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400B1 - Apparatus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5400B1 KR101015400B1 KR1020030058774A KR20030058774A KR101015400B1 KR 101015400 B1 KR101015400 B1 KR 101015400B1 KR 1020030058774 A KR1020030058774 A KR 1020030058774A KR 20030058774 A KR20030058774 A KR 20030058774A KR 101015400 B1 KR101015400 B1 KR 101015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neral
- plate
- plates
- core
- tr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57 finger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는, 적재부로부터 하나씩 분리 이송된 스페셜 플레이트를 메인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트레이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과;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바스켓에 적재되어 공급되는 일반 플레이트들을 180도 회전시켜 무한 컨베이어로 공급하며, 공급된 일반 플레이트들로부터 소정 개수로 취출한 후 취출된 일반 플레이트들의 위치를 정렬하여 트레이로 공급하는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과;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바스켓에 적재되어 공급되는 일반 플레이트들을 무한 컨베이어로 공급하며, 공급된 일반 플레이트들로부터 소정 개수로 취출한 후 취출된 일반 플레이트들의 위치를 정렬하여 트레이로 공급하는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과; 트레이로 매니폴드 조립체를 공급하는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과; 일반 플레이트들이 배열된 트레이로 휜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받은 휜을 삽입시켜 휜 플레이트 코어로 조립하는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을 포함한다.
Heat exchang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pecial plate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special plate which is separated and transported one by one from the loading unit to the tray transported by the main conveyor;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pecial plate supply means, and rotates the general plates loaded and supplied to the basket by 180 degrees to feed to the endless conveyor, and after taking out a predetermined number from the supplied general plates and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general plates taken out First general plate feeding means for feeding the tray;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normal plate supply means, and supplies the general plates to be loaded and loaded in the basket to the endless conveyor, take out a predetermined number from the supplied general plates and then align the positions of the extracted general plates to the tray Second general plate supply means for supplying;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manifold assembly to the tray; It includes a; plate assembly means for inserting the fin supplied by the fin supply means into the tray array plate is assembled into a fin plate cor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열교환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heat exchang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 exchang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에 대한 정면도. 3 is a front view of a special plate supply means.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스페셜용 그리퍼에 대한 측면도. 4 is a side view of the gripper for special use in FIG.
도 5는 스페셜 플레이트가 트레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ecial plate is mounted on a tray.
도 6 및 도 7은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에 대한 정면도 및 평면도. 6 and 7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도 8 내지 도 10은 방향전환수단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8 to 10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turning means.
도 11 내지 도 13은 무한 컨베이어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11-13 are front, top, and side views of an endless conveyor.
도 14는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에 대한 정면도. 14 is a front view of the general plate alignment means.
도 15 및 도 16은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 15 and 16 are front and side views of the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도 17은 매니폴드용 그리퍼에 대한 정면도. 17 is a front view of a gripper for a manifold;
도 18 내지 도 20은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에 있어서, 휜 피치 컨베이어 및 휜 취출수단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18-20 is a front view, a top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in pitch conveyor and the fin ejecting means in the fin plate assembly means.
도 21은 휜 그리퍼에 대한 정면도. 21 is a front view of the shock gripper.
도 22 및 도 23은 휜 그리퍼의 파지부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 22 and 23 are front and side views of the gripper of the shock gripper;
도 24는 코어 언로딩수단에 대한 정면도. 24 is a front view of the core unloading means.
도 25는 코어 정렬수단에 대한 정면도. 25 is a front view of the core aligning means.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100..메인 컨베이어100..Main Conveyor
200..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 Special plate supply means
300..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 The first general plate feed means
400..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Secondary plate feed means
500..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600..휜 플레이트 조립수단600 .. 휜 Plate assembly means
700..코어 언로딩수단700..Core unloading means
730..코어 정렬수단730..core alignment means
본 발명은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컵 타입의 열교환기를 조립하기 위한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ssemb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exchanger assembling apparatus for assembling a drone cup type heat exchanger.
도 1에는 드론컵 타입의 열교환기에 대한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rone cup type heat exchanger.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컵 타입의 열교환기(10)는 일측에 탱크부(12)가 형성되며 열교환 매체의 방열 통로부가 형성된 튜브 조립체(11)들과, 상기 튜브 조립체(11)들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휜(14,fin)과, 상기 튜브 조립체(11)들의 양측 최외곽에 위치되는 엔드 플레이트(15,end plate)들과, 일측에 매니폴드(17,manifold)가 구비된 매니폴드 조립체(16)가 적층된 후 브레이징(brazing) 접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튜브 조립체(11)는 탱크부(12)를 이루는 한 쌍의 컵부(13)들이 모두 개구된 두 장의 일반 플레이트들이 상호 대향되어 접합됨으로써 구성된 일반 튜브 조립체와, 탱크부(12)를 이루는 한 쌍의 컵부들(13a)(13b)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막혀 열교환 매체의 유동로를 변경시키는 배플(baffle) 역할을 하는 배플 플레이트가 일반 플레이트와 상호 대향되어 접합됨으로써 구성된 배플 튜브 조립체로 대별될 수 있다. As shown, the drone cup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드론컵 타입의 열교환기를 조립하기 위해서, 성형이 완료된 두 장의 일반 플레이트들 사이에 휜을 삽입한 휜-일반 플레이트 조립체를 형성하고, 엔드 플레이트와 일반 플레이트 사이에 휜을 삽입한 휜-엔드 플레이트 조립체를 형성하며, 배플 플레이트와 일반 플레이트 사이에 휜을 삽입한 휜-배플 플레이트 조립체를 형성하며, 매니폴드가 구비된 매니폴드 조립체를 형성한 후, 상기와 같이 형성된 휜-일반 플레이트 조립체, 휜-엔드 플레이트 조립체, 휜-배플 플레이트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를 적층하여 브레이징 접합하게 된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assemble a drone cup type heat exchang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일반 -normal plate assembly in which a 삽입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wo sheets of normal plates, and a 휜 is inserted between the end plate and the general plate. Forming a 휜 -end plate assembly, forming a 배 -baffle plate assembly with 휜 inserted between the baffle plate and the plain plate, forming a manifold assembly with a manifold, and then forming the 휜 -normal as formed above The plate assembly, the wet end plate assembly, the wet baffle plate assembly, and the manifold assembly are stacked and braz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조립체들이 별도로 제조되며, 이와 같이 제조된 조립체들을 조립하고 적층하는 과정이 소정의 치구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체들이 변형되거나,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자동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ies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r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 the process of assembling and stacking the assemblie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manually by using a predetermined jig, the assemblies may be deformed or require a lot of labo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improve productivity. Therefore, automation needs to be made to improve productivit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론컵 타입의 열교환기를 이루는 구성 부품의 조립을 자동화 공정으로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열교환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assembly of the components forming the drone cup type heat exchanger in an automated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heat exchanger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rate of product defec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ssembly apparatu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는, Heat exchang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적재부로부터 하나씩 분리 이송된 스페셜 플레이트를 메인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트레이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과; One or more special plate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special plates separately transported one by one from the loading unit to a tray transported by the main conveyor;
상기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바스켓에 적재되어 공급되는 일반 플레이트들을 180도 회전시켜 무한 컨베이어로 공급하며, 공급된 일반 플레이트들로부터 소정 개수로 취출한 후 취출된 일반 플레이트들의 위치를 정렬하여 상기 트레이로 공급하는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과;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pecial plate supply means, and rotates the general plates loaded and supplied to the basket by 180 degrees to supply to the endless conveyor, take out a predetermined number from the supplied general plates and align the positions of the general plates taken out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feeder to the tray;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바스켓에 적재되어 공급되는 일반 플레이트들을 무한 컨베이어로 공급하며, 공급된 일반 플레이트들로부터 소정 개수로 취출한 후 취출된 일반 플레이트들의 위치를 정렬하여 상기 트레이로 공급하는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과;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irst normal plate supply means, and supplies the general plates to be loaded and supplied to the basket to the endless conveyor, take out a predetermined number from the supplied general plates and align the positions of the general plates taken out Second general plate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tray;
상기 트레이로 매니폴드 조립체를 공급하는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과;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manifold assembly to the tray;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들이 배열된 트레이로 휜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받은 휜 을 삽입시켜 휜 플레이트 코어로 조립하는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휜 plate assembly means for inserting 공급 supplied by the 휜 supply means into the tray where the plates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o assemble the 휜 plate co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heat exchang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열교환기 조립장치에는 메인 컨베이어(1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는 트레이(110)가 놓여져 이송되어지며, 상기 메인 컨베이어(100)에는 여러 구성요소들이 연계되어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t exchanger assembly device is provided with a main conveyor (100). The
즉, 상기 메인 컨베이어(10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은, 한 쌍의 컵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막혀 열교환 매체의 유동로를 변경시키는 배플 역할을 하는 배플 플레이트, 또는 열교환기의 최외곽 양측에 위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이하 스페셜 플레이트라 함)들이 적재된 적재부(202, 도 3참조)로부터 하나씩 분리되어 이송된 스페셜 플레이트(201, 도3참조)를 수직으로 세운 후, 상기 메인 컨베이어어(100)상의 트레이(110)에 있어 설정된 위치들로 각각 장착하게 된다. That is, at least one special plate supply means 2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의 일측에는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은 바스켓(302)에 적재되어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일반 플레이트(301, 도6참조)들을 180도 회전시켜 무한 컨베이어(350, 도11참조)로 공급하며, 공급된 일반 플레이트(301)들로부터 소정 개수로 취출한 후 취출된 일반 플레이트들의 위치를 정렬하여 상기 트레이(110)에 장착하게 된다. In addition, a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pecial plate supply means 200, and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is loaded in a
그리고,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의 일측에는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이 마련되어 있으며, 바스켓에 적재되어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일반 플레이트들을 무한 컨베이어로 공급하며, 공급된 일반 플레이트들로부터 소정 개수로 취출한 후 취출된 일반 플레이트들의 위치를 정렬하여 상기 트레이(110)에 장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이 배치된 위치는 순서상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general plate supply means 4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and supplies general plates supplied from one side to an endless conveyor, which are loaded in a basket, and supplied general plates. After taking out a predetermined number from the normal plates taken out are aligned to be mounted on the
그리고, 상기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의 일측에는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에 의해 상기 트레이(110)에 있어 설정된 위치로 공급하게 된다. In addition, a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5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general plate supply means 400, and the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500 supplies the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500 to a position set in the
또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의 일측에는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60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600)에 의해 상기와 같이 일반 플레이트(301)들 및 스페셜 플레이트(201)들이 장착된 트레이(110)로 휜(601)을 공급하여 휜(601)을 일반 플레이트(301)들 및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사이로 삽입시켜 휜 플레이트 코어(701)로 조립한 후, 상기 휜 플레이트 코어(701)를 취출하여 압축 정렬하게 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500 is provided with a fin plate assembly means 600, the
상기와 같이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완성되어지게 되면, 픽스쳐(fixture)에 의해 고정되어진 후 브레이징 노로 공급되어 브레이징 접합되어진다.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를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heat exchanger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도 3에는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에 대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3 shows a front view of the special plate supply means.
도면을 참조하면,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에는 스페셜 플레이트 적재부(202)로부터 스페셜 플레이트(201)들을 하나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분리이송수단(210)과, 상기 분리이송수단(210)으로부터 하나씩 이송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를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회전수단(220)과, 상기 회전수단(22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스페셜 플레이트(201)를 메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놓여진 트레이(110)로 이송시키는 스페셜용 이송수단(2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pecial plate supply means 200 includes a separate transfer means 210 for separating and transferring the
상기 분리이송수단(210)은, 스페셜 플레이트 적재부(202)에 상하로 적층된 스페셜 플레이트(210)들을 하방으로 하나씩 낙하시켜 분리하는 분리부(211)와, 상기 분리부(211)로부터 분리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를 회전수단(220)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12)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2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211)로부터 낙하 분리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213)와, 상기 컨베이어(213)에 의해 안착부(214)로 이송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를 상승시키는 리프터(215)와, 상기 리프터(215)에 의해 상승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를 회전수단(220)측으로 밀어서 공급하기 위한 푸셔(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터(215) 및 푸셔(216)는 승강용 실린더(215a) 및 수평운동용 실린더(216a)에 의해 각각 구동되어질 수 있다. The separation transfer means 210 is separated from the
상기와 같이 푸셔(216)에 의해 회전수단(220)으로 공급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는 회전수단(220)에 의해 90도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상 기 회전수단(220)은 스페셜 플레이트(201)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회전판(221)들과, 상기 회전판(221)들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221)들을 동시에 90도 회전시키는 미도시된 회전판용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용 구동수단으로는 회전 실린더 또는 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221)들 사이에 스페셜 플레이트(201)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판용 구동수단에 의해 90도 회전됨으로써 상기 스페셜 플레이트(201)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회전수단(22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스페셜 플레이트(201)는 스페셜용 이송수단(230)에 의해 메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놓인 트레이(110)로 이송된 후 장착되어진다. 상기 스페셜용 이송수단(230)은 스페셜 플레이트(201)를 파지하는 스페셜용 그리퍼(240)와, 상기 스페셜용 그리퍼(240)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X-Y이동수단(250)을 구비한다. The
상기 스페셜용 그리퍼(240)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체부(241)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됨으로써 스페셜 플레이트(201)를 파지 또는 해지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파지부(242)들과, 상기 몸체부(241)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24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43)을 포함한다. As shown in detail in FIG. 4, the
상기 플레이트 파지부(242)들은 각각 판상 부재로서 스페셜 플레이트(201)와 대향되는 면에는 돌기들이 형성됨으로써 스페셜 플레이트(201)와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파지부(242)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는 에어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243)으로도 에어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양측으로는 가이드부(244)가 더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241)와 함께 플레이트 파지부들(242)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Each of the
상기 X-Y이동수단(250)은 도시된 바에 따르면, X축 가이드 레일(252)이 지지대(251)에 설치되며, 상기 X축 가이드 레일(252)에는 제1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이동부재(253)가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부재(253)에는 브라켓(254)을 매개로 Y축 가이드 레일(255)이 X축 가이드 레일(252)과 교차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Y축 가이드 레일(255)에는 상기 스페셜용 그리퍼(240)와 결합된 제2이동부재(256)가 제2구동수단에 의해 Y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페셜용 그리퍼(240)가 X축 및 Y축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구동수단으로는 로드리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또는 일축 로봇 등이 이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XY moving means 250, the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에 의하여, 스페셜 플레이트(201)가 메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놓여진 트레이(110)에 하나씩 장착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페셜 플레이트(201)가 장착되는 위치는 열교환기의 제품사양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By the special plate supply means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한편, 도 5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스페셜 플레이트(201)가 트레이(110)에 미리 설정된 위치로 수직으로 세워져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110)에는 플레이트용 고정바(111)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및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소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Meanwhile,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6 및 도 7에는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에 대한 정면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6 and 7 show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the first general plate feeding means, respectively.
도면을 참조하면,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은 바스켓(302)에 소정 개수로 적재되어 공급되는 일반 플레이트(301)들을 이송하는 일반용 제1그리퍼(310)와,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공급받아 180도 회전시키는 방향전환수단(320)과, 상기 방향전환수단(320)으로부터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이송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을 공급받아 피치 이송시키는 무한 컨베이어(350)와, 상기 무한 컨베이어(350)로부터 이송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을 설정된 개수만큼 취출하는 일반용 제2그리퍼(미도시)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is a general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는 몸체부(311)와, 상기 몸체부(311)에 설치되어 일반 플레이트(301)들을 소정 피치로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핑거부(312)들과, 상기 핑거부(312)들을 구동시켜 일반 플레이트(301)들을 파지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미도시)과, 상기 몸체부(311)를 승강시켜 핑거부들(312) 전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11)는 핑거부용 이동수단(314)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핑거부(312)들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핑거부용 이동수단(314)은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의 몸체부(311)가 결합되는 이동부재(315)와, 상기 이동부재(315)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16)과 상기 이동부재(315)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으로는 통상적인 볼 스크류 및 모터 조립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general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이송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방향전환수단(320)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지는데, 이에 따라 각 일반 플레이트(301)의 컵부가 초기 상태로부터 180도 뒤집혀 위치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180도 회전되어진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전술한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또는 후술할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에 의해 공급되는 일반 플레이트(301)들과 각각 대응되어 접합됨으로써, 일측에는 탱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열교환 매체를 위한 통로부가 형성된 튜브 조립체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도 8 내지 도 10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The turning means is shown in detail in FIGS. 8 to 10.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방향전환수단(320)은 베이스부(321)와, 상기 베이스부(321)에 대하여 회전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소정 피치로 파지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322)와, 상기 수납부(322)를 180도 회전시키는 회전부(325)와, 상기 수납부(322)에 수납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회전하는 동안 수납부(3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330)를 구비한다. As shown, the turning means 32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상기 수납부(322)는 블록(323)에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소정 피치로 이격되어 수납될 수 있게 하는 안착홈(324)들이 2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부(325)는 회전 프레임(326)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27)와, 상기 연결부재(327)를 180도 회전시키는 회전 실린더(328)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27)는 베이스부(32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지지부(330)는 일반 플레이트(301)들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게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331)들과, 상기 지지판(331)들에 결합되며 베이스부(32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332)와, 상기 회전부재(332)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331)들을 수납부(322)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331)들 사이에 일반 플레이트(301)의 일부분이 삽입 지지되어 감싸지도록 하는 수평이동수단(333), 예컨대 실린더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베이스부(321)의 하측에는 승강판(341)과 상기 승강판(341)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40)이 더 마련되어 180도 회전된 수납부(32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부(322)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파지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파지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소정 피치로 작동되는 무한 컨베이어(350)로 공급되어진다. Meanwhile, a
상기 무한 컨베이어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The endless conveyor is shown in FIGS. 11-13.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 컨베이어(350)는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컨베이어 프레임들(3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휠(352)들과, 상기 휠(352)들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더(357)와, 상기 슬라이더(357)에 대하여 적층되어 설치된 가이드핀 조립체(360)들을 구비한다. As shown, the
상기 휠(352)들 중 어느 하나는 휠 구동수단(353)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휠 구동수단(353)은 모터(354)와, 상기 모터(354)의 회전축 및 상기 휠(352)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풀리(355)들과, 상기 풀리(355)들에 걸쳐져 모터(354) 로부터 휠(352)로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356)로 구성될 수 있다. One of the
상기 가이드핀 조립체(360)는 상기 슬라이더(357)에 결합되는 결합부(361)와, 상기 결합부(361)에 있어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들(351)과 각각 대응되는 양측에 한 쌍씩 고정된 가이드핀(362)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상기 가이드핀(362)들 사이 및 적층된 가이드핀 조립체(360)들 사이에 각각 세워진 상태로 소정 피치로 삽입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슬라이더(357)의 이동에 따라 피치 이송되어진다. The
한편, 상기 슬라이더(357)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일반 플레이트(301)들에 있어 그 양단을 정위치시켜 정렬된 상태로 일반용 제2그리퍼에 의해 취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들(351)에는 가이드부재(363)들이 더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guides are provided on the conveyor frames 351 so that both ends of the
상기와 같이 무한 컨베이어(350)에 의해 피치 이송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열교환기의 제품 사양에 따라 그 수량이 설정되어지는데, 이와 같이 설정된 수량만큼 일반용 제2그리퍼에 의하여 계속하여 취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351)에는 취출되는 일반 플레이트(301)들 중 최선단에 배치된 일반 플레이트(30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364)가 마련되어 일반용 제2그리퍼와 연계되어 있다. 즉, 상기 무한 컨베이어(350)상에서 이송되는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설정된 수량만큼 취출되고 난 후에는 가이드핀 조립체(360)들이 빈 상태로 이동되어지며, 새로운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센서부(364)측으로 연속하여 이송되어지게 되면, 센서부(364)에서 이를 감지하여 일반용 제2그리퍼에 의해 취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소정 개수의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계속하여 취출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반용 제2그리퍼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용 제1그리퍼(3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he
그리고,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에는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370)이 더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370)은 상기 일반용 제2그리퍼에 의해 취출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을 정렬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general plate aligning means 370, the general plate aligning means 370 aligns the
즉, 상기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370)은 전술한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에 의해 트레이(110)에 장착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들에 대응되는 위치 및 후술할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에 의해 트레이(110)에 장착될 매니폴드 조립체(501)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비워진 채 재배열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도 1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That is, the general plate aligning means 370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370)은 정렬수단용 프레임(371)과, 상기 정렬수단용 프레임(371)에 대하여 상호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바(372)들과, 상기 고정바(372)들에 대하여 고정바(372)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안착편(373)들과, 상기 안착편(373)들을 가압 지지하는 밀대부(374)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편(373)들에는 각각 요홈(373a)에 형성되어 일반 플레이트(301)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밀대부(374)는 수평운동용 실린더(375)에 의해 안착편(373)들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general plate aligning means 370 may include a
그리고, 상기 정렬수단용 프레임(371)의 하방에는 복수개의 쐐기부(wedge,381)들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쐐기부(381)들의 위치는 열교환기의 제품 사양에 의해 결정되어지는데, 보다 상술하자면, 상기 쐐기부(381)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110)에 장착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 제어부(382)에 의해 피치 이동된다. 또한, 상기 쐐기부(381)는 승강 실린더(385)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쐐기부(381)는 판상 부재로 되어 있으며, 안착편(373)들 사이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쐐기부(381)의 단부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제어부(382)는 쐐기부(381)를 피치 이동시키기 위한 피치부(383)와, 상기 쐐기부(381)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384)을 포함한다. 상기 피치부(383)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의 홈(383a)들이 형성되어 상기 홈(383a)에 쐐기부(381)의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쐐기부(381)의 위치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수단(384)으로는 로봇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각 쐐기부(381)의 위치가 위치 제어부(382)에 의해 세팅되면 승강수단(385)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안착편(373)들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안착편(373)들 사이의 간격을 벌려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쐐기부(381)의 승강 운동은 밀대부(374)의 수평운동과 연계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쐐기부(381)가 상승하게 되면 밀대부(374)는 안착편(373)으로부터 후퇴함으로써, 상기 쐐기부(381)가 안착편(373)들 사이에 삽입되어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일반 플레이트(301)들 사이에는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이 개재될 수 있는 공간들이 간헐적으로 마련될 수 있게 되며,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재배열되어진다. 한편, 상기 쐐기부(381)의 두께는 안착편(373) 의 두께와 동일하게 됨으로써 이동되어진 후에도 일반 플레이트(301)들 사이의 피치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of each
상기와 같이 간헐적으로 공간들이 마련되어 재배열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일반용 제2그리퍼에 의하여 파지된 후 메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놓여진 트레이(110)에 장착되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ittent spaced rearranged
한편,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의 일측에는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은 전술한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에 있어서의 방향전환수단(320)이 생략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is provided with a second general plate supply means 400. The second general plate supply means 400 is omitted in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320 in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described abov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n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Same as the configuration.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에 의해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에서의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370)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공간이 마련되도록 정렬되며, 이와 같이 정렬된 상태로 트레이(110)에 장착됨으로써, 전술한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에 의해 트레이(110)에 장착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및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에 의해 트레이(110)에 장착된 일반 플레이트(301)들과 함께 튜브 조립체를 이루기 위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와 같이 트레이(110)에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및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적층되어 튜브 조립체를 이루게 되면, 상기 튜브 조립체들 사이에는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에 의해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이 개재된다.
When the
이를 위한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for this is shown in FIGS. 15 and 16.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은, 별도로 성형되어 박스(502)에 적재된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을 하나씩 파지하여 이송하기 위한 매니폴드용 그리퍼(510)와, 상기 매니폴드용 그리퍼(510)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켜 매니폴드 조립체(501)를 트레이(110)에 장착하기 위한 X-Y이동수단(530)을 구비한다.As shown, the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500 includes a
상기 매니폴드용 그리퍼(510)는 도 1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 조립체(501)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부(511)와, 상기 클램프부(511)의 양측에 배치되어 매니폴드 조립체(501)를 정위치시켜 트레이(110)로 장착하기 위한 조정부(520)와, 상기 클램프부(51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14)을 구비한다. As illustrated in detail in FIG. 17, the
상기 클램프부(511)는 클램프 본체(512)와, 상기 클램프 본체(512)에 매니폴드 조립체(501)의 양면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한쌍의 핑거(513)들과, 상기 핑거(513)들 사이를 근접 또는 이격시켜 매니폴드 조립체(501)를 파지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핑거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핑거 구동수단으로는 에어 실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51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14)으로는 승강용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수단(514)의 양측으로는 가이드부(515)가 더 마련되어 상기 클램프부(511)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 조정부(520)는, 조정부용 프레임(521)들에 각각 설치된 밀대핀(522)들과, 상기 밀대핀(522)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대핀(522)들의 양단은 매니폴드 조립체(501)의 양단과 대응됨으로써,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501)의 양단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매니폴드 조립체(501)가 조정된 상태로 트레이(110)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The adjusting
한편, 상기 매니폴드용 그리퍼(510)는 X-Y이동수단(530)에 의해 전후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X-Y이동수단(530)은 전술한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의 X-Y이동수단(25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5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 매니폴드가 구비된 두 장의 매니폴드 플레이트들이 미리 접합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공정상 유리한 면이 많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데, 접합되지 않은 상태로 매니폴드 플레이트가 하나씩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 구조가 아닌 매니폴드만으로 된 구조로 이루어져 적층된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일반 플레이트(301)들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이 트레이(110)에 장착되어 적층된 상태에서 휜(601)들이 공급되어 휜 플레이트 코어로 조립되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의 일측에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600)이 마련되어진다. To this end, the shock plate assembly means 600 shown in FIGS. 18 to 2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500.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600)은, 일측에서 성형되어 연속 적으로 공급된 휜(601)들이 수용되어 소정 피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휜 피치 컨베이어(610)와, 상기 휜 피치 컨베이어(610)로부터 일측에 마련된 휜 적재부(631)로 취출 이송시키는 휜 취출수단(630)을 구비한다. As shown, the fin plate assembly means 600, the
상기 휜 피치 컨베이어 및 휜 취출수단은 도 18 내지 도 20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The saw pitch conveyor and saw take out means are shown in detail in FIGS. 18 to 20.
도시된 바와 같이, 휜 피치 컨베이어(610)는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휜 컨베이어 프레임(611)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612)들과, 상기 롤러(612)들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이동 벨트(617)와, 상기 이동 벨트(617)에 이동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설치된 휜 수용편(620)들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612)들 중 어느 하나는 롤러용 구동수단(613)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롤러용 구동수단(613)은 모터(614)와, 상기 모터(614)의 회전축 및 상기 롤러(612)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풀리(615)들과, 상기 풀리(615)들에 걸쳐져 모터(614)로부터 롤러(612)로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616)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weep
상기 휜 수용편(620)은 한 쌍의 수용판(621)들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판(621)들은 소정 높이로 이루어져 이들 사이에 휜(601)들이 충분히 수용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판(621)들의 각 하단은 이동 벨트(617)에 결합되어진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휜 수용편(620)들에 휜(601)들이 각각 세워진 상태로 소정 피치로 삽입 수용되어지며, 이와 같은 상태로 이동 벨트(617)의 이동에 따라 휜(601)들이 피치 이송되어질 수 있게 된다. The 휜 601 are respectively inserted in the 휜 receiving
상기와 같이 휜 피치 컨베이어(610)에 의해 피치 이송된 휜(601)들은 열교환기의 제품 사양에 따라 그 수량이 설정되어지는데, 이와 같이 설정된 수량만큼 휜 취출수단(630)에 의하여 계속하여 휜 적재부(631)로 취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휜 컨베이어 프레임(611)에는 취출되는 휜(601)들 중 최선단에 배치된 휜(60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미도시된 휜 감지부가 마련되어 휜 취출수단(630)과 연계되어 있다. 즉, 상기 휜 피치 컨베이어(610) 상에서 이송되는 휜(601)들이 설정된 수량만큼 취출되고 난 후에는 수용편(620)들이 빈 상태로 이동되어지며, 새로운 휜(601)들이 휜 감지부측으로 연속하여 이송되어지게 되면, 휜 감지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휜 취출수단(630)에 의해 취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소정 개수의 휜(601)들이 계속하여 취출되어질 수 있다. The number of
상기 휜 취출수단(630)은 서포트 프레임(631)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631)에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632)과, 상기 가이드 레일(632)에 설치된 취출용 슬라이더(633)와, 상기 취출용 슬라이더(633)를 수평운동시키는 휜 취출수단용 수평운동수단(634)과, 상기 취출용 슬라이더(633)의 하방에 푸싱부용 승강수단(635)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푸싱부(6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싱부(636)는 상기 휜 수용편(620)들의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푸싱편들로 구성되며, 상기 푸싱편들의 개수는 열교환기의 제품 사양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푸싱부(636)의 위치가 휜(601)들이 피치 이송되는 방향의 전후로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휜 취출수단(630)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631)의 위치를 조정가능하게는 위치조정수단(637)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휜 취출수단용 수평운동수단(634)으로는 로드리스 실린더 또는 모터와 결합된 볼스크류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싱부용 승강수단(635)으로는 승강용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The fan take-out means 630 includes a
상기와 같이 휜 취출수단(630)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푸싱부(636)가 푸싱부용 승강수단(635)에 의해 휜 수용편(62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휜 취출수단용 수평운동수단(634)에 의해 취출용 슬라이더(633)가 휜 적재부(631)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휜 수용편(620)들에 수용된 휜(601)들이 휜 적재부(631)로 이송되어질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pusher means 630 is configured so that the pushing
상기 휜 취출수단(630)에 의해 휜 적재부(631)로 취출되어 이송된 휜(601)들은 휜 그리퍼(640)에 의해 파지된다. The
상기 휜 그리퍼(640)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휜 그리퍼(640)는, 복수개의 휜(601)들을 동시에 파지하는 휜 파지부(641)와, 상기 휜 파지부(64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휜 파지부용 수평이동수단(670)과, 상기 휜 파지부(641)를 승강시키는 휜 파지부용 승강수단(674)을 구비한다. As illustrated, the
상기 휜 파지부용 수평이동수단(670) 및 휜 파지부용 승강수단(680)을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휜 파지부용 수평이동수단(670)은 가이드 레일(671)과 상기 가이드 레일(67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672)와, 상기 이동부재(67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672)는 상기 휜 파지부(641)와 브라켓(673)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상기 브라켓(673)에 휜 파지부용 승강수단(674)이 설치되어 상기 휜 파지부(641)와 연결되어진다. 상기 이동부재(672)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는 리니어 모터나 로드리스 실린더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휜 파지부용 승강수단으로는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the horizontal grip means 670 and the vertical lift means 680 for the grip part are described as the
상기 휜 파지부(641)는 도 22 및 도 2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휜 파지부(641)는 파지부 본체(642)와, 상기 파지부 본체(642)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서포터(643)들과, 상기 서포터(643)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1가동 지지바(645) 및 제2가동 지지바(646)로 이루어져 이들 사이에 휜(601)이 각각 수용되는 지지바 조립체(644)들과, 상기 제1,2가동 지지바(645)(646)를 구동시켜 제1,2가동 지지바(645)(646) 사이를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지지바 구동수단(650)을 구비한다. The
상기 서포터(643)들은 휜(601)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이들의 각각에는 요홈(643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643a)들에는 후술할 휜 로딩수단(680)에 있어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 사이로 휜(601)들을 개재할 때,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이 일부분 삽입됨으로써, 휜(601)들이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 사이로 정확하게 안내되어 개재될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바 구동수단(650)은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 본체(642)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651)에 대하여 상기 서포터(643)와 나란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제1,2고정봉(652a)(652b)과, 상기 고정봉(652a)(652b)에 각각 삽입되어 축방 향으로 이동되는 제1가동부재(653a)들과, 상기 제1,2고정봉(652a)(652b)에 각각 삽입되는 제2가동부재(653b)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2가동부재(653a)(653b)들에는 각각 가동부재용 구동수단(654)이 결합되어 수평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용 구동수단(654)으로는 복수개의 실린더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부재(653a)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가동 지지바(645)들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가동부재(653b)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가동 지지바(646)들이 결합되어진다. 상기 제1,2가동 지지바(645)(646)들은 가동부재용 구동수단(654)에 의해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어짐으로써, 제1가동 지지바(645)와 제2가동 지지바(646) 사이에 휜(601)을 파지 또는 해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 bar driving means 650, as shown, a pair of first and second fixing rods fixedly installed side by side with the
한편, 상기 휜 파지부(641)에는 휜(601)들이 지지바 조립체(644)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휜 분리부(66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상기 휜 분리부(660)는 분리판(661)과, 상기 분리판(661)과 파지부 본체(64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수직봉(662)들과, 상기 수직봉(662)들에 설치되어 분리판(661)을 하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663)와, 상기 분리판(661)을 승강시키는 분리판용 승강수단(664)을 구비한다. 상기 분리판용 승강수단(664)으로는 승강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휜 분리부(660)는 상기 지지바 조립체(644)들에 휜(601)들이 수용될 때 상기 분리판(661)이 휜(601)들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승하게 되며, 상기 휜(601)들이 지지바 조립체(644)들로부터 분리되어,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 사이로 개재될 때, 상기 분리판(661)이 하강함으로써, 상기 휜(601)들이 지지바 조립체(644)들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게 보조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와 같이 휜 그리퍼(640)에 의해 파지된 휜(601)들은 휜 로딩수단(680)으로 이송된다. 상기 휜 로딩수단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휜 로딩수단(680)은 트레이(11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681)과, 상기 지지블록(681)을 승강시키는 지지블록용 승강수단(682)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블록(681)의 상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가 장착된 트레이(110)가 놓여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트레이(110)가 놓여진 상태에서 지지블록용 승강수단(682)의 작동으로 휜 그리퍼(640)에 의해 파지된 휜(601)들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110)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휜 그리퍼(640)가 휜(601)들을 해지하여 분리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 사이로 휜(601)들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As shown, the shock loading means 680 is provided with a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 사이로 휜(601)들이 적재되어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완성되어지게 되면, 상기 휜 플레이트 코어(701)는 트레이(110)로부터 코어 언로딩수단(710)에 의해 취출된 후 코어 정렬수단(730)에 의해 압축 정렬되어진다. When the
상기 코어 언로딩수단 및 코어 정렬수단은 도 24 및 도 25에 각각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The core unloading means and the core aligning means are shown in detail in FIGS. 24 and 25, respectively.
도 24를 참조하면, 코어 언로딩수단(700)은, 트레이(110)로부터 휜 플레이트 코어(701)를 분리시키는 코어 분리부(710)와, 상기 코어 분리부(710)로부터 분리된 휜 플레이트 코어(701)를 코어 정렬수단(730)측으로 이송시키는 코어 이송부(72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4, the core unloading means 700 includes a
상기 코어 분리부(710)는 승강지지판(711)과, 상기 승강지지판(711)을 승강시키는 승강지지판용 승강수단(712)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지지판(711)은 트레이(110)의 하방에 위치되어 휜 플레이트 코어(701)를 지지한 상태로 상승하며, 이에 따라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들어올려져 트레이(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코어 이송부(720)내로 수용되어진다. The
상기 코어 이송부(720)는 상기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수용되는 코어 수용부(721)와, 상기 코어 수용부(721)를 수평운동시키는 코어 수용부용 수평운동수단(725)과 상기 코어 수용부(721)를 승강시키는 코어 수용부용 승강수단(726)을 구비한다. 상기 코어 수용부용 승강수단(726)은 전술한 코어 분리부(710)에 의해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상승하여 분리되는 것과 연계하여 상기 코어 수용부(721)를 하강시켜 상기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적층된 상태로 코어 수용부(721)내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코어 수용부(721)내에는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트레이(110) 내에서 적층된 상태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코어 가이드핀(722)들이 적어도 2열로 형성되어 있으며, 휜(701)들이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방지판(72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 방지판(723)에는 돌출 방지판용 승강수단(724)이 마련되어 상기 돌출 방지판(723)이 승강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어 수용부(721)에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완전히 감싸져 수용된 상태에서 코어 수용부용 수평운동수단(725)에 의해 코어 정렬수단(730)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코어 수용부용 승강수단(726) 및 돌출 방지판용 승강수단(724)으로는 실린더 등이 각각 이용될 수 있다. In the
상기 코어 언로딩수단(700)으로부터 취출되어 이송된 휜 플레이트 코어(701)는 도 25에 도시된 코어 정렬수단(730)에 의해 압축되어 정렬된다. 상기 코어 정렬수단(730)은 휜 플레이트 코어(701)의 일측을 지지하는 코어 지지부(731)와, 상기 코어 지지부(731)측으로 휜 플레이트 코어(701)를 이동시켜 가압하기 위한 코어 가압부(732)로 구성되어 있다. The
상지 코어 지지부(731)는 휜 플레이트 코어(701)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휜 플레이트 코어(701)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코어 가압부(732)의 일측에는 코어 가압부용 수평운동수단(733)이 설치되어 상기 휜 플레이트 코어(701)의 타측면에 코어 가압부(732)가 접촉된 상태에서 코어 지지부(731)측으로 휜 플레이트 코어(701)를 가압하여 압착 및 정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 정렬된 휜 플레이트 코어(701)는 통상적인 이송수단에 의하여 압축 정렬된 상태로 추후 공정, 예컨대 픽스쳐로 고정하는 공정으로 보내어져 고정된 후에 브레이징 노로 공급됨으로써 브레이징 접합되어진다. The upp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assembl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에 마련된 분리이송수단(210)의 분리부(211)에 의해 스페셜 플레이트 적재부(202)로부터 스페셜 플레이트(201)들이 하나씩 낙하되어 분리된다. 분리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는 이송부(212)의 컨베이어(213)에 의해 안착부(214)로 이송된 후, 리프터(215)에 의해 상승되어지고 푸셔(216)에 의해 회전수단(220)으로 공급된다. 회전수단(220)으로 공급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는 상기 회전수단(220)의 회전판(221)들 사이로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판용 구동수단에 의해 90도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와 같이 세워진 스페셜 플레이트(201)는 스페셜용 이송수단(230)의 스페셜용 그리퍼(240)에 의해 파지되며, 파지된 상태로 X-Y이동수단(250)에 의해 메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놓여진 트레이(110)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스페셜 플레이트(201)들이 장착된 트레이(110)는 메인 컨베이어(100)에 의해 상기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의 일측에 마련된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으로 보내어진다. First, the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에서는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바스켓(302)에 소정 개수로 적재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동시에 파지된 상태로 방향전환수단(320)의 수납부(322)로 이송되어진다. 상기 방향전환수단(320)의 수납부(322)로 이송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지지부(33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부(325)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진다. 이와 같이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180도 회전되어지면 각 일반 플레이트(301)의 컵부가 초기 상태로부터 180도 뒤집혀 위치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로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파지된 후, 무한 컨베이어(350)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무한 컨베이어(350)측으로 이송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상기 무한 컨베이어(350)의 슬 라이더(357)에 설치된 가이드핀(362)들 사이 및 가이드핀 조립체(360)들 사이에 각각 세워진 상태로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에 의해 소정 피치로 삽입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휠 구동수단(353)에 의해 회전하는 휠(352)들과 밀착된 슬라이더(357)의 이동에 따라 피치 이송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피치 이송되는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설정된 개수만큼 상기 일반용 제1그리퍼(3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일반용 제2그리퍼에 의해 계속하여 취출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무한 컨베이어(350)에 마련된 센서부(364)로부터 무한 컨베이어(35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일반 플레이트(301)들 중 최선단에 배치된 일반 플레이트(301)의 위치가 감지되며, 이와 같이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일반용 제2그리퍼가 작동되어진다. In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320 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일반용 제2그리퍼에 의해 취출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370)에 있어 정렬수단용 프레임(371)에 설치된 고정바(37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밀대부(374)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안착편(373)들에 각각 삽입되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렬수단용 프레임(371)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위치 제어부(382)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어진 쐐기부(381)들이 승강 실린더(385)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쐐기부(381)들과 연계된 밀대부(374)가 안착편(373)들로부터 후퇴하게 됨으로써 안착편(373)들 사이에 상기 쐐기부(381)들이 삽입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편(373)들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들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이동됨으로써 일반 플레이트(301)들의 위치가 재배열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간들은 열교환기의 제품 사양에 따라 결정되는 일반 플레이트(301)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셜 플레 이트(201)들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배열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상기 일반용 제2그리퍼에 의하여 파지된 후,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으로부터 메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놓여져 이송된 트레이(110)에 장착되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장착된 트레이(110)는 메인 컨베이어(100)에 의해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의 일측에 마련된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으로 보내어진다. The
상기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에서는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에서의 방향전환수단(320)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180도 회전되어지지 않은 채, 상기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에서의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37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으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제2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400)의 일반 플레이트 정렬수단으로 공급된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이들 사이에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이 개재될 수 있는 공간들이 마련될 수 있도록 일반 플레이트(301)들이 재배열된다. 이와 같이 재배열된 상태의 일반 플레이트(301)들은 트레이(110)로 장착되며, 그 결과, 전술한 스페셜 플레이트 공급수단(200)에 의해 트레이(110)에 장착된 스페셜 플레이트(201)들 및 제1일반 플레이트 공급수단(300)에 의해 트레이(110)에 장착된 일반 플레이트(301)들과 함께 튜브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들(201)(301)이 배치되어 장착된 트레이(110)는 메인 컨베이어(100)에 의해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으로 보내어진다.
In the second general plate supply means 400, since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320 in the first general plate supply means 300 is omitted, the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공급수단(500)에서는, 별도로 성형된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이 적재된 박스로부터 매니폴드 조립체(501)가 매니폴드용 그리퍼(510)에 의해 하나씩 파지된다. 상기 매니폴드용 그리퍼(510)에 의해 매니폴드 조립체(501)가 파지될 때에는 상기 매니폴드용 그리퍼(510)에 마련된 조정부(520)에 의해 매니폴드 조립체(501)의 양단 위치가 조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매니폴드용 그리퍼(510)에 의해 매니폴드 조립체(501)의 위치가 조정되어 파지된 후에는 X-Y이동수단(530)에 의해 상기 매니폴드용 그리퍼(510)가 트레이(110)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상기 매니폴드용 그리퍼(510)에 의해 트레이(110)측으로 이동되어진 매니폴드 조립체(501)는 트레이(110)에 장착된 플레이트들(201)(301) 사이에 설정된 위치로 삽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가 장착된 트레이(110)는 메인 컨베이어(100)에 의해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600)으로 보내어지게 된다. In the manifold assembly supply means 500, the
상기 휜 플레이트 조립수단(600)에서는, 일측에서 성형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된 휜(601)들이 휜 피치 컨베이어(610)측으로 이송되며, 상기 휜 피치 컨베이어(610)측으로 이송된 휜(601)들은 상기 휜 피치 컨베이어(610)의 이동 벨트(617)에 소전 간격으로 설치된 휜 수용편(620)들에 각각 세워져 수용되어진다. 상기 휜 수용편(620)들에 수용된 휜(601)들은 롤러용 구동수단(613)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615)와 밀착된 이동 벨트(617)의 이동에 따라 피치 이송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피치 이송되는 휜(601)들은 설정된 개수만큼 일측에 마련된 휜 취출수단(630)에 의해 취출되어 휜 적재부(631)로 공급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휜 피치 컨베 이어(610)에 마련된 휜 감지부로부터 휜 피치 컨베이어(61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휜(601)들 중 최선단에 배치된 휜(601)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휜 취출수단(630)의 푸싱부(636)가 휜 취출수단용 수평운동수단(634)에 의해 휜 적재부(631)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휜 수용편(620)들에 수용된 휜(601)들이 휜 적재부(631)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상기 휜 취출수단(630)에 의해 휜 적재부(631)로 취출되어 이송된 휜(601)들은 휜 그리퍼(640)에 의해 파지되어진다. 상기 휜 그리퍼(640)에 의해 동시에 소정 피치로 파지된 휜(601)들은 휜 로딩수단(680)으로 이송되어진다. In the fin plate assembly means 600, the
상기 휜 로딩수단(68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이 장착된 트레이(11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681)이 지지블록용 승강수단(682)에 상승하여 휜(601)들을 파지한 휜 그리퍼(64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110)가 상승한 상태에서, 휜 그리퍼(640)로부터 휜(601)들을 해지함으로써,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 사이로 휜(601)들이 삽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휜 그리퍼(640)에 마련된 휜 분리부(660)에 의해 휜 파지부(641)의 지지바 조립체(644)들에 수용된 휜(601)들이 완전히 분리되어 플레이트들(201)(301) 및 매니폴드 조립체(501)들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휜(601)들이 트레이(110)에 적재되어지면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완성되어지게 되며, 완성된 휜 플레이트 코어(701)는 트레이(110)에 적재되어 코어 언로딩수단(700)으로 보내어진다. In the shock loading means 680, the
상기 코어 언로딩수단(700)으로 보내어진 트레이(110)는 코어 분리부(710)의 승강지지판(7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승강지지판(711)에 의해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지지판용 승강수단(712)에 의해 승강지지판(711)이 상승하게 되면, 트레이(110)로부터 휜 플레이트 코어(701)만이 들어올려져 분리되어진다. 분리된 휜 플레이트 코어(701)는 상방에 위치된 코어 이송부(720)의 코어 수용부(721)내로 수용되어진다. 이때, 상기 코어 수용부용 승강수단(726)은 상기 코어 분리부(710)와 연계하여 작동되어 코어 분리부(710)로부터 분리된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트레이(110)에 적재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휜 플레이트 코어(701)를 수용한 상태로 코어 수용부용 수평운동수단(725)에 의해 코어 정렬수단(730)측으로 이송되어진다. The
상기 코어 정렬수단(730)에서는 휜 플레이트 코어(701)의 일측이 코어 지지부(731)에 의해 지지되어지며, 휜 플레이트 코어(701)의 타측에 위치된 코어 가압부(732)가 코어 가압부용 수평운동수단(733)에 의해 코어 지지부(731)측으로 이동되어진다. 따라서,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코어 가압부(732)에 의해 가압되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휜 플레이트 코어(701)의 플레이트들(201)(301), 매니폴드 조립체(501) 및, 휜(601)들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휜 플레이트 코어(701)가 압축 정렬되어지게 된다. In the core aligning means 730, one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압축 정렬된 휜 플레이트 코어(701)는 통상적인 이송수단, 예컨대 로봇 등에 의하여 압축 정렬된 상태로 추후 공정, 예컨대 픽스쳐로 고정하는 공정으로 보내어져 고정되어지며, 이후에는 브레이징 노로 공급되어 브레이징 접합되 어진다. The compressed and alig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는, 구성 부품을 조립하는 모든 공정이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져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되므로, 각 공정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이고 나아가서는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 exchanger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ll the steps of assembling the component parts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by an automated process, reducing the work maneuver according to each process and further improve the productivity The effect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4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8774A KR101015400B1 (en) | 2003-08-25 | 2003-08-25 | Apparatus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8774A KR101015400B1 (en) | 2003-08-25 | 2003-08-25 | Apparatus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2193A KR20050022193A (en) | 2005-03-07 |
KR101015400B1 true KR101015400B1 (en) | 2011-02-22 |
Family
ID=3723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8774A KR101015400B1 (en) | 2003-08-25 | 2003-08-25 | Apparatus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540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9760B1 (en) | 2013-04-25 | 2014-03-05 | 주식회사 두발 | Heat transfer plate alignment device |
US10343239B2 (en) | 2015-11-20 | 2019-07-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8481B1 (en) * | 2004-10-08 | 2006-08-03 | 주식회사 동성기연 | assembly unit using radiator assembly system |
KR101291026B1 (en) * | 2007-08-27 | 2013-08-0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
CN103240358A (en) * | 2013-05-17 | 2013-08-14 | 无锡国盛精密模具有限公司 | Automatic tube sleeving system and method for finned tube heat exchang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2741A (en) * | 1994-06-24 | 1996-01-26 | 김주용 | Method for manufacturing isolation region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
JPH1047874A (en) | 1996-08-07 | 1998-02-20 | Toshiba Corp | Assembl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heat exchanging tube for heat exchanger |
KR19990078508A (en) * | 1998-12-11 | 1999-11-05 | 신영주 | Assembly device of heat exchanger |
JP2001062651A (en) | 1999-08-23 | 2001-03-13 | Calsonic Kansei Corp | Assembling device for heat-exchanger core |
-
2003
- 2003-08-25 KR KR1020030058774A patent/KR10101540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2741A (en) * | 1994-06-24 | 1996-01-26 | 김주용 | Method for manufacturing isolation region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
JPH1047874A (en) | 1996-08-07 | 1998-02-20 | Toshiba Corp | Assembl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heat exchanging tube for heat exchanger |
KR19990078508A (en) * | 1998-12-11 | 1999-11-05 | 신영주 | Assembly device of heat exchanger |
JP2001062651A (en) | 1999-08-23 | 2001-03-13 | Calsonic Kansei Corp | Assembling device for heat-exchanger cor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9760B1 (en) | 2013-04-25 | 2014-03-05 | 주식회사 두발 | Heat transfer plate alignment device |
US10343239B2 (en) | 2015-11-20 | 2019-07-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2193A (en) | 2005-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90787B1 (en) | Heat exchanger assembling apparatus | |
JPH0615393A (en) | Pipe inserting device for heat exchanger assembling device | |
KR100367717B1 (en) | Heat exchanger assembly apparatus | |
CN113714798B (en) | 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assembling screws of electronic products | |
KR20170103694A (en) |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workpieces | |
US20020054813A1 (en) | Apparatus for handling integrated circuits and trays for integrated circuits | |
CN113211034B (en) | Vibration module visor assembly system | |
KR101015400B1 (en) | Apparatus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 |
KR102450043B1 (en) |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inspecting lead tabs in multiple rows | |
KR100699459B1 (en) | Module test handler | |
CN113319218A (en) | Bending assembly line | |
JPH0615392A (en) | Stack pin holder circulating device in heat exchanger assembling device | |
CN217727642U (en) | Welding equipment | |
CN217229294U (en) | PCB separates paper board collecting machine | |
CN217727643U (en) | Stacking and overturning device and welding equipment | |
CN214059211U (en) | First-in first-out transport apparatus | |
JP2553517B2 (en) |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equipment | |
CN215853956U (en) | Feeding device and processing equipment | |
CN217412750U (en) | Tab folding device and welding equipment | |
KR102349792B1 (en) | System for unloading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 |
CN219044624U (en) | Disc disassembling and distributing mechanism for transfer disc | |
JP2543741B2 (en) | Magazine transfer device | |
CN217426825U (en) | Assembly device and welding equipment | |
KR100496632B1 (en) | Buffer For Electronic Elements Feeding Apparatus | |
CN214268055U (en) | Handling device and electricity core bal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