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907B1 - Potty and auxiliary toilet seat - Google Patents

Potty and auxiliary toilet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907B1
KR101003907B1 KR1020030080390A KR20030080390A KR101003907B1 KR 101003907 B1 KR101003907 B1 KR 101003907B1 KR 1020030080390 A KR1020030080390 A KR 1020030080390A KR 20030080390 A KR20030080390 A KR 20030080390A KR 101003907 B1 KR101003907 B1 KR 101003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auxiliary
main body
sto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2880A (en
Inventor
사까모또유끼오
마쯔모또스스무
미노구찌가즈미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2799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039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20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287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200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036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20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0019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20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60076A/en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8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9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체(2)와, 본체(2)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 변기 시트(4)를 구비한 젖먹이 유아용 변기(1)에 있어서, 본체(2)의 좌우 방향에 관한 폭을 본체(2)의 전후 방향에 관한 양단부(2a, 2b) 보다도 중앙부(2c)에 있어서 좁게 설정한다.In the infant baby toilet 1 provided with the main body 2 and the auxiliary toilet seat 4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 the width | variety with respect to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2 is front-and-back of the main body 2. It sets narrower in the center part 2c than the both ends 2a and 2b regarding a direction.

젖먹이 유아용 변기, 보조 변기 시트, 스토퍼 부재, 소변 받침, 레일, 코일 스프링Infant Potty Seat, Auxiliary Seat Seat, Stopper Member, Urine Support, Rail, Coil Spring

Description

젖먹이 유아용 변기 및 보조 변기 시트 {POTTY AND AUXILIARY TOILET SEAT}Infant Potty Seat & Secondary Potty Seat {POTTY AND AUXILIARY TOILET SEAT}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젖먹이 유아용 변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uckling infant toile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도1의 젖먹이 유아용 변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aby toilet bowl of Figure 1;

도3은 도1의 젖먹이 유아용 변기의 단면도.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fant baby toilet of Figure 1;

도4는 도1의 젖먹이 유아 변기의 변기 시트를 제거하여 도시하는 도면. 4 is a view showing the toilet seat of the suckling infant toilet of FIG.

도5는 도4의 변기 시트의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toilet seat of Figure 4;

도6은 도4의 변기 시트의 정면도.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toilet seat of Figure 4;

도7은 도4의 변기 시트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도면. FIG. 7 shows a fixing part of the toilet seat of FIG. 4; FIG.

도8은 도7의 고정부의 스토퍼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Fig. 8 shows the stopper member of the fixing part of Fig. 7;

도9는 도4의 고정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xing portion of FIG.

도10은 도4의 고정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xing portion of Fig. 4;

도11은 고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11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xing part.

도12는 도1의 젖먹이 유아 변기의 스텝판의 갈고리부를 도시하는 도면. 12 is a view showing the hook portion of the step plate of the suckling infant toilet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변기1: toilet seat

2 : 본체2: body

4 : 변기 시트 4: toilet seat                 

5 ; 덮개5; cover

6 : 스텝판6: step plate

13 : 수납 공간13: storage space

21 : 소변 받침21: urine

22 : 손잡이22: handle

31 : 다리부31: leg

41 : 레일41: rail

본 발명은, 젖먹이 유아 변기 및 보조 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kling infant toilet seat and an auxiliary toilet seat.

어른용(일반용) 변기 시트 상에 적재하여 보조 변기 시트로서 사용하는 변기 시트를 구비한 젖먹이 유아용 변기(요강)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09-215634호 공보 참조). 이와 같은 젖먹이 유아용 변기에 있어서는, 어른용 변기 시트의 폭에 의해 보조 변기 시트의 최소한의 폭이 결정되고, 그 보조 변기 시트의 폭에 맞추어 변기 본체의 폭도 결정된다. 또한, 착석한 상태에서 소변도 배출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조 변기 시트의 전방에는 소변 받침이 설치되어 있다. A suckling infant toilet (abbreviation) with a toilet seat which is stacked on an adult (general use) toilet seat and used as an auxiliary toilet seat is known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9-215634). In such a suckling infant toilet, the minimum width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is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adult toilet seat, and the width of the toilet main body is also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In addition, in order to be able to drain urine in a seated state, a urine suppor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폭을 갖는 젖먹이 유아용 변기에 젖먹이 유아가 착석하면, 젖먹이 유아의 발이 크게 벌어져 버린다. 또한, 젖먹이 유아는 양 대퇴부 사이에 소변 받침을 협지하도록 하여 착석하므로, 소변 받침이 큰 보조 변기 시 트에 착석한 젖먹이 유아는 발을 크게 벌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젖먹이 유아의 자세는 항문이 열려 보기 흉한 자세가 된다. However, when a suckling infant is seated on a suckling infant toilet having a width as described above, the feet of a suckling infant are greatly spread. In addition, suckling infants are seated by sandwiching the urine feet between both thighs, so that suckling infants seated on an auxiliary toilet seat with a large urine stand are forced to widen their feet.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suckling infant becomes a posture in which the anus is open.

또한, 상술한 공보에 기재된 보조 변기 시트는 상기 보조 변기 시트에 부착된 스토퍼 부재가 어른용 변기 시트의 개구부에 삽입됨으로써 어른용 변기 시트에 고정된다. 스토퍼 부재는 나사에 의해 보조 변기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나사를 풀어 스토퍼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토퍼 부재의 위치는 어른용 보조 변기 시트의 크기나 형상에 맞추어 조정된다. Further, the auxiliary toilet seat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is fixed to an adult toilet seat by inserting a stopper member attached to the auxiliary toilet seat into an opening of an adult toilet seat. The stopper member is fixed to the auxiliary toilet seat by screws, and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is adjuste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adult auxiliary toilet seat by unscrewing and moving the stopper member.

그러나, 이와 같은 스토퍼 부재의 위치 조정은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를 풀거나 조이거나 할 필요가 있으므로 번거롭다. Howev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is troublesome because it is necessary to loosen or tighten the screw using a tool such as a driver.

또한, 상술한 공보에 기재된 젖먹이 유아용 변기는 변기 본체의 하면측에 수납되어 있는 발판을 변기 본체 상에 적재함으로써 스텝으로서도 이용된다. 발판은 변기 본체의 하면에 개구되는 구멍부에 발판의 이면측의 돌기가 압입됨으로써 변기 본체에 대해 보유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suckling infant toilet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is used as a step by loading the footrest accommodat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on the toilet body. The footrest is held with respect to the toilet body by press-fitting the projection on the back side of the footrest to a hole open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body.

그러나, 이 보유 지지 방법에서는 변기 본체로부터 발판이 탈락될 가능성이 있었다.However, in this holding metho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caffold is dropped from the toilet main body.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목적은, 보기 좋고 배변하기 쉬운 젖먹이 유아용 변기 및 보조 변기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 first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uckling infant toilet seat and an auxiliary toilet seat.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스토퍼 부재의 위치를 쉽게 조정 가능한 보조 변기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Moreover, the 2nd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auxiliary toilet seat which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a stopper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발판을 확실하게 변기 본체에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젖먹이 유아용 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Further,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ckling infant toilet which can securely hold a footrest on a toilet bowl body.

상술한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젖먹이 유아 변기는 변기 본체와,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 변기 시트를 구비한 젖먹이 유아용 변기이며, 상기 변기 본체의 좌우 방향에 관한 폭이 상기 변기 본체의 전후 방향에 관한 양단부보다도 중앙부에 있어서 좁게 설정되어 있다. The suckling infan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first object is a suckling infant toilet having a toilet body and an auxiliary toilet sea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dy, the width of which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oilet body. It is set narrower in a center part than the both ends regardi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a toilet main body.

이 젖먹이 유아용 변기에 따르면, 보조 변기 시트를 안정되게 적재하는 데 충분한 폭을 양단부에 확보하면서, 한편으로 착석한 젖먹이 유아가 발을 가까이 당기는 공간을 중앙부에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젖먹이 유아는 보기 좋고 배변하기 쉬운 자세로 착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is suckling baby toilet bowl,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th at both ends sufficient to stably load the auxiliary toilet seat, while securing a space in the center of the seated suckling baby to pull the foot closer. Thus, it is possible for a suckling infant to be seated in a good looking and prone position.

본 발명의 상기 젖먹이 유아용 변기에 있어서는 상기 변기 본체의 좌우 측벽이 상기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보다도 전체 높이에 걸쳐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후퇴함으로써, 상기 중앙부의 폭이 상기 양단부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젖먹이 유아의 성장 단계 등에 의해, 발을 가까이 당기는 공간의 바람직한 위치는 다르다. 그래서, 전체 높이에 걸쳐서 중앙부로 발을 가까이 당기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성장 단계 등에 상관없이 중앙부로 발을 가까이 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suckling infan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may be set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oth ends by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toilet main body being retra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ver the entire height from the both ends at the center portion. . Depending on the growth stage of the suckling infant and the like, the preferred position of the space for pulling the foot close is different. Thus, by securing a space for pulling the foot closer to the center over the entire height, it is possible to pull the foot closer to the center regardless of the growth stage or the like.

또한, 상기 보조 변기 시트의 좌우 방향에 관한 폭이 상기 보조 변기 시트의 전후 방향에 관한 양단부보다도 중앙부에 있어서 좁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보조 변기 시트를 어른용 변기 시트 또는 젖먹이 유아용 변기 본체에 안정되게 적재하는 데 충분한 폭을 양단부에 확보하면서, 한편으로 젖먹이 유아용 변기 시트에 착석한 젖먹이 유아가 변기 본체의 중앙부로 발을 가까이 당기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Moreover, the width | variety with respect to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aid auxiliary toilet seat may be set narrower in the center part than both ends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aid auxiliary toilet seat. In this case, a baby infant seated on the baby toilet seat has a width sufficient at both ends to securely load the auxiliary toilet seat to the adult toilet seat or the baby toilet bowl body while the foot rests close to the center of the toilet body.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pulling.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보조 변기 시트는 젖먹이 유아용 변기의 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 가능한 보조 변기 시트이며, 상기 변기 시트의 좌우 방향에 관한 폭이 상기 변기 시트의 전후 방향에 관한 양단부보다도 중앙부에 있어서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 보조 변기 시트는 상술한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젖먹이 유아용 변기의 보조 변기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first object is an auxiliary toilet seat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of the baby toilet bowl, the width of the toilet sea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It is set narrower at the center than both ends of the. This auxiliary toilet se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toilet seat of a suckling infant toilet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first object.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보조 변기 시트는 개구부 주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모서리부와, 상기 측모서리부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방 모서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 모서리부의 전방에 시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소변 받침이 설치되어 있는 보조 변기 시트이며, 상기 소변 받침의 폭은 상기 전방 모서리부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다.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first object is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edge portion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ound the opening portion, and a front edge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edge portions of the side edge portions, It is an auxiliary toilet seat which protrudes from the seat surface in front of the said front edge part, and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urine support is set narrow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front edge part.

이 보조 변기 시트에 따르면, 소변 받침의 폭이 전방 모서리부의 폭보다도 좁기 때문에, 착석한 젖먹이 유아는 발을 전방으로 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젖먹이 유아는 보기 좋고 배변하기 쉬운 자세가 된다. According to this auxiliary toilet seat, since the width of the urine suppor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edge portion, the seated suckling infant can extend the foot forward. Thus, a suckling infant becomes a good looking and prone position.

상술한 제2 태양의 보조 변기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소변 받침의 상기 개구부측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소변 받침에 충돌한 소변의 좌우에의 비산이 오목부에 의해 방지되므로, 소변 받침의 폭을 보다 작게 하는 것 이 가능하다. In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the above-mentioned 2nd aspect, the recessed part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side of the said urine support. In this case, since the scattering of the urine collided with the urine stand to the left and right is prevented by the recessed por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urine stand smaller.

또한, 상기 소변 받침과 상기 시트면과의 결합 부분은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결합 부분이 젖먹이 유아의 대퇴부에 피트되므로 젖먹이 유아는 쾌적하게 대퇴부를 소변 받침에 밀착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urine support and the seat surface may be chamfered. In this case, the coupling part fits into the thigh of the suckling infant, so that the suckling infant can comfortably adhere the thigh to the urine support.

상기 소변 받침의 상방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T자의 수평부의 하방에 넓은 공간이 확보되므로 젖먹이 유아가 대퇴부를 소변 받침에 대기 쉬워진다.A handle may be provided above the urine support, and the handle may be formed in a T shape. In this case, since a large space is secured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T-shape, it is easy for a suckling infant to stand on the urine base of the thigh.

상술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 변기 시트는 일반 변기의 변기 시트 상에 적재되는 보조 변기 시트 본체와,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내주측과 외주측 사이를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이면측에 부착되어 상기 일반 변기의 변기 시트 개구부 내에 삽입 가능한 스토퍼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를 향해 압박하는 힘이 발생하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와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이면의 각각에는 상기 스토퍼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부가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서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second object is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toilet seat body stacked on the toilet seat of the general toilet seat and the inner peripheral side and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body in a linearly movable state A stopper member attached to a rear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and insertable into a toilet seat opening of the general toilet, and spring means for generating a force for pressing the stopper member toward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Each of the memb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ear portions engag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opper member to form a row along the moving direction.

이 보조 변기 시트에 따르면, 스토퍼 부재가 스프링 수단에 의해 보조 변기 시트 본체에 압박되고, 스토퍼 부재 및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기어부끼리가 맞물림으로써 스토퍼 부재의 이동 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수단에 저항하여 스토퍼 부재를 보조 변기 시트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스토퍼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고, 쉽게 스토퍼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스토퍼 부재에는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스토퍼 부재의 이동 방향 및 기어부의 배열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한 경우에는,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부 중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에의 방향에 따라서 맞물리는 기어부만이 스토퍼 부재에 가해진 힘을 받는다. 따라서, 개개의 기어부의 강도를 높게 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러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조 변기 시트에서는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에의 방향에 따라서 복수의 기어부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의 전부체에서 스토퍼 부재에 가해진 힘을 받는 것이 가능해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uxiliary toilet seat, the stopper member is urged by the spring means to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and the gears of the stopper member and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in the moving direction. Therefore, whe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the stopper member can be moved simply by detaching the stopper member from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in response to the spring means, and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can be easily adjusted. Generally, a force is applied to the stopper membe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bod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mak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a stopper member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gear part into a rotation direction, only the gear part which mesh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to the inner peripheral side among the several gear parts meshing with each other is a stopper member. Receives the force exerted on it. Therefor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trength of each gear portion must be increased. However, in the auxiliary toilet seat for achieving the second object, since a plurality of gear parts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to the inner circumference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body, the force applied to the stopper member in all the gear parts engaged with each other is arrang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술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 변기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에는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는 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수단으로서 상기 축부의 외주측에서 상기 축부의 상기 긴 구멍에의 삽입 부분과 상기 스토퍼 부재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스토퍼 부재의 이동 범위를 축부 및 긴 구멍에 의해 제한할 수 있다. 게다가, 축부에 코일 스프링을 부착하는 것만으로 스프링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In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second object, the stopper member is formed with an elongated hole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auxiliary toilet seat body is provided with a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As the spring means, a coil spring mounte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an insertion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into the elongated hole of the shaft portion and the stopper member may be provided as the spring means. In this case, the movement range of the stopper member can be limited by the shaft portion and the long hole. In addition, the spring means can be realized by simply attaching the coil spring to the shaft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긴 구멍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어부의 열이 상기 스토퍼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한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스토퍼 부재는 양측의 기어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안정되게 보조 변기 시트에 고정된다. When a long hole is provided as mentioned above, the row of gear parts may be provided i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pper member. In this case, the stopper member is supported by the gear parts on both sides, so that the stopper member is stably fixed to the auxiliary toilet seat.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젖먹이 유아용 변기는 변기 본체의 개 구부를 덮는 발판을 상기 변기 본체의 하면측에 수용 가능하게 한 젖먹이 유아 변기이며, 상기 변기 본체 또는 상기 발판 중 어느 한 쪽 부재에는 갈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변기 본체 또는 상기 발판 중 다른 쪽 부재에는 상기 갈고리부에 대해 상기 변기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suckling infan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hird object is a suckling infant toilet having a footrest covering the opening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toilet bowl body, and either the toilet bowl body or the footrest member. The hook portion is formed, and the other member of the toilet body or the scaffold is formed with a catch portion engaged with the hook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ilet body.

이 젖먹이 유아용 변기에 따르면, 갈고리부와 걸림부가 맞물림으로써 발판이 변기 본체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된다. 한편, 갈고리부와 걸림부의 맞물림을 제거함으로써 쉽게 발판을 변기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uckling baby toilet, the footrest is securely held by the toilet body by engaging the hook portion and the catch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footres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toilet body by removing the engagement of the hook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상술한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젖먹이 유아용 변기에 있어서는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발판의 한 쪽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변기 본체에는 상기 갈고리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벽부의 단부가 상기 걸림부로서 기능해도 좋다. 이 경우, 변기 본체에 오목부를 마련하여 그 벽부의 단부를 걸림부로서 이용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발판을 변기 본체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In the infant baby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hird object, the hook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ootrest, and the toilet body is formed with a recess for receiving the hook portion, and surrounds the recess. The end of the wall portion may function as the locking portion. In this case, the footrest can be hold | maintained in a toilet main body by the simple method of providing a recessed part in a toilet main body, and using the edge part of the wall part as a latching part.

또한,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변기 본체를 관통하고 있는 관통 구멍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관통 구멍을 거쳐서 발판을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발판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Moreover, the said recessed part may be formed in the through-hole type which penetrates the said toilet bowl main body. In this case, the scaffold can be easily removed by pushing the scaffol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젖먹이 유아용 변기(요강)의 예를 나타낸다. 도1은 사시도, 도2의 (a)는 상면도, 도2의 (b)는 바닥면도, 도3은 도2의 (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1 to 3 show an example of a suckling infant toilet bowl (approximatel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ig. 2A is a top view, Fig. 2B is a bottom view,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A.

변기(1)는 본체(2)와, 속통(3)과, 본체(2)에 적재되는 변기 시트(보조 변기 시트)(4)와, 변기 시트(4)의 개구부에 씌워지는 덮개(5)와, 본체(2)의 하방에 수납되는 스텝판(발판)(6)을 구비하고 있다. The toilet 1 includes a main body 2, a casing 3, a toilet seat (auxiliary toilet seat) 4 mounted on the main body 2, and a lid 5 covered by an opening of the toilet seat 4. And a step plate (foot plate) 6 housed below the main body 2.

본체(2)는 상단부(11)와, 하단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도3에 특별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11)는 개구부(11a)를 상방에 갖는 오목부(11b)와, 오목부(11b)를 둘러싸도록 오목부(11b)의 모서리부(11c)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벽부(11d)를 갖고 있다. 하단부(12)는 벽부(11d)에 연속하도록 접합된 벽부(12a)와, 벽부(12a)의 하단부(12b)로부터 내측에 되접히도록 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부(12c)와, 벽부(12c)에 연속하는 천정부(12d)를 갖고 있다. 천정부(12d)에는 오목부(11b)를 삽입 가능한 개구부(12e)가 설치되고, 상단부(11)와 하단부(12)는 오목부(11b)를 개구부(12e)에 삽입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상단부(11), 하단부(12)는, 예를 들어 경질의 플라스틱을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상단부(11)와 하단부(12)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The main body 2 has an upper end 11 and a lower end 12. As shown in FIG. 3, the upper end part 11 is lower than the recessed part 11b which has the opening part 11a upward, and from the edge part 11c of the recessed part 11b so that the recessed part 11b may be enclosed. It has the wall part 11d extended by. The lower end portion 12 includes a wall portion 12a joined to the wall portion 11d continuously, a wall portion 12c extending upward to be folded back from the lower end portion 12b of the wall portion 12a, and a wall portion 12c. Has a continuous ceiling 12d. The opening part 12e which can insert the recessed part 11b is provided in the ceiling part 12d, and the upper end part 11 and the lower end part 12 are joined in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recessed part 11b in the opening part 12e. The upper end part 11 and the lower end part 12 are formed by shape | molding hard plastic, for example, and the upper end part 11 and the lower end part 12 are joined by welding.

오목부(11b)는 속통(3)을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부(11c)는 변기 시트(4)를 적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단부(12b)는 본체(2)의 다리로서 기능한다. 벽부(12c), 천정부(12d) 및 오목부(11b)의 바닥부(11e)에 둘러싸인 수납 공간(13)은 스텝판(6)을 수납 가능한 크기를 갖고 있다. The recessed part 11b is formed so that the inner cylinder 3 can be accommodated. The corner part 11c is formed so that the toilet seat 4 can be stacked. The lower end part 12b functions as a leg of the main body 2. The storage space 13 surrounded by the wall portion 12c, the ceiling portion 12d, and the bottom portion 11e of the recess 11b has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step plate 6.

본체(2)의 좌우 측벽은 중앙부(2c)에 있어서, 전단부(2a), 후단부(2b)보다도 전체 높이에 걸쳐서 좌우 방향으로 후퇴함으로써, 중앙부(2c)의 폭이 양단부(2a, 2b)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변기 시트(4)를 보조 변기 시트로서도 사용 가능하게 한 경우, 어른용(일반용) 변기 시트의 폭에 의해 변기 시트(4)의 최소한의 폭이 결정된다. 다음에 그 변기 시트(4)의 폭에 맞추어 본체(2)의 폭도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폭의 변기(1)에 젖먹이 유아가 착석하면, 젖먹이 유아의 발이 크게 벌어져 버려 보기 흉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러나, 변기(1)에서는 평면 형상을 표주박 형상으로 함으로써 변기 시트(4)를 안정되게 적재하는 데 충분한 폭을 양단부(2a, 2b)에 확보하면서, 한편으로 착석한 젖먹이 유아가 발을 가까이 당기는 공간을 중앙부(2c)에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젖먹이 유아는 보기 좋고 배변하기 쉬운 자세로 착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변기 시트(4)도 전단부(4a), 후단부(4b)보다도 중앙부(4c)의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변기 시트(4)를 어른용 변기 시트 또는 본체(2)에 안정되게 적재하는 데 충분한 폭을 양단부(4a, 4b)에 확보하면서, 한편으로 변기(1)에 착석한 젖먹이 유아가 본체(2)의 중앙부(2c)에 발을 가까이 당기는 것을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중앙부(2c, 4c)의 크기는 적절하게 설정해도 좋다.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main body 2 are retra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front end portion 2a and the rear end portion 2b at the center portion 2c, so that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2c is both ends 2a and 2b. It is set narrower than the width of. In general, when the toilet seat 4 can be used also as an auxiliary toilet seat, the minimum width of the toilet seat 4 is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adult (general use) toilet seat. Next, the width of the main body 2 is also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toilet seat 4. When the suckling infant is seated on the toilet 1 of the width thus determi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kling infant's feet are greatly opened and become unsightly. However, in the toilet 1, the flat shape is a circumferential shape, while securing a width sufficient at both ends 2a and 2b to stably load the toilet seat 4 while the seated suckling infant pulls the foot closer. Is secured to the center portion 2c. Thus, it is possible for a suckling infant to be seated in a good looking and prone position. In addition, the toilet seat 4 is also set to have a smaller width at the center portion 4c than at the front end portion 4a and the rear end portion 4b. Thereby, the infant suckling infant seated on the toilet seat 1 while ensuring the width sufficient to stably load the toilet seat 4 to the adult toilet seat or the main body 2 at the both ends 4a, 4b. It is easy to pull the foot closer to the center part 2c of (2). In addition, you may set the magnitude | size of center part 2c, 4c suitably.

도4 내지 도6은 변기 시트(4)를 본체(2)로부터 제거하여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4는 사시도, 도5의 (a)는 상면도, 도5의 (b)는 바닥면도, 도6은 정면도이다. 변기 시트(4)는 어른용 변기에도 설치 가능한 보조 변기 시트로서 구성되고, 시트부(20)(보조 변기 시트 본체)와, 소변 받침(21)과, 착석한 젖먹이 유아가 잡기 위한 손잡이(22)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20)와 소변 받침(2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경질의 플라스틱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소변 받침(21)은 시트부(20)에 착탈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4 to 6 are views showing the toilet seat 4 removed from the main body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IG. 5A is a top view, and FIG. 5B is a bottom view. 6 is a front view. The toilet seat 4 is configured as an auxiliary toilet seat that can be installed in an adult toilet, and includes a seat portion 20 (auxiliary toilet seat body), a urine support 21, and a handle 22 for a suckling infant to be seated. Equipped with. The seat portion 20 and the urine support 21 ar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plastic. In addition, the urine support 21 may be detachable from the seat portion 20.

시트부(20)는 개구부(23) 주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모서리부(24, 24)와, 측모서리부(24, 24)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방 모서리부(25)와, 측모서리부(24, 24)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방 모서리부(26)를 갖고 있다. 각 모서리부(24 내지 26)의 외주에는 각 모서리부(24 내지 26)에 연속하여 시트면(20a)이 설치되고, 각 모서리부(24 내지 26)의 하방에는 각 모서리부(24 내지 26)에 연속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20b)가 설치되어 있다. The sheet portion 20 includes a front edge portion 25 connecting the front edge portions 24 and 24 of the side edge portions 24 and 24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ound the opening 23, and It has the rear corner part 26 which connects the rear ends of the side edge parts 24 and 24. As shown in FIG. The outer circumference of each corner portion 24 to 26 is provided with a seat surface 20a continuous to each corner portion 24 to 26, and each corner portion 24 to 26 below each corner portion 24 to 26. The wall part 20b extended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모서리부(24, 24)는 서로 평행한 직선형으로, 전방 모서리부(25)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점 P1로 나타내는 측모서리부(24)와 전방 모서리부(25)의 결합 부분에 있어서는 모따기가 행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측모서리부(24)는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전방 모서리부(25)의 폭(D1)은 측모서리부(24)끼리의 간격과 같다. 측모서리부(24)끼리의 간격은, 예를 들어 젖먹이 유아의 표준적인 체격 등을 기초로 하여 경험적으로 결정된다. 측모서리부(24)는 곡선이라도 좋고, 평행이 아니라도 좋다. 전방 모서리부(25)는 직선이라도 좋다. As shown in Fig. 5, the side edge portions 24 and 24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ront edge portion 25 is formed in a curved shape. However, chamfering is performed in the engaging part of the side edge part 24 and the front edge part 25 shown by the point P1.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ide edge portions 24 are set in parallel, the width D1 of the front edge portion 25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edge portions 24.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edges 24 is determined empirically based on, for example, the standard physique of the suckling infant. The side edges 24 may be curved or may not be parallel. The front edge 25 may be a straight line.

전방 모서리부(25)의 전방에는 소변 받침(21)이 설치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변 받침(21)은 전방으로부터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트면(2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단, 점 P2로 나타내는 소변 받침(21)과 시트면(20a)의 결합 부분에 있어서는 모따기가 행해져 있다. In front of the front corner 25, the urine receiving 21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6, the urine support 21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eat surface 20a. However, chamfering is performed in the coupling part of the urine support 21 and the seat surface 20a shown by the point P2.

변기 시트(4)에 있어서는, 소변 받침(21)의 폭(D2)이 전방 모서리부(24)의 폭(D1)보다도 좁다. 이로 인해, 시트부(20)에 착석한 젖먹이 유아는 전방으로 발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하면, 종래 소변 받침(21)이 설치되어 있던 영역 중, 도4에 있어서 해칭하여 나타내는 영역(R1)을 대퇴부를 태우는 장소로서 새롭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젖먹이 유아는 보기 좋고, 배변하기 쉬운 자세가 된다. 또한, 소변 받침(21)과 시트면(20a)의 결합 부분은 모따기가 행해져 있으므로, 결합 부분이 젖먹이 유아의 대퇴부에 피트되어 젖먹이 유아는 쾌적하게 대퇴부를 소변 받침에 밀착시킬 수 있다. In the toilet seat 4, the width D2 of the urine support 21 is narrower than the width D1 of the front edge 24.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for the suckling infant sitting on the seat 20 to step forward. In other words, the area | region R1 hatched in FIG. 4 among the area | regions in which the urine support 21 was provided conventionally can be newly used as a place to burn a thigh. Thus, a suckling infant is in a good looking and prone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engaging portion of the urine support 21 and the seat surface 20a is chamfered, the engaging portion fits into the thigh of the suckling infant, and the suckling infant can comfortably adhere the thigh to the urine bearing.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변 받침(21)의 개구부(22)측에는 소변을 받기 위한 오목부(21a)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소변 받침에 충돌한 소변의 좌우에의 비산이 방지되어 소변 받침의 폭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오목부(21a)는 하방만큼 전방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소변의 상방에의 비산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21a)는 오목부(21a)의 폭(D3)이 소변 받침(21)의 폭(D2)보다도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B, a recess 21a for receiving urine is provided on the opening 22 side of the urine support 21. As a result, scattering of the urine collided with the urine stand to the left and right is prevented, and the width of the urine stand can be made smaller. Moreover, the recessed part 21a is formed so that it may go forward as much as the downward direction, and also prevents scattering of urine upward. Moreover, the recessed part 21a is formed so that the width | variety D3 of the recessed part 21a may become narrower than the width | variety D2 of the urine receiving base 21.

손잡이(22)는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되어 수평부(22a)와, 수직부(22b)를 갖고 있다. 손잡이(22)를 T자로 함으로써, 수평부(22a)의 하방에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젖먹이 유아가 대퇴부를 소변 받침에 대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22a)는 양측만큼 높아지도록 상방으로 휘어져 형성되어 있고, 보다 한층 대퇴부를 소변 받침에 대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22)는 소변 받침(21) 상부에 설치된 구멍부에 수직부(22b)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부착되어 있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젖먹이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handle 2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shape and has a horizontal portion 22a and a vertical portion 22b. By making the handle 22 a T, a wide space is secured below the horizontal part 22a, and it becomes easy for a suckling infant to stand in the urine support of a thigh.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22a is formed to be bent upward so as to be higher by both sides, and the thigh portion can be easily held by the urine support. In addition, the handle 22 is attached by inserting the vertical part 22b into the hol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urine support 21, and a user can attach and detach free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move and use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infant suckling.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20)의 이면측에는 다리부(31…31)와, 고정부(32, 32)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31…31)는 시트부(20)의 4구석에 설치되어 시트부(20)를 본체(2) 또는 어른용 변기 시트에 적재하였을 때에 시트부(20)를 지지한다. 또한, 본체(2)에 다리부(31)와 끼워 맞추는 구멍부를 마련해도 좋다. 고정부(32, 32)는 시트부(20)의 후방에 있어서 좌우에 하나씩 설치되어 시트부(20)를 어른용 변기 시트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As shown in Fig. 5B, leg portions 31, 31, and fixing portions 32, 32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sheet portion 20. Figs. The leg parts 31... 31 ar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seat part 20 to support the seat part 20 when the seat part 2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2 or the toilet seat for adults. In addition, the main body 2 may be provided with a hole to be fitted with the leg 31. The fixing parts 32 and 32 are provided one by one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rear of the seat part 20 and are used to fix the seat part 20 to the toilet seat for an adult.

도7 및 도8에 고정부(32)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7의 우측은 변기 시트(4)의 외측에, 좌측은 변기 시트(4)의 내측[개구부(23)측]에 상당한다. 고정부(32)는 레일(41, 41)과, 제한축(42)과, 스토퍼 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7 and 8 show an enlarged view of the fixing part 32. In addition, the right side of FIG. 7 corresponds to the outer side of the toilet seat 4, and the left side corresponds to the inner side (opening part 23 side) of the toilet seat 4. The fixed part 32 is provided with the rails 41 and 41, the limiting shaft 42, and the stopper member 43. As shown in FIG.

레일(41, 41)은 서로 평행한 수직벽으로서 형성되고, 그 단부(41a, 41a)는 시트부(20)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일(41, 41)의 내벽(41b)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볼록형의 기어부(41c…41c)가 시트부(20)의 횡방향에 배열되고, 빗살형의 끼워 맞춤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41, 41)은, 예를 들어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용착 등에 의해 시트부(20)에 고정되어 있다. The rails 41 and 41 are formed as vertical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end portions 41a and 41a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heet portion 20. On the inner wall 41b of the rails 41 and 41, convex gear parts 41c ... 41c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heet part 20, and a comb-tooth fitting part 41d is formed. have. The rails 41 and 41 are formed of, for example, hard plastic and are fixed to the sheet portion 20 by welding or the like.

제한축(42)은 레일(41, 41)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한축(42)의 내부는 중공이 되어 있고, 암형 나사로서 사용 가능하다. 제한축(42)은, 예를 들어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용착 등에 의해 시트부(20)에 고정되어 있다. The limiting shaft 42 is installed between the rails 41 and 41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The inside of the limiting shaft 42 is hollow and can be used as a female screw. The limiting shaft 42 is formed of, for example, hard plastic and is fixed to the sheet portion 20 by welding or the like.

스토퍼 부재(43)는 통형으로 형성된 벽부(44)와, 벽부(44)의 상방 개구부를 막는 지지부(45)와, 지지부(45)의 상방에 설치된 삽입부(46, 46)를 갖고 있다. 벽부(44)는 시트부(20)의 하방 내측에 절결부(44a)가 설치되고, 시트부(20)의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역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44a)의 반대측의 벽부(44)가 어른용 변기 시트(100)의 측모서리부에 접촉하여 변기 시트(4)가 고정된다[도10의 (b) 참조]. 또한, 벽부(44)는 통 형상의 단면 형상이 시트부(20)의 횡방향을 장축 방향으로 하는 타원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5)는 레일(41, 41)의 간격보다도 폭이 넓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레일(41, 41)의 양쪽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45)의 중앙에는 제한축(42)을 삽입 가능한 긴 구멍(45a)이 시트면(20)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43)의 횡방향에의 이동은 제한축(42)이 긴 구멍(45a) 내를 이동 가능한 범위로 제한된다. 삽입부(46, 46)는 긴 구멍(45a)을 협지하여 서로 평행한 수직벽으로서 형성되어 삽입부(46, 46)를 레일(41, 41) 사이에 삽입하였을 때에 삽입부(46, 46)의 외벽(46a, 46a)과 레일(41, 41)의 내벽(41b, 41b)이 접촉하는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외벽(46a)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볼록형의 기어부(46b…46b)가 시트부(20)의 횡방향에 배열되고, 빗살형의 끼워 맞춤부(46c)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46c)는 끼워 맞춤부(41d)와 끼워 맞추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43)는, 예를 들어 경질의 플라스틱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The stopper member 43 has a wall portion 44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support portion 45 for blocking an upper opening of the wall portion 44, and insertion portions 46 and 46 provided above the support portion 45. The wall part 44 is provided with the notch part 44a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heet part 20, and is formed in substantially reverse L shape from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eet part 20. As shown in FIG. The wall 44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tout 44a contacts the side edge of the adult toilet seat 100 so that the toilet seat 4 is fixed (see Fig. 10 (b)). Moreover, the wall part 44 is formed so that a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may become an ellipse which makes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heet | seat part 20 the long axis direction. The support part 45 is formed in the plate shape which is wider than the space | interval of the rails 41 and 41, and supports both the rails 41 and 4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n elongated hole 45a into which the limiting shaft 42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45 so as to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at surface 20.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stopper member 43 in the lateral direction is limited to the range in which the limiting shaft 42 can move in the long hole 45a. The insertion portions 46 and 46 are formed as vertical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by sandwiching the long holes 45a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s 46 and 46 are inserted when the insertion portions 46 and 46 are inserted between the rails 41 and 41. The outer walls 46a and 46a and the inner walls 41b and 41b of the rails 41 and 41 are provided at interval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outer wall 46a, convex gear portions 46b to 46b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heet portion 20, and a comb-tooth fitting portion 46c is formed. The fitting portion 46c is formed to fit with the fitting portion 41d. The stopper member 43 is formed by, for example, integrally molding hard plastic.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43)는 긴 구멍(45a)에 제한축(42)이 삽입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47), 와셔(48) 및 나사(49)에 의해 시트부(20)에 부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7)은 중공부에 제한축(42)이 삽입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7)은 그 직경이 긴 구멍(45a)의 단축보다도 길고, 상단부에서 스토퍼 부재(43)를 지지 가능하다. 코일 스프링(47)은 코일 스프링(47)의 단면보 다도 폭이 넓은 와셔(48)에 의해 하단부가 지지되고, 압축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와셔(48)는 제한축(42)의 중공부에 삽입된 나사(4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stopper member 43 is formed by the coil spring 47, the washer 48, and the screw 49 in the state in which the restricting shaft 42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45a. 20) is attached. The coil spring 47 is attached to the hollow shaft so that the limiting shaft 42 is inserted. The coil spring 47 is longer than the short axis of the long hole 45a and can support the stopper member 43 at the upper end. The coil spring 47 is supported at the lower end by a washer 48 wid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coil spring 47, and is held in a compressed state. The washer 48 is fixed by a screw 49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restriction shaft 42.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32)에 의해 변기 시트(4)를 어른용 변기 시트에 고정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를 도9 및 도10에 도시한다. 9 and 10 show the use state in the case where the toilet seat 4 is fixed to the toilet seat for adults by the fixing part 32 as described above.

도9의 (a)에서는 제한축(42)이 긴 구멍(45a)의 외측(도면의 우측)에 접촉하고 있고, 스토퍼 부재(43)가 변기 시트(4)의 가장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43)는 코일 스프링(47)에 의해 레일(41)에 압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끼워 맞춤부(46c)와, 끼워 맞춤부(41d)가 맞물려 스토퍼 부재(43)의 좌우 방향의 이동은 제한되어 있다. In FIG. 9A, the state in which the limiting shaft 4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right side of the drawing) of the long hole 45a and the stopper member 43 is fixed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toilet seat 4 is shown. It is shown. As shown in this figure, the stopper member 43 is pressed against the rail 41 by the coil spring 47. For this reason, the fitting part 46c and the fitting part 41d are engaged, and the movement of the stopper member 43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restrict | limited.

도9의 (a)의 상태로부터 스토퍼 부재(43)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43)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끼워 맞춤부(46c)와 끼워 맞춤부(41d)가 떨어져 스토퍼 부재(43)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0의 (a)에서는 스토퍼 부재(43)를 가장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스토퍼 부재(43)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을 약하게 하면,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7)에 의해 스토퍼 부재(43)는 레일(41)에 압박되고, 끼워 맞춤부(46c)와, 끼워 맞춤부(41d)가 맞물려 스토퍼 부재(43)는 가장 우측으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고정된다. 스토퍼 부재(43)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In the case where the stopper member 43 is moved to the right from the state of Fig. 9A, as shown in Fig. 9B, the stopper member 43 is moved downward. Thereby, the fitting part 46c and the fitting part 41d are separat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move the stopper member 43 to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10A, the stopper member 43 is moved to the far right. If the force to pull the stopper member 43 downward in this state is weakened, the stopper member 43 is pressed against the rail 41 by the coil spring 47 as shown in Fig. 10B. The fitting portion 46c and the fitting portion 41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topper member 43 is fixed at the position moved to the rightmost side.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stopper member 43 is moved to the left.

스토퍼 부재(43)를 나사로 고정한 경우에는, 스토퍼 부재(4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나사를 풀거나, 조이거나 해야만 해, 작업이 번거롭다. 그러나, 고정부(32)에 따르면, 어른용 변기 시트의 크기, 형상에 맞추어 스토퍼 부재(43)의 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변기 시트(4)에서는 스토퍼 부재(43)가 내주측과 외주측 사이를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기어부(46b…46b), (41c…41c)도 시트부(20)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에의 방향에 따라서 배열되어 있으므로,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의 전체에서 스토퍼 부재(43)에 가해진 힘을 받는다. 따라서, 개개의 기어부의 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없다. When the stopper member 43 is fixed with a screw, the screw must be loosened or tightened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43, which is cumbersome. However, according to the fixing part 32,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43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an adult toilet seat. In the toilet seat 4, the stopper member 43 is configured to be linearly movabl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gear portions 46b to 46b and 41c to 41c are also formed of the seat portion 20. Since they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to the inner circumference side, the force applied to the stopper member 43 is applied to the entire gear portion engaged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strength of each gear part high.

또한, 고정부(32)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끼워 맞춤부(46c)와, 끼워 맞춤부(41d)는 상술한 빗살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것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50, 50)을 외벽(46a)에 기어부로서 설치하는 동시에, 기어부(52…52)가 배열된 끼워 맞춤 부재(53)를 내벽(41b)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축(50, 50)이 기어부(52…52) 사이의 복수의 슬릿(51…51)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스토퍼 부재(43)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45)의 레일(41)측과, 레일(41)의 단부(41a)에 각각 기어부(54…54), 기어부(55…55)를 배열하여 물결 형상의 끼워 맞춤부(56, 57)를 형성해도 좋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32 is not limited to two, You may provide three or more. The fitting part 46c and the fitting part 41d are not limited to the comb-shaped thing mentioned above, A suitable thing can be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the shafts 50, 5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per plane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 46a as gears, and the gears 52 ... 52 are provided. The arranged fitting member 53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wall 41b.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stopper member 43 are fixed by inserting the shafts 50, 50 into the plurality of slits 51... 51 between the gear portions 52. As shown in Fig. 11B, the gear portions 54 to 54 and the gear portions 55 to 55 are provided on the rail 41 side of the support portion 45 and the end portions 41a of the rail 41, respectively. May be arranged to form wavy fitting portions 56 and 57.

도2의 (b) 및 도3에 도시하는 스텝판(6)은 변기 시트(4) 대신에 본체(2)에 적재하여 본체(2)의 개구부(11a)를 덮음으로써, 변기(1)를 스텝으로서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Step (6) shown in Figs. 2B and 3 is mounted on the main body 2 instead of the toilet seat 4 to cover the opening 11a of the main body 2, thereby closing the toilet 1. It is made available as a step.

스텝판(6)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2)의 하방의 수납 공간(13)에 상하 반대로 수납되어 있다. 스텝판(6)에는 스텝판(6)을 본체(2)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갈고리부(61, 61)가 스텝판(6)의 이면측 중앙(도3의 상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When the step plate 6 is not used, it is housed upside down in the storage space 13 below the main body 2. In the step plate 6, hook portions 61 and 61 for holding the step plate 6 in the main body 2 ar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back side of the step plate 6 (upper side in FIG. 3). .

도12의 (a), 도12의 (b)는 갈고리부(61, 61)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갈고리부(61, 61)는 서로 평행한 수직벽으로서 구성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있다. 갈고리부(61, 61)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융기하는 볼록부(61a, 61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단부(11)의 바닥부(11e)의 중앙에는 오목부(62)가 마련되어 있다(도3 참조). 오목부(62)의 바닥부(62a)에는 갈고리부(61, 61)를 받아들이는 오목부로서의 개구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63)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63) 주위의 전방 모서리부(62b), 후방 모서리부(62c)는 각각 본체(2)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방 모서리부(62b) 및 후방 모서리부(62c)의 간격은 갈고리부(61, 61)의 외벽 사이의 거리와 같고, 또한 개구부(63)의 폭은 갈고리부(61, 61)의 폭과 같다. 따라서, 볼록부(61a, 61a)가 바닥부(62a) 보다도 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갈고리부(61, 61)를 개구부(63)에 삽입하고, 볼록부(61a, 61a)를 전방 모서리부(62b) 및 후방 모서리부(62c)에 걸어 둠으로써, 스텝판(6)을 본체(2)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 가능하다. 오목부(62)에 전방 모서리부(62b) 및 후방 모서리부(62c)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바닥부(62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갈고리부(61, 61)의 상부가 속통(3)과 접촉하는 일도 없다. 12A and 12B are enlarged views of the hook portions 61 and 61. The hook portions 61 and 61 are configured as vertical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pper part of the hook parts 61 and 61 is provided with the convex parts 61a and 61a which protrude outward. On the other hand, the recessed part 62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art 11e of the upper end part 11 (refer FIG. 3). The bottom part 62a of the recessed part 62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part 63 as a recessed part which receives the hook parts 61 and 6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2B, the opening portion 63 is formed in a rectangle, and the front edge portion 62b and the rear edge portion 62c around the opening portion 63 are transverse directions of the main body 2,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to exte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dge 62b and the rear edge 62c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walls of the hook portions 61 and 61,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63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hook portions 61 and 61. . Therefore, the hook portions 61 and 61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 63 until the convex portions 61a and 61a are positioned above the bottom portion 62a, and the convex portions 61a and 61a are inserted into the front edge portions ( By hanging on 62b) and rear edge part 62c, the step board 6 can be hold | maintained reliably by the main body 2. As shown in FIG. Since the front edge part 62b and the rear edge part 62c are provided in the recessed part 62, the upper part of the hook parts 61 and 61 which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part 62a contact | connects the inner cylinder 3, and so on. There is nothing to do.

개구부(63)는 본체(2)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스텝판(6)을 본체(2)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변기 시트(4) 및 속통(3)을 본체(2)로부터 제거하여 도12의 (a)에 화살표 y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부(61, 61) 사이를 압박하는 것만으로 좋다. 볼록부(61a, 61a)의 하방이 전방 모서리부(62b) 및 후방 모서리부(62c)에 의해 내측으로 압박되고, 갈고리부(61, 61)가 화살표 y2, y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으로 쓰러짐으로써 스텝판(6)을 본체(2)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The opening 63 penetrates through the main body 2. Therefore, when removing the step plate 6 from the main body 2, the toilet seat 4 and the inner cylinder 3 are removed from the main body 2, and as shown by arrow y1 in Fig. 12A, It is good only to press between the hook parts 61 and 61. The downwards of the convex portions 61a and 61a are pushed inward by the front edge portion 62b and the rear edge portion 62c, and the hook portions 61 and 61 fall inward as shown by arrows y2 and y2. The step plate 6 can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2.

또한, 도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61a, 61a)의 하부의 경사를 상하 방향에 대해 심하게 하고, 갈고리부(61, 61)의 상단부를 화살표 y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으로 압박하여 본체(2)로부터 제거하도록 해도 좋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C,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convex portions 61a and 61a is increa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s of the hook portions 61 and 61 are shown as indicated by the arrow y3. May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2.

스텝판(6)으로 본체(2)의 개구부를 덮음으로써, 예를 들어 어른용 변기 시트에 적재된 변기 시트(4)에 젖먹이 유아가 타고 내리기 위한 스텝으로서 변기(1)를 이용 가능하다. 또한, 어른용 변기 시트에 적재된 변기 시트(4)에 착석 중인 젖먹이 유아가 발목을 두기 위한 스텝으로서 변기(1)를 이용 가능하다. 통상, 착석 중에 발목을 두기 위한 스텝은 좌우의 발에 대응하여 어른용 변기의 좌우에 2군데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변기 시트(4)에서는 발을 전방에서 오므려 착석할 수 있으므로, 스텝은 전방의 1군데에 두는 것만으로 좋다. 따라서, 변기(1)에는 변기(1)를 이용한 스텝 이외에 다른 스텝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갈고리부를 본체(2)의 바닥면(11e)에 설치하여 그 갈고리부에 거는 걸림부를 스텝판(6)의 이면측에 설치해도 좋다. By cover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2 with the step plate 6, the toilet 1 can be used as a step for the suckling infant to ride down on the toilet seat 4 mounted on the toilet seat for adults, for examp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toilet seat 1 as a step for the suckling infant sitting on the toilet seat 4 loaded on the toilet seat for an adult to put an ankle. Usually, the steps for placing ankles during seating need to be arranged in two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ilet bowl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feet. However, in the toilet seat 4 of this embodiment, since a foot can be seated from the front and seated, it is good to just put a step in one place of the front. Therefore, the toilet 1 ha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epare a step other than the step using the toilet 1. Further, the hook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1e of the main body 2, and the hook portion hanging on the hook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step plate 6.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보기 좋고 배변하기 쉬운 젖먹이 유아용 변기 및 보조 변기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부재의 위치를 쉽게 조정 가능한 보조 변기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판을 확실하게 변기 본체에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젖먹이 유아용 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ckling infant toilet seat and auxiliary toilet sea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auxiliary toilet seat which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ckling infant toilet which can securely hold the footrest on the toilet bowl body.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개구부의 주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모서리부와, 상기 측모서리부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방 모서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 모서리부의 전방에 시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소변 받침이 설치되어 있는 보조 변기 시트이며,A pair of side edge portion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front edge portion connecting front ends of the side edge portions are provided around the opening portion, and a urine support protruding from the seat surfac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edge portion. The auxiliary toilet seat 상기 소변 받침의 폭은 상기 전방 모서리부의 폭보다도 좁고,The width of the urine suppor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edge portion, 상기 소변 받침의 상기 개구부측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변기 시트. An auxiliary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 is provided in the opening side of the urine support.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받침과 상기 시트면의 결합 부분은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변기 시트.6. The auxiliary toilet seat shee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rine receiver and the seat surface is chamfer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받침의 상방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변기 시트.The auxiliary toilet sea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handle is provided above the urine support, and the handle is formed in a T shape. 일반 변기의 변기 시트 상에 적재되는 보조 변기 시트 본체와,An auxiliary toilet seat body loaded on a toilet seat of a general toilet seat,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내주측과 외주측 사이를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이면측에 부착되어 상기 일반 변기의 변기 시트 개구부 내에 삽입 가능한 스토퍼 부재와,A stopper member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toilet seat opening of the general toilet seat in a state capable of linearly moving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를 향해 압박하는 힘이 발생하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고,A spring means for generating a force for pressing the stopper member toward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의 이면에는 서로 평행한 수직벽으로서 형성된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의 내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볼록형의 복수의 기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서로 평행한 수직벽으로서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삽입부의 외벽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리는 상하 방향으로 긴 볼록형의 복수의 기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에 설치된 기어부 및 상기 한 쌍의 삽입부에 설치된 기어부가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서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먹이 유아용 보조 변기 시트.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rails formed as vertical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vex gea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s of the pair of rails, and the stopper members are parallel to each other. It has a pair of insertion part formed as a vertical wall, The outer wall of a pair of insertion part is provided with the several convex gear part of the up-down convex-type which meshes with the gear part provided in the said pair of rail, The said pair of rail A sucker infant auxiliary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gear portion provided in the gear unit and the pair of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변기 시트 본체에는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는 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수단으로서 상기 축부의 외주측에서 상기 축부의 상기 긴 구멍에의 삽입 부분과 상기 스토퍼 부재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먹이 유아용 보조 변기 시트. The said stopper member is formed with the elongate hole extended in the said moving direction, The said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is provided with the shaft part inserted in the said elongate hole, The said spring means i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said shaft part. And a coil spring mounte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an insertion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into the long hole and the stopper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의 열이 상기 스토퍼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한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먹이 유아용 보조 변기 시트.The sucker infant auxiliary toilet seat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rows of gear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topper member in a moving direction. 변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발판을 상기 변기 본체의 하면측에 수용 가능하게 한 젖먹이 유아 변기이며, It is a suckling infant toilet which accommodates the footrest covering the opening of the toilet body i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toilet body, 상기 변기 본체 또는 상기 발판 중 어느 한 쪽 부재에는 갈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변기 본체 또는 상기 발판 중 다른 쪽 부재에는 상기 갈고리부에 대해 상기 변기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A hook portion is formed in one of the toilet body or the scaffold, and the other member of the toilet body or the scaffold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engaged with the hook portion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toilet body.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발판의 한 쪽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변기 본체에는 상기 갈고리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벽부의 단부가 상기 걸림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먹이 유아용 변기. The hook portion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ootrest, the toilet body is formed with a recess for receiving the hook portion, the end of the wall portion surrounding the re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ker infant toilet .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변기 본체를 관통하고 있는 관통 구멍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먹이 유아용 변기. 13. A suckling infant toilet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said recess is formed in a through hole shape penetrating said toilet body.
KR1020030080390A 2002-11-15 2003-11-14 Potty and auxiliary toilet seat KR1010039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2016A JP4212871B2 (en) 2002-11-15 2002-11-15 Baby toilet
JP2002332009A JP4240361B2 (en) 2002-11-15 2002-11-15 Auxiliary toilet seat
JP2002332033A JP4300019B2 (en) 2002-11-15 2002-11-15 Auxiliary toilet seat
JPJP-P-2002-00332048 2002-11-15
JP2002332048A JP2004160076A (en) 2002-11-15 2002-11-15 Toilet bowl for infant and toddler, and auxiliary toilet seat
JPJP-P-2002-00332009 2002-11-15
JPJP-P-2002-00332033 2002-11-15
JPJP-P-2002-00332016 2002-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880A KR20040042880A (en) 2004-05-20
KR101003907B1 true KR101003907B1 (en) 2010-12-30

Family

ID=3427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390A KR101003907B1 (en) 2002-11-15 2003-11-14 Potty and auxiliary toilet sea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003907B1 (en)
CN (1) CN100594832C (en)
HK (2) HK1123706A1 (en)
TW (3) TW20093217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3286A (en) * 2016-05-23 2016-09-21 福尔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Intelligent toilet system and nursing utensil provided therewi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4148B2 (en) * 2012-11-15 2017-10-18 コンビ株式会社 Auxiliary toilet seat and infant toil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329A (en) * 1996-12-13 1998-06-23 Aprica Kassai Inc Toilet for inf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329A (en) * 1996-12-13 1998-06-23 Aprica Kassai Inc Toilet for inf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3286A (en) * 2016-05-23 2016-09-21 福尔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Intelligent toilet system and nursing utensil provid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0158B (en) 2011-10-11
CN100594832C (en) 2010-03-24
HK1123705A1 (en) 2009-06-26
TW200932179A (en) 2009-08-01
HK1123706A1 (en) 2009-06-26
KR20040042880A (en) 2004-05-20
TWI350157B (en) 2011-10-11
CN1506015A (en) 2004-06-23
TW201103480A (en) 2011-02-01
TW200412889A (en) 2004-08-01
TWI350159B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762B1 (en) Baby playpen-bassinet combination
US7228575B2 (en) Playpen assembly
US5951112A (en) Seat belt device and a method for stabilizing a seat belt
GB2369773A (en) Seat support member
WO2014159541A1 (en) Tub assembly
KR101003907B1 (en) Potty and auxiliary toilet seat
US8302218B2 (en) Reconfigurable tub assembly
EP0757534B1 (en) Modular chair construction
KR940005254A (en) Chair with armrest
JP4240361B2 (en) Auxiliary toilet seat
JP4212871B2 (en) Baby toilet
JP4300019B2 (en) Auxiliary toilet seat
JP2004160076A (en) Toilet bowl for infant and toddler, and auxiliary toilet seat
JP3377682B2 (en) buckle
JP2006122171A (en) Connecting device of seat belt
KR200187438Y1 (en) Assistance cover of toilet bowl for infant
JP3797655B2 (en) Folding chair
JP4380888B2 (en) Mounting structure for the backrest of the toilet
JP2832594B2 (en) Baby bath chair
KR102385591B1 (en) 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KR200403343Y1 (en) Belt arranging clip for a baby car seat
KR910007270Y1 (en) Infant toilet
JPH0635774Y2 (en) child seat
KR200206291Y1 (en) Assembly structure of chair for child
KR200222584Y1 (en) A swing for inf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