi fuctional multi conc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6242B1 KR101026242B1 KR1020080123502A KR20080123502A KR101026242B1 KR 101026242 B1 KR101026242 B1 KR 101026242B1 KR 1020080123502 A KR1020080123502 A KR 1020080123502A KR 20080123502 A KR20080123502 A KR 20080123502A KR 101026242 B1 KR101026242 B1 KR 1010262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floor
- delete delete
- present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1270131 Agaricus moeller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 A47B2021/068—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with pop-up power outl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00/0082—Cable inlet in worktop or desk, e.g. grommet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ulti-outlet.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각종 가구(예: 책상, 테이블, 싱크대 등)나 바닥(마루) 또는 벽면이나 천장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ariety of furniture (for example, desk, table, sink, etc.) or floor (floor) or built-in wall or ceiling to connect the power and LAN lines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if used outside To protrude into, and when not in use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is provided with a multi-outlet 20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seen neat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종 가구나 바닥 또는 벽이나 천장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특히 멀티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built-in on various furniture or floor or wall or ceiling to connect the power and LAN lines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in particular when using a multi-outlet to protrude, when not in use By inserting it, the exterior can be seen neatly, which greatly improves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so that consumers can plant a good image.
멀티 콘센트, 하우징, 콘센트정렬구, 콘센트수납구. Multi outlet, housing, outlet alignment, outlet stor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가구나 바닥 또는 벽이나 천장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특히 멀티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multi-outlet,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talled in a variety of furniture or floors or walls or ceilings to connect the power and LAN lines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but in particular when using a multi-outlet And when not in use,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seen neatly,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to allow consumers to plant a good image.
주지하다시피 콘센트[receptacle]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 그 종류가 많고, 벽이나 바닥에 설치하거나 또는 노출형과 매설형이 있다. As is well known, a receptacle is a device that inserts a plug by connecting it to a wire to connect a cord used indoors in an indoor wiring of electricity. There are many kinds, and it is installed on a wall or a floor, or is exposed and buried. There is this.
상기한 콘센트는 기술적 진보를 거쳐 최근에는 다량의 플러그를 꽃아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콘세트가 출현 되었다.The above-described outlet has undergone technological advances, and recently, a multi-conset having a large amount of plugs can be used.
그러나 상기 멀티 콘센트는 외부로 노출된 관계로 외관상 지저분하고 또한 공간을 점유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However, since the multi-outlet is exposed to the outside, a problem arises in that it looks dirty and occupies a space.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멀티콘센트를 구성함에 있어, 테이블 혹은 데스크에 멀티 콘센트를 삽입하기 위한 홀을 구성하고, 멀티 컨센트의 사용시에는 홀에 삽입된 멀티 컨센트를 신장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홀에 삽입시키도록 구성한 리트랙터블 전원, 통신아웃렛 장치(특허문헌 US 6,234,812 B1)가 등록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a multi-outlet for supplying power to a computer or other home appliances, as shown in FIG. 1, a hole for inserting a multi-outlet into a table or a desk, When the outlet is used, a retractable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outlet device (Patent Document US 6,234,812 B1) configured to extend and use the multi-outlet inserted into the hole and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when not in use has been registered.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테이블 책상과 같은 작업면에 거치를 위해 적당한 철회 가능한 힘과 커뮤니케이션 출구 배열. 철회 가능한 전원 출구 철회 가능한 커뮤니케이션의 첫번째 유형은 작업 면에 있는 구멍으로 삽입을 위한 바닥이 없는 설치 컵을 포함한다. 설치 컵은 편평한 원형 탑 에지 및 실린더를 포함한다. 2개의 강저는 가이드로 실린더 안쪽에 형성되고 실린더의 상단에서 실린더의 밑바닥까지 연장한다. 힘 또는 커뮤니케이션 출구 배열의 첫 번째 유형은 장착 브래킷을 포함한다. 장착 브래킷은 2개의 반대 반원형 노치가 있는 원형 편평 정점을 포함한다. 설치 브라켓트 편평 정점은 설치 컵의 정상의 직경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하여 크기가 나타난다. 설치 브라켓트로 완전하게 형성해 편평 정점은 힘 또는 커뮤니케이션 지구 거치를 위해 2의 2개의 줄에 있는 편평한 성분에서 연장하는 4개의 거치 나무못을 포함하는 경도로 늘이는 편평한 성분이다. 철회 가능한 전원 출구 커뮤니케이션 배열의 두번째 유형은 편평한 부착 성분을 생략하고 바닥이 없는 설치 컵, 설치 모자 및 힘 또는 커뮤니케이션 지구를 포함한 다. 배열의 두번째 유형을 위한 설치 컵은 다양한 길이에서 늘이는 3개의 경도 능선 및 실린더에 있는 선반을 포함한다.That is, the prior art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a retractable force and communication exit arrangement suitable for mounting on a work surface such as a table desk. Retractable Power Outlet The first type of retractable communication includes a bottomless mounting cup for insertion into a hole in the work surface. The installation cup includes a flat circular top edge and a cylinder. Two grooves are formed inside the cylinder with a guide and extend from the top of the cylinder to the bottom of the cylinder. The first type of power or communication outlet arrangement includes a mounting bracket.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circular flat top with two opposite semicircular notches. The mounting bracket flat top is sized to partially cover the diameter of the top of the mounting cup. Completely formed with mounting brackets, the flat top is a flat element that extends longitudinally containing four mounting pegs that extend from the flat element in two rows of two for mounting power or communication strips. The second type of retractable power outlet communication array omits flat attachment elements and includes bottomless mounting cups, mounting caps, and power or communication strips. Mounting cups for the second type of arrangement include three longitudinal ridges extending in varying lengths and shelves in cylinders.
상기한 기술적 구성중 도면 부호 2는 데스크(책상), 4는 컴퓨터, 6은 파워코드, 8은 환형띠, 10은 콘센트정렬구, 15는 반원형홈이다.In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2 is a desk, 4 is a computer, 6 is a power cord, 8 is an annular strip, 10 is an outlet alignment port, and 15 is a semicircular groov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lso has many problems as follows.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테이블 또는 데스크에만 아웃렛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벽이나 천장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on a wall or a ceiling because the outlet device is installed and used only on a table or a desk.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아웃렛 장치를 사용자가 직접 잡아 뽑아야 하는 수동 작동이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a manual operation that the user must pull out the outlet device directly.
그리고 상기 종래의 기술은 아웃렛 장치를 상부로 인출시켜야만 플러그를 꽃아 사용할 수 있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n inconvenience that the plug can be used only when the outlet device is pulled out.
아울러 상기 종래의 기술은 사방이 아닌 정면에만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다는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lso caused an inconvenience that can be used by plugging only the front, not all around.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의 아웃렛 장치는 외부로 높게 돌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제약을 받는 동시에 지지력이 약하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outlet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has to be protruded to the outside, a problem arises that the support force is weak and at the same time it is restricted in use.
마지막으로 상기 종래의 아웃렛 장치는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Finally, the conventional outlet apparatus is structurally very complicated, resulting in a great problem of deterioration of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멀티 콘센트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멀티 콘센트는 각종 가구나 바닥 또는 벽이나 천장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특히 멀티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멀티 콘센트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멀티 콘센트를 외부로 인출시키지 않고도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멀티 콘세트의 저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플러그를 꽃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멀티 콘센트를 외부로 높게 돌출시키지 않고도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멀티 콘센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bject is provided with a multi-outlet, the second purpose is the multi-outlet is a built-in type of furniture or floor or wall or ceiling It is installed to connect the power and LAN line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but especially when using a multi-outlet to protrude, and when not in use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seen neatly, the third purpose is The fourth purpose is to allow the plug to be automatically and conveniently operated, and the fourth purpose is to allow the plug to be used without having to take out the multiple outlet to the outside. The fifth purpose is to connect the plug to all sides except the bottom of the multi-conset. It is to be able to use flower, and the sixth purpose is not to protrude the multi-outlet high The plug-in is designed to be plugged in, and the seventh objective is to make it simple to construct and to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It offers a multi-functional multi-outlet for good images.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가구(예: 책상, 테이블, 싱크대 등)나 바닥(마루) 또는 벽면이나 천장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하 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멀티 콘센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ariety of furniture (for example, desk, table, sink, etc.) or floor (floor) or wall or ceiling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and LAN lines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In the case of protruding to the outside, when not in use to insert the inside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multi-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outlet is provided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seen neatly.
또한 본 발명은 각종 가구(예: 책상, 테이블, 싱크대 등)나 바닥(마루) 또는 벽면이나 천장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사용할 경우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멀티 콘센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ariety of furniture (for example, desk, table, sink, etc.) or floor (floor) or wall or ceiling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LAN lines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if used, the rotating shaft It provides a multi-functional multi-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outlet is provided so that the appearance is neatly visible by rotating to the center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when not in use to rotate around the axis of rotation to insert into the inside.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outlet.
상기한 기술적 구성의 멀티 콘센트는 각종 가구나 바닥 또는 벽이나 천장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특히 멀티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multi-outlet of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is installed in a variety of furniture or floor or wall or ceiling to connect the power and LAN lines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especially when using a multi-outlet protrudes, when not in use It is inserted so that the exterior can be seen neatly.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conveniently operate the multi-outlet automatically.
그리고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를 외부로 인출시키지 않고도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plug in without using a multi-outlet out.
본 발명은 또한 멀티 콘세트의 저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플러그를 꽃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the plug to be used on all sides except the bottom of the multi-conset.
아울러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를 외부로 높게 돌출시키지 않고도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plug in without using a multi-outlet protrudes high.
더하여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due to the above-described effect so that consumers can plant a good image.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effect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는 도 2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Multifunction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s 2 to 12.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following terms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and their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먼저, 본 발명은 각종 가구(예: 책상, 테이블, 싱크대 등)나 바닥(마루) 또는 벽면이나 천장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2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ariety of furniture (for example, desk, table, sink, etc.) or floor (floor) or wall or ceiling built-in to connect the power and LAN lines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if used outside To be protruded to, and when not in use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ulti-outlet 20 to make it look neat appearanc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즉,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멀티 콘센트(20)는, 가구, 바닥(마루), 벽면, 천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곳에 고정 설치되는 마감링(22)이 구비되며, 이때 마감링(2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2a)가 형성된다.That is, the multi-outlet 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또한 상기 마감링(22)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내부에 가이드돌기(21a)가 형성된 하우징(21)이 구비되며, 이때 하우징(21)의 내주면에는 나사부(21b)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22a)와 상호 체결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외부로 인출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콘센트정렬구(25)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콘센트정렬구(25)의 정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게 설치되는 랜선접속구, 커넥터접속구, 콘센트(23)가 조립 설치된다.And the front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감링(22)의 상면 일측에는 제1힌지축(24c)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보조커버(24b) 및 상기 마감링(22)의 상면 타측에는 제2힌지축(24a)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메인커버(24)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이때 상기 제1힌지축(24c)의 외주면에는 하강된 보조커버(24b)의 외력을 제 거하면 다시 원상복귀 되도록 비틀림코일스프링(29)이 조립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콘센트정렬구(25)의 상면에는 메인커버를 오픈시킨 후 플러그를 꽃을 수 있는 콘센트(23)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to provide an
그리고 상기 콘센트정렬구(25)의 정면 상단에는 콘센트정렬구를 잡아 뽑을 때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25a)가 구비된다.In addition, an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콘센트정렬구(25)에 설치된 콘센트(23)는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거나 뽑기 쉽게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으로, 약 10∼20도 정도의 경사각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멀티 콘센트(20)는 버튼(30)을 누르면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outlet 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ise and fall by pressing the
즉, 상기 자동으로 작동하는 멀티 콘센트(2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와 연결된 샤프트(32)가 콘센트정렬구(25)의 외주면에 돌출된 연장돌기(33)에 체결되어 정,역 회전함에 따라 콘센트정렬구(25)를 인출 및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That is, the automatically operated multi-outlet 20 has an
또한 본 발명은 도 5 와 같이 상기 샤프트(32)가 콘센트정렬구(25)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2)가 콘센트정렬구(25)의 양측으로 돌출된 연장돌기(33)에 각각 체결되되, 상기 각 샤프트(32)의 하단에는 보조기어(36)가 설치됨과 아울러 양 보조기어(36)의 사이에는 상호 맞물린 상태로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해 보조기어(36)를 회전시키는 메인기어(35)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정렬구(25)에 고정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26)에 다수의 콘센트(23)를 조립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콘센트(23)가 조립된 프레임(26)을 볼트(27)로 콘센트정렬구(25)에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e is fixed to the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콘센트정렬구(25)의 정면 양단에는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몰딩(28)이 조립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기능 멀티 콘센트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multi-outl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2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b)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며, (c)는 플러그가 꽂힌 멀티 콘센트가 삽입된 상태도이고, (d)는 멀티 콘센트의 평면도이며, (e)는 멀티 콘센트의 단면도이다.Before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state diagram before drawing out the multi-outlet,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out the multi-outlet, (c) is a plug inserted multi-outlet (D) is a top view of a multi-outlet, (e) is sectional drawing of a multi-outlet.
그리고 도 3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벽면에서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b)는 멀티 콘센트를 벽면에서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And (a) of FIG. 3 is a state figure before drawing out a multi-outlet from a wall surface, (b) is a state figure after drawing out a multi-outlet from a wall surface.
아울러 도 4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천장에서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b)는 멀티 콘센트를 천장에서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4A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multi-outlet is withdrawn from the ceiling, and (b) is a state diagram after the multi-outlet is withdrawn from the ceiling.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즉, 본 발명에 적용된 멀티 콘센트(2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 이 각종 가구(예: 책상, 테이블, 싱크대 등)(도2)나 바닥(마루)(도2) 또는 벽면(도3)이나 천장(도4)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multi-outlet 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furniture (eg, desk, table, sink, etc.) (Fig. 2) or floor (floor) (Fig. 2) or wall surface as shown in Figs. (Fig. 3) or the ceiling (Fig. 4) is installed in a built-in type to connect the power supply and LAN wires of computers or other home appliances, but when u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when not in use to insert the inside neat appearance I made it visible.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즉, 도 2,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으로 보조커버(24b)를 누른 상태로 외부로 잡아 뽑게 되면 도 2,3,4,(b)와 같이 콘센트정렬구(25)가 외부로 돌출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3, 4 (a) when the user pulls out the outer cover while pressing the
이때 콘센트정렬구(25)를 외부로 잡아뽑는 과정에서 요철부(25a)는 미끄럼을 방지하게 되어 용이하게 콘센트정렬구(25)를 인출 및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아울러 상기 콘센트정렬구(25)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내부에서 가이드돌기(21a)를 따라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보조커버(24b)는 제1힌지축(24c)에 비트림코일스프링(29)이 조립 설치되어 손으로 누르게 되면 눌린 상태로 있다가, 손으로 누른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콘센트정렬구(25)가 외부로 인출되면 콘센트(23)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콘센트(23)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게 된다.When the
이후 플러그를 꽂은 상태로 콘센트정렬구(25)를 하강시키면 도 2,3,4(c)와 같이 다시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플러그가 내부로 삽입되므로 외관상 보기 좋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n, whe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센트정렬구(25)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inserting the plug even when the
즉, 도 2,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힌지축(24a)을 중심으로 메인커버(24)를 오픈시킨다. 그러면 콘센트정렬구(25)의 상단에 콘센트(23)가 조립 설치되어 있어, 이 곳에 플러그를 꽃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콘센트정렬구(25)를 외부로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3, and 4 (c), the
본 발명은 또한 멀티 콘센트(20)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인출 및 삽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f course also draw out and insert the multi-outlet 20 automatically rather than manually.
즉, 버튼(30)을 누르면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32)가 회전한다. 이때 샤프트(32)는 콘센트정렬구(25)에 일체로 돌출된 연장돌기(33)에 체결된 관계로, 샤프트(32)의 정회전에 의해서는 콘센트정렬구(25)가 상승하고, 반대로 샤프트(32)의 역회전에 의해서는 콘센트정렬구(25)가 하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자동으로 멀티 콘센트(20)를 인출 및 삽입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상기한 본 발명 중에서 도 2,3,4 는 콘센트정렬구(25)의 외주면에 샤프트(32)가 조립 설치되어 작동하게 되고, 도 5 는 콘센트정렬구(25)의 내부에 샤프트(32)가 조립 설치되어 작동하게 되며, 도 6 은 콘센트정렬구(25)의 양측면에 샤프트(32)가 조립 설치되어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다기능 멀티 콘센트(25)의 내부 부품 구조에 따라 각기 다르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2, 3, and 4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제2실시예로, (a)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b)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And Figure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diagram before drawing out the multi-outlet,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out the multi-outlet.
아울러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제3실시예로, (a)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b)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상태도로, 각기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Figure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diagram before drawing the multi-outlet,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the multi-outlet,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Of course.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제4실시예인 다기능 멀티 콘센트(70)는 도 7 내지 도 8 과 같이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 바닥(마루), 벽면, 천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곳에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부(72)가 형성된 가이드테이블(71)이 구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guide table 71 is fixedly installed at any one selected from furniture, floor (floor), wall surface, and ceiling, and the
또한 상기 가이드테이블(71)을 고정시키게 외주면에 체결되는 가이드테이블고정구(75)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가이드테이블(71)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외부로 인출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하는 보디(80)가 구비된다.The
또한 상기 보디(80)의 정면 내부에 조립 설치되는 다수의 콘센트(86) 및 스위치(85)가 구비되되, 이때 상기 스위치(85) 및 콘센트(86)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끼움홈(81)에 걸려 이탈됨을 방지하는 돌기(87)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아울러 상기 보디(80)의 하부에 설치되어 마감 처리하는 하부덮개(76)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더하여 상기 보디(80)의 상부에 설치되어 마감 처리하는 상부덮개(96)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마지막으로 상기 상부덮개(96)의 상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보디(80)를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하부로 내릴 수 있도록 한 캡(90)이 구비된 제4실시예의 다기능 멀티 콘센트가 구비된다.Finally,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of the fourth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보디(80)가 가이드테이블(71)에서 용이하게 상하로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테이블(71)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돌기(74)가 형성되고, 보디(8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홈(84)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보디(80)와 가이드테이블(71)의 사이에는 상하 양단에 형성된 탄성편(79)에 의해 상승된 보디(80)가 자유낙하 되지 않도록 지지함은 물론 일정한 마찰력과 힘을 유지한 채로 상승되도록 한 로커(77)가 구비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보디(80)의 양단에는 로커(77)가 끼워지게 로커삽입홈(83)이 형성되되, 상기 로커삽입홈(83)의 상단에는 도 7(a)의 상세도와 같이 멀티콘센트(70)를 거꾸로 세워 장시간 사용할 경우 자연 낙하되지 않고 로커(77)의 선단에 걸려지게 단턱부(83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테이블(71)에는 로커(77)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78)가 끼워져 로커(77)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구멍(73)이 형성된다.And
아울러 상기 보디(80)의 정면 양측에는 스위치(85)와 콘센트(86)를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끼움홈(81)이 형성된다.In addition,
이때 상기 콘센트(86)에 형성된 단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콘세트(86)가 전선(88)으로 상호 연이어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전선(88)은 스위치(85)와도 상호 연이어서 연결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terminal formed in the
더하여 상기 보디(80)의 내주면에는 스위치(85)와 콘센트(86)의 전원선을 볼트와 와셔(도면상 미 도시함)로 조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전선연결고정홈(8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캡(90)은 상부덮개(96)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는 핸들케이스(94)와 상기 핸들케이스(94)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는 핸들(91)로 이루어지되, 상기 핸들(91)은 반원형상의 일측에 회전축(92)이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92)의 하단에는 걸림돌기(93)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케이스(94)의 내부에는 걸림돌기(93)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래치스위치(95)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90)의 구성을 도 8(d)(e)와 같이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전술한 핸들(91)이 아닌 캡(90)을 눌러 멀티콘센트(70)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핸들케이스(94)의 내부 상부로는 후크(94a)와 고정걸림턱(94b)을 형성하고, 캡(90)의 저면으로는 래치스위치(90b)와 유동걸림턱(90a)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걸림턱(90a)의 내부에는 스프링(94c)이 조립 설치된다.That is, by pressing the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가이드테이블(71)의 외주면 하부로는 도 8(a)(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보디(80)로 수증기가 유입됨을 방지하여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보호커버(10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able 7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water vapor from flowing into the lowered
그리고 이때 상기 보호커버(100)는 상부로 올리면 상호 절첩되고, 하부로 내 리면 보디(80)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길게 펼쳐지게 다수개의 분할된 제1, 제2, 제3보호커버(101)(102)(103)로 형성되되, 상기 보호커버는 걸림턱(104)에 의해 상호 이탈됨을 방지하게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다기능 멀티 콘센트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분해된 부품을 조립하게 되면 도 7(b) 내지 도 7(g)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가이드테이블(71)을 먼저 각종 가구(예: 책상, 테이블, 싱크대 등)의 구멍에 끼운다. First,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disassembled parts as shown in Fig. 7 (a)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7 (b) to 7 (g), the guide table 71 is first various furniture (eg, Insert into a hole in a desk, table, sink, etc.).
그런 다음 가이드테이블고정구(75)를 나사부(72)에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가이드테이블(71)이 각종 가구에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Then, when the
그리고 보디(80)의 정면에는 스위치(85)와 다수의 콘센트(86)를 조립 설치한다.And the front of the
이후 보디(80)를 가이드테이블(71)의 내부로 삽입한 후 저면에는 하부덮개(76)를 상부에는 상부덮개(96)를 조립 설치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보디(80)와 가이드테이블(71)의 사이에는 로커(77)가 조립 설치된다.After the
이어서 상기 상부덮개(96)의 상부에는 캡(90)을 씌워 다기능 멀티 콘센트를 조립 설치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상기와 같이 조립 설치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는 도 7(c)와 같이 가구의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있다가 사용하기 위해 이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들(91)을 도 7(d)와 같이 상부로 들어올린다. 그렇게 되면 래치스위치(95)에 걸려진 걸림돌기(93)가 이탈되면서 회전축(92)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The multi-functional multi-outlet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is buried in the interior of the furniture as shown in FIG. Up. In this case, while the locking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91)을 잡고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도 7(b), 도7(e)(f)(g)와 같이 보디(80)가 수직 상승하게 된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 grabs the
상기와 같이 수직 상승된 보디(80)는 로커(77)에 의해 자유낙하 되지 않음은 물론 상승시에도 일정한 마찰력에 의해 수직 상승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ly
즉, 로커(77)는 돌기(78)가 구멍(73)에 끼워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가이드테이블(71)의 내부에서 이탈 없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로커(77)는 로커삽입홈(83)에 끼워진 상태로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상기한 상태에서 보디(80)가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로커(77)의 상하 양단에 형성된 탄성편(79)은 로커삽입홈(83)의 내주면에 밀착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보디(80)는 일정한 힘과 마찰력을 유지한 채로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보디(80)는 자체 무게가 있어도 슬슬 흘러내리거나 자유낙하 되지 않게 된다.In the above state, the
그리고 상기 보디(80)가 가이드테이블(71)에서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보디(8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84)이 가이드테이블(71)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74)를 따라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보디(80)가 도 7(b), 도7(e)(f)(g)와 같이 상승되면 스위치(85)를 '온'시킨 후 콘센트(86)에 플러그를 꼽아 사용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때 상기 스위치(85) 및 콘센트(86)의 전선은 볼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전선 연결고정홈(82)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wires of the
상기한 작동 후 다시 보디(80)를 하강시킬 경우에는 전술한 동작과 반대로 핸들(91)을 절첩시킨 후 캡(90)을 누르면 서서히 하강하면서 가이드테이블(71)이 내부로 매몰되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그리고 상기 핸들(91)이 절첩되면 회전축(92)의 걸림돌기(93)가 다시 걸림홈(95)에 체결되게 된다.When the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는 주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보디(8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밥솥의 수증기가 다기능 멀티 콘센트로 유입됨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kitchen,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steam of the cooker from flowing into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in the process of using in the state of lowering the body (80).
즉, 도 8 의 (a)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수증기유입을 방지하는 보호커버(100)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b)는 도 8(a)의 측면도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으로 보호커버(100)를 올리게 되면 제1 내지 제3보호커버(101)(102)(103)가 가상선과 같이 접첩되면서 보디(80)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센트(86)에 플러그를 삽입한다. 이후 상기 보호커버(100)를 들어올린 손을 빼게 되면 자동으로 보호커버(100)가 하강하면서 보디(80)를 감싸면서 펼쳐지게 된다.That is, Figure 8 (a) is a front view of the
이때 상기 보호커버(100)는 제1 내지 제3보호커버(101)(102)(103)에 걸림턱(104)이 형성됨으로 인해 절첩 및 이탈이 없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보호커버(100)가 보디(80)를 감싸게 되면 밥솥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보호커버(100)에 의해 보디(80)로의 유입됨을 방지하게 되어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본 발명은 핸들(91)이 아닌 캡(90)을 눌러 멀티콘센트(70)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으로, 손가락으로 캡(90)을 누른 후 떼게 되면 래치스위치(90b)와 후크(94a)의 걸림작용이 해제되면서 스프링(94c)의 반발력에 의해 캡(90)이 도 8(e)와 같이 일정높이로 상승한다. 이때의 상승높이는 유동걸림턱(90a)이 고정걸림턱(90a)에 걸려지는 높이만큼 상승하게 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raise the multi-outlet 70 by pressing the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캡(90)을 잡고 잡아 뽑게 되면 멀티콘센트(70)가 보디(80)에서 일정간격 이탈되는 것이다. 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 grabs and pulls the
이후 다시 캡(90)을 조립 체결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면 간단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After the assembly of the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는 도 9 와 같이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different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하우징(21)의 내부 네모서리에 가이드돌기(21c)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21c)에는 저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다수의 콘센트(23)가 조립 설치된 콘센트정렬구(25b)가 조립 설치되어 콘센트정렬구(25b)를 인출 및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멀티 콘센트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한 본 발명은 콘센트정렬구(25)의 상면, 좌·우측면, 정·배면에 각각 콘센트(23)가 조립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저면을 제외한 어느 방향에서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는 도 10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nd used as shown in Figure 10 to 12, of course.
즉, 각종 가구(예: 책상, 테이블, 싱크대 등)(도8)나 바닥(마루)(도8) 또는 벽면(도9)이나 천장(도10)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되어 컴퓨터 혹은 기타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 랜선 등을 접속하되, 사용할 경우에는 회전축(6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미사용시에는 회전축(6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5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hat is, it is installed in various furniture (e.g. desk, table, sink, etc.) (Fig. 8) or floor (floor) (Fig. 8) or wall (Fig. 9) or ceiling (Fig. 10) to be installed in a computer or other home appliance. If you use the power and the LAN line, etc., when used to rotate the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멀티 콘센트(50)는 가구, 바닥(마루), 벽면, 천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곳에 고정 설치되는 마감링(52)이 구비된다.In more detail, the multi-outlet 50 is provided with a finishing
또한 상기 마감링(52)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외부로 인출하고, 미사용시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콘센트수납구(53)와 이의 상단에 구비되는 뚜껑(54)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콘센트수납구(53)의 정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게 설치되는 콘센트(23), 스위치(56), 커넥터(57), 스피커(58) 및 이어폰젝(59)이 조립 설치되어 다기능 멀티 콘센트가 구성된다.The
아울러 본원 발명에 적용된 상기 마감링(5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부품(회전 축, 링크, 피동기어, 구동기어 및 구동모터)을 보호하는 하우징(51)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nishing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멀티 콘센트(50)는 버튼(60)을 누르면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multi-outlet 5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scend and descend when the
즉, 상기 자동으로 작동하는 멀티 콘센트(50)는 회전축(61)에 축설되며, 하단에 피동기어(63)가 형성된 링크(62)가 구비된다.That is, the automatically operated multi-outlet 50 is arranged on the
또한 상기 피동기어(63)와 상호 맞물려 회전 작동하는 구동기어(64)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구동기어(64)는 구동모터(6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콘센트수납구(53)를 인출 및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자동으로 작동하는 멀티 콘센트(50)는 구동기어(64)의 축선상에 판스프링(도면상 미 도시함) 또는 비틀림코일스프링(도면상 미 도시함)을 구비하여 콘센트수납구(53)를 인출 및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utomatically operated multi-outlet 5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eaf spring (not shown in the figure) or a torsion coil spring (not shown in the figure) on the axis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멀티 콘센트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0 의 (a)는 멀티 콘센트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멀티 콘센트가 내부로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c)는 멀티 콘센트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d)는 멀티 콘센트가 내부로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Before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ulti-outlet is drawn out,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ulti-outle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multi-outlet is drawn out, and (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multi-outlet is inserted inside.
그리고 도 11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벽면에서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b)는 멀티 콘센트를 벽면에서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11A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multi-outlet is drawn out from the wall, and (b) is a state diagram after the multi-outlet is drawn out from the wall.
아울러 도 12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천장에서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b)는 멀티 콘센트를 천장에서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12 (a) is a state diagram before drawing out a multi-outlet from a ceiling, and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out a multi-outlet from a ceiling.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즉, 본 발명은 도 8(b)와 같이 멀티 콘센트(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을 들어 올리게 되면 콘센트수납구(53)가 회전축(6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도 8(a)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side is lifted up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outlet 50 is inserted as shown in FIG. 8 (b), the
상기한 작동은 수동 작동이고, 본 발명은 상기 멀티 콘센트(50)를 자동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bove operation is a manual opera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turn on, off the multi-outlet 50.
즉, 버튼(60)을 누르면 구동모터(65)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64)가 정회전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64)의 정회전에 의해서는 링크(62)가 회전축(6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 작동하되, 상기 링크(62)는 하단에 형성된 피동기어(63)가 상기 구동기어(64)와 상호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상기와 같이 링크(62)와 회전축(61)의 회전에 의해서는 회전축(61)과 일체로 형성된 콘센트수납구(53)가 시계방향인 상부로 회전 작동하여 외부로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스위치(56)를 온,오프 작동시키거나, 콘센트(55)에 플러그를 꼽거나, 커넥터(57)에 렌선 등을 꼽거나, 이어폰젝(59)을 꼽아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스피커(58)를 통해서는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후 상기 멀티 콘센트(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내부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전술한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시키면 간단하다.After that, when the multi-outlet 50 is not used,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gain. In this case, it is simple to operate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operation.
즉, 다시 버튼(60)을 누르면 구동모터(65)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64)가 역회전 작동한다. 그러면 링크(62)와 회전축(61) 및 콘센트수납구(53)는 다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 멀티 콘센트(50)의 자동 작동을 전술한 구동모터(65)를 사용하지 않고, 판스프링(도면상 미 도시함)이나 비틀림코일스프링(도면상 미 도시함)을 회전축(61)에 끼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above-described
즉, 상기 판스프링과 비틀림코일스프링은 외력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다시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뚜껑(54)을 돌기(도면상 미 도시함)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버튼(60)을 누르면 판스프링과 비틀림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콘센트수납구(53)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leaf spring and the torsion coil spring have an elastic force that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force acting o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한편, 본 발명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뚜껑(54)의 선단에는 후크(54a)와 하우징(51)의 선단에는 래치스위치(51a)를 설치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54)은 회전축(61)으로만 축설되게 구성하는 것이며,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3, the tip of the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원터치 한 번의 작동으로 뚜껑(54)이 온,오프 작동되는 것으로, 손으로 뚜껑(54)을 누르면 후크(54a)가 래치스위치(51a)에서 체결 및 분리되도록 작동하여 뚜껑(54)이 개폐되도록 하게 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peration of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본 발명 다기능 멀티 콘센트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ame result can be repeatedly carried out, and in particular, by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so it is worth protecting.
도 1 은 종래 리트랙터블 전원, 통신아웃렛 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retractable power supply, communication outlet device.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를 책상에 설치한 상태의 구성Figure 2 is a configuration of a state installed on the desk multi-function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로, road,
(a)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a) is a state diagram before withdrawing the multi-outlet,
(b)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며,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out a multi-outlet;
(c)는 플러그가 꽂힌 멀티 콘센트의 삽입된 상태도이고, (c) is the inserted state of the plug-in multi outlet,
(d)는 멀티 콘센트의 평면도이며, (d) is a plan view of a multi-outlet,
(e)는 멀티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e) is sectional drawing of a multi-outlet.
도 3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벽면에서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Figure 3 (a) is a state diagram before withdrawing the multi-outlet on the wall,
(b)는 멀티 콘센트를 벽면에서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며,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the multi-outlet from the wall,
(c)는 플러그가 꽂힌 멀티 콘센트의 삽입된 상태도이다. (c) is an inserted state diagram of the plug-in multi-outlet.
도 4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천장에서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Figure 4 (a) is a state diagram before withdrawing the multi-outlet from the ceiling,
(b)는 멀티 콘센트를 천장에서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multiple outlets from a ceiling.
(c)는 플러그가 꽂힌 멀티 콘센트의 삽입된 상태도이다. (c) is an inserted state diagram of the plug-in multi-outlet.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제2실시예로,Figure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a) is a state diagram before withdrawing the multi-outlet,
(b)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out multiple outlets.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제3실시예로,Figure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a) is a state diagram before withdrawing the multi-outlet,
(b)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out multiple outlets.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제4실시예로,7 is a fourth embodiment of a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는 멀티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outlet,
(b)는 멀티 콘센트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multi-outlet,
(c)는 멀티 콘센트가 인출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c)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the multi-outlet is drawn out,
(d)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하기 위해 손잡이를 올린 상태도이며, (d)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raised to withdraw the multi-outlet,
(e)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사시도이고, (e) is a perspective view after drawing out a multi-outlet;
(f)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정면도이며, (f) is a front view after drawing out a multi-outlet;
(g)는 멀티 콘센트를 인출한 후의 측면도이다. (g) is a side view after drawing out multiple outlet.
도 8 의 (a)는 본 발명 제4실시 예에 수증기유입방지커버가 설치된 상태의 8 (a) is a state in which the vapor inflow prevention cover is install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면도이고, Front view,
(b)는 도 8(a)의 측면도이며, (b) is a side view of FIG. 8 (a),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콘센트의 연결 구성도이고, (c) is a connection diagram of the 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는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이 눌린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tate in which the l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이고, ego,
(e)는 상기 도 8(d)의 뚜껑이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e)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tate in which the lid of FIG. 8 (d) is raised.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multifunctional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를 책상에 설치한 상태를 보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desk
인 제6실시예로, In a sixth embodiment,
(a)는 멀티 콘센트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ulti-outlet is drawn out;
(b)는 멀티 콘센트가 내부로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multi-outlet is inserted inside,
(c)는 멀티 콘센트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c)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multi-outlet is drawn out;
(d)는 멀티 콘센트가 내부로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d) is sectional drawing with a multi-outlet inserted inside.
도 11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벽면에서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A) is a state diagram before withdrawing a multi-outlet from a wall surface,
(b)는 멀티 콘센트를 벽면에서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out multiple outlets from a wall surface.
도 12 의 (a)는 멀티 콘센트를 천장에서 인출하기 전의 상태도이고,12 (a) is a state diagram before withdrawing the multi-outlet from the ceiling,
(b)는 멀티 콘센트를 천장에서 인출한 후의 상태도이다. (b) is a state diagram after drawing multiple outlets from a ceiling.
도 1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멀티 콘센트를 책상에 설치한 상태를 보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function multi-out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desk
인 제7실시예의 구성도.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ven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50, 70: 멀티 콘센트 21, 51: 하우징20, 50, 70:
23: 콘센트 24: 메인커버23: outlet 24: main cover
24a: 보조커버 25: 콘센트정렬구24a: auxiliary cover 25: outlet alignment
30: 버튼 53: 콘센트수납구30: button 53: outlet storage
71: 가이드테이블 80: 보디71: guide table 80: body
90: 캡 100: 보호커버90: cap 100: protective cover
Claims (3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51168 | 2008-05-30 | ||
KR1020080051168 | 2008-05-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4901A KR20090124901A (en) | 2009-12-03 |
KR101026242B1 true KR101026242B1 (en) | 2011-03-31 |
Family
ID=4168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3502A KR101026242B1 (en) | 2008-05-30 | 2008-12-05 | Multi fuctional multi conc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624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0287B1 (en) * | 2012-03-07 | 2012-11-12 | 장근대 | Multi-tap |
KR101382698B1 (en) * | 2013-11-01 | 2014-04-08 | 김지태 |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
KR20150004570U (en) | 2015-12-07 | 2015-12-23 | 한지흠 | A self operative electric outlet without a separable LED switc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9500B1 (en) * | 2009-12-31 | 2012-05-02 | 주식회사 위너스 | multi-concent |
KR200460453Y1 (en) * | 2010-05-26 | 2012-05-25 | (주)디포그 | Power outlet combination structure |
KR101323598B1 (en) * | 2012-09-13 | 2013-11-01 | 장근대 | Multi-tap |
WO2015168221A1 (en) * | 2014-04-29 | 2015-11-05 | Bretford Manufacturing, Inc. | Recessed power system |
WO2022262884A1 (en) * | 2021-06-14 | 2022-12-22 | Frank Hans Peter | Locking and release mechanism for a plug connector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8451Y1 (en) * | 2000-10-05 | 2001-04-02 | 김청섭 | The multi concent for adapt to table |
US6416336B1 (en) * | 2001-05-07 | 2002-07-09 | Modelec S.A. | Electrical connection tower as a push-in part |
KR20050030929A (en) * | 2005-03-04 | 2005-03-31 | 신동인 | Con cent |
KR20100003489A (en) * | 2008-07-01 | 2010-01-11 | 주식회사 동남 | Receptacle apparatus for withdrawing |
-
2008
- 2008-12-05 KR KR1020080123502A patent/KR10102624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8451Y1 (en) * | 2000-10-05 | 2001-04-02 | 김청섭 | The multi concent for adapt to table |
US6416336B1 (en) * | 2001-05-07 | 2002-07-09 | Modelec S.A. | Electrical connection tower as a push-in part |
KR20050030929A (en) * | 2005-03-04 | 2005-03-31 | 신동인 | Con cent |
KR20100003489A (en) * | 2008-07-01 | 2010-01-11 | 주식회사 동남 | Receptacle apparatus for withdrawing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0287B1 (en) * | 2012-03-07 | 2012-11-12 | 장근대 | Multi-tap |
KR101382698B1 (en) * | 2013-11-01 | 2014-04-08 | 김지태 |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
KR20150004570U (en) | 2015-12-07 | 2015-12-23 | 한지흠 | A self operative electric outlet without a separable LED swi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4901A (en) | 2009-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6242B1 (en) | Multi fuctional multi concent | |
USD941268S1 (en) | Indoor wall with built-in home appliances | |
US8598453B2 (en) | Power strip hanging device and structure | |
KR200440437Y1 (en) | Multi concentic plug | |
JP3176592U (en) | Tabletop | |
KR200443067Y1 (en) | The Electric Outlet With Sliding Cap | |
US7881034B2 (en) | Surge protector with spatial variation | |
CN208986307U (en) | A kind of hidden Pop-up multi-hole position plate | |
CN203106839U (en) | Food steamer and electric cooker with food steamer | |
KR200440761Y1 (en) | Case for multi concentic plug | |
CN211351055U (en) | Safety electricity utilization protection device | |
KR101693650B1 (en) | safety electrical oulet | |
KR101139500B1 (en) | multi-concent | |
US7806707B1 (en) | Socket protection cover structure | |
KR101215638B1 (en) | Connector | |
CN205649326U (en) | Cooking apparatus | |
KR200404075Y1 (en) | concent | |
KR20140081017A (en) | Multi-tap wire organizer with double-sided tape | |
JP5180401B1 (en) | Recessed power outlet | |
KR200355820Y1 (en) | Wall outlets having covers of versatile talents | |
CN208478742U (en) | A kind of vertical socket | |
CN202949080U (en) | Anti-dust waterproof cover | |
CN106532313B (en) | Rectangular inverted socket | |
CN201397984Y (en) | Disc type socket | |
RU54266U1 (en) | POWER BOX AND USED TRAY IN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