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548B1 -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Google Patents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6548B1 KR101006548B1 KR1020080105391A KR20080105391A KR101006548B1 KR 101006548 B1 KR101006548 B1 KR 101006548B1 KR 1020080105391 A KR1020080105391 A KR 1020080105391A KR 20080105391 A KR20080105391 A KR 20080105391A KR 101006548 B1 KR101006548 B1 KR 1010065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me
- wireless sensor
- sensor module
- communication device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 많은 센서로 이루어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화염 진행 방향을 예측하기 위한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외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며, 설치된 장소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그 파장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화재발생 유무신호로 송출하는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 모듈; 상기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로부터 송출되는 화재발생 유무신호를 수신 받아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의 식별정보에 매칭 시켜서 전송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상기 마스터 통신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불꽃감시용 무선 센서모듈의 식별정보와 화생발생 유무신호를 수신 받아 화면상에 출력하여 실외 화재 감지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관제 시스템; 상기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과 마스터 통신장치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출력 무선 통신망; 및 상기 마스터 통신장치와 관제 시스템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 predicting the direction of flame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sensors. If detected, the wireless sensor module for monitoring the flame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as a fire occurrence signal;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a fire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lame monitoring wireless sensor module and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ame monitoring wireless sensor module to transmit it; A control system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ame sensor module and flame re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outputting it on a screen to monitor outdoor fire detection;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lame sensor wireless sensor module and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trol system.
실외, 화염, 추적, 파장, 네트워크 Outdoor, flame, trace, wavelength, network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보다 상세하게는 수 많은 센서로 이루어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화염 진행 방향을 예측하기 위한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 predicting the direction of flame propagation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sensors.
현재 화재 감시에 사용되는 것은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서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서 감시 시스템에 알려주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Currently used for fire monitoring consists of a single system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to inform the monitoring system.
일반적으로 실외용 화재 감시 시스템은 거의 없으며, 건물 등과 같은 실내에 화재 감지센서를 여러 장소에 설치하여 발화위치부터 시작하여 화재 현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화재 감시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re are few outdoor fire monitoring systems, and indoor fire monitoring systems are installed to allow a fire sensor to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building to detect a fire situation starting from an ignition position.
상기와 같은 실내 화재 감시 시스템은 주로 유선을 사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화재 감시에 무선을 사용하면 신뢰성에 확보에 문제가 있어서 실내용으로 완벽하게 동작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Indoor fire monitor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mainly uses a wir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wireless is used for fire monitoring, there is a problem in securing reliability and it is difficult to operate perfectly for indoor use.
그러나 유선 특성상 화재에 의해서 유선이 소실되기 때문에 대규모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유선을 사용하면 화재가 발생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감지를 하게 되어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큰 규모로 중앙에서 실시간으로 화염을 관제 하는 네트워크 구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wires, wires are lost due to fire, making it difficult to construct a network on a large scale. Therefore, when wired is used,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network that controls flames in real time from a large scale such as a wireless sensor network because it is detected based on a location where a fire occurs.
본 발명은 유선 사용이 어렵고 전원 공급이 어려운 실외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하고, 실외의 넓은 지역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감지 이외에 화염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outdoor difficult to use wired and difficult to supply power, and by configuring a sensor network that operates independently in a large outdoor area to detect the direction of flame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of fi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실외의 넓은 지역을 하나의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합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that can be integrated to monitor a large outdoor area using a single monitoring system.
즉, 발달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적용시켜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단순한 화재 감시에서 중앙 관리를 함으로서 진화된 실외 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by applying the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build an advanced outdoor fire monitoring system by managing centrally from the simple fire monitoring used up to now.
본 발명은 실외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며, 설치된 장소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그 파장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화재발생 유무신호로 송출하는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 모듈; 상기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로부터 송출되는 화재발생 유무신호를 수신받아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전송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상기 마스터 통신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불꽃감시용 무선 센서모듈의 식별정보와 화생발생 유무신호를 수신받아 화면상에 출력하여 실외 화재 감지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관제 시스템; 상기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과 마스터 통신장치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출력 무선 통신망; 및 상기 마스터 통신장치와 관제 시스템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y place of the outdoor, when the flame occurs in the installed place to detect the wavelength of the flame, and a wireless sensor module for flame monitoring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as a fire occurrence signal;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a fire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lame monitoring wireless sensor module and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ame monitoring wireless sensor modul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Control system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ame sensor module for monitoring the flame sent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signal for the generation of fire occurs on the screen to monitor the outdoor fire detection;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lame sensor wireless sensor module and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유선 사용이 어렵고 전원 공급이 어려운 실외에 용이하기 적용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하고, 실외의 넓은 지역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감지 이외에 화염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화염의 진행방향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화재가 더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outdoor difficult to use the wire and difficult to supply power, and by configuring a sensor network that operates independently in a large outdoor area to detect the direction of flame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of fi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can be made, and also to predict the progress of the flam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ire from spreading more.
또한, 본 발명은 실외의 넓은 지역을 하나의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합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한 화재 감시에서 중앙 관리를 함으로서 진화된 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to monitor a large outdoor area using a single monitoring system,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build an advanced fire monitoring system by the central management in a simple fire monitoring.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외부 전원 공급 없이 수년 이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블꽃의 파장을 감지하여서 화재 발생 유무를 감지하여서 실외 화재 감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more than a few years without using an external power supply using the battery power, and by detecting the wavelength of the flame to detect the presence of a fire can be used in outdoor fire detec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며, 설치된 장소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그 파장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화재발생 유무신호로 송출하는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 모듈(100)과, 상기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로부터 송출되는 화재발생 유무신호를 수신받아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전송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200)와, 상기 마스터 통신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불꽃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의 식별정보와 화생발생 유무신호를 수신받아 화면상에 출력하여 실외 화재 감지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관제 시스템(300)과, 상기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과 마스터 통신장치(200)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출력 무선 통신망(400)과, 상기 마스터 통신장치(200)와 관제 시스템(300)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400)으로 구성된다.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y place outdoors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flame occurs in the installed place detects the wavelength, and detects the detection resul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flame monitoring
상기 불꽃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불꽃 감지센서(110)와, 상기 불꽃 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불꽃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무선 불꽃 감지신호를 변환하는 신호처리부(120)와, 상기 신호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불꽃 감지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장치(200)로 송출하는 소출력 무선 모뎀(130)과, 불꽃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센서 노드 프로세서(140)와,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50)와,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체 시스템에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태양전지(16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flame monitoring
상기 배터리(150)는 태양전지(160)에 의해 충전되어, 태양전지(16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전체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The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꽃감시용 무 선 센서모듈(100)과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출력 무선 모뎀(210)과, 상기 관제 시스템(300)과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통신 모뎀(220)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3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이동통신 모뎀(220)은 CDMA 모뎀, TRS 모뎀 등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관제 시스템(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 식별정보와 불꽃 감지 유무신호를 수신받는 이동통신 모뎀(310)과, 상기 이동통신 모뎀(310)을 통해 입력되는 불꽃 감지 유무신호를 체크하여 불꽃이 감지된 경우와 불꽃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서로 다른 색상으로 화면상에 실외에 설치된 다수의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이 표시부(33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불꽃을 감지한 불꽃 감시용 무선 센서모듈(100)의 경우 표시부(330)의 화면상에 점멸되도록 하고, 이를 외부로 알리도록 하는 제어부(320)와,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에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340)로 구성된다.The
상기 제어부(320)는 진행되는 화염 방향에 따라서 상기 불꽃 감지용 무선 센서모듈(100)로부터 불꽃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시간에 따라서 수신되는 불꽃 감지신호들을 이용하여 화염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한다.When the flam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lame det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the wireless sensor networ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산 등과 같이 장소에 설치된 불꽃 감지용 무선 센서모듈(100)의 불꽃 감지용 센서(11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위로부터 불꽃 파장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불꽃 파장이 있는 경우 하이레벨의 불꽃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불꽃 파장이 없는 경우 로우레벨의 불꽃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의 신호는 회로의 구성에 따라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First, the
상기 불꽃 감지용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불꽃 감지 신호는 신호 처리부(120)로 입력되어 센서 노드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응하여 소출력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소출력 무선 모뎀(140)로 입력되고, 소출력 무선 모뎀(140)은 불꽃 감지용 센서모듈(100)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불꽃 감지 신호를 변조하여 송출한다.The flam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그러면 상기 소출력 무선신호로 변환된 불꽃 감지신호는 마스터 통신 장치(200)의 소출력 모뎀(210)을 통해 수신되고,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응하여 이동통신 모뎀(220)을 통해 이동통신에 적합한 무선신호로 변환된 후 송출된다.Then, the flame detection signal converted into the low power radio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그러면 관제 시스템(300)은 이동통신 모뎀(310)을 통해 불꽃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320)는 수신된 불꽃 감지신호로부터 불꽃 감지용 센서모듈(1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불꽃 감지신호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단한다.Then, the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320)는 표시부(330)에 불꽃 감지용 센서모듈(100)가 설치된 지형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상부에 불꽃 감지용 센서모듈(100)을 표시함과 동시에 정상적인 경우에는 그린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불꽃을 감지한 경우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관제 시스템(300)의 관리자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또한, 제어부(320)는 알람발생부(340)를 제어하여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화면을 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도 청각적으로 이를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32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소방소나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화재신호를 송출시켜 원격지에서 이를 알고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320)는 수신되는 불꽃 감지신호 및 지형, 바람 등과 같이 미리 입력된 또는 수신되고 있는 환경조건에 따라 화염 진행 방향을 예측하고, 예측된 화염 진행 방향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한편, 원격지로 전송하여 더 이상의 화염이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 감지용 센서모듈(100)이 설치된 현장(51)은 모든 센서 노드들이 관제 시스템(300)의 관제 화면(350)에서 볼 수가 있게 된다. 센서 노드에 설치된 불꽃 감지용 센서모듈(100)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200)로 소출력 모뎀(140)을 이용하여서 무선으로 전달을 하면 마스터 통신장치(200)에서 정보를 수집하여서 이동통신 모뎀(220)을 이용하여서 관제 시스템(300)의 관제 컴퓨터로 전달을 한다. 그러면 관제 시스템(300)의 관제 화면(350) 을 통해서 현장에 설치된 센서 노드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site 51 in which the flame
불꽃 감지 센서모듈(100)이 설치된 현장(도 5의 (a) 참조)과 동일한 구성의 화면이 관제 시스템(300)의 관제 화면(350)으로 제공되고, 현장에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불꽃 감시용 센서모듈(100)들이 설치되어서 화재가 발생하면 순차적으로 불꽃 감시용 센서모듈(100)들이 알람을 발생하게 되어서 시간 별로 화염의 진화 방향을 표시(351)하게 된다. The screen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ite where the flame
이러한 알람을 관제 시스템(300)에서 가공하여서 화염의 예상 진로를 방향으로 표시(352)하게 된다. 실외 화재는 열린 공간에 발생하므로 화염의 이동 방향을 실시간으로 예상하여서 화재 진화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This alarm is process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불꽃 감지용 센서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 flame applied to FIG. 1.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마스터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pplied to FIG. 1.
도 4는 도 1에 적용된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system applied to FIG. 1.
도 5는 화염방향 감지 화면도.5 is a flame direction detection scree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 불꽃감지용 센서 모듈100: flam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 마스터 통신장치200: master communication device
300 : 관제 시스템300: control system
400 : 소출력 무선 통신망400: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0 : 이동통신망50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391A KR101006548B1 (en) | 2008-10-27 | 2008-10-27 |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391A KR101006548B1 (en) | 2008-10-27 | 2008-10-27 |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6526A KR20100046526A (en) | 2010-05-07 |
KR101006548B1 true KR101006548B1 (en) | 2011-01-07 |
Family
ID=4227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5391A KR101006548B1 (en) | 2008-10-27 | 2008-10-27 |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65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541356B1 (en) * | 2011-06-30 | 2013-08-28 | Axis AB | Processing monitoring data in a monitoring system |
KR101525596B1 (en) * | 2013-10-11 | 2015-06-03 |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 Low-power wireless fire de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698265B1 (en) | 2015-03-16 | 2017-01-19 | 에스케이 주식회사 | Complex Situation Analytic Method and System for the time-based event from each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9010A (en) * | 2004-03-15 | 2005-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gional disaster state report system |
JP2006268162A (en) | 2005-03-22 | 2006-10-05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Fire monitoring system |
JP2007026187A (en) | 2005-07-19 | 2007-02-01 | Ohbayashi Corp | Fire monitoring system that monitors using multiple sensor nodes |
KR100771013B1 (en) * | 2006-07-24 | 2007-10-29 |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 Surveillance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
-
2008
- 2008-10-27 KR KR1020080105391A patent/KR10100654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9010A (en) * | 2004-03-15 | 2005-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gional disaster state report system |
JP2006268162A (en) | 2005-03-22 | 2006-10-05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Fire monitoring system |
JP2007026187A (en) | 2005-07-19 | 2007-02-01 | Ohbayashi Corp | Fire monitoring system that monitors using multiple sensor nodes |
KR100771013B1 (en) * | 2006-07-24 | 2007-10-29 |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 Surveillance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6526A (en) | 2010-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5407B1 (en) | AUTOMATIC FIRE DETECTING SYSTEM BASED ON IoT DEVICE VIA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 |
WO2017035928A1 (en) | Intelligent alarm system and method | |
KR101684374B1 (en) | 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capabilities of the House of Commons | |
WO2012138044A2 (en) | System for monitoring forest fires which supplies power through hybrid power generation, and method for monitoring forest fires | |
CN102610048B (en) | Wireless infrared electronic fence and working method thereof | |
CN103730176A (en) | Nuclear power plant remote monitoring system | |
CN108665668B (en) | Disaster situatio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 |
CN208399019U (en) | A kind of Wireless Networking type Electric Wires & Cables temperature hidden danger early warning system | |
KR100892604B1 (en) | Complex control module for fire protection | |
CN109668637A (en) | A kind of Wireless Networking type Electric Wires & Cables temperature hidden danger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 |
KR101023800B1 (en) | Remote fire control system | |
KR100962030B1 (en) |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notification system using wired or wireless network | |
KR101439267B1 (en) | Unmanned fire control apparatus of realtime smart type | |
CN106323287A (en) | Safe escape route selecting system and safe escape route selecting method | |
KR101006548B1 (en) | Outdoor Flame Track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
KR101145414B1 (en) | Fire alarm system linked power monitoring unit | |
CN109741563B (en) | Disaster situation monitoring method and disaster situation monitoring device | |
KR100979485B1 (en) | How to check the operation of fire extinguishers and fire extinguishers with built-in fire defense detection means to notify fire abnormality symptom management | |
KR102144098B1 (en) | Fire prediction and suppression system based on IOT | |
KR20130121490A (en) | Fire extinguisher included fire defense sensor and power management possible wireless communication | |
KR101676692B1 (en)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ng spark detector | |
KR101120114B1 (en) | Wireless network system of fire detector | |
KR20160093448A (en) | Electronic fire detector by bluetooth ibeacon transmitter and receiving system | |
KR20110108038A (en) | Fire monitoring system using P-type receiver with on-site setting management | |
CN103400467B (en) | Wireless smog warning system and alarm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