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351B1 -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 Google Patents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351B1
KR101010351B1 KR1020080109188A KR20080109188A KR101010351B1 KR 101010351 B1 KR101010351 B1 KR 101010351B1 KR 1020080109188 A KR1020080109188 A KR 1020080109188A KR 20080109188 A KR20080109188 A KR 20080109188A KR 101010351 B1 KR101010351 B1 KR 10101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t
nano powder
base member
dissipation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074A (ko
Inventor
김형철
임중열
강병복
윤영찬
Original Assignee
(주)디디쏠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디쏠라테크 filed Critical (주)디디쏠라테크
Priority to KR102008010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3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35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7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 H01L23/3737Organic materials with or without a thermoconductive fill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42Shape of an individual particle
    • H05K2201/0257Nano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는 발열부품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휜과,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방열휜의 내부에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루트의 내부에 충전되는 나노 분말 상의 열전달재를 포함한다.
이 방열장치는 방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어 발열부품의 방열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 나노분말, 방열휜, 열전달

Description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heatsink using Nanoparticles}
본 발명은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출력 발광다이오드에 적용 가능하며,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광다이오드는 상대적으로 조도가 높은 투광기, 백라이트, 조명등에 이용되는데, 특히 최근에는 저소비전력 고출력의 발광다이오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고수명, 저전력소모, 친환경적, 박형화 등의 장점을 갖는 반면 광효율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발광다이오드의 광효율은 대략 20~30%정도이다. 발광다이오드 1W의 소모전력에서 광효율을 30%로 보았을 때, 열로 발생되는 소모전력 비율이 70%이다.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열은 발광다이오드를 열화시키게 되며 그 수명을 반감시킨다. 따라서 고출력의 발광다이오드에 있어서 방열수단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생활가전분야에까지 확대되고 있어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086391호에는 냉각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패키지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인쇄회로기판은 평판상 의 히트 파이프가 구비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공개 특허 제 2006-008605호에는 엘이디 패키지의 열방출구조 및 이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패키지가 구비되어 있다. 개시된 엘이디 패키지는 엘이디 칩, 접착층을 이용하여 엘이디 칩에 결합되는 메탈 슬러그 및 상기 엘이디 칩을 둘러싼 몰딩을 포함하며, 상기 메탈슬러그는 엘이디 칩을 둘러싼 발산 벽면체 및 상기 발산 벽면체의 외부에 형성된 슬러그 기판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냉각 기능을 갖는 엘이디 패키지 또는 엘이디 패키지의 방열구조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공기와의 열전달에 의해 방열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충분한 냉각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고출력의 엘이디의 경우 상기와 같은 방열구조로서는 열에 의한 엘이디의 열화를 방지할 수 없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660126호에는 방열판 구조를 가지는 회로기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회로기판은 광소자 어레이에 전류를 공급하는 리드선을 제1면에 부착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의 일전전체에 광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제 1금속재 방열판과, 방열판과 리드선에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막을 구비하며, 이 절연막은 질화 알루미늄분말이 내부에 분사된 에폭시 막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방열표면적을 넓혀 광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의 발생된 열을 방지하고 있으나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회로기판의 제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휘도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의 열에 의한 열화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나노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열면적을 줄임과 아울러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상대적 단순한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열장치는 발열부품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휜과,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방열휜의 내부에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루트의 내부에 충전되는 나노 분말 상의 열전달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재는 금 나노분말, 은나노분말, 구리 나노분말, 은나노분말과 구리 나노분말의 합성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은나노분말과 구리 나노분말의 입자크기는 2 내지 10nm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는 단위 질량당 표면적의 증가로 열전도율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나노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방열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특정부위에 열점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장치는 고출력의 발광다이오드의 방열장치로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는 나노분말을 이용하여 열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방열장치(10)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00)이 발열부품장착부(11)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12)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휜(13)과,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방열휜의 내부에 소정의 형성되는 루트(20)의 내부에 충전되는 나노 분말 상의 열전달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2)는 열을 방출(방열)하고자 하는 방열부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품장착부가 형성된 판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판부재가 지주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12)에 형성되는 방열휜(13)은 그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박판 또는 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구성이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방열부품장착부(11) 이외의 영역에 요철이 형성되어 그 표면적을 넓힐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2)에 형성된 루트(20) 즉, 본체에 내부에 형성되어 나노분말의 충전을 위한 공간은 발열부품장착부(11)와 대응되는 측에 형성된 메인루트부(21)와, 상기 메인루트부(21)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분기루트(22)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루트(21)는 상기 발열부품장착부(11)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기루트(22)는 상기 메인루트(21)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데, 열전달재(30)에 의해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부재(12)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루트(22)의 단부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보조 분기루트(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14)가 지주(15)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12)(13)와 지주에 상술한 바와 같이 루트가 형성되고, 열전달재(30)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재는 금나노분말, 은나노 분말, 구리 나노분말 또는 은 나노 분말과 구리 나노분말 금나노분말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금,은 또는 구리 나노분말의 입자크기는 2 내지 10nm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고출력 발광다이오드와 방열을 위한 본체가 일체화로 이루어진 모듈화 된 경우 방열을 위한 본체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루트가 형성되고 이 루트에 열전달재가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10)를 이용하여 발열부품 예컨대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0)로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방열장치의 발열부품장착부(11)에 열전도성 접착제 또는 시트(thermal connection sheet)를 이용하여 고휘도의 발광다이오드(100)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100)의 구동으로 인하여 이로부터 열이 발생 되면 이 열을 외기와 방열장치(10)에 의해 방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100)로부터 발생된 열은 상기 베이스부재(12)의 방열휜(13)으로 전달되어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방열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2)에는 열전달재(30)인 금나노분말, 은나노분말, 구리나노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열전달재(30)에 의해 베이스 부재의 반경방향 및 방열휜 측으로의 열전달이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나노 분말상의 열전달재(30)는 단위 질량당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열전도율이 높아지게 되므로 베이스부재를 통한 열전도 속도보다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부재(12)의 발열부품장착부(11)로부터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열전달재(30)가 발광다이오드(100)로부터 열을 전달하는 코어를 이루게 되고, 온도가 높은 이 코어로부터 베이스부재(12)의 각 부위와 방열휜(13)으로 열이 전달되어 방열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금나노분말, 은나노분말, 구리나노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열전달재(30)는 메인루트(21)와 분기루트(22)에 충전되어 베이스부재(11)의 각 부위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열이 특정부위에 축열되는 열점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5)에 의해 베이스부재(12)(14)들이 연결되어 방열표면적을 넓히고, 지주(15) 는 베이스 부재에 방열휜이 설치된 경우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달재(30)이 충전되는 분기루트(22)는 베이스부재(12)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패턴,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으로 형성된 분기루트(22)의 단부에 열전달재(30)가 충전되는 보조 분기루트(2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는 발열부품 특히 발광다이오드 또는 이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어 고출력의 발광다이오드 모듈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는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모듈, 반도체 칩 등의 각종 전자부품에 방열에 널리 적용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Claims (4)

  1. 발열부품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휜과,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방열휜의 내부에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루트와, 상기 루트의 내부에 충전되는 나노 분말 상의 열전달재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재가 충전되는 루트는 발열부품장착부와 대응되는 측의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메인루트와, 상기 메인루트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분기루트와 상기 분기 루트의 단부에 형성된 보조 분기루트를 구비하며,
    상기 열전달재는 금나노 분말, 은나노분말, 구리 나노분말, 은나노분말과 구리 나노분말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지주들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연결되며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KR1020080109188A 2008-11-05 2008-11-05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1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88A KR101010351B1 (ko) 2008-11-05 2008-11-05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88A KR101010351B1 (ko) 2008-11-05 2008-11-05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74A KR20100050074A (ko) 2010-05-13
KR101010351B1 true KR101010351B1 (ko) 2011-01-25

Family

ID=4227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1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0351B1 (ko) 2008-11-05 2008-11-05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633B1 (ko) 2016-12-05 2017-05-15 임정희 엘이디용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44B1 (ko) * 2010-11-11 2013-08-14 소닉스자펜 주식회사 대출력 엘이디 방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기구
KR101693827B1 (ko) * 2016-04-11 2017-01-17 주식회사 글로벌고베 고효율 방열기구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963738B1 (ko) * 2017-11-16 2019-03-29 (주)제이엔텍 고방열 형상 제어기술이 적용된 구리 유닛을 구비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KR102007725B1 (ko) * 2019-04-09 2019-08-07 네덱 주식회사 전자장치용 케이스
KR102528172B1 (ko) * 2022-05-20 2023-05-03 주식회사 유환 열수송 능력이 향상된 엘이디 등기구용 회로기판의 구조
KR102528174B1 (ko) * 2022-05-20 2023-05-03 주식회사 유환 방열효과가 개선된 엘이디 등기구용 회로기판의 구조
KR102633971B1 (ko) * 2022-11-24 2024-02-06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성분 왁스를 포함하는 쉘부 및 유성 코어부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752A (ja) * 2005-07-20 2007-02-01 Samsung Electro Mech Co Ltd Led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67184B1 (ko) * 2005-08-10 2007-10-1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전자부품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8035A (ko) * 2006-08-23 2008-02-27 자화전자(주) 전자부품용 기판과 그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및 그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JP3144055U (ja) * 2008-06-03 2008-08-14 陳鴻文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752A (ja) * 2005-07-20 2007-02-01 Samsung Electro Mech Co Ltd Led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67184B1 (ko) * 2005-08-10 2007-10-1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전자부품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8035A (ko) * 2006-08-23 2008-02-27 자화전자(주) 전자부품용 기판과 그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및 그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JP3144055U (ja) * 2008-06-03 2008-08-14 陳鴻文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633B1 (ko) 2016-12-05 2017-05-15 임정희 엘이디용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74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351B1 (ko) 나노 분말을 이용한 방열장치
KR100998480B1 (ko) 열전달/발산 모듈을 구비한 반도체 발광 장치
JP5082083B2 (ja) Led照明装置
US8035284B2 (en) Distributed LED-based light source
TW200528665A (en) Illumination assembly
CN1617362A (zh) 发光器件和利用该发光器件的发光设备和制造发光器件的方法
US20100163890A1 (en) Led lighting device
US20090153007A1 (en) Light source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2503306A (ja) 発光装置
CN102742039A (zh) Led发光模块
KR20150015900A (ko) Led칩 온 보드형 플렉시블 pcb 및 플렉시블 방열 패드 그리고 플렉시블 방열 패드를 이용하는 led 방열구조
JP2006019557A (ja) 発光装置とその実装方法、照明器具及びディスプレイ
KR101028357B1 (ko) 방열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기구
US20090015134A1 (en) Heat dissipation arrangement of a light emitting module
JP5558930B2 (ja) Led素子の放熱構造
KR101276326B1 (ko) 비아홀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이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 및 led 조명장치
JP3206038U (ja) 銅シートを有するフローティングヒートシンク支持体及びledフリップチップパッケージのためのledパッケージ組立体
Lai et al. Thermal management of bright LED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KR101363070B1 (ko) 엘이디 조명 모듈
CN101493219A (zh) 高散热性led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4127584A1 (zh) 发光器件、背光源模组及显示装置
KR20060009976A (ko) 히트 씽크 일체형 발광 다이오드
CN201196404Y (zh) 发光二极管的散热结构
JP2020047570A (ja) 熱伝導性高分子ヒートシンクの軽量放熱構造及び製造方法
CN206116458U (zh) 焊接有半导体温差发电芯片的led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