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013B1 -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및 주입구 구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및 주입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013B1
KR100994013B1 KR1020087004902A KR20087004902A KR100994013B1 KR 100994013 B1 KR100994013 B1 KR 100994013B1 KR 1020087004902 A KR1020087004902 A KR 1020087004902A KR 20087004902 A KR20087004902 A KR 20087004902A KR 100994013 B1 KR100994013 B1 KR 100994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guide piece
guide
liquid container
in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567A (ko
Inventor
히로유키 이토
타다시 코지마
유지로 이시카와
타카히로 고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8005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2011/0491Filing cap with speci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체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액체를 주입시, 배출기체와의 간섭(干涉)을 억제하면서 액체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주입한다.
본체부(11)의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면(51)을 갖는 가이드편(片)(50)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편(50)이 형성된 주입로(40)의 부분에는, 가이드편(50) 하측의 면(54)과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에 의해 기체유도부(56)가 형성된다. 주입접속구(10)가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접속되어 사용될 때,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이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측의 밑부분보다 중력방향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주입로(40)에 주입된 액체가 가이드면(51)에 안내되어 중심측을 향하여 흐르는 한편, 기체유도부(56)는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보다 중력방향 상측에 위치하여, 용기 내의 기체는 기체유도부(56)의 둘레방향 단말(端末)로부터 주입방향의 반대측으로 배출된다.
액체용기, 액체 주입구, 주입구조, 연료탱크, 주유로, 주입로, 윤활유, 물, 기름, 기체유도, 둘출선단, 가이드, 가이드편

Description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및 주입구 구조{INJECTION CONNECTOR AND INJECTION STRUCTURE OF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나 탱크 등의 액체용기의 주입구(注入口)에 접속하여 액체를 액체용기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접속구(注入接續具) 및 주입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에 있어서는, 윤활유(엔진오일)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설치되고, 이 주입구에는 개폐덮개(캡)가 분리가능하게 끼워넣어져 닫혀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실린더헤드커버에서, 주입구로부터 윤활유가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헤드커버 내부의 주입구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프로텍터를 주입구의 일단부에 코킹으로 고정하고, 프로텍터의 선단부(자유단부)에 윤활유의 주입로(注入路)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제지편(制止片)을 단차(段差)형상으로 설치한 주입구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평7-29322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로부터 윤활유를 주입할 때, 윤활유의 주입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실린더헤드커버 내의 기체(공기)가 주입구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주입로 내에서, 배출기체의 흐름이 윤활유의 주입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된다. 또한, 배출기체가 흐르는 부분과 윤활유가 주입되는 부분이 동일위치이기 때문에, 윤활유의 주입방향 유동이 배출기체에 의해 저해되어 순조롭게 윤활유를 주입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나 탱크 등의 액체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액체를 주입할 때, 액체와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액체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및 주입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는,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접속하여 액체를 상기 용기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접속구로서,
내부에 주입로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下端) 측에 일체(一體)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입로의 하단개구부(下端開口部)를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정합(整合)하게 하여 접속 가능한 하단접속부(下端接續部)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막는 덮개가 장착가능한 덮개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주입로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있어서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內周壁面)의 일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면서 상측(上側) 면에 상기 주입로의 중심을 향함과 아울러 하측을 향해 경사진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편(片)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편에 의해 상기 주입로가 부분적으로 막히며,
상기 가이드편이 형성된 상기 주입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편의 하측 면과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에 의해 기체유도부(氣體誘導部)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접속구가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접속되어 사용될 때, 상기 가이드편의 돌출선단(突出先端)이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 측의 밑부분보다 중력방향(重力方向)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로에 주입된 액체가 상기 가이드면에 안내되어 중심측을 향하여 흐르는 한편, 상기 기체유도부는 상기 가이드편의 돌출선단보다 중력방향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내의 기체는 상기 기체유도부의 둘레방향 단말(端末)로부터 액체의 주입방향의 반대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주입접속구의 하단접속부를 접속한 상태에서,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액체를 주입하면, 액체의 대부분이 가이드편의 가이드면에 안내되어 주입로의 중심측을 향하여 흐른 후, 가이드편의 선단으로부터 흘러내려 액체용기 내에 주입된다.
한편, 액체용기 내에 액체를 주입할 때, 액체의 주입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액체용기 내의 기체(공기)가 주입로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배출기체의 흐름은 액체의 주입방향과는 역방향이 되지만, 가이드편의 선단보다 중력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기체유도부에 액체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기체는, 주입로의 중심측을 흘러내리는 액체와의 간섭을 피해 기체유도부로부터 가이드편의 가장자리의 밑부분측과 주입로의 둘레 벽면측을 통해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접속된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액체를 주입할 때, 액체와 액체용기 내로부터의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액체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액체가 주입된 액체용기의 사용상태, 예를 들면, 액체용기가 엔진이고,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에 주입접속구가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실린더헤드나 실린더헤드커버 내의 액체로서의 윤활유가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의 하단개구부를 향해 비산(飛散)하였을 때에는, 가이드편의 하측에 부딪혀, 주입로의 상측을 향해 비산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이드편은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의 둘레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편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수고를 덜 수 있음과 아울러,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의 둘레 벽면에 별개의 가이드편을 장착하기 위한 받침부를 형성할 필요도 없다.
또한, 주입로의 내주벽면은, 가이드편의 밑부분을 경계로 해당 경계부로부터 상단개구부 및 하단개구부를 향해 각각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주입로에 대응하는 상하의 양중자형(兩中子型)을 갖는 사출성형 틀의 캐비티 내에 합성수지 재료를 충진하여 주입접속구를 일체 성형한 후, 주입접속구의 주입로로부터 상하의 양중자형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주입로의 내주벽면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편의 돌출선단위치는, 상기 주입로의 중심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편이 형성된 주입로 부분에 있어서, 액체가 주입로의 중심측을 흘러내리는 부분과 배출기체가 흐르는 부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액체와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어 액체의 주입을 한층 원활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이드편은, 주입로의 내주벽면의 한 곳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편이 존재하는 주입로 부분에 있어서, 개구(開口)하는 면적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단위시간당 많은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편은, 주입로의 내주벽면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면서 대향하는 2개소(個所)로부터 돌출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입로의 양단(兩端)에 액체를 중심측으로 흘러내림을 안내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와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액체가 주입된 액체용기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비산한 액체가 양 가이드편의 하측에 부딪히기 쉬워져, 액체가 비산하지 않는다.
또한, 액체 주입접속구를 액체용기에 장착할 때, 양 가이드편이 대향하여 존재하기 때문에, 가이드편이 돌출하는 방향을 확인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가이드편의 상측 면인 가이드면은 원추(圓錐) 내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입로에 주입된 액체를 원추 내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가이드편의 가이드면에 의해 안내하여, 중심측을 향하여 양호하게 흘러내리게 한다.
또한, 가이드편의 돌출선단은, 오목 형상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입로에 주입된 액체를 오목 형상의 원호로 형성된 가이드편의 돌출선단으로부터 양호하게 흘러내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액체와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하단접속부의 바깥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액체용기에 상기 하단접속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입접속구의 하단접속부를 복수의 장착부에 의해 액체용기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하단접속부의 하면(下面)에는, 주입로의 하단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씨일부재를 끼워넣기 가능한 링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입접속구의 하단접속부의 링 형상의 오목홈에 씨일부재를 끼워넣어 액체용기에 장착함으로써, 주입접속구의 하단접속부와 액체용기를 씨일링할 수 있어, 주입접속구의 하단접속부와 액체용기와의 사이로부터 액체가 누출하지 않는다.
또한, 주입로는, 중심선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액체용기의 주입구가 위로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즉, 액체용기의 주입구가 위로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주입접속구를 직립(直立)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주입로의 상단개구부가 위로 향하게 되어, 액체를 주입하기 쉽다.
또한, 주입접속구가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접속된 상태에서, 하단접속부의 하면은,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의 둘레에 형성된 받침부와 같은 각도로만 수평선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는 한편, 주입구의 상단개구부는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액체용기의 주입구가 비스듬히 위로 향해 기울어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즉, 액체용기의 주입구가 비스듬히 위로 향해 기울어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주입접속구의 하단접속부를 비스듬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한편, 주입로의 상단개구부가 위로 향하게 되어, 액체를 주입하기 쉽다.
또한, 하단접속부의 바깥둘레 측면에는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단접속부의 바깥둘레 측면의 움푹 패인 오목부에 의해 수지성형의 수축 패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수지성형의 수축 패임이 원인으로 되는 하단접속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접속부의 하단부 안둘레에는, 주입로의 하단개구부에 연통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바닥있는 통형상의 선단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선단가이드부재의 둘레벽부에는, 내부공간을 액체용기 내에 연통하는 개구구멍(開口孔)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주입접속구를 하단접속부에 의해 접속한 상태에서,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액체를 주입하면, 액체의 대부분이 가이드편의 가이드면에 안내되어 주입로의 중심측을 향하여 흐른 후, 가이드편의 선단으로부터 흘러내린다. 그 후, 액체는 주입로의 하단개구부를 거쳐 선단가이드부재의 내부공간에 유입하고, 선단가이드부재의 개구구멍을 통해 액체용기 내에 주입된다.
한편, 액체용기 내에 액체를 주입할 때, 액체의 주입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액체용기 내의 기체(공기)가, 선단가이드부재의 개구구멍으로부터 내부공간에 유입하여, 주입로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액체가 주입된 액체용기의 사용상태, 예를 들면, 액체용기가 엔진이고,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에 주입접속구가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실린더헤드나 실린더헤드커버 내의 액체로서의 윤활유가 주입접속구를 향해 비산하였을 때에는, 비산한 윤활유는 선단가이드부재의 바닥벽부 하면 및 둘레벽부 외주면에 부딪혀 낙하한다. 이 때문에, 비산한 윤활유가, 선단가이드부재의 내부공간을 통해 주입로에 침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비산한 윤활유의 일부가 선단가이드부재의 개구구멍으로부터 내부공간을 통해 주입로의 하단개구부를 향해 비산했다 하여도, 비산한 윤활유는, 주입로 내의 가이드편 하측에 부딪혀, 주입로의 상측을 향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주입로의 하단개구부에 배치된 선단가이드부재와, 주입로 내의 가이드편에 의해, 윤활유의 비산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접속부의 하단부 안둘레에는 링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고, 선단가이드부재의 상단부 바깥둘레에는, 상기 링 형상 오목부의 바닥면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단접속부의 링 형상 오목부의 바닥면에 선단가이드부재의 상단부 바깥둘레의 플랜지를 접착제나 용착(溶着)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구 본체 및 선단가이드부재를, 상용성(相溶性)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각각 형성한 경우에는, 하단접속부의 링 형상 오목부의 바닥면에 선단가이드부재의 상단부 바깥둘레의 플랜지를, 접착제, 고주파용착, 초음파용착 등에 의해 확실하면서 강고하게 접합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 구조는,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 내에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조로서,
상기 실린더헤드커버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주입로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막는 덮개가 장착가능한 덮개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주입로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있어서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의 일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면서 상측 면에 상기 주입로의 중심을 향함과 아울러 하측을 향해 경사진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편에 의해 상기 주입로가 부분적으로 막히며,
상기 가이드편이 형성된 상기 주입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편의 하측 면과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에 의해 기체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돌출선단은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측의 밑부분보다 중력방향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주입로에 주입된 윤활유가 상기 가이드면에 안내되어 중심측을 향하여 흐르는 한편, 상기 기체유도부는 상기 가이드편의 돌출선단보다 중력방향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헤드커버 내의 기체는 상기 기체유도부의 둘레방향 단말로부터 액체의 주입방향의 반대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윤활유를 주입하면, 윤활유는 대부분이 가이드편의 가이드면에 안내되어 주입로의 중심측을 향하여 흐른 후, 가이드편의 선단으로부터 흘러내려 실린더헤드커버 내에 주입된다.
실린더헤드커버 내에 윤활유를 주입할 때, 윤활유의 주입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실린더헤드커버 내의 기체(공기)가 주입로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배출기체의 흐름이 윤활유의 주입방향과는 역방향이 되지만, 가이드편의 선단보다 중력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기체유도부에 윤활유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기체는, 주입로의 중심측을 흘러내리는 윤활유와의 간섭을 피해 기체유도부로부터 가이드편의 가장자리의 밑부분측과 주입로의 둘레 벽면측을 통해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윤활유와 실린더헤드커버 내로부터의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윤활유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헤드커버 내의 윤활유가 주입로의 하단개구부를 향해 비산하였을 때에는, 가이드편의 하측에 부딪혀, 주입로의 상측을 향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헤드커버의 상부에, 주입로를 갖는 대략 통 형상의 본체부 및 가이드편 및 기체유도부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부품수나 조립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주입접속구가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에 접속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주입접속구의 장착부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주입접속구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주입접속구를 하방으로부터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도 3의 V-V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에 주입되는 윤활유와 배출기체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주입접속구가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에 접속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주입접속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주입접속구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에 주입되는 윤활유와 배출기체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련된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련된 선단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에 따른 선단가이드부재의 횡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3, 103: 실린더헤드커버(용기) 5, 105: 주입구
10, 110, 210, 310: 주입접속구 11, 111: 본체부
20, 120: 하단접속부 21, 121: 장착부
24, 124: 링 형상의 오목홈 28: 장착볼트
29: 링 형상 오목부
29a: 바닥면 30, 130: 덮개장착부
35, 135: 덮개 40, 140: 주입로
40a, 140a: 입구 40b, 140b: 출구
50, 150: 가이드편 51, 151: 가이드면
53, 153: 돌출선단 55, 155: 내주벽면
56, 156: 기체유도부 60: 선단가이드부재
61: 둘레벽부 62: 바닥벽부
63: 개구구멍 65: 플랜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주입접속구가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에 접속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주입접속구의 장착부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주입접속구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주입접속구를 하방으로부터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에 주입되는 윤활유와 배출기체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 1에서는, 액체용기의 주입구로서의 엔진(1)의 실린더헤드커버(3) 주입구(5)에 접속되는 주입접속구(10)를 예시하 는 것이고, 주입접속구(10)는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접속구(10)는, 내부에 주입로(40)를 갖는 대략 통 형상의 본체부(11)과, 본체부(11)의 하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를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정합(整合)하게 하여 접속 가능한 하단접속부(20)와, 본체부(11)의 상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주입로(40)의 상단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막는 덮개(35)가 장착가능한 덮개장착부(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접속부(20)에는, 본체부(11)의 주입로(40)의 출구(40b)를 구성하는 하(下)테이퍼구멍부(44)와 하단(下端)구멍부(4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테이퍼구멍부(44)는, 상단이 주입로(40)의 하단부에 연통하고, 하단으로 향해 차츰 커지는 테이퍼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구멍부(45)는, 하테이퍼구멍부(44)의 하단과 연통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장착부(30)에는, 본체부(11)의 주입로(40)의 입구(40a)를 구성하는 덮개받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받이부(31)의 내주벽면에는 암나사(32)가 형성되고, 덮개(35)의 삽입부(37)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8)가 감겨들어간다. 또한, 덮개(35)는, 도 2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큰 직경의 덮개판부(36)과 덮개판부(36)의 하면(下面)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돌출한 작은 직경의 삽입부(37)을 갖고, 삽입부(37)의 외주면에 수나사(3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장착부(30)와 본체부(11)의 사이에는, 상단이 덮개받이부(31)에 연통하고 하단으로 향해 차츰 작아지면서 하단이 주입로(40)에 연통하는 상(上)테이퍼구멍부(42)를 갖는 상테이퍼 통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 입구(40a), 하부에 출구(40b)를 갖는 주입로(40)는, 중심선이 일직선(연직선)으로 형성된 직립형(直立型)이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에 형성된 주입로(40)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있어서,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의 일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면서 상측 면에 주입로(40)의 중심을 향함과 아울러 하측을 향해 경사진 가이드면(51)을 갖는 가이드편(50)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편(50)에 의해 주입로(40)가 부분적으로 막혀 있다.
또한,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의 위치는, 주입로(40)의 중심을 넘지 않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편(50)은,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면서 대향하는 2개소로부터 돌출하여 한 쌍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을 이루는 양 가이드편(50)의 상측 면인 가이드면(51)은 동일한 원추 내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편(50)의 가이드면(51)의 수직선에 대한 경사각도θ1은, 120도 전후로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가이드편(50)의 가이드면(51)의 돌출선단부 근방으로부터 돌출선 단(53) 사이에는 가이드면(51)보다 더 급하게 경사진 낙하안내면(52)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낙하안내면(52)의 돌출선단(5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오목 형상의 원호(주입로(40)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편(50)이 형성된 주입로(40)의 부분에는, 가이드편(50)의 하측면(54)과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에 의해 기체유도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접속구(10)가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에 접속되어 사용될 때,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이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측의 밑부분보다 중력방향으로 치수 G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하측에 위치하여, 주입로(40)에 주입된 윤활유(엔진오일)가 가이드면(51)에 안내되어 중심측을 향하여 흐르는 한편, 기체유도부(56)은,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보다 중력방향 상측에 위치하여, 실린더헤드커버(3) 내의 기체는 기체유도부(56)의 둘레방향 단말(端末)로부터 윤활유의 주입방향의 반대인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은, 가이드편(50)의 밑부분을 경계로 하여 해당 경계부로부터 상단개구부(입구(40a)의 상단개구부) 및 하단개구부(출구(40b)의 하단개구부)를 향해 각각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받이부(31)의 내경(內徑)치수를 A, 본체부(11)의 상단 내경치수를 B, 본체부(11)의 가이드편(50)의 밑부분에 상당하는 부 분의 내경치수를 C, 양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 사이의 거리치수를 D, 본체부(11)의 하단 내경치수를 E, 하단접속부(20)의 하단구멍부(45)의 내경치수를 F로 하였을 때,
A>B>C>D, F>E
의 관계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접속부(20)의 바깥둘레의 복수 개소(도 3에서는 180도로 거리를 둔 2개소)에는, 주입접속구(10)를 실린더헤드커버(3)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착부(21)에는, 관통구멍(23)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이들 관통구멍(23)에는 설치볼트(28)의 수나사가 끼워지는 구멍을 갖는 금속제 칼라(collar)(22)가 끼워넣어져, 이로써 장착부(21)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방향에 평행하면서 주입로(40)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 L1에 대해, 관통구멍(23)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L2는 각도θ2를 이루는 위치로 설정되고, 2개의 가이드편(50)이, 상기 선 L1과 직교하면서 주입로(40)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 L3을 축으로 대칭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테이퍼 통부(43) 및 본체부(11)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한 상테 이퍼 통부(43)로부터 본체부(11)의 하단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뻗는 복수 열의 보강리브(12)가 돌출형성되어 이로써 본체부(11)의 강도가 높여져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접속부(20)의 바깥둘레 측면 및 하면에는, 두께부분의 편재(偏在)에 따른 수지성형시의 휨이나 수축 패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움푹 패인 오목부(26)(27)가 형성되어, 이들 움푹 패인 오목부(26)(27)에 의해 하단접속부(20) 하면의 평탄이 유지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접속부(20)의 하면에는,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씨일부재(예를 들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O링)(25)를 끼워넣을 수 있는 링 형상의 오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 관련된 주입접속구(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의 둘레에 형성된 받침부(6)에 주입접속구(10)의 하단접속부(20)가 재치(載置)됨과 아울러, 하단접속부(20)의 각 장착부(21)의 금속제 칼라(22)의 구멍이 받침부(6)의 암나사에 위치가 맞춰진다. 여기서, 설치볼트(28)가 장착부(21)의 칼라(22)를 통해 받침부(6)의 암나사에 감겨들어가 체결됨으로써,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에 주입접속구(10)의 주입로(40)의 출구(40b)가 위치맞춤되어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에 주입접속구(10)가 접속된 상태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접속구(10)의 덮개받이부(31)로부터 덮개(35)가 떼내어져서, 주입로(40)의 입구(40a)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윤활유가 주입된다.
그러면, 윤활유는 대부분이 가이드편(50)의 상측 면인 가이드면(51)에 안내되어 주입로(40)의 중심측을 향하여 흐른 후, 낙하안내면(52)의 돌출선단(53)으로부터 흘러내려 실린더헤드커버(3) 내를 통해 엔진(1) 내에 주입되어 엔진(1) 하부의 오일팬 내에 담겨진다.
한편, 실린더헤드커버(3) 내에 윤활유를 주입할 때, 윤활유의 주입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실린더헤드커버(3) 내의 기체(공기)가 주입로(40)의 입구(40a)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배출기체의 흐름이 윤활유의 주입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되지만,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보다 중력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기체유도부(56)의 부분에 윤활유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기체는, 주입로(40)의 중심측을 흘러내리는 윤활유와의 간섭을 피해 기체유도부(56)로부터 가이드편(50) 가장자리의 밑부분측과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측을 통해 주입로(40)의 입구(40a)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주입접속구(10)의 주입로(40) 입구(40a)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윤활유를 주입할 때에, 윤활유와 실린더헤드커버(3) 내로부터의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윤활유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가 주입된 엔진(1)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엔진(실린더헤드커버(3)도 포함한다)(1) 내의 윤활유가 주입접속구(10)의 주입로(40) 출구(40b)를 향해 비산하였을 때에는, 가이드편(50)의 하측면(54)에 부딪혀, 주입로(40)의 상측을 향해 비산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이드편(50)은 주입접속구(10)의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편(50)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수고를 덜 수 있음과 아울러, 주입접속구(10)에 별개의 가이드편(50)을 장착하기 위한 받침부(장착부)를 형성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은, 가이드편(50)의 밑부분을 경계로 하여 해당 경계부로부터 입구(40a)의 상단개구부 및 출구(40b)의 하단개구부를 향해 각각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D, F>E」의 관계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주입로(40)에 대응하는 상하의 양중자형(兩中子型)을 갖는 사출성형틀의 캐비티 내에 합성수지재료를 충진하여 주입접속구(10)를 일체 성형한 후, 주입접속구(10)의 주입로(40)로부터 상하의 양중자형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의 위치는, 상기 주입로(40)의 중심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편(50)이 형성된 주입로(40)의 부분에 있어, 윤활유가 주입로(40)의 중심측을 흘러내리는 부분과 배출기체가 흐르는 부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윤활유와 배출기체의 간섭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어 윤활유의 주입을 한층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주입로(40)의 내주벽면(55)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면서 대향하는 2개소로부터 가이드편(50)이 돌출하여, 이들 양 가이드 편(50)에 의해 주입로(40)의 양단에 윤활유를 중심측으로 흘러내림을 안내하기 때문에, 윤활유와 배출기체의 간섭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주행시 등의 사용상태에서, 비산한 윤활유가 양 가이드편(50) 하측의 면(54)에 부딪히기 쉬워져, 윤활유의 비산방지에 효과가 크다.
또한, 주입접속구(10)를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에 장착할 때, 양 가이드편(50)이 대향하여 존재하기 때문에, 가이드편(50)이 돌출하는 방향을 확인할 필요없이 설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편(50)의 상측 면인 가이드면(51)은 원추 내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로(40)에 주입된 윤활유를 원추 내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편(50)의 가이드면(51)에 의해 중심측을 향해 안내하여 양호하게 흘러내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오목 형상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로(40)에 주입된 윤활유를 오목 형상의 원호로 형성된 가이드편(50)의 돌출선단(53)으로부터 양호하게 흘러내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윤활유와 배출기체의 간섭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하단접속부(20)의 바깥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1)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접속구(10)의 하단접속부(20)를 복수의 장착부(21)에 의해 실린더헤드커버(3)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 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접속부(20)의 하면에는,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씨일부재(25)를 끼워넣을 수 있는 링 형상의 오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입접속구(10)의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의 오목홈(24)에 씨일부재(25)를 끼워넣어 실린더헤드커버(3)에 장착함으로써, 주입접속구(10)의 하단접속부(20)와 실린더헤드커버(3)를 씨일링할 수 있어, 주입접속구(10)의 하단접속부(20)와 실린더헤드커버(3) 사이로부터 윤활유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주입로(40)는, 중심선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가 위로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즉,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가 위로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주입접속구(10)를 직립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주입로(40) 입구(40a)의 상단개구부가 위로 향하게 되어, 윤활유를 주입하기 쉽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접속부(20)의 바깥둘레 측면 및 하면에는 움푹 패인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접속부(20)의 바깥둘레 측면의 움푹 패인 오목부(26)에 의해 수지성형의 수축 패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수지성형의 수축 패임이 원인으로 되는 하단접속부(2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주입접속구를 도 7~도 11에 따라 설 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주입접속구가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에 접속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주입접속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주입접속구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주입접속구의 주입로에 주입되는 윤활유와 배출기체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 2에서는, 엔진(101)의 실린더헤드커버(103)의 주입구(105)가 비스듬히 위로 향해 기울어서 개구되고, 그 주입구(105)의 둘레에 형성된 받침부(106)는, 수평선에 대해 각도 θ3으로만 기울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7~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접속구(110)는, 내부에 주입로(140)를 갖는 대략 통 형상의 본체부(111)와, 본체부(111)의 하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주입로(140)의 하단개구부를 실린더헤드커버(103)의 주입구(105)에 정합하게 하여 접속 가능한 하단접속부(120)와, 본체부(111)의 상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주입로(140)의 상단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막는 덮개(도시하지 않는다)가 장착가능한 덮개장착부(1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접속부(120)의 하면은, 받침부(106)의 기울기와 같게 하여 수평선에 대해 각도θ3만 기울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1)에 형성된 주입로(140)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있어서, 주입로(140)의 내주벽면(155)의 일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면서 상측 면에 주입로(140)의 중심을 향함과 동시에 하측을 향해 경사진 가이드면(151)을 갖는 가이드편(1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주입로(140)가 부분적으로 막혀 있다.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가이드편(150)은, 주입로(140)의 내주벽면(155)의 일개소(一個所)로부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θ4(예를 들면, 180도~220도 정도의 각도)의 범위에 걸쳐 돌출해 있다. 또한, 주입로(140)의 내주벽면(155)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편(150)의 돌출선단(153)의 위치는, 주입로(140)의 중심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편(150)의 상측 면인 가이드면(151)은 원추 내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가이드편(150)의 가이드면(151)의 돌출선단부 근방으로부터 돌출선단(153)의 사이에는 가이드면(151)보다 급하게 경사진 낙하안내면(152)이 형성됨과 아울러, 낙하안내면(152)의 돌출선단(153)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오목 형상의 원호(주입로(140)의 중심과 동일 중심의 원호)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2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편(150)이 형성된 주입로(140)의 부분에는, 가이드편(150) 하측의 면(154)과 주입로(140)의 내주벽면(155)에 의해 기체유도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입접속구(110)가 실린더헤드커버(103)의 주입구(105)에 접속되어 사용될 때, 가이드편(150)의 돌출선단(153)이 주입로(140)의 내주벽면(155)측의 밑부분보다 중력방향으로 치수 H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하측 에 위치하여, 주입로(140)에 주입된 윤활유(엔진오일)가 가이드면(151)에 안내되어 중심측을 향하여 흐르는 한편, 기체유도부(156)는, 가이드편(150)의 돌출선단(153)보다 중력방향 상측에 위치하여, 실린더헤드커버(103) 내의 기체가 기체유도부(156)의 둘레방향 단말로부터 윤활유의 주입방향의 반대인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접속부(120)에는, 본체부(111)의 주입로(140)의 출구(140b)를 구성하기 위한 하테이퍼 구멍부(144)와 하단구멍부(14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장착부(130)에는, 본체부(111)의 주입로(140) 입구(140a)를 구성하기 위한 덮개받이부(131)가 형성되고, 덮개받이부(131)의 내주벽면에는, 덮개(도시 안 함)의 수나사가 감겨넣어지는 암나사(132)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덮개장착부(130)와 본체부(111)의 사이에는, 상단이 덮개받이부(131)에 연통하고 하단을 향해 차츰 작아지며, 또한 하단이 주입로(140)에 연통하는 상테이퍼 구멍부(142)를 갖는 상테이퍼 통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테이퍼 통부(143) 및 본체부(111)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고 또한 상테이퍼 통부(143)로부터 본체부(111)의 하단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뻗는 복수 열의 보강리브(11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접속부(120)의 바깥둘레 측면에는, 두께부분의 편재에 따른 수지성형시의 휨이나 수축 패임의 발생을 방지하는 움푹 패인 오목부(126)이 형성되어, 움푹 패인 오목부(126)에 의해 하단접속부(120)의 하 면의 평탄이 유지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접속부(120)의 하면에는, 주입로(140)의 하단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씨일부재(예를 들면, 탄성체로 이루어진 O링)(125)를 끼워넣을 수 있는 링 형상의 오목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2에 관련된 주입접속구(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대략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다.
즉,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주입접속구(110)의 주입로(140)의 입구(140a)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윤활유를 주입할 때에, 윤활유와 실린더헤드커버(103) 내로부터의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윤활유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가 주입된 엔진(101)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실린더헤드나 실린더헤드카버(103) 내의 윤활유가 주입접속구(110)의 주입로(140)의 출구(140b)를 향해 비산하였을 때에는, 가이드편(150) 하측의 면(154)에 부딪혀, 주입로(140)의 상측을 향해 비산하지 않는다.
특히,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가이드편(150)은, 주입로(140)의 내주벽면(155)의 일개소로부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θ4(예를 들면, 180도~220도 정도의 각도)의 범위에 걸쳐서 돌출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편(150)이 존재하는 주입로(140)의 부분에 있어, 개구하는 면적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시간당으로 많은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덮개장착부(130)의 하면은, 실린더헤드커버(103)의 받침부(106)의 기울기와 같게 하여 수평선에 대해 각도θ3만큼만 기울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헤드커버(103)의 받침부(106)의 중앙부에 설치된 주입구(105)가 비스듬히 위로 향해 기울어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즉, 실린더헤드커버(103)의 주입구(105)가 비스듬히 위로 향해 기울어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주입접속구(110)의 하단접속부(120)를 비스듬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한편, 주입로(140)의 입구(140a)의 상단개구부가 위로 향하게 되어, 윤활유를 주입하기 쉽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주입구 구조(210)를 도 12와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 3에서는, 실린더헤드커버(3)와, 실시예 1의 주입접속구의 본체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즉, 실린더헤드커버(3)의 상부에는, 내부에 주입로(40)을 갖고 대략 통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1)가 일체로 형성(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실시예 3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동일 구성부분에 대해 동일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 3에 관련된 주입구 구조(210)에서는, 주입로(40)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윤활유를 주입하면, 윤활유는 대부분이 가이드편(50)의 가이드면(51)에 안내되어 주입로(40)의 중심측을 향하여 흐른 후, 가이드편(50)의 선단으로부터 흘러내려 실린더헤드커버(3) 내에 주입된다.
실린더헤드커버(3) 내에 윤활유를 주입할 때, 윤활유의 주입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실린더헤드커버(3) 내의 기체(공기)가 주입로(40)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배출기체의 흐름이 윤활유의 주입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되지만, 가이드편(50)의 선단보다 중력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기체유도부(56)에 윤활유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기체는, 주입로(40)의 중심측을 흘러내리는 윤활유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기체유도부(56)로부터 가이드편(50) 가장자리의 밑부분측과 주입로(40)의 둘레 벽면측을 통해 주입로(40)의 상단개구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실린더헤드커버(3) 내로부터의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윤활유를 원활하게 주입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헤드커버(3) 내의 윤활유가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를 향해 비산하였을 때에는, 가이드편(50)의 하측에 부딪혀, 주입로(40)의 상측을 향해 비산하지 않는다.
그리고, 실린더헤드커버(3)의 상부에, 주입로(40)를 갖는 대략 통 형상의 본체부(11), 가이드편(50) 및 기체유도부(56)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부품수나 조립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련된 주입접속구(310)를 도 14~도 16에 따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련된 주입접속구가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에 접속된 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선단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에 따른 선단가이드부재의 횡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 4에 있어서, 주입접속구(310)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본체부(11)와, 하단접속부(20)와, 덮개장착부(30)를 일체로 갖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성형된 접속구 본체(310a)와, 접속구 본체(310a)와는 별개이면서 상용성(相溶性)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성형된 선단가이드부재(6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 4에서는, 본체부(11)의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인(출구에 상당한다) 하단접속부(20)의 하단부 안둘레에,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출구(40b)(도 5 참조)보다 큰 직경인 링 형상 오목부(29)가 형성되고, 이 링 형상 오목부(29)에, 윤활유(액체)의 비산을 방지하는 선단가이드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가이드부재(60)는,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에 연통하는 내부공간(60a)을 구성하는 둘레벽부(61)와 바닥벽부(62)를 갖는,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부(61)의 외경(外徑)은,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의 내경(內徑)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주입구(5)에 끼워넣어진다. 더욱이, 둘레벽부(61)에는, 내부공간(60a)을 실린더헤드커버(3) 내에 연통하는 개구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4에 있어서, 개구구멍(63)은,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벽부(61)의 대략 하반부(下半部)(중앙높이 위치로부터 하단까지의 사이)이고, 또한 둘레벽부(61)의 전 둘레의 약 1/4~1/3 정도의 개구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가이드부재(60)의 둘레벽부(61)의 상단부 바깥둘레에는,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보다 큰 직경으로 주입구(5)를 막는 막이부(64)와, 이 막이부(64)의 상단에 인접하면서 막이부(64)보다 큰 직경으로 링 형상 오목부(29)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플랜지(65)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 오목부(29) 내에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가 끼워넣어지고, 링 형상 오목부(29)의 바닥면(29a)에 플랜지(65)의 상면(上面)이, 접착제, 고주파 용착(溶着),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 오목부(29)에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가 일체적으로 접합된 상태에서, 하단접속부(20)의 하면과, 선단가이드부재(60)의 막이부(64)의 하면이 동일면을 이루어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의 상단면에 간극없이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4 참조).
그리고, 이 실시예 4에 있어서,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 오목부(29)의 내주면과,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 하면과, 막이부(64)의 외주면에 의해 둘러싸인 링 형상의 오목홈(24a)이 형성되고, 이 홈(24a) 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씨일부재(예를 들면, 탄성체로 이루어진 0링)(25)가 끼워넣어져 있어 이로써, 주입접속구(310)와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의 밀폐성이 확보된다.
이 실시예 4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동일구성부분에 대해 동일부호를 부기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 4에 관련된 주입접속구(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에 주입접속구(310)를 하단접속부(20)에 의해 접속한 상태에서, 주입로(40)의 상단개구부로부터 윤활유를 주입하면, 윤활유의 대부분이 가이드편(50)의 가이드면(51)에 안내되어 주입로(40)의 중심측을 향하여 흐른 후, 가이드편(50)의 선단으로부터 흘러내린다.
그 후, 윤활유는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를 거쳐 선단가이드부재(60)의 내부공간(60a)으로 유입하고, 선단가이드부재(60)의 바닥벽부(62)를 따라 흐른 후, 둘레벽부(61)의 개구구멍(63)을 통해 실린더헤드커버(3) 내에 주입된다.
한편, 실린더헤드커버(3) 내에 윤활유를 주입할 때, 윤활유의 주입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실린더헤드커버(3) 내의 기체(공기)가, 선단가이드부재(60)의 개구구멍(63)으로부터 내부공간(60a)에 들어가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주입로(4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4에서도, 실린더헤드커버(3) 내로부터의 배출기체와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윤활유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엔진(실린더헤드커버(3)도 포함한다) 내의 윤활유가 주입접속구(310)를 향해 비산하였을 때에는, 비산한 윤활유는, 선단가이드부재(60)의 바닥벽부(62)의 하면 및 둘레벽부(61)의 외주면에 부딪혀 낙하한다. 이 때문에, 비산한 윤활유가, 선단가이드부재(60)의 내부공간(60a)을 통해 주입로(40) 내에 침입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만일, 비산한 윤활유의 일부가 선단가이드부재(60)의 개구구멍(63)으로부터 내부공간(60a)을 통해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를 향해 비산했다 하여도, 비산한 윤활유는, 주입로(40) 내의 가이드편(50)의 하측에 부딪혀서, 주입로(40)의 상측을 향해 비산하지 않는다.
즉, 이 실시예 4에서는, 주입로(40)의 하단개구부에 배치된 선단가이드부재(60)와, 주입로(40) 내의 가이드편(50)에 의해, 윤활유의 비산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4에 있어서, 하단접속부(20)의 하단부 안둘레에는 링 형상 오목부(29)가 형성되는 한편, 선단가이드부재(60)의 상단부 바깥둘레에는, 링 형상 오목부(29)의 바닥면(29a)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플랜지(6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 오목부(29)의 바닥면(29a)에,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의 상면을 접착제나 용착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 4에서는, 접속구 본체(310a) 및 선단가이드부재(60)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접속구 본체(310a)의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 오목부(29)의 바닥면(29a)에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의 상면을, 접착제, 고주파 용착,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확실하면서 강고하게 접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4에 있어서,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 오목부(29)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는 한편,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 오목부(29)에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를 체결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고정 이외에, 링 형상 오목부(29)의 바닥면(29a)과,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 상단면과의 사이에,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 및 막이부(64)를 끼워서 하단접속부(20)의 링 형상 오목부(29)에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만일 상기에 의한 고정이 풀렸다 해도, 선단가이드부재(60)의 둘레벽부(61)의 상단부 바깥둘레에 형성된 실린더헤드커버(3)의 주입구(5)보다 큰 직경의 막이부(64)에 의해, 주입구(5)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선단커버부재(60)가 실린더헤드커버(3) 내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하단접속부(20)의 하단에는, 링 형상 오목부(29)의 내주면과, 선단가이드부재(60)의 플랜지(65)의 하면과, 막이부(64)의 외주면에 의해, 씨일부재(25)를 끼워 넣을 수 있는 링 형상의 오목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 형상의 오목홈(24a) 내에 씨일부재(25)를 용이하게 끼워넣어 파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입접속구(310)의 하단접속부(20)와 실린더헤드커버(3)의 사이로부터 윤활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액체용기의 주입구가 실린더헤드커버(3)(103)의 주입구(5)(105)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액체용기로서는, 물, 기름, 화학품, 약품 등의 액체를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각종 탱크, 용기 등이라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5)

  1.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접속하여 액체를 상기 용기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접속구(注入接續具)로서,
    내부에 주입로(注入路)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下端)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입로의 하단개구부(下端開口部)를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정합(整合)하게 하여 접속가능한 하단접속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上端)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입로의 상단개구부(上端開口部)를 개폐가능하게 막는 덮개가 장착가능한 덮개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주입로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서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內周壁面)의 일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면서 상측의 면에 상기 주입로의 중심을 향함과 아울러 하측을 향해 경사진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편(片)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편에 의해 상기 주입로가 부분적으로 막히며,
    상기 가이드편이 형성된 상기 주입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편 하측의 면과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에 의해 기체유도부(氣體誘導部)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접속구가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접속되어 사용될 때, 상기 가이드편의 돌출선단(突出先端)이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 측의 밑부분보다 중력방향(重力方向)으로 하측(下側)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로에 주입된 액체가 상기 가이드면으로 안내되어 중심측을 향하여 흐르는 한편, 상기 기체유도부는 상기 가이드편의 돌출선단보다 중력방향 상측(上側)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내의 기체는 상기 기체유도부의 둘레방향 단말(端末)로부터 액체의 주입방향의 반대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주입로의 내주벽면은, 가이드편의 밑부분을 경계로 하여 해당 경계부로부터 상단개구부 및 하단개구부를 향해 각각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입로의 내주벽면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편의 돌출선단 위치는, 상기 주입로의 중심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편은 주입로의 내주벽면의 일개소(一個所)로부터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편은 주입로의 내주벽면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면서 대향하는 2개소로부터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편 상측의 면인 가이드면은 원추 내면(內面)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편의 돌출선단은 오목 형상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단접속부의 바깥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액체용기에 상기 하단접속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반경방향 외측(外側)으로 각각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단접속부의 하면에는, 주입로의 하단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씨일(seal)부재를 끼워넣을 수 있는 링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입로는, 중심선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11. 제1항에 있어서,
    주입접속구가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접속된 상태에서, 하단접속부의 하면은,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의 둘레에 형성된 받침부와 같은 각도로만 수평선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는 한편, 주입구의 상단개구부는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단접속부의 바깥둘레 측면에는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단접속부의 하단부 안둘레에는, 주입로의 하단개구부에 연통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바닥있는 통형상의 선단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선단가이드부재의 둘레벽부에는, 내부공간을 액체용기 내에 연통하는 개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단접속부의 하단부 안둘레에는 링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고,
    선단가이드부재의 상단부 바깥둘레에는, 상기 링 형상 오목부의 바닥면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플랜지(flang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15. 엔진의 실린더헤드커버 내에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구조로서,
    상기 실린더헤드커버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주입로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입로의 상단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막는 덮개가 장착가능한 덮개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주입로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서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의 일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면서 상측의 면에 상기 주입로의 중심을 향함과 아울러 하측을 향해 경사진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편에 의해 상기 주입로가 부분적으로 막히며,
    상기 가이드편이 형성된 상기 주입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편 하측의 면과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에 의해 기체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돌출선단은 상기 주입로의 내주벽면측의 밑부분보다 중력방향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로에 주입된 윤활유가 상기 가이드면으로 안내되어 중심측을 향하여 흐르는 한편, 상기 기체유도부는 상기 가이드편의 돌출선단보다 중력방향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헤드커버 내의 기체는 상기 기체유도부의 둘레방향 단말로부터 액체의 주입방향의 반대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커버의 주입구 구조.
KR1020087004902A 2006-06-01 2007-05-31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및 주입구 구조 KR100994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53352 2006-06-01
JP2006153352 2006-06-01
JPJP-P-2006-00264407 2006-09-28
JP2006264407A JP4499076B2 (ja) 2006-06-01 2006-09-28 液体容器の注入接続具及び注入口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567A KR20080052567A (ko) 2008-06-11
KR100994013B1 true KR100994013B1 (ko) 2010-11-11

Family

ID=3877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902A KR100994013B1 (ko) 2006-06-01 2007-05-31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및 주입구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27807B2 (ko)
EP (1) EP2022952B1 (ko)
JP (1) JP4499076B2 (ko)
KR (1) KR100994013B1 (ko)
CN (1) CN101346532B (ko)
RU (1) RU2406832C2 (ko)
WO (1) WO20071391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7030B2 (en) 2011-12-07 2019-09-10 Toledo Molding & Die, Inc. Filler neck for an automotive fluid container
JP5998024B2 (ja) * 2012-11-28 2016-09-28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KR101714229B1 (ko) * 2015-09-23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요소수 주입장치
US10081241B2 (en) * 2015-12-10 2018-09-25 Curtis Alan Roys Diesel fuel guard
JP6826932B2 (ja) * 2017-03-28 2021-02-10 株式会社コロナ 中和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燃焼装置
KR102083549B1 (ko) * 2019-03-19 2020-03-02 조아제약주식회사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8224U (ko) 1987-05-25 1988-12-02
JPS6451713U (ko) 1987-09-25 1989-03-30
JPH10324255A (ja) 1997-05-22 1998-12-08 Koyo Seiko Co Ltd オイルタンク
JP2005306108A (ja) 2004-04-19 2005-11-04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867A (en) * 1986-06-02 1987-11-03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Oil filler funnel and cap
JPS6336755A (ja) 1986-07-31 1988-02-17 Nisshin Oil Mills Ltd:The レバ−加工食品の製造法
JPS6336755U (ko) * 1986-08-26 1988-03-09
JPS63188224A (ja) 1987-01-31 1988-08-03 Toshiba Corp プリンタ装置
JPS6468232A (en) 1987-09-10 1989-03-14 Terumo Corp Catheter tube
JPH0168232U (ko) * 1987-10-22 1989-05-02
JPH03114418U (ko) * 1990-03-12 1991-11-25
US5111858A (en) * 1990-12-24 1992-05-12 Ford Motor Company Interengageable plastic fuel flange and plastic filler tube
JPH07293220A (ja) 1994-04-28 1995-11-07 Daihatsu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オイル注入口構造
JP3578421B2 (ja) * 1995-03-03 2004-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における給油管構造
JP3371719B2 (ja) * 1996-10-23 2003-01-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フィラーチューブ接続部構造
DE19903545C2 (de) * 1999-01-29 2001-04-05 Alfmeier Praez Ag Kraftstofftank
JP3899763B2 (ja) * 2000-01-17 2007-03-28 スズキ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構造
AT4235U1 (de) * 2000-01-24 2001-04-25 Tesma Motoren Getriebetechnik 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rohren
JP4585143B2 (ja) * 2001-05-17 2010-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イルフィラーキャップの取付構造
US6648033B2 (en) * 2001-11-15 2003-11-18 Martinrea Industries, Inc. Fuel fill tube assembly
US6871680B2 (en) * 2002-02-14 2005-03-29 Midwest Can Company Multi-flow pour spout and adapter
JP3821224B2 (ja) * 2002-03-15 2006-09-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封入容器と溶着部品の溶着方法
CN2743546Y (zh) * 2004-04-14 2005-11-30 邓玉剑 摩托车机油添加装置
JP3114418U (ja) * 2005-07-05 2005-10-27 久雄 黒澤 漏斗受け具
DE102005037924B3 (de) * 2005-08-11 2007-03-08 Dräger Medical AG & Co. KG Füllsystem für einen Narkosenmittelverdunster
US8201595B2 (en) * 2008-09-30 2012-06-19 Trippi Jr John Pour spout assembly with winged stop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8224U (ko) 1987-05-25 1988-12-02
JPS6451713U (ko) 1987-09-25 1989-03-30
JPH10324255A (ja) 1997-05-22 1998-12-08 Koyo Seiko Co Ltd オイルタンク
JP2005306108A (ja) 2004-04-19 2005-11-04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06832C2 (ru) 2010-12-20
US20090071570A1 (en) 2009-03-19
US8127807B2 (en) 2012-03-06
RU2008152395A (ru) 2010-07-20
CN101346532A (zh) 2009-01-14
EP2022952B1 (en) 2012-09-05
JP4499076B2 (ja) 2010-07-07
WO2007139185A1 (ja) 2007-12-06
EP2022952A4 (en) 2011-07-20
CN101346532B (zh) 2010-09-08
KR20080052567A (ko) 2008-06-11
EP2022952A1 (en) 2009-02-11
JP2008008280A (ja)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013B1 (ko) 액체용기의 주입접속구 및 주입구 구조
US20100122952A1 (en) Filter cartridge centering device
US6382231B2 (en) Fuel cutoff valv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8008280A5 (ko)
US20160091107A1 (en) Fuel cutoff valve
KR100626232B1 (ko) 정립과 도립 겸용 트리거식 액체분출 용기
US9096122B2 (en) Fuel cutoff valve
US9586475B2 (en) Fuel tank connector
US8360088B2 (en) Fuel cutoff valve
JP4108658B2 (ja) 電気ポット
EP1936179A2 (en) Fuel filter
US20140091567A1 (en) Connector for fuel tank
CN209972430U (zh) 一种汽车用新型储液灌盖带阻油通气机构总成
KR101999205B1 (ko) 전도 방지 기능이 구비된 샤워기
JP2020138781A (ja) タンク
US20170203650A1 (en) Fuel inlet
JP7057256B2 (ja) リザーブタンク
JP2009293380A (ja) ドレン構造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JP2593693Y2 (ja) リザーブタンク
JP5998024B2 (ja)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JP7474462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3232222A (ja) リザーブタンクのキャップ構造
JPH0343898Y2 (ko)
JP5103302B2 (ja) 計量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