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856B1 -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 Google Patents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856B1
KR101014856B1 KR1020100096638A KR20100096638A KR101014856B1 KR 101014856 B1 KR101014856 B1 KR 101014856B1 KR 1020100096638 A KR1020100096638 A KR 1020100096638A KR 20100096638 A KR20100096638 A KR 20100096638A KR 101014856 B1 KR101014856 B1 KR 10101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lot
usb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이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경 filed Critical 이호경
Priority to KR102010009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은, 휴대용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고, 그 일측에 제1유에스비슬롯과 제2유에스비슬롯이 형성된 유에스비슬롯몸체, 및 일단에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에 장착되는 제1유에스비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에 장착되는 제2유에스비단자가 형성된 유에스비고리를 포함한다.
양단에 제1,2유에스비단자가 형성된 유에스비고리를 각각 제1,2유에스비슬롯에 장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용 기기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용이하다. 입출력단자부를 서로 삽입되는 단자내부하우징과 단자외부하우징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삽입함으로써, 휴대용 기기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아울러, 유에스비고리의 양단부에 형성된 유에스비단자의 일면에 곡선형의 외측돌기를 장착하고, 사이드에 사이드돌기를 장착하며, 이들을 탄성적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로 그 폭과 두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장착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다양한 포트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PORTABLE INPUT/OUTPUT CABLE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기기에 장착되어 간편하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MP3플레이어/PDA와 같은 휴대용기기는 현대 생활에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수단으로서 이동이 잦은 현대인에게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휴대용기기의 사용 연령층이 낮아져 청소년들과 같은 젊은층까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휴대용기기로써의 사용에서 벗어나 자신의 취양에 맞는 각종 장식용품 등을 고리에 부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고 있다.
아울러, 별도의 유에스비단자가 설치된 유에스비케이블 이용하여 휴대용기기와 컴퓨터의 유에스비용 단자를 연결하여 이들 사이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휴대 상태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간편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유에스비포트를 소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한편, 휴대용기기에 장착된 고리에 장식용품과는 별도로 유에스비포트를 소지하고 다님으로써, 휴대가 번거롭게 되고, 분실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기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간편하게 하면서, 휴대용기기의 외부 구조를 심플하게 만드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은, 휴대용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고, 그 일측에 제1유에스비슬롯과 제2유에스비슬롯이 형성된 유에스비슬롯몸체, 및 일단에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에 장착되는 제1유에스비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에 장착되는 제2유에스비단자가 형성된 유에스비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단자부는, 상기 입출력단자가 고정된 단자내부하우징,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을 감싸는 단자외부하우징, 및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입출력단자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상기 휴대용기기의 상기 입출력포트에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에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과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 사이에 별도의 메모리슬롯이 더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슬롯에는 별도의 메모리유닛이 장착되되, 상기 메모리유닛은, 그 내부에 메모리가 탈착되고 상기 메모리슬롯을 통해서 상기 휴대용기기와 상기 메모리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과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은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타면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일면에는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제1외측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의 양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제1사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외측단부를 감싸는 제1연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몸체에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1몸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에는 상기 제1몸체돌기와 대응하여 제1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가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에스비고리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를 연결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라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송라인을 덮는 피복, 및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와 상기 전송라인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와 상기 전송라인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몸체와 제2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수(female) 유에스비슬롯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유에스비단자가 적어도 한쪽 단부에 형성된 유에스비케이블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 유에스비슬롯의 삽입구 내측 일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마주하는 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외측돌기가 상기 유에스비단자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에스비단자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 유에스비슬롯의 상기 삽입구 양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사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유에스비단자가 상기 수 유에스비슬롯의 상기 삽입구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외측돌기와 상기 사이드돌기가 상기 유에스비단자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측돌기는 상기 삽입구의 내면과 접하는 외측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돌기의 선단부 모서리는 원형 또는 곡선으로 면취되어 상기 유에스비단자가 상기 삽입구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앞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에서, 양단에 제1,2유에스비단자가 형성된 유에스비고리를 각각 제1,2유에스비슬롯에 장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용 기기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용이하다.
입출력단자부를 서로 삽입되는 단자내부하우징과 단자외부하우징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삽입함으로써, 휴대용 기기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아울러, 유에스비고리의 양단부에 형성된 유에스비단자의 일면에 곡선형의 외측돌기를 장착하고, 사이드에 사이드돌기를 장착하며, 이들을 탄성적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로 그 폭과 두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장착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다양한 포트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의 결합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휴대용기기를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휴대용기기를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유에스비슬롯몸체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유에스비슬롯몸체가 해제/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의 제1연결몸체부를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의 제2연결몸체부를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가 유에스비슬롯몸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가 유에스비슬롯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휴대용기기를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의 전기접속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휴대용 기기(100)의 일측에는 입출력포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입출력포트(110)로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이 장착되는데, 상기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은, 입출력단자(120), 입출력단자몸체(125), 케이블(130), 유에스비슬롯몸체(135), 및 유에스비고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출력단자(120)와 상기 입출력단자몸체(125)를 입출력단자부(127)로 통칭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130) 없이, 상기 입출력단자몸체(125)와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출력단자(120)는 상기 휴대용 기기(100)의 상기 입출력포트(110)로 압입되거나 별도의 걸림후크(도 2a의 200)에 의해서 상기 휴대용 기기(100)에 고정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력단자부(120)가 상기 입출력포트에 삽입(압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상기 입출력단자(120)를 상기 입출력포트(110)에 삽입하거나 빼내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입출력단자(12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에스비고리(140)는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25)에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유에스비고리(140)는 단순한 고리기능만을 수행하며, 별도의 유에스비단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의 결합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유에스비고리(14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제2유에스비단자(144b)가 구비되고, 전송라인(140a)이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전송라인(140a)이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와 상기 전송라인(140a)이 연결되는 부분에 제1연결몸체(142a)와 제2연결몸체(144a)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몸체(142a)와 상기 제2연결몸체(144a)는 단단한 재질(플라스틱 또는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피복(140b)과 상기 전송라인(140a)은 휘어짐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를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에 삽입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유에스비고리(140)를 휴대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는 교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를 사타(SATA), 마이크로 USB, 등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휴대용기기를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력단자몸체(125)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상기 케이블(130)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입출력단자(1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입출력단자(120)의 양사이드에는 후크(200)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후크(200)는 상기 입출력단자(120)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입출력단자(120)가 상기 휴대용 기기(100)의 상기 입출력포트(110)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200)가 상기 입출력단자(120)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입출력포트(110)의 걸림홈(미도시)에 걸림으로써, 상기 입출력단자(120)가 상기 입출력포트(1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휴대용기기를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력단자몸체(125)는 단자내부하우징(125a)과 단자외부하우징(125b)을 포함하는데,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은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이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입출력단자몸체(125)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후크(200)가 상기 입출력단자(1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입출력단자몸체(125)의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후크(200)가 상기 입출력단자(1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입출력포트(110) 안으로 상기 입출력단자(120)를 삽입하고,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을 설정된 수치보다 큰 힘으로 더 누르면,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후크(200)가 돌출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을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이 인출되면서, 상기 후크(200)가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입출력단자(120)가 상기 입출력포트(110)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유에스비슬롯몸체가 해제/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130)을 통해서 상기 입출력단자(120)와 연결되고, 그 타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제1유에스비슬롯(302), 메모리슬롯(304), 및 제2유에스비슬롯(30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302)에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가 장착되고,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306)에는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가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슬롯(304)에는 별도의 메모리유닛(31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유닛(310)은 그 자체가 메모리카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모리유닛(310)은 별도의 케이스(310a)와 상기 케이스(310a) 안에 장착되는 별도의 메모리(3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310b)는 상기 케이스(310a)의 외측에 형성된 접속단자를 통해서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310b)는 일반적인 SD카드, 유심카드, 금융칩, RF카드(교통칩), 또는 무선송수신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유에스비슬롯몸체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302), 상기 메모리슬롯(304), 및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306)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135a)과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이 내부로 삽입되는 슬롯외부하우징(135b)을 포함한다.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135b)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302)은 상부로 개방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306)은 하부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를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를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302)에 장착하고,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를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를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306)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를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302)과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306)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을 상기 슬롯외부하우징(135b)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유에스비고리(140)가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를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에서 분리하고,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를 별도의 기기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별도의 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의 제1연결몸체부를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 및 상기 제1연결몸체(142a)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의 일면에는 제1외측돌기(420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의 양사이드에는 제1사이드돌기(410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외측돌기(420a)는 외측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사이드돌기(410a)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상기 제1외측돌기(420a)와 상기 제1사이드돌기(410a)는 탄성적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돌기(410a)의 선단부의 가장자리는 원형으로 면취된 면취부(415a)를 갖는다.
상기 제1외측돌기(420a)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의 두께를 보상하고, 상기 제1사이드돌기(410a)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의 폭을 보상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다양한 유에스비슬롯에 장착이 가능하다.
한 예로써, 일반적으로 암(female) 유에스비슬롯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외측돌기(420a)와 상기 제1사이드돌기(410a)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6의 수(male) 유에스비슬롯(600)의 삽입구(61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외측돌기(420a)와 상기 제1사이드돌기(410a)가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 내용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의 제2연결몸체부를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 및 상기 제2연결몸체(144a)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의 일면에는 제2외측돌기(64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의 양사이드에는 제2사이드돌기(65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외측돌기(642)와 상기 제2사이드돌기(650)는 탄성적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외측돌기(642)는 원형의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돌기(650)의 선단부의 가장자리도 원형으로 면취된 면취부(415b)를 갖는다.
상기 제2외측돌기(642)는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의 두께를 보상하고, 상기 제2사이드돌기(650)는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의 폭을 보상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 두께와 폭이 가변되는 구조로, 다양한 유에스비슬롯에 장착이 가능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가 유에스비슬롯몸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가 유에스비슬롯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135b)의 내부에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이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의 상부에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302)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30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대응하는 상기 제1연결몸체(142a)의 하부에는 제1몸체돌기(510a)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와 대응하여 상기 제2연결몸체(144a)의 상부에는 제2몸체돌기(510b)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돌기(510a)와 대응하여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302)의 내측면에는 제1홈(5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돌기(510b)와 대응하여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306)의 내측면에는 제2홈(520b)이 형성된다.
도 5b의 상태에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를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의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302)과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306)에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을 상기 슬롯외부하우징(135b) 안으로 삽입하여, 도 5a와 같은 구조를 완성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135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는 상기 제1몸체돌기(510a)와 상기 제1홈(520a) 및 상기 제2몸체돌기(510b)와 상기 제2홈(520b)에 의해서 외부로 인출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가 설정된 수치 이상의 힘으로 상기 유에스비고리(140)를 잡아당기면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35a)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135b) 밖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가 상하부로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케이블 유닛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에스비케이블유닛(630)의 한쪽 단부에 유에스단자(640)가 형성되고, 상기 유에스단자(640)의 상부면에는 외측돌기(6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에스단자(640)의 양 사이드에는 사이드돌기(650)가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측돌기(642)와 상기 사이드돌기(650)는 탄성적으로 상기 유에스단자(6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외측돌기(642)는 상기 유에스단자(640)의 두께를 가변시키고, 상기 사이드돌기(650)는 상기 유에스단자(640)의 폭을 가변시킨다.
상기 유에스단자(640)와 대응하여, 수 유에스비슬롯(600)이 형성되고, 상기 수 유에스비슬롯(600)의 선단부 가운데로 삽입구(61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610)는 제1폭(W1)을 갖고 있으며, 상기 유에스단자(640)가 상기 삽입구(610)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삽입구(610)의 내측면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접속단자(6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돌기(650)를 제외한 상기 유에스단자(640)의 제2폭(W2)은 상기 삽입구(610)의 제1폭(W1)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아서, 상기 사이드돌기(650)를 제외한 상기 유에스단자(640)가 상기 삽입구(610)로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유에스단자(640)가 상기 삽입구로 삽입될 때, 상기 사이드돌기(650)와 상기 외측돌기(642)는 상기 유에스단자(6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유에스단자(640)가 일반적인 암 유에스비슬롯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외측돌기(642)와 상기 사이드돌기(650)는 상기 유에스단자(64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고리와 휴대용기기를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의 양 측면에는 누름부(70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700)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700)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누름부(700)가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과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 사이에 게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700)가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25b)의 내측면에 눌려,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25a)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상기 누름부(700)가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후크(200)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입출력단자(120)가 상기 휴대용 기기(10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의 전기접속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에는 상기 케이블(130), 상기 유에스비고리(140)의 양단부, 및 상기 메모리유닛(310)이 배치되고, 이들은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부들(802, 804, 806, 808)을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140)의 단부에는 제1접속부(80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에는 상기 제1접속부(802)와 대응하여 제2접속부(80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메모리유닛(310)에는 제3접속부(806)가 형성되고, 제2유에스비단자(144b)에는 상기 제3접속부(806)와 대응하여 제4접속부(808)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기기(100)는 상기 케이블(130), 상기 제1접속부(802), 상기 제2접속부(804),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 상기 유에스비고리(140),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 상기 제4접속부(808), 및 상기 제3접속부(806)를 통해서 상기 메모리유닛(3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아울러,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가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기기(100)는 상기 케이블(130), 상기 제1접속부(802), 상기 제2접속부(804),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 상기 유에스비고리(140),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 및 상기 제4접속부(808)를 통해서 상기 별도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아울러,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가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는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13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유닛(310)은 상기 제3접속부(806), 상기 제4접속부(808),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 상기 유에스비고리(140),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 및 상기 제2접속부(804)를 통해서 별도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에스비고리(140)의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142b)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144b)의 체결에 따라서,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상기 메모리유닛(310) 사이,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별도 기기 사이, 및 상기 메모리유닛(310)과 별도 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주고 받는 구조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휴대용기기
110: 입출력포트
120: 입출력단자
125: 입출력단자몸체
125a: 단자내부하우징
125b: 단자외부하우징
127: 입출력단자부
130: 케이블
135: 유에스비슬롯몸체
135a: 슬롯내부하우징
135b: 슬롯외부하우징
140: 유에스비고리
140a: 전송라인
140b: 피복
142a: 제1연결몸체
142b: 제1유에스비단자
144a: 제2연결몸체
144b: 제2유에스비단자
200: 후크
302: 제1유에스비슬롯
304: 메모리슬롯
306: 제2유에스비슬롯
310: 메모리유닛
310a: 케이스
310b: 메모리
410a: 제1사이드돌기
415a, 415b: 면취부
420a: 제1외측돌기
510a: 제1몸체돌기
520a: 제1홈
510b: 제2몸체돌기
520b: 제2홈
600: 수(female) 유에스비슬롯
610: 삽입구
620: 접속단자
630: 유에스비케이블유닛
640: 유에스비단자
642: 외측돌기
650: 사이드돌기
W1, W2: 제1폭, 제2폭
700: 누름부
802, 804, 806, 808: 제1,2,3,4접속부

Claims (14)

  1. 휴대용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고, 그 일측에 제1유에스비슬롯과 제2유에스비슬롯이 형성된 유에스비슬롯몸체; 및
    일단에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에 장착되는 제1유에스비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에 장착되는 제2유에스비단자가 형성된 유에스비고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3. 제1항에서,
    상기 입출력단자부는,
    상기 입출력단자가 고정된 단자내부하우징;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을 감싸는 단자외부하우징; 및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입출력단자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상기 휴대용기기의 상기 입출력포트에 고정하는 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4. 제3항에서,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의 일측면에는 탄성적으로 그 내부로 눌려지는 누름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누름부가 상기 단자외부하우징에 의해서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의 내부로 눌리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입출력단자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5. 제1항에서,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에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과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 사이에 별도의 메모리슬롯이 더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슬롯에는 별도의 메모리유닛이 장착되되,
    상기 메모리유닛은, 그 내부에 메모리가 탈착되고 상기 메모리슬롯을 통해서 상기 휴대용기기와 상기 메모리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6. 제5항에서,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에 상기 유에스비고리의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기기는 상기 유에스비고리의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반대측 상기 유에스비고리의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는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유닛.
  7. 제1항에서,
    상기 유에스비슬롯몸체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과 상기 제2유에스비슬롯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은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타면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8. 제7항에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일면에는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제1외측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9. 제7항에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의 양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제1사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10. 제7항에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의 외측단부를 감싸는 제1연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몸체에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1몸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에는 상기 제1몸체돌기와 대응하여 제1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가 상기 제1유에스비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11. 제1항에서,
    상기 유에스비고리는,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와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를 연결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라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송라인을 덮는 피복; 및
    상기 제1유에스비단자와 상기 전송라인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2유에스비단자와 상기 전송라인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몸체와 제2연결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12. 수(male) 유에스비슬롯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유에스비단자가 적어도 한쪽 단부에 형성된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단자가 상기 수 유에스비슬롯의 상기 삽입구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구 내측 일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유에스비단자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돌기가 상기 유에스비단자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13. 제12항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수 유에스비슬롯의 삽입구 내측 일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마주하는 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유에스비단자가 상기 삽입구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유에스비단자의 두께를 가변시키는 외측돌기이며,
    상기 외측돌기는 상기 삽입구의 내면과 접하는 외측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14. 제12항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유에스비단자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 유에스비슬롯의 상기 삽입구 양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유에스비단자가 상기 삽입구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유에스비단자의 폭을 가변시키는 사이드돌기이며,
    상기 사이드돌기의 선단부 모서리는 원형 또는 곡선으로 면취되어 상기 유에스비단자가 상기 삽입구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KR1020100096638A 2010-10-05 2010-10-05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KR10101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38A KR101014856B1 (ko) 2010-10-05 2010-10-05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38A KR101014856B1 (ko) 2010-10-05 2010-10-05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82 Division 2010-03-19 2010-03-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994A Division KR20110105699A (ko) 2011-01-26 2011-01-26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856B1 true KR101014856B1 (ko) 2011-02-18

Family

ID=4377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638A KR101014856B1 (ko) 2010-10-05 2010-10-05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729A (ko) * 2014-03-31 2015-10-08 이건일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781U (ko) * 2008-03-25 2009-09-30 정성환 휴대폰용 멀티 어댑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781U (ko) * 2008-03-25 2009-09-30 정성환 휴대폰용 멀티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729A (ko) * 2014-03-31 2015-10-08 이건일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KR101581113B1 (ko) 2014-03-31 2015-12-30 이건일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5974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for providing grounding and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9502840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EP2722936B1 (en) Plug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20160352051A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9685737B2 (en) Standing-type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20070141915A1 (en) Connector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CA2619855A1 (en) Multipurpose accessor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9647358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120231643A1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US8961237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power contacts which comprise a plurality of contact inserting portions
KR101668461B1 (ko)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
US20110021063A1 (en) Electronic connector assembly
US745223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721637A (zh) 一种兼具对讲功能的移动通讯装置
KR101014856B1 (ko)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TWI466458B (zh) 無線訊號接收器
JP3138931U (ja) 外部画像処理装置
KR20120004369A (ko)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KR20110105699A (ko)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CN205141198U (zh) 一种可双面插接的USB 2.0 Micro-B型USB插头
KR102790904B1 (ko) 개선된 결합 구조를 구비한 유에스비 커넥터
CN112399296B (zh) 可穿戴设备
CN211958173U (zh) 一种嵌件结构及对应的具有插口的电子产品
KR101240230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586436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0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1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